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693B1 -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693B1
KR100939693B1 KR1020090042792A KR20090042792A KR100939693B1 KR 100939693 B1 KR100939693 B1 KR 100939693B1 KR 1020090042792 A KR1020090042792 A KR 1020090042792A KR 20090042792 A KR20090042792 A KR 20090042792A KR 100939693 B1 KR100939693 B1 KR 10093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nozzle
hole
drain plu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선호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김동환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102009004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배수라인과 연락하는 세면대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한 배수마개; 및 상기 배수라인의 중간에 배수라인의 내외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배수마개를 향하는 노즐구멍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배수마개로 분사하여 배수마개를 세척하도록 한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세면대의 배수마개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세면대, 배수마개, 노즐, 분사, 세척

Description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THE DEVICE FOR WASHING THE WASHSTAND PLUG}
본 발명은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마개의 아래에서 물을 분사하여 배수마개를 효과적으로 세척하도록 한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등의 세면장에 설치되는 세면대(1)는 배수구(3)와 연락하는 배수라인(5)을 연결 설치하고, 배수구(3)에는 작동수단(1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배수마개(7)를 삽입 설치하여, 작동수단(10)의 작동으로 배수마개(7)가 배수구(3)를 막으면 수전(9)으로부터 물을 받아 세면할 수 있도록 한다.
작동수단(10)은 배수라인(5)의 일측으로 관통되어 배수마개(7)의 하부와 연결되는 수평봉(11)에 세면대(1)의 상부측 후관으로 인출된 수직봉(13)이 링크절(15)에 의해서 상호 교차되게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어, 수직봉(13)을 누르면 배수마개(7)와 연결되는 수평봉(11)의 단부가 올라감으로써 배수마개(7)도 따라 올라가 배수구(3)을 개방하여 세면대(1)에 고인 물을 배수하고, 반대로 내려간 수직봉(13)을 잡아 올리면 배수마개(7)도 따라 내려감으로써 배수구(3)을 막아 수전(9)으로부터 물을 받아 세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배수마개(7)가 수평봉(11)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배수마개(7)에 낀 때를 분리하는 등의 세척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고, 이 때문에 배수마개(7)를 수평봉(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조 즉, 배수마개(7)를 배수구(3)로부터 빼낼 수 있는 구조가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21009호 등 다수 자료에 개시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솔 등을 가지고 배수마개(7)를 일일히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마개의 아래에서 물을 분사하여 배수마개가 고정식이든 분리식이든 간에 배수마개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수라인과 연락하는 세면대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한 배수마개; 및 상기 배수라인의 중간에 배수라인의 내외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배수마개를 향하는 노즐구멍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배수마개로 분사하여 배수마개를 세척하도록 한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즐에는 노즐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거나 유동시키기 위한 밸브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노즐은 배수라인의 중간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끼워짐으로써 배수라인의 내외부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중간에는 관통공에 끼워지는 노즐의 진행을 막기 위한 환형돌기가 더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관통공에는 외측으로 홈형태의 연장공이 더 연장 형성되고, 노즐에는 그 연장공에 끼워지되 회전하면 관통공에 걸려 노즐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환형돌기의 전측으로 더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걸림돌기와 환형돌기의 사이에는 노즐과 배수라인의 사이에 수밀성을 부여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노즐에는 환형돌기의 후측으로 파지용 날개돌기들이 더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노즐구멍은 분사되는 물이 배수라인의 내벽면을 맞고 배수마개 쪽으로 굴절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 고정식이든 분리식이든 간에 세면대의 배수마개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가 세면대의 배수라인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표시A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에서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노즐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가 세면대의 배수라인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가 배수마개를 세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는 세면대(1)의 배수구(3)를 개폐하는 배수마개(7)를 구비한다. 배수마개(7)는 작동수단(10)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배수구(3)를 개폐한다.
