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126B1 -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126B1
KR102215126B1 KR1020200023035A KR20200023035A KR102215126B1 KR 102215126 B1 KR102215126 B1 KR 102215126B1 KR 1020200023035 A KR1020200023035 A KR 1020200023035A KR 20200023035 A KR20200023035 A KR 20200023035A KR 102215126 B1 KR102215126 B1 KR 102215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flexible wire
winding wheel
pac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호
Original Assignee
이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호 filed Critical 이순호
Priority to KR102020002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설물이 담기는 용변부와 상기 용변부의 상단에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좌대와 상기 용변부로부터 하수관 또는 정화조로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트랩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부 및 상기 용변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로서 이루어지는 변기; 상기 변기의 용변부의 주벽에 형성한 관통공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끼워진 패킹을 관통하여 인출입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요성 선재; 상기 용변부 외측에서 상기 패킹과 동일 수평선상에 상단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가요성 선재가 상기 패킹측으로 동일 수직선상에서 일렬로만 권선될 수 있도록 양측면간 간격을 형성하도록 하며, 양측면간 중앙에는 상기 가요성 선재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이 축지지되는 권선 휠; 상기 권선 휠에 권선된 상기 가요성 선재가 상기 권선 휠으로부터 인출입되면서 상기 배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변기의 일측 외벽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작 핸들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Blocking-releasing apparatus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권선 휠에 동일 수직선상에 일렬로 권선되도록 하면서 복원 탄성을 갖도록 한 가요성 선재를 간단한 조작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인출입되도록 함으로써 배출부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 또는 좌식 변기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높이의 좌대와, 배설물이 담기는 용변부와, 용변부에 담긴 내용물을 하수관(또는 정화조)으로 흘려보내기 위한 배출부와, 배출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물공급부로서 이루어진다.
이때, 배출부는 역류하는 냄새를 막고 용변부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고여 있도록 하기 위하여 U자 형상의 트랩(trap)이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배설물을 흘려보내기 위하여 레버를 작동시키게 되면 물공급부에서는 용변부로 물을 공급하고, 용변부에 공급된 물은 수압에 의해서 용변부에 담겨진 물과 함께 배설물이 함께 트랩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변기는 비교적 큰 사이즈의 화장지나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하는 부주의에 의해 배출부가 막히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막힘 현상은 고유한 트랩의 형상 때문에 고질적으로 발생되는 폐단이 있다.
변기가 막히게 되면 여러 번에 걸쳐 용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가는 막대기나 반구형의 고무로 이루어지는 수동식 압축 펌핑기 등을 이용하여 뚫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고와 도구를 이용하더라도 변기 막힘은 쉽게 해결되지 못하며, 이렇게 사용되는 도구에는 변기의 배설물이 묻어 대단히 불편하고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미 등록실용신안 제0482429호(2017.01.17.)을 통해서 스프링, 강선 또는 와이어 등의 가요성 선재를 이용하여 배출부의 트랩을 강제로 관통하도록 하는 막힘 해소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즉, 양변기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레버를 돌리게 되면 선재가 트랩을 관통하면서 막혀있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의 막힘 해소장치는 선재의 일단이 연결되는 이동블록의 후단에 이동블록 회전레버도 동시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동블록 회전레버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블록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이동 블록은 나사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선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결국 선재는 이동블록이 이동할 수 있는 나사케이싱의 길이만큼만 이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충분한 깊이로 트랩을 통과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회전레버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축에 선재를 나선형태로 감거나 풀리도록 하기도 하였으나 실제 선재는 나선형태로 감겨지지가 않으므로 적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0482429호(2017.01.17.) (문헌 2) 등록특허 제1534520호(2015.07.0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가요성의 선재를 동일 중심선상에서 일정 길이가 권선되도록 하고, 회전에 의해 충분한 길이로 인출되어 트랩을 충분히 관통하면서 막힌 부분을 뚫을 수 있도록 하는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요성의 선재를 일정 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복원력을 갖도록 하여 트랩으로의 안정된 인출과 권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성을 