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557B1 - 배수 트랩 - Google Patents

배수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557B1
KR101056557B1 KR1020090074629A KR20090074629A KR101056557B1 KR 101056557 B1 KR101056557 B1 KR 101056557B1 KR 1020090074629 A KR1020090074629 A KR 1020090074629A KR 20090074629 A KR20090074629 A KR 20090074629A KR 101056557 B1 KR101056557 B1 KR 101056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lower portion
inner housing
housing
partiti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114A (ko
Inventor
박희범
Original Assignee
박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범 filed Critical 박희범
Priority to KR1020090074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5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세면장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수관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외부 하우징; 상부와 하부로 구획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방수막이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하부가 승강하도록 형성된 내부 하우징; 다수개의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하부 중심에 결합되는 역류방지 컵;으로 구성됨에 따라, 하수량이 급증하여 하수관 내의 액체나 기체가 역류하는 경우 그 압력에 의해 구획된 내부 하우징의 하부가 밀려 올라가면서 역류방지 컵의 하단이 담수 홈에 밀착되어 역류를 방지하도록 한 배수 트랩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배수 트랩{drain trap}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세면장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하수관 내의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하수관 내의 기체나 액체가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장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는 물 빠짐이 원활하고,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량의 물을 가둔 통상의 배수 트랩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트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매립되도록 원통형을 형성되면서 하수관과 연결할 수 있도록 결합구(1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 주변에 환형의 담수 홈(12)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 상단을 커버하면서 다수개의 물빠짐 구멍이(21)이 형성된 덮개(20) 및 상기 덮개의 하부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커버하면서 테두리가 상기 담수 홈에 잠기도록 형성된 역류방지 컵(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 컵(30)의 테두리가 상기 담수 홈(12) 안으로 내려가 고인 물 아래로 잠기기 때문에 하수관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나 하수가 실내로 역류 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역류방지 컵(30)의 하단이 담수 홈(12) 바닥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아니므로, 하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하수관 내의 압력이 커지면 기체나 액체가 상기 담수 홈(12)에 고인 물을 밀어내면서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아파트의 저층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상층의 여러 가구에서 동시에 세탁수를 버리는 경우 저층의 베란다나 세면실의 배수트랩을 통해 거품이 역류하는 예가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 하부에는 물빠짐 구멍(21) 외측으로 환형의 결합 리브(22)가 형성되고, 상기 역류방지 컵(30)의 상부에는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벌어지면서 상기 결합 리브(22)의 직경 보다 큰 원뿔 형태의 경사판(3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리브(22)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판(31)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원통 형태의 차단막(40)이 구성된 것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차단막(40)과 경사판(31) 사이에 하수나 소변 등이 채워질 때 그 수압에 의해 차단막(40)의 상부가 들어 올려지면서 채워진 하수나 소변 등의 물이 경사판(31)을 따라 완전히 배출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때, 경사판(31)과 차단막(40)이 서로 선 접촉됨으로써, 경사판(31)과 차단막(40) 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물의 점성에 의해 경사판(31)과 차단막(40)이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배수 트랩이 설치된 하수관 내의 하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하수관 내의 압력이 커지면서 기체나 액체가 상기 담수 홈에 고인 물을 밀어내고 밖으로 빠져나와 실내로 역류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 트랩은 바닥에 설치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하수관과 연결할 수 있도록 결합구가 형성된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와 배수구 주변에 환형의 담수 홈이 형성된 하부로 구획된 상태에서 그 사이를 유연한 방수막으로 커버하여 상기 구획된 하부가 승강되도록 형성된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다수개의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하부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커버하면서 테두리가 상기 담수 홈에 잠기도록 형성된 역류방지 컵;으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 하부에는 물빠짐 구멍 외측으로 환형의 결합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역류방지 컵의 상부에는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벌어지면서 상기 결합 리브의 직경 보다 큰 원뿔 형태의 경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리브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판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원통 형태의 차단막이 구성된다.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면과 구획된 내부 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일정간격 이 격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바닥에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담수 홈을 받치도록 다수개의 받침 돌기가 등 간격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구획된 하부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과 이격된 사이를 막기 위한 실링이 결합된다.
