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520B1 -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 Google Patents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520B1
KR101534520B1 KR1020130094179A KR20130094179A KR101534520B1 KR 101534520 B1 KR101534520 B1 KR 101534520B1 KR 1020130094179 A KR1020130094179 A KR 1020130094179A KR 20130094179 A KR20130094179 A KR 20130094179A KR 101534520 B1 KR101534520 B1 KR 101534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fixed
tube portion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930A (ko
Inventor
장희재
Original Assignee
장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희재 filed Critical 장희재
Priority to KR102013009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5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4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가 막혔을 때 변기의 배출구를 수밀캡으로 막고, 화장실의 샤워기호스나 기타 수압공급관을 연결하여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물 분사와 막힌 공간에 물을 계속 공급하여 발생하는 수압 증가로 인해 변기의 막힘부가 뚫리도록 구성한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에 관한 것이며, 양변기(1)의 배출구(6)를 덮도록 수밀캡(10)이 형성되고, 수밀캡(1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연결관(20)이 고정되며, 연결관(20)의 단부에 수압공급관(40) 또는 샤워기호스(60)가 연결되고, 연결관(20)의 타단에 분사호스(50)가 고정되어 수압공급관(40) 또는 샤워기호스(60)로부터 공급된 물이 막힘부(80)로 직접 분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 A uncloging tool using a high pressure water for a toilet }
본 발명은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가 막혔을 때 변기의 배출구를 수밀캡으로 막고, 화장실의 샤워기호스나 기타 수압공급관을 연결하여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물 분사와 막힌 공간에 물을 계속 공급하여 발생하는 수압 증가로 인해 변기의 막힘부가 뚫리도록 구성한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에서 양변기를 사용함에 있어, 분뇨, 화장지 등의 이물질로 인하여 양변기의 배출관이 막히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양변기(1)는 저수통(2)이 구비되어 변기(1)의 용기부(5)에 물을 흘려보내 물을 내리는 구조로 되어 있고, 용기부(5)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를 통해 저수통(2)의 물이 공급된다.
용기부(5)의 배출구(6)에 연결되어 배출구(6)보다 높게 웨어(3)가 형성되고, 웨어(3)와 연결되어 대략 U자 형상의 배출관(4)이 형성된다.
평소에는 웨어(3)에 막혀 용기부(5)의 물이 웨어(3)의 상단 높이 만큼만 채워져 있다가 웨어(3)를 넘어 설만큼의 물이 공급되면, 배출관(4)에 물이 차게 되므로 사이펀의 원리에 의하여 물이 빠지게 된다.
이러한 양변기에서 배출관(4)의 일부에 용변이나 휴지가 끼여 막힘부(8)가 형성되면, 물이 내려갈 수 없어 양변기(1)의 용기부(5) 상단까지 물이 차 넘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뇨나 배출수의 배출이 안되는 경우 사용자는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위에서 쏟아 붓거나, 철사나 막대기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뚫어 보지만, 쉽게 뚫리지 않는 경우가 많고, 종국에는 외부 기술자에 게 의뢰하여 막힘 현상을 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양변기가 막히면 여러가지 도구로 막힌 부분을 뚫게 된다. 대표적인 도구가 뚫어뻥이고, 이 뚫어뻥은 고무 재질의 반구형 캡이 배출구(6)를 막아 누르게 되면 순간적인 수압이 발생하여 막힌 부분을 밀어서 뚫게 된다.
하지만 뚫어뻥의 손잡이를 잡고 누르면 반구형 캡이 배출구(6) 둘레에 밀착되어 배출구(6)에 수압을 발생시키지만 누르면서 배출구(6)의 둘레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효과를 제대로 보기 힘들었다.
그리고 뚫어뻥을 누르는 과정에서 양변기의 더러운 물이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 0449945호인 변기 막힘 제거장치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다. 이 발명은 변기의 상부에 대응되는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변기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부로 돌출되게 만곡 형성된 탄성 커버부와; 상기 탄성 커버부의 하부 테두리부분에 설치되며, 압력을 가할 경우 상기 변기의 상부 테두리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빨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빨판부재는, 속이 비어있고 한 쪽 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이며, 상기 변기의 상부 테두리와 접촉되는 밀착면의 중앙부분이 모서리부분보다 내측으로 만곡되게 인입 형성되고, 상기 탄성 커버부는, 상기 빨판부재가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의 상부 테두리부에 대응되는 수평 형태로 형성된 띠형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와 수평되게 변형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띠형으로 형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변기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부로 만곡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부보다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변형 및 복원 가능한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빨판부재를 상기 변기의 상부 테두리면에 놓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 커버부의 중심을 눌러서 하부로 돌출되어 만곡되게 탄성 변형시킨 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 커버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기 변기 내부에 압력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복원력은, 상기 변형부를 상기 탄성부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시키고, 상기 탄성부를 상기 변형부의 외측 테두리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띠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막힘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변기의 물이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변기의 상단 부분을 덮어 누르면 압력이 가해져 막힌 부분이 해소되지만, 양변기 용기부의 물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므로 탄성커버부와 양변기의 결합된 부분으로 공기가 새어나올 수 있고, 탄성커버부에 과다한 힘을 가할 경우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심하게 막혀 있을 때에는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제대로 막힘이 해소되지 않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변기의 배출구를 막음과 동시에 막힌 부분을 향해 고압을 물을 분사하여 막힌 상태를 빨리 해소할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한다.