갖는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는, 배설물이 담기는 용변부와 상기 용변부의 상단에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좌대와 상기 용변부로부터 하수관 또는 정화조로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트랩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부 및 상기 용변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로서 이루어지는 변기; 상기 변기의 용변부의 주벽에 형성한 관통공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끼워진 패킹을 관통하여 인출입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요성 선재; 상기 용변부 외측에서 상기 패킹과 동일 수평선상에 상단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가요성 선재가 상기 패킹측으로 동일 수직선상에서 일렬로만 권선될 수 있도록 양측면간 간격을 형성하도록 하며, 양측면간 중앙에는 상기 가요성 선재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이 축지지되는 권선 휠; 상기 권선 휠에 권선된 상기 가요성 선재가 상기 권선 휠으로부터 인출입되면서 상기 배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변기의 일측 외벽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작 핸들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가요성 선재는 상기 용변부에 삽입되는 선단에 상기 패킹보다는 큰 외경을 갖도록 볼팅 체결되는 가압부가 선단측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나팔관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외주면에는 이물질이 통과하도록 통과홀을 형성하고, 선단의 외주면은 내측으로 만곡지도록 하여 상기 배출부의 트랩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가요성 선재는 복원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권선 휠은 상기 변기의 용변부와 상기 변기의 정면측 외벽 사이의 공간에서 양측의 외벽에 걸쳐 고정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변기의 일측 외벽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한 회전축에 착탈 가능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패킹과 상기 권선 휠의 상단 사이에는 통과하는 가요성 선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밀착되도록 한 쌍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하나의 롤러는 롤러축이 상기 변기의 일측 외벽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조작 핸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에 의해 가요성 선재는 조작 핸들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서 좀더 원활하게 배출부에서의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출부를 막고 있는 이물질에 대한 타격 강도와 가압력을 보다 향상시켜 이물질이 안정되게 변기를 뚫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요성 선재가 복원 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조작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배출부의 트랩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권선 휠으로부터 변기의 일측면 외측에서 조작 핸들을 손쉽게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변기 사용 시 조작 핸들에 의한 불편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고, 변기를 뚫을 때에는 간단히 조작 핸들을 결합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를 적용한 변기의 일실시예 구성을 예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를 예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에서 가요성 선재와 가압부의 연결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도
도 4의 (가)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에서 권선 휠을 예시한 평단면도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에서 조작 핸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에서 조작 핸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의 작동 구조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예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에서 요부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예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변기(10)와 가요성 선재(20)와 권선 휠(30) 및 조작 핸들(40)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변기(10)는 다시 배설물이 담겨지는 용변부(11)와, 이 용변부(11)의 상단에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좌대(12)와, 용변부(11)에 담겨진 배설물이 하수관 또는 정화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트랩으로 형성되는 배출부(13) 및 용변부(11)에 배설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14)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따라서, 변기(10)는 좌대(12)의 하부에는 용변부(11)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물공급부(14)를 형성하며, 물공급부(14)의 하부에는 용변부(11)와 연결되도록 트랩형상의 배출부(13)가 형성되도록 한다.
물공급부(14)에는 용변부(11)에 담긴 배설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일정한 양의 물이 저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용변부(11)와 배출부(13)에도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이 채워지도록 하여 배출부(13)를 통한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변기(10)의 구성은 종전과 대동소이하며, 이러한 변기(10)에는 휨변형이 가능한 재질로서 일정 길이의 가요성 선재(20)가 구비되도록 한다.