즉, 배수마개(7)는 수직봉(13)을 누르면 올라가는 수평봉(11)을 따라 올라가 배수구(3)를 개방하여 세면대(1)에 고인 물을 배수하고, 반대로 내려간 수직봉(13)을 잡아 올리면 따라 내려감으로써 배수구(3)을 막아 세면할 수 있도록 수전(9)의 물을 받는다.
이때, 배수마개(7)는 수평봉(11)에 빠지지 않게 연결되거나,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21009호 등의 자료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수평봉(11)에 분리되게 연결되어 세면대(1)의 배수구(3)를 개폐한다.
이와 같이 작동하면서 세면대(1)의 배수구(3)를 개폐하는 배수마개(7)의 아래에는 노즐(30)이 설치된다. 노즐(30)은 배수구(3)와 연락하는 배수라인(5)의 중간에 설치됨으로써 배수마개(7)의 아래에 놓인다.
즉, 배수라인(5)의 중간에는 관통공(5a)이 형성되고, 노즐(30)이 그 관통공(5a)에 끼워짐으로써 배수라인(5)의 내외부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배수마개(7)의 아래에 놓인다.
이때, 노즐(30)은 다수의 노즐구멍(31)이 배수마개(7)를 향하도록 배수라인(5)의 중간에 설치되고, 후측으로 나사 결합되는 급수라인(4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배수마개(7)를 향해 분사한다.
급수라인(41)은 수전(9)에 물을 공급하는 라인(9a)의 중간에 연결됨으로써 노즐(30)에 물을 공급함이 바람직하고, 중간에 밸브(43)를 설치하여 노즐(30)로 유입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유동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밸브(43)는 노즐(30)에 일체로 설치되어 급수라인(4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거나 유동시킬 수 있다.
노즐(30)의 중간에는 환형돌기(33)가 형성된다. 환형돌기(33)는 관통공(5a)보다 크게 돌출 형성되어 관통공(5a)에 끼워지는 노즐(30)이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막아 노즐구멍(31)이 정해진 자리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30)은 환형돌기(33)의 전측으로 핀형상의 걸림돌기(35)를 돌출 형성하여 관통공(5a)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설치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5a)에는 외측으로 관통공(5a)과 연락하는 홈형태의 연장공(5b)이 연장 형성되고, 걸림돌기(35)는 그 연장공(5b)에 끼워지되 회전하면 관통공(5a)에 걸림으로써 관통공(5a)으로부터 노즐(30)의 빠짐을 방지한다.
이때, 연장공(5b)과 걸림돌기(35)는 2개 이상이 되게 형성되되 등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노즐(30)을 균일하게 지지함으로써 노즐(30)의 일측이 배수라인(5)으로부터 벌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35)는 노즐(30)의 헤드를 횡축으로 가로질러 돌출 형성되는, 끝단이 환형돌기(33)와는 간격을 둔 돌조형상을 이루어 노즐(30)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35)와 환형돌기(33)의 사이에는 노즐(30)과 배수라인(5)의 사이에 수밀성을 부여하기 위한 실링부재(37)가 설치된다.
실링부재(37)는 고무와 같은 수지재질의 O-링 형태를 이루어 환형돌기(33)의 지지를 받아 노즐(30)과 배수라인(5)의 사이에 수밀성을 부여하는데, 걸림돌기(35)와 환형돌기(33) 사이의 간격에 의해서 압착된 상태로 밀착되어 노즐(30)과 배수라인(5)의 사이에 수밀성을 효과적으로 부여한다.
또한, 노즐(30)은 환형돌기(33)의 후측으로 파지용 날개돌기들(39)을 서로 대칭이 되게 돌출 형성하여 실링부재(37)를 압착시키면서 연장공(5b)에 대한 걸림돌기(35)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고 배수마개(7)의 아래에 위치하는 노즐(30)은 급수라인(4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노즐구멍들(31)을 통해 배수마개(7)로 분사하여 배수마개(7)에 낀 때 등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데, 이처럼 직접 분사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되는 물이 배수라인(5)의 내벽면을 맞고 배수마개(7) 쪽으로 굴절되도록 노즐구멍들(31)을 형성하여 배수마개(7)에 낀 때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배수라인(5)의 내벽면을 맞고 굴절되는 노즐구멍들(31)의 물줄기는 수많은 물방울로 갈라져 퍼져나가기 때문에, 배수마개(7)의 구석 구석을 타격할 수 있어 배수마개(7)를 더욱 깨끗히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고정식이든 분리식이든 간에 물을 분사하여 배수마개(7)를 세척함으로써 배수마개(7)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면대의 배수마개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세면대 배수마개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가 세면대의 배수라인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표시A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에서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노즐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가 세면대의 배수라인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가 배수마개를 세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세면대 3:배수구
5:배수라인 5a:관통공
5b:연장공 7:배수마개
9:수전 9a:수전용 물공급라인
10:작동수단 11:수평봉
13:수직봉 15:링크절
30:노즐 31:노즐구멍
35:걸림돌기 37:실링부재
39:날개돌기 41:급수라인
43:밸브