욕실에 있는 샤워기 호스를 연결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물을 분사하지 않을 때는 일반 뚫어뻥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변기(1)의 배출구(6)를 덮도록 수밀캡(10)이 형성되고, 수밀캡(1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연결관(20)이 고정되며, 연결관(20)의 단부에 수압공급관(40) 또는 샤워기호스(60)가 연결되고, 연결관(20)의 타단에 분사호스(50)가 고정되어 수압공급관(40) 또는 샤워기호스(60)로부터 공급된 물이 막힘부(80)로 직접 분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수밀캡(10)은 반구체(11)의 상단에 손잡이봉(13)이 고정되고, 반구체(11)의 일측에 홀(12)이 형성되어 연결관(20)이 고정되며,; 연결관(20)은 받침판부(21)의 양측으로 각각 배출관부(23)와 주입관부(22)가 형성되되 배출관부(23)와 주입관부(22)의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주입관부(22)가 반구체(11)의 내측에서 홀(12)에 삽입되어 조임너트(25)로 고정되며, 주입관부(22)에 수압공급관(40) 또는 샤워기호스(60)가 고정되고,; 캡(30)(31)이 각각 연결관(20)의 주입관부(22)와 배출관부(23)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분사호스(50)는 일측단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출관부(23)의 나사산과 체결되어 고정되고, 분사호스(50)의 타단은 막힘부(8)를 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변기의 배출구를 막음과 동시에 막힌 부분을 향해 고압을 물을 분사하여 막힘부에 직접 물이 분사되므로 막힘부에 직접적인 물리적 힘을 가할 뿐만 아니라 막힌 공간에서 물이 공급되어 물의 양이 늘어나면서 압력이 늘어나게 하여 막힌 상태를 빨리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양변기가 있는 욕실에 구비되어 있는 샤워기 호스를 직접 연결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펌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심하게 막힌 경우에는 수압공급관을 통해 펌프로 고압의 수압을 공급하여 막힌 부분을 쉽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물을 분사할 만큼 꽉 막히지 않았을 때는 캡을 고정한 상태에서 일반 뚫어뻥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가 막힌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를 펌프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를 샤워기호스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에 캡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가 샤워기 또는 수압공급용 펌프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양변기(1) 배출구(6) 또는 재래의 수세식 변기의 배출구를 덮도록 수밀캡(10)이 형성되고, 수밀캡(1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연결관(20)이 고정되며, 연결관(20)의 단부에 수압공급관(40) 또는 샤워기호스(60)가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고압의 물이 분사되도록 연결관(20)의 타단에 분사호스(50)가 고정되어 수압공급관(40) 또는 샤워기호스(60)로부터 공급된 물이 막힘부(80)로 직접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고압으로 분사된 물은 막힘부(80)에 직접 닿아 막혀진 오물을 밀어내게 될 뿐만 아니라 수밀캡(10)에 의해서 밀폐된 공간 내로 계속적으로 물이 유입되므로 압력이 증가하여 막힘부(80)가 뚫리게 된다.
수밀캡(10)은 오목한 부분이 아래로 향하게 형성된 반구체(11)의 상단에 손잡이봉(13)이 고정되고, 반구체(11)의 일측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홀(12)이 형성된다.
수밀캡(10)의 홀(12)에 연결관(20)이 고정되는데, 연결관(20)은 받침판부(21)의 양측으로 각각 배출관부(23)와 주입관부(22)가 형성된다. 받침판부(21)는 수밀캡(10)의 곡면 형태와 동일한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평판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배출관부(23)와 주입관부(22)의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주입관부(22)가 반구체(11)의 내측에서 홀(12)에 삽입되어 조임너트(25)로 고정된다. 배출관부(23)는 수밀캡(10)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여 받침판부(21)가 수밀캡(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고, 수밀캡(10)의 외측면에서 수밀캡(10)을 압착하도록 와셔(24)를 끼워 조임너트(25)로 고정한다. 조임너트(25)가 체결되는 나사산과 후술할 캡(30)이 체결되는 나사산이 각각 주입관부(22)에 형성된다. 따라서 조임너트(25)가 체결되는 나사산부가 형성된 외경이 캡(30)이 체결되는 나사산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그리고 캡(30)이 체결되는 나사산부는 샤워기헤드에 형성된 나사산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하여 샤워기호스(60)의 단부의 연결구가 연결된다.
이러한 주입관부(22)에는 샤워기호스(60) 뿐만 아니라 수압공급관(40)이 연결되어 펌프(41)로 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물이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관(20)은 평소에 캡(30)(31)으로 양단을 체결하여 밀봉시키게 되고, 연결관(20)이 밀봉된 상태에서는 일반 뚫어뻥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분사호스(50)는 일측단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출관부(23)의 나사산과 체결되어 고정되고, 분사호스(50)의 타단은 막힘부(8)를 향하게 되며, 분사호스(50)의 타단은 배출관부(23)와 연결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분사 압력을 높이게 한다.