가요성 선재(20)로는 스프링, 강선 또는 와이어 등의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 휨이 가능한 소재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가요성 선재(20)는 변기(10)의 용변부(11)에서 전방측의 주벽에 일정 직경으로 형성한 관통공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끼워지게 한 패킹(15)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가요성 선재(20)는 도 3에서와 같이 패킹(15)을 관통하여 축방향의 용변부(11)측으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이때 용변부(11)에 삽입되는 선단에는 패킹(15)의 내경보다는 큰 외경을 갖는 가압부(21)가 볼팅 체결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가압부(21)는 가요성 선재(20)에 연결되는 후단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직경이 넓어지도록 하는 나팔관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가압부(21)의 외주면에는 이물질 통과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통과홀(21a)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가압부(21)의 선단은 외주면이 내측으로 만곡지도록 하여 안쪽으로 휘어지게 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가요성 선재(20)를 축방향으로 밀게 되었을 때 선단이 접촉하는 면과의 미끄러짐을 유발하도록 하여 더욱 안정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가요성 선재(20)는 그 자체가 복원 탄성을 갖도록 하여 변기(10)의 용변부(11)를 통해 배출부(13)의 트랩을 따라 이동 시 트랩의 휘어지는 구간에서는 트랩의 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변기(10)에서 배출부(13)의 휘어지는 트랩으로부터 벗어나면 가요성 선재(20)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가요성 선재(20)는 선단의 가압부(21)가 이물질에 접촉되었을 대 가압부(21)측으로 미는 힘이 휘어지는 힘보다는 큰 소재로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트랩을 따라 휘어지게 되더라도 축방향으로의 미는 힘이 이물질에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가요성 선재(20)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가압부(21)가 배출부(13)를 따라 이동하다 이물질에 의해 막혀지게 되더라도 가요성 선재(20)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을 뿐 꼬이지는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부(21)가 연결되는 가요성 선재(20)의 연결 단부에서는 절곡이 방지되도록 한다.
용변부(11)에서 패킹(15)을 통과하여 용변부(11)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가요성 선재(20)는 권선 휠(30)에 권선된다.
권선 휠(30)은 도 4의 (가)와 (나)에서와 같이 가요성 선재(20)가 태엽식으로 일렬로만 권선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휠 커버(31)의 상단은 패킹(15)과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되고, 양측면간은 가요성 선재(20)가 일렬로만 권선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일정 직경의 회전축(32)이 구비되도록 하면서 회전축(32)에 가요성 선재(20)의 일단이 고정된다.
권선 휠(30)은 휠 커버(31)의 양단부가 변기(10)의 용변부(11)와 정면측 외벽 사이의 공간에서 양측 외벽에 걸쳐 고정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권선 휠(30)에는 휠 커버(31)의 내부에서 회전축(3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회전축(32)에는 가요성 선재(2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여 시계 태엽처럼 동일 수직선상에서 일렬로만 권선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축(32)을 회전시키게 되면 권선된 가요성 선재(20)가 권선 휠(3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출된 가요성 선재(20)가 권선 휠(30)의 회전축(32)을 축으로 권선된다.
이러한 권선 휠(30)에서 가요성 선재(20)의 인출입은 조작 핸들(40)에 의해서 수행된다.
조작 핸들(40)은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축(32)과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회전 조작할 수가 있다.
이때, 조작 핸들(40)은 변기(10)의 일측 외벽으로 회전축(32)의 일부가 돌출되게 하여 돌출 연장되는 단부와 연결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회전축(32)은 단부가 외벽에 나란하거나 안쪽에 위치되게 할 수도 있으므로 이때에는 외벽에 형성되는 구멍을 회전축(32) 또는 조작 핸들(40)의 연결 단부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축(32)과 조작 핸들(40)이 단부간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핸들(40)은 도 6에서와 같이 권선 휠(30)의 상단부와 패킹(15) 사이에 상하부로 한 쌍의 롤러(50)가 이들 사이에 가요성 선재(20)가 압착되면서 지나도록 하여 이들 롤러(50)들 중 하나의 롤러축(51)을 변기(10)의 일측 외벽으로 연장되게 하여 이렇게 연장시킨 롤러축(51)에 연결되게 하는 구성으로도 형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롤러축(51)의 단부에 연결한 조작 핸들(40)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부와 하부의 롤러(50)들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들 사이에 압착되는 가요성 선재(20)가 패킹(15)을 통해 용변부(11)측으로 이동하여 권선 휠(30)로부터 인출되거나 권선 휠(30)측으로 권선되게 된다.
