KR20200005216A -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216A
KR20200005216A KR1020180078660A KR20180078660A KR20200005216A KR 20200005216 A KR20200005216 A KR 20200005216A KR 1020180078660 A KR1020180078660 A KR 1020180078660A KR 20180078660 A KR20180078660 A KR 20180078660A KR 20200005216 A KR20200005216 A KR 2020000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se
connector
filter
conn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권경환
김세중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청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청호시스템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5216A/ko
Priority to US16/440,023 priority patent/US11796098B2/en
Publication of KR2020000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5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a sleeve being movable 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필터와 다른 필터를 연결하거나, 필터와 출수노즐을 연결하는 호스 연결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상기 필터의 출구와 연결되어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고, 개방된 타측을 통해서 유입된 정수를 배출시키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된 링(ring) 형태의 고정돌기가 정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복수 형성된 커넥터와, 일측이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이웃하는 필터의 입구와 연결되거나, 상기 출수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타측으로 출수된 물을 상기 전달하는 탄성 재질의 출수호스와, 상기 출수호스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의 타측을 감싸면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출수호스의 외측에서 상기 출수호스를 가압하면서 상기 출수호스를 커버하는 중공 형상의 고정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냉장고 등의 수처리 장치는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수처리 장치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수처리 장치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수처리 장치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수처리 장치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수처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종래 수처리 장치는 여과력 향상을 위해 여러개의 필터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원수는 여러개의 필터를 거치면서, 단계적으로 정화된 후 외부로 출수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필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필터의 입구와 출구에 연결호스의 양단을 끼워 접속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각각의 필터가 연결호스로 연결되면, 하나의 정수라인을 이루게 된다. 이때, 별도의 조립부재를 이용하여 필터와 연결호스를 체결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 필터 헤드와 연결호스를 긴밀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니플이나 피팅구조를 개선하여 필터 헤드와 연결호스를 연결해 왔다. 하지만, 조립부재의 구조가 복잡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을 위한 부품의 수가 많아지게 되므로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동업종 분야에서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부품의 증가로 인한 필터 조립의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필터의 하우징은 그 재질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조립부재의 재질은 연결호스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대부분 필터 헤드에 금속의 니플이나 별도의 부속을 조립하여 연결호스를 접속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이 경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필터 본체에 금속의 부속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며, 서로 다른 재질의 체결에 의하여 누수포인트가 발생할 우려 또한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28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출구와 다른 필터의 입구를 연결하거나, 필터 출구와 출수노즐을 연결하는 커넥터 및 연결호스의 결합이 보다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필터에서 정수 출수 시, 수압에 의해 발생하는 누수발생 가능성을 최소한으로 줄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터에서 정수 출수 시, 수압에 의해 커넥터에서 호스가 분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은, 필터와 다른 필터를 연결하거나, 필터와 출수노즐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필터의 출구와 연결되어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고, 개방된 타측을 통해서 유입된 정수를 배출시키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된 링(ring) 형태의 고정돌기가 정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복수 형성된 커넥터와, 일측이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이웃하는 필터의 입구와 연결되거나, 상기 출수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타측으로 출수된 물을 상기 전달하는 탄성 재질의 출수호스와, 상기 출수호스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의 타측을 감싸면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출수호스의 외측에서 상기 출수호스를 가압하면서 상기 출수호스를 커버하는 중공 형상의 고정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부와,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부는 외측 둘레를 따라서,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배출구 사이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타측에서 일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일측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평면과, 상기 평행면과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행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2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단부에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복수의 고정돌기에 출수호스가 삽입되어, 커넥터와 출수호스는 복수의 위치에서 강제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출수호스와 커넥터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에서 출수호스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커넥터에서 출수호스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출수호스가 커넥터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고정캡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호스와 커넥터의 결합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고정캡을 커넥터 또는 공급호스에 끼울 때, 체결부위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고정캡을 끼울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커넥터 및 고정캡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걸림돌기가 수용홈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와 고정캡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고정캡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출수 호스를 내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와 출수호스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커넥터와 호스와 고정캡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커넥터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면,