상기 역류방지 컵 내부에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부가 승강시 배수구 내부로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보조 컵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 상단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보조 컵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하우징의 배수구 하단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결합구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되, 담수 홈으로부터 아래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 내면으로부터 배수구의 외면이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방수막은 원통형 또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배수 트랩에 의하면 하수량이 급증하여 하수관 내의 액체나 기체가 역류하는 경우 그 압력에 의해 구획된 내부 하우징의 하부가 밀려 올라가면서 역류방지 컵의 하단이 담수 홈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역류방지 기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배수 트랩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외부 하우징(100), 상부와 하부로 구획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방 수막이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하부가 승강하도록 형성된 내부 하우징(200a, 200b), 다수개의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덮개(300) 및 상기 덮개의 하부 중심에 결합되는 역류방지 컵(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하우징(100)은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하수관과 연결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결합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하우징(200a, 200b)는 상기 외부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와 배수구(210) 주변에 환형의 담수 홈(220)이 형성된 하부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구획된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유연한 방수막(230)으로 커버하여 내부 하우징의 물이 내외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하수량이 급증하여 하수관 내에 물이나 거품 등이 역류할 때 그 압력에 의해 구획된 하부가 밀려 올라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수막(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막은 원통형 또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300)는 상기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다수개의 물빠짐 구멍(310)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300)에 형성된 물빠짐 구멍(310)은 전후좌우로 일정 간격 배열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서 방사 형태로 갈라지게 형성된다.
상기 역류방지 컵(400)은 상기 덮개(300)의 하부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210)를 커버하면서 테두리가 상기 담수 홈(220)에 잠기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덮개(300) 하부에는 물빠짐 구멍(310) 외측으로 환형의 결합 리 브(320)가 형성되고, 상기 역류방지 컵(400)의 상부에는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벌어지면서 상기 결합 리브(320)의 직경 보다 큰 원뿔 형태의 경사판(41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리브(320)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판(410)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원통 형태의 차단막(500)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막(500)과 경사판(410) 사이에 하수나 소변 등이 채워질 때 그 수압에 의해 차단막(500)의 상부가 들어 올려지면서 채워진 하수나 소변 등의 물이 경사판(410)을 따라 완전히 배출된다. 이때, 경사판(410)과 차단막(500)이 서로 선 접촉됨으로써, 경사판(410)과 차단막(500) 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물의 점성에 의해 경사판(410)과 차단막(500)이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수관 내의 압력이 증가할 때 내부 하우징의 승강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내면과 구획된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외면 사이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바닥에는 상기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담수 홈(220)을 받치도록 다수개의 받침 돌기(120)가 등 간격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구획된 하부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100)과 이격된 사이를 막기 위한 실링(24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수관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역류하는 하수나 거품 등이 받침 돌기(120) 사이로 침투하면서 구획된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담수 홈(220)뿐만 아니라, 실링(240)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더욱 원활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실링(240)은 고무나 실리콘 또는 유연한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쉽게 처지지 않으 면서 하수나 거품이 그 위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실링(240)을 통해 하수나 거품이 침투하는 경우 방수막(230)을 내부 하우징(200a, 200b) 내부로 밀어낼 뿐만 아니라, 구획된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하부가 승강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 컵(400) 내부에는 상기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하부가 승강시 배수구(210) 내부로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보조 컵(420)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컵(420)은 역류하는 하수나 거품이 역류방지 컵(400)과 담수 홈(220) 사이로 침투하기 전에 배수구(210)를 통해 올라오는 하수나 거품을 1차로 차단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 컵(420)은 구획된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하부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배수구(210)와 떨어지고, 상기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하부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배수구(210) 내부로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구(210) 상단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보조 컵(420)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하부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보조 컵(420)의 하단이 배수구(210) 상단에 서로 맞닿아 상승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배수구(210) 하단이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결합구(11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되, 담수 홈(220)으로부터 아래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110) 내면으로부터 배수구(210)의 외면이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배수구(210)와 결합구(110) 사이에 틈을 형성함으로써, 하수나 거품이 역류할 때 그 틈으로 하수나 거품이 올라가 내부 하우 징(200a, 200b)의 담수 홈(220)이나 실링(240)을 밀어올리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담수 홈(220)과 역류방지 컵(400)을 통해 악취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욕실이나 베란다의 물이 하수관으로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고, 하수관 내의 하수나 거품이 큰 압력으로 역류하는 경우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된 내부 하우징(200a, 200b)의 하부가 상승하면서 역류방지 컵(400)이 담수 홈(220)에 밀착되거나, 상기 보조 컵(420)이 배수구(210)를 막아 담수 홈(220)에 고인 물을 밀어내면서 역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배수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트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 하우징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 하우징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수막의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절단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수 트랩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외부 하우징 110: 결합구
120: 받침 돌기
200a, 200b: 내부 하우징 210: 배수구
220: 담수 홈 230: 방수막
240: 실링
300: 덮개 310: 물빠짐 구멍
320: 결합 리브
400: 역류방지 컵 410: 경사판
420: 보조 컵
500: 차단막