다만, 권선 휠(30)의 회전축(32) 또는 롤러축(51)에는 조작 핸들(40)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조작 핸들(40)을 별도로 보관하다 변기가 막혔을 때에만 연결하도록 하여 평상 시 변기 사용에는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회전축(32) 또는 롤러축(51)에는 모터(미도시)가 연결되게 하여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회전되게 함으로써 가요성 선재(20)가 인출입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를 이용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핸들(40)이 고정 연결되어 있거나 별도로 보관되도록 하다 변기(10)가 막히게 되었을 때 비로소 연결하여 조작 핸들(40)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가요성 선재(20)를 인출시켜 변기(10)의 막힌 부분이 뚫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조작 핸들(40)을 변기(10)의 배출부(13)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작 핸들(40)의 회전력에 의해 권선 휠(30)에 권선된 가요성 선재(20)가 인출되면서 용변부(11)에 위치해 있던 가압부(21)가 배출부(13)의 트랩으로 이동하게 된다.
트랩을 따라 이동하던 가압부(21)가 이물질에 막혀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조작 핸들(40)이 갑자기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조작 핸들(40)을 보다 강한 조작력으로 회전시키거나 조작 핸들(40)을 반대 방향으로 살짝 회전시켰다가 강한 회전력으로 배출부(13)측으로 회전시켜 변기(10)를 막고 있는 이물질에 타격을 가함에 의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작 핸들(40)의 간단한 회전에 의해 가요성 선재(20)가 권선 휠(30)로부터 인출입되게 하는 작용에 의해서 가요성 선재(20)의 선단에 연결된 가압부(21)가 배출부(13)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가압 또는 타격하여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면서 다시 권선 휠(30)에 권선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가요성 선재(20)는 복원 탄성을 갖도록 하고 있으므로 가요성 선재(20)가 배출부(13)를 이동하더라도 절곡되거나 접혀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가 있으며, 가압부(21)가 이물질을 가압하더라도 절곡되거나 접혀지지 않으면서 강력한 가압 또는 타격을 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권선 휠(30)이 변기(10)의 내부에 구비되게 함으로써 변기 사용에 지장이나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가요성 선재(20)를 권선 휠(30)로부터 인출입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핸들(40) 조차 권선 휠(30)의 회전축(32)이나 롤러축(51)에 대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변기 사용에는 전혀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기 사용은 정상적으로 하면서 변기(10)가 막혔을 때에만 조작 핸들(40)을 연결하여 회전 조작함으로써 권선 휠(30)로부터 인출되는 가요성 선재(20)의 안정된 이동성과 함께 가요성 선재(20)의 단부에 연결된 가압부(21)에 의한 가압력과 타격 강도를 향상시켜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막힘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변기
11 : 용변부 12 : 좌대
13 : 배출부 14 : 물공급부
15 : 패킹
20 : 가요성 선재
21 : 가압부 21a : 통과홀
30 : 권선 휠
31 : 회전축
40 : 조작 핸들
50 : 롤러
51 : 롤러축

Claims (6)

  1. 배설물이 담기는 용변부(11)와 상기 용변부(11)의 상단에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좌대(12)와 상기 용변부(11)로부터 하수관 또는 정화조로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트랩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부(13) 및 상기 용변부(11)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14)로서 이루어지는 변기(10);
    복원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변기(10)의 용변부(11)의 주벽에 형성한 관통공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끼워진 패킹(15)을 관통하여 인출입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요성 선재(20);
    상기 용변부(11) 외측에서 휠 커버(31)는 상기 패킹(15)과 동일 수평선상에 상단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가요성 선재(20)가 상기 패킹(15)측으로 동일 수직선상에서 일렬로만 권선될 수 있도록 양측면간 간격을 형성하도록 하며, 양측면간 중앙에는 상기 가요성 선재(2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32)이 축지지되는 권선 휠(30);