도 5는 도 3에서, 고정캡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호스와 고정캡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커넥터와 호스와 고정캡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연결 모듈은 정수기, 정수기능을 갖는 냉장고 등의 각종 수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처리 장치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로 이루어진 필터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정화시킨 뒤, 정수의 상태로 공급하는 본체(하우징)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노즐이 구비된 출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처리 장치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모듈은, 원수가 1차로 통과하는 프리 카본필터와, 상기 프리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2차로 통과하는 역삼투압필터(RO필터), 상기 역삼투압필터를 통과하는 정수가 3차로 통과하는 포스트 카본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상기 역삼투압필터를 대신해서, 중공사막필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필터들을 거치면서 정화된 물(정수)은 출수호스 및 출수노즐을 통해서 본체(하우징)의 외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정수는 가열이나 냉각 없이 상온의 상태로, 출수노즐로 공급될 수 있고, 온수로 가열되거나, 냉수로 냉각된 후 출수노즐로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호스 연결 모듈(10)은 상기와 같은 수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와 다른 필터를 연결하거나, 상기 필터모듈과 상기 출수모듈을 연결한다. 상기 호스 연결 모듈(10)을 통해서,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선단의 필터를 통과한 물이 후단의 필터로 전달될 수 있고, 모든 필터를 통과한 물이 출수노즐 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호스 연결 모듈(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스 연결 모듈(10)은, 필터의 출구측과 연결되는 커넥터(100)와, 상기 커넥터(100)에서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에 결합된 출수호스(200)의 일측 단부를 커버하여,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고정캡(2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커넥터(100)는 양측이 개방된 형상을 취한다. 또한 내측에는 상기 개방된 양측과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100)는 개방된 일측이 상기 필터의 출구(400)와 연결되어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고, 개방된 타측을 통해서 유입된 정수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100)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연속해서 돌출된 링(ring) 형태의 고정돌기(109)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기(109)는 정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면서 복수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09)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09)는 후술되는 제2평면(113) 대비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경사면(112)과 제1평면(111)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수호스(300)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 또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중공관의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출수호스(300)는 일측(상측, 도 3참조)이 상기 커넥터(100)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타측(하측, 도 3참조)이 이웃하는 필터의 입구와 연결되거나, 상기 출수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100)를 통과한 정수를 필터 또는 출수모듈로 전달한다.
상기 고정돌기(109)가 형성된 커넥터(100)의 타측은 상기 출수호스(300)의 내측에 강제적으로 삽입되고, 고정돌기(109)에 의해 출수호스(300)의 내경이 확장되면서, 커넥터(100)와 출수호스(30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09)는, 출수호스(300)의 내측으로 삽입이 비교적 용이한 반면, 출수호스(300)로부터 분리는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출수호스(3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수호스(300)에 커넥터(100)의 타측이 압입된 상태에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출수호스(300)의 외측에는 고정캡(20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캡(200)은 내측에 중공(201)을 형성하는 중공관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출수호스(300)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100)의 타측을 감싸면서 압입방식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출수호스(300)의 외측에서 상기 출수호스(300) 또는 커넥터(100)를 가압하면서 상기 출수호스(300)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캡(200)은 단순히 커넥터(100)에 고정되면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연결부위를 커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캡(200)은 커넥터(100)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출수호스(300)를 가압하면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연결부위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캡(200)의 구성에 따라,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고정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100)의 단부에 복수의 고정돌기(109)가 형성되고, 복수의 고정돌기(109)에 출수호스(300)가 삽입되어, 커넥터(100)와 출수호스(300)는 복수의 위치에서 강제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0)에서 출수호스(300)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0)에서 출수호스(300)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출수호스(300)가 커넥터(100)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캡(200)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캡(200)이 투명 재질로 형성될 경우, 외부에서, 공급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결합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정캡(200)을 커넥터(100) 또는 공급호스(300)에 끼울 때, 체결부위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고정캡(200)을 끼울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캡(200)의 적어도 일부의 내경은 상기 공급호스(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캡(200)의 일부의 내경이 공급호스(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고정캡(200)에 의해 공급호스(300)가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커넥터(100)의 일부가 상기 공급호스(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호스(300)와 커넥터(100)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00)는,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1)가 형성된 유입부(120)와,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된 배출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부(110)는 외측 둘레를 따라서, 플랜지(103)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돌기(109)는 상기 플랜지(103)와 상기 배출구(102) 사이 구간에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20)와 배출부(110)는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120)와 배출부(110)는 곡선으로 굽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부(120)와 상기 배출부(110)는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커넥터(100)는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부(120)와 상기 배출부(110)는 그 사잇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넥터(100)의 유입부(12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커넥터(100)의 배출부(11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의 출구(40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필터의 입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출된 정수는 커넥터(100)를 통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된 후, 수직방향으로 유동되고, 커넥터(100)에서, 