Claims (7)

  1. 바닥에 설치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하수관과 연결할 수 있도록 결합구가 형성된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와 배수구 주변에 환형의 담수 홈이 형성된 하부로 구획된 상태에서 그 사이를 유연한 방수막으로 커버하여 상기 구획된 하부가 승강되도록 형성된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다수개의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하부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커버하면서 테두리가 상기 담수 홈에 잠기도록 형성된 역류방지 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하부에는 물빠짐 구멍 외측으로 환형의 결합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역류방지 컵의 상부에는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벌어지면서 상기 결합 리브의 직경 보다 큰 원뿔 형태의 경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리브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판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원통 형태의 차단막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면과 구획된 내부 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바닥에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담수 홈을 받치도록 다수개의 받침 돌기가 등 간격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구획된 하부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과 이격된 사이를 막기 위한 실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컵 내부에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부가 승강시 배수구 내부로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보조 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상단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보조 컵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배수구 하단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결합구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되, 담수 홈으로부터 아래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 내면으로부터 배수구의 외면이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막은 원통형 또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KR1020090074629A 2009-08-13 2009-08-13 배수 트랩 KR101056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629A KR101056557B1 (ko) 2009-08-13 2009-08-13 배수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629A KR101056557B1 (ko) 2009-08-13 2009-08-13 배수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114A KR20110017114A (ko) 2011-02-21
KR101056557B1 true KR101056557B1 (ko) 2011-08-11

Family

ID=4377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629A KR101056557B1 (ko) 2009-08-13 2009-08-13 배수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5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581B1 (ko) 2014-01-10 2014-06-27 주식회사 이 건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역류 방지용 배수관 라인
KR101493605B1 (ko) 2013-08-23 2015-02-13 박희범 배수체
KR102133127B1 (ko) 2019-06-04 2020-07-10 서광복 연결관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973B1 (ko) * 2016-01-25 2016-12-22 이동윤 배수트랩
TR201619433A1 (tr) * 2016-12-23 2018-07-23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Bi̇r tahli̇ye si̇stemi̇
KR102047158B1 (ko) * 2017-02-28 2019-11-20 설이수 세면대용 배수트랩
FR3124530B1 (fr) * 2021-06-24 2023-06-30 Lazer Bonde siphoïde à membra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953Y1 (ko) * 1985-12-11 1989-03-27 신복균 배수전
KR20010044775A (ko) * 2001-03-23 2001-06-05 설남수 배수트랩
KR20060096742A (ko) * 2005-03-02 2006-09-13 손현자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0720355B1 (ko) 2007-02-08 2007-05-21 주식회사 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하수관의 역류방지 배수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953Y1 (ko) * 1985-12-11 1989-03-27 신복균 배수전
KR20010044775A (ko) * 2001-03-23 2001-06-05 설남수 배수트랩
KR20060096742A (ko) * 2005-03-02 2006-09-13 손현자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0720355B1 (ko) 2007-02-08 2007-05-21 주식회사 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하수관의 역류방지 배수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605B1 (ko) 2013-08-23 2015-02-13 박희범 배수체
KR101401581B1 (ko) 2014-01-10 2014-06-27 주식회사 이 건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역류 방지용 배수관 라인
KR102133127B1 (ko) 2019-06-04 2020-07-10 서광복 연결관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114A (ko) 201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557B1 (ko) 배수 트랩
US20170073949A1 (en) Hair straining device
KR101147044B1 (ko) 배수트랩
JP4252553B2 (ja) 建造物内の排水設備
AU2008243269B1 (en) Plumbing Fitting
CN101892701B (zh) 一种节水式小便排放封堵装置
KR200457073Y1 (ko) 배수트랩
KR20210000700U (ko) 층상 및 매립 배관용 이중배관식 바닥배수장치
CN214884239U (zh) 一种地漏
CN210737746U (zh) 一种干湿通用防臭地漏
KR200387058Y1 (ko)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CN213653635U (zh) 防反溢结构及排水立管装置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01342860B1 (ko) 동층배관 및 층하배관용 통합 배수 시스템
KR20110007997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1047010B1 (ko) 빗물 배수구 덮개
TWI660099B (zh) 管道阻氣裝置
CN219157865U (zh) 一种同层排水汇水器及汇水系统
KR20180067903