1 : 양변기 2 : 저수통
3 : 웨어 4 : 배출관
5 : 용기부 6 : 배출구
7 : 수면 80 : 막힘부
10 : 수밀캡 11 : 반구체
12 : 홀 13 : 손잡이봉
20 : 연결관 21 : 받침판부
22 : 주입관부 23 : 배출관부
24 : 와셔 25 : 조임너트
30, 31 : 캡 40 : 수압공급관
41 : 펌프 50 : 분사호스
60 : 샤워기호스 61 : 샤워기 수전

Claims (2)

  1. 삭제
  2. 양변기의 배출구를 덮도록 수밀캡이 형성되고, 수밀캡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연결관이 고정되며, 연결관의 단부에 수압공급관 또는 샤워기호스가 연결되고, 연결관의 타단에 분사호스가 고정되어 수압공급관 또는 샤워기호스로부터 공급된 물이 막힘부로 직접 분사되도록 구성된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에 있어서,
    수밀캡(10)은 반구체(11)의 상단에 손잡이봉(13)이 고정되고, 반구체(11)의 일측에 홀(12)이 형성되어 연결관(20)이 고정되며,;
    연결관(20)은 받침판부(21)의 양측으로 각각 배출관부(23)와 주입관부(22)가 형성되되 배출관부(23)와 주입관부(22)의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주입관부(22)가 반구체(11)의 내측에서 홀(12)에 삽입되어 조임너트(25)로 고정되며, 주입관부(22)에 수압공급관(40) 또는 샤워기호스(60)가 고정되고,;
    캡(30)(31)이 각각 연결관(20)의 주입관부(22)와 배출관부(23)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분사호스(50)는 일측단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출관부(23)의 나사산과 체결되어 고정되고, 분사호스(50)의 타단은 막힘부(8)를 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KR1020130094179A 2013-08-08 2013-08-08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KR101534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179A KR101534520B1 (ko) 2013-08-08 2013-08-08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179A KR101534520B1 (ko) 2013-08-08 2013-08-08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930A KR20150017930A (ko) 2015-02-23
KR101534520B1 true KR101534520B1 (ko) 2015-07-09

Family

ID=5304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179A KR101534520B1 (ko) 2013-08-08 2013-08-08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39B1 (ko) * 2016-01-14 2017-04-04 변안일 배관 막힘 제거장치
KR102215126B1 (ko) 2020-02-25 2021-02-10 이순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1299U (ko) * 1979-05-30 1980-12-09
JP2002045308A (ja) * 2000-07-31 2002-02-12 Toshiyuki Kawabata 水洗トイレの詰まり解消器具
KR20110071350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뉴라이프 막힘 소통용 압축기
KR20120117340A (ko) * 2011-04-15 2012-10-24 김승현 변기 배관 관통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1299U (ko) * 1979-05-30 1980-12-09
JP2002045308A (ja) * 2000-07-31 2002-02-12 Toshiyuki Kawabata 水洗トイレの詰まり解消器具
KR20110071350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뉴라이프 막힘 소통용 압축기
KR20120117340A (ko) * 2011-04-15 2012-10-24 김승현 변기 배관 관통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39B1 (ko) * 2016-01-14 2017-04-04 변안일 배관 막힘 제거장치
KR102215126B1 (ko) 2020-02-25 2021-02-10 이순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930A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520B1 (ko)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KR200463052Y1 (ko) 착탈식 걸름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레버식 배수장치
KR101241107B1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JP5748419B2 (ja) 排水設備
KR101158842B1 (ko) 가압식 배수관 뚫는 장치
KR101371894B1 (ko) 세면대용 배수관장치
KR200471977Y1 (ko) 세면대 배수구용 원터치 개폐장치
CN210187446U (zh) 头部花洒
CN103938691B (zh) 一种大力洗漱盆疏通搋子
KR200463984Y1 (ko) 분수 노즐을 갖는 세면기 밸브
KR200474840Y1 (ko) 분수 노즐을 갖는 세면기 밸브
CN210421293U (zh) 一种自适应压力变化水箱
KR101221847B1 (ko) 세면대용 레버식 배수장치
CN217399825U (zh) 一种旋钮下水器及后排水洗手盆
KR100939693B1 (ko)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CN211175613U (zh) 一种具有防飞溅功能的水龙头
CN203821531U (zh) 一种大力洗漱盆疏通搋子
CN216307024U (zh) 一种压力式水接头
CN204370524U (zh) 用于洗手盆及台盆的排水阀
CN217987420U (zh) 一种新型的机械结构皂液器
KR20120098276A (ko) 팝업식 세면대 개폐장치용 개폐밸브
CN210187444U (zh) 具有堵塞泄水结构的头部花洒
CN218713646U (zh) 马桶水箱和马桶
CN210369178U (zh) 一种具自适应密封的落水头改良结构
KR100861067B1 (ko) 공기 압축식 배수구멍 소통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