수직방향으로 토출된 정수는 다른 필터에 수직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커넥터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서, 고정캡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플랜지(103)의 타측(하측, 도 4 참조)에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수용홈(105)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200)의 일측(상측, 도 5 참조)에는 상기 수용홈(105)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10)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105)을 정의하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103)의 하측에는 상기 플랜지(103) 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면서, 상기 플랜지(103)와 나란하게 형성된 보조플렌지(106)가 상기 플랜지(103)와 이격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03)의 하단(도 2 참조)에는 상기 고정캡(200)의 상단(도 2 참조)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03)에 의해, 고정캡(200)이 플랜지(103) 측으로 이동할 때, 고정캡(200)의 최대 상승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03)는 상기 고정캡(200)의 최대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05)은 상기 커넥터(1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되며, 링(ring)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10) 역시 상기 고정캡(2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되며, 링(ring)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상기 고정캡(200)의 상단이 플랜지(103)의 하단에 위치되는 시점에, 상기 걸림돌기(210)는 수용홈(105)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100) 및 고정캡(200)의 둘레방향(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걸림돌기(210)가 수용홈(105)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100)와 고정캡(20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10)는, 외측(상측, 도 5 참조)에서 내측(하측, 도 5 참조)으로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부(220)가 형성되면, 걸림돌기(210)가 수용홈(105)에 삽입될 때, 상기 보조플랜지(106)를 통과하는 과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210)가 수용홈(105)에 삽입되면, 경사부(220)의 하단이 상기 보조플랜지(106)의 상단에 걸리면서, 고정캡(200)이 커넥터(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걸림돌기(210)가 수용홈(105)에 삽입되기 위해 고정캡(200)이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10) 및 경사부(220)에 의해서, 출수호스(300)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가압되고, 결과적으로 커넥터(100)의 고정돌기(109)는 출수호스(300)의 내주면에 보다 확실하게 압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09)는 상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타측(하측, 도4참조)에서 일측(상측, 도4참조)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형성된 경사면(112)과, 상기 경사면(112)의 일측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평면(111)과, 상기 제1평면(111)과 단턱(114)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평면(111)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2평면(11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109)는 연속해서 형성된다.
즉, 경사면(112), 제1평면(111), 제2평면(113)은 반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타측 단부(하단, 도4참조)의 외경은 출수호스(3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호스(300)에 커텍터(100)을 처음 끼울 때, 커넥터(100)의 단부가 출수호스(300)의 내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수호스(300)의 내경은, 상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배출부(110)의 단부(11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11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커넥터(100)의 배출부(110)가 출수호스(300)에 삽입되면, 경사면(112)과 제1평면(111)이 출수호스(300)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호스(300)의 내경은, 상기 제2평면(11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경우, 커넥터(100)의 배출부(110)가 출수호스(300)에 삽입되면, 경사면(112)과 제1평면(111)은 물론 제2평면(113)이 출수호스(300)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고정력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커넥터(100)의 타측(하측, 도 4참조)에 형성된 고정돌기(109) 경사면(112)의 경사진 각도는 일측(상측, 도 4참조)에 형성된 고정돌기(109) 경사면(112)의 경사진 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커넥터(100)의 타측(하측, 도 4참조)에 형성된 고정돌기(109)에 압입된 출수호스(3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커넥터(100)의 일측(상측, 도 4참조)에 압입된 출수호스(300)에 가해지는 가압력보다 크게 형성되어,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반면, 커넥터(100)의 타측(하측, 도 4참조)에 형성된 고정돌기(109)에 압입된 출수호스(3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커넥터(100)의 일측(상측, 도 4참조)에 압입된 출수호스(300)에 가해지는 가압력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임의로 분리될 우려가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호스와 고정캡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캡(200)은, 내측에 상기 출수호스(300)를 가압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2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캡(200)의 내측에 가압돌기(230)가 형성되면, 가압돌기(230)에 의해 공급호스(300)가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커넥터(100)의 일부가 상기 공급호스(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호스(300)와 커넥터(100)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230)의 내경은 상기 공급호스(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압돌기(230)의 내경이 공급호스(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면, 고정캡(200)이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230)에 의해서, 출수호스(300)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가압되고, 결과적으로 커넥터(100)의 고정돌기(109)는 출수호스(300)의 내주면에 보다 확실하게 압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플랜지(103)와 상기 고정돌기(109)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103)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그 모서리 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연장부(107)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200)의 일측(상측, 도 6참조)은 상기 연장부(107)가 삽입되게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수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07)는 상기 고정돌기(109)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플랜지(103)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장부(107)는 상기 수용홈(105)에서 하측(도 6참조)으로 연장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플랜지(106)는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캡(200)에는 연장부(107)가 삽입되는 수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돌기(109)가 형성된 커넥터(100)의 단부가 출수호스(300)의 상측(도 6 참조)에 압입된 상태에서, 고정캡(200)을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시키면, 고정캡(200)의 상단은 상기 플랜지(103)의 하단에 접촉하면서, 고정캡(200)의 이동은 제한된다. 그리고,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연장부(107)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수용부(240)에 삽입된다.