    상기 권선 휠(30)에 권선된 상기 가요성 선재(20)가 상기 권선 휠(30)으로부터 인출입되면서 상기 배출부(13)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변기(10)의 일측 외벽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작 핸들(40);을 포함하되,
    상기 가요성 선재(20)는
    상기 용변부(11)에 삽입되는 선단에 상기 패킹(15)보다는 큰 외경을 갖도록 볼팅 체결되는 가압부(21)가 선단측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나팔관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외주면에는 이물질이 통과하도록 통과홀(21a)을 형성하고, 선단의 외주면은 내측으로 만곡지도록 하여 상기 배출부(13)의 트랩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권선 휠(30)은
    상기 변기(10)의 용변부(11)와 변기(10)의 정면측 외벽 사이의 공간에서 양측의 외벽에 걸쳐 고정설치되며,
    상기 조작 핸들(40)은 상기 변기(10)의 일측 외벽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한 회전축(32)에 착탈 가능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23035A 2020-02-25 2020-02-25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 KR102215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035A KR102215126B1 (ko) 2020-02-25 2020-02-25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035A KR102215126B1 (ko) 2020-02-25 2020-02-25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126B1 true KR102215126B1 (ko) 2021-02-10

Family

ID=7456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035A KR102215126B1 (ko) 2020-02-25 2020-02-25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1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423U (ja) * 2005-02-23 2005-07-28 隆博 森田 1条巻舵輪形ホースリール
KR101534520B1 (ko) 2013-08-08 2015-07-09 장희재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KR200482429Y1 (ko) 2016-02-16 2017-01-23 이순호 막힘 해소장치를 갖는 양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423U (ja) * 2005-02-23 2005-07-28 隆博 森田 1条巻舵輪形ホースリール
KR101534520B1 (ko) 2013-08-08 2015-07-09 장희재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KR200482429Y1 (ko) 2016-02-16 2017-01-23 이순호 막힘 해소장치를 갖는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4018A (en) Bottom douche for flush toilets
US7743451B2 (en) Sanitary cleaning device with disposable cleaning head
US5423621A (en) Garbage disposal cleaning device
KR102215126B1 (ko) 변기의 막힘 해소장치
EP1180343B1 (de) Reinigungsgerät
JP6537597B2 (ja) 大腸洗浄機
KR102091146B1 (ko) 회전식 배출구를 구비한 비데침대
US20120204334A1 (en) Disposable Toilet De-Clogging Stick That Disinfects, Cleans & Deodorizes
KR200482429Y1 (ko) 막힘 해소장치를 갖는 양변기
DE10001182C2 (de) Reinigungsgerät für Klosettschüsseln
US3055029A (en) Device for cleaning golf tees
KR20120024333A (ko) 휴대용 전동 비데
JP3233735U (ja) 排便処理器セット
DE10013495A1 (de) Toilettenbürste
CN214574402U (zh) 一种带有扁平疏浚带的坐便器疏通器
KR102626643B1 (ko) 도기세정장치
US1929951A (en) Toilet appliance
KR200173684Y1 (ko) 화장실용 휴지인출기
KR200359796Y1 (ko) 노즐커버유닛을 갖는 비데
KR102339216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변기 막힘 제거장치
BE1008045A3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au et reservoir de savon pour celui-ci.
US11434632B1 (en) Automatic toilet cleaning apparatus
FR3075028A1 (fr) Embout douchette amovible vissable sur bouteille d eau standard pour toilette intime et ablutions
US20140123377A1 (en) Pipe and tubular declogg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160150200A (ko) 휴대용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