Claims (7)

  1. 배수라인과 연락하는 세면대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한 배수마개; 및
    상기 배수라인의 중간에 배수라인의 내외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배수마개를 향하는 노즐구멍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배수마개로 분사하여 배수마개를 세척하도록 한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노즐은 배수라인의 중간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끼워짐으로써 배수라인의 내외부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중간에는 관통공에 끼워지는 노즐의 진행을 막기 위한 환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는 노즐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거나 유동시키기 위한 밸브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외측으로 홈형태의 연장공이 더 연장 형성되고, 노즐에는 그 연장공에 끼워지되 회전하면 관통공에 걸려 노즐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환형돌기의 전측으로 더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와 환형돌기의 사이에는 노즐과 배수라인의 사이에 수밀성을 부여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는 환형돌기의 후측으로 파지용 날개돌기들이 더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구멍은 분사되는 물이 배수라인의 내벽면을 맞고 배수마개 쪽으로 굴절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KR1020090042792A 2009-05-15 2009-05-15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KR100939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92A KR100939693B1 (ko) 2009-05-15 2009-05-15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92A KR100939693B1 (ko) 2009-05-15 2009-05-15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693B1 true KR100939693B1 (ko) 2010-02-01

Family

ID=4208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792A KR100939693B1 (ko) 2009-05-15 2009-05-15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08Y1 (ko) 2011-09-22 2012-02-24 이재윤 세면기용 팝업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3227A (ja) * 2002-11-29 2004-07-02 Ota Yasumi 洗面器、流し等の排水構造
JP3975991B2 (ja) * 2003-09-18 2007-09-12 マックス株式会社 排水管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3227A (ja) * 2002-11-29 2004-07-02 Ota Yasumi 洗面器、流し等の排水構造
JP3975991B2 (ja) * 2003-09-18 2007-09-12 マックス株式会社 排水管洗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08Y1 (ko) 2011-09-22 2012-02-24 이재윤 세면기용 팝업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550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CN106121002A (zh) 横流虹吸式坐便器
KR102179943B1 (ko) 세면기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필터 토수구
KR200458308Y1 (ko) 세면기용 팝업밸브
KR101104119B1 (ko) 좌변기 세척 장치를 갖는 비데
KR200456056Y1 (ko) 비데의 노즐 세척유닛
KR200463052Y1 (ko) 착탈식 걸름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레버식 배수장치
KR100939693B1 (ko)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KR20110011997A (ko) 누름식 개폐구조용 배수트랩
KR101259781B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200463984Y1 (ko) 분수 노즐을 갖는 세면기 밸브
CN207499094U (zh) 一种无水箱马桶喷射管固定装置及智能马桶
KR101226143B1 (ko) 친환경 화장실
CN206477415U (zh) 高效排污式蹲便器
KR200192977Y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CN105019514A (zh) 一种自动化洗手机
CN205338857U (zh) 可清洗扫帚
KR20210004537A (ko) 싱크대의 버블장치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KR101243557B1 (ko) 플라워형 샤워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CN206046619U (zh) 自动清洗样品瓶
KR102082325B1 (ko)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장치의 역류방지구조
KR101932653B1 (ko) 초절수형 양변기
JP4226112B2 (ja) シャワーヘッド
CN214116862U (zh) 喷射头及使用其的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