또한, 고정캡(200)이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230)에 의해서, 출수호스(300)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가압되고, 고정캡(200)의 상단이 상기 플랜지(103)의 하단에 접촉하면서, 고정캡(200)의 이동은 제한된 상태에서, 가압돌기(230)에 의해서, 출수호스(300)는 내측의 고정돌기(109)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07)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108)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40)에는 상기 삽입홈(108)에 삽입되게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250)와 삽입홈(108)이 형성되면, 상기 커넥터(100) 및 고정캡(200)의 둘레방향(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삽입돌기(250)가 삽입홈(108)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100)와 고정캡(20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08) 및 삽입돌기(250)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100)에 고정캡(200)을 끼울 때,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삽입돌기(250)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삽입홈(108)에 곡면을 따라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08)은 하단에 단턱(108a)을 형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250)는 하단이 평면을 형성하고, 적어도 이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경사(25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100)에 고정캡(200)을 끼울 때, 삽입돌기(250)의 경사(251)에 의해 삽입돌기(250)는 삽입홈(108)에 비교적 쉽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삽입돌기(250)가 삽입홈(108)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홈(108)의 단턱(108a)에 삽입돌기(250)의 하단의 평면이 걸쳐지면서, 커넥터(100)와 고정캡(200)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100)의 단부에 복수의 고정돌기(109)가 형성되고, 복수의 고정돌기(109)에 출수호스(300)가 삽입되어, 커넥터(100)와 출수호스(300)는 복수의 위치에서 강제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0)에서 출수호스(300)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0)에서 출수호스(300)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출수호스(300)가 커넥터(100)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캡(200)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결합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고정캡(200)을 커넥터(100) 또는 공급호스(300)에 끼울 때, 체결부위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고정캡(200)을 끼울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0) 및 고정캡(20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걸림돌기(210)가 수용홈(105)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100)와 고정캡(20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고정캡(10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출수 호스(300)를 내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100)와 출수호스(30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Claims (15)

  1.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로 이루어진 필터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정화시킨 뒤, 정수의 상태로 공급하는 본체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노즐이 구비된 출수모듈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와 다른 필터를 연결하거나, 상기 필터모듈과 상기 출수모듈을 연결하는 호스 연결 모듈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필터의 출구와 연결되어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고, 개방된 타측을 통해서 유입된 정수를 배출시키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된 링(ring) 형태의 고정돌기가 정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복수 형성된 커넥터;
    일측이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이웃하는 필터의 입구와 연결되거나, 상기 출수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타측으로 출수된 물을 상기 전달하는 탄성 재질의 출수호스;
    상기 출수호스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의 타측을 감싸면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출수호스의 외측에서 상기 출수호스를 가압하면서 상기 출수호스를 커버하는 중공 형상의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부와,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부는 외측 둘레를 따라서,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배출구 사이 구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는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랜지의 타측에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수용홈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타측에서 일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일측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평면과,
    상기 평행면과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행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2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호스의 내경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의 단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호스의 내경은, 상기 제2평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커넥터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돌기 경사면의 각도는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 경사면의 각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은, 내측에 상기 출수호스를 가압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상기 플랜지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의 일측은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게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게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 및 삽입돌기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은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의 적어도 일부의 내경은 상기 공급호스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KR1020180078660A 2018-07-06 2018-07-06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KR20200005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60A KR20200005216A (ko) 2018-07-06 2018-07-06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US16/440,023 US11796098B2 (en) 2018-07-06 2019-06-13 Hose connection module for water trea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60A KR20200005216A (ko) 2018-07-06 2018-07-06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836A Division KR102223794B1 (ko) 2020-08-26 2020-08-26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216A true KR20200005216A (ko) 2020-01-15

Family

ID=6910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660A KR20200005216A (ko) 2018-07-06 2018-07-06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96098B2 (ko)
KR (1) KR202000052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02A (ko) 2020-01-15 2021-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850A (ko) 2011-12-22 2013-07-02 김보섭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9200A (en) * 1938-07-06 1939-11-07 Albert J Scholtes Hose coupling
GB1444257A (en) * 1973-07-06 1976-07-28 Dunlop Ltd Fastening assemblies
US4805942A (en) * 1987-08-24 1989-02-21 Stuart Goodridge Field attachable and reusable hose end fitting for convoluted end
US5275447A (en) * 1992-08-14 1994-01-04 Misti Maid Inc. Hose coupling
JPH08326974A (ja) * 1995-06-01 1996-12-10 Benkan Corp 樹脂管用継手
DE19841155C1 (de) * 1998-09-09 2000-01-05 Mertik Maxitrol Gmbh & Co Kg Rohrverbindung zum gasdichten Anschluß an ein Mehrschichtverbundrohr
US6749233B2 (en) * 2000-06-08 2004-06-15 Hitachi Metals, Ltd. Sleeve-type pipe joint
ES2575551T3 (es) * 2007-10-30 2016-06-29 Medela Holding Ag Dispositivo para la conexión de un conducto flexible de aspiración
KR200469264Y1 (ko) 2011-11-02 2013-10-01 정휘동 정수필터의 연결호스 접속구조
ES2548185T3 (es) * 2012-11-28 2015-10-14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Unidad de automóvil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unidad de automóvil
DE102014100028B4 (de) * 2014-01-03 2017-06-22 Viega Technology Gmbh & Co. Kg Klemmring, Schiebehülse, 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unlösbaren Verbindung
KR20180031328A (ko)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이용한 육안용이 식별형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램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DE202017106289U1 (de) * 2017-10-17 2017-10-25 Transitron Handels-Gmbh Rohrverbinder
CN209725505U (zh) * 2019-03-06 2019-12-03 游氏(厦门)卫浴工业有限公司 一种卫浴用双扣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850A (ko) 2011-12-22 2013-07-02 김보섭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96098B2 (en) 2023-10-24
US20200011464A1 (en)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1023B2 (en) Two-part flow regulator, jet regulator or backflow preventer having a snap-in joint between the parts
KR102223794B1 (ko)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CN108915918B (zh) 用于对特别是液体流体的流体进行处理的处理装置及处理装置的处理元件
KR20200005216A (ko)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KR101364155B1 (ko) 필터 조립체
CN205371885U (zh) 净水器内部管道快速连接组件
KR20130002819U (ko) 정수필터의 연결호스 접속구조
RU2436617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KR100494591B1 (ko) 정수기의 필터 장치
AU2021335410B2 (en) Filter cartridge
AU2021335408B2 (en) Filter having a centering device
KR101776256B1 (ko) 관로일체형 덮개가 구비되는 정수기
CN215457350U (zh) 饮用水供应器用水桶保持架组件及包括其的饮用水供应器
KR100462231B1 (ko) 정수기의 필터 장치
KR20040042498A (ko) 정수기의 필터 장치
KR101300365B1 (ko) 피팅
KR102115470B1 (ko) 유로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306776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KR101298595B1 (ko) 필터카트리지의 커넥팅 장치
CN214654027U (zh) 一种美容用过滤结构
US20230256367A1 (en) Water tank with filter cartridge
KR102115321B1 (ko) 정수기의 미분 방지 필터 모듈
AU2022245948A1 (en) Filter comprising a centring device
KR20110007459A (ko) 정수기용 필터기구의 조립구조
KR200265763Y1 (ko) 정수용 필터의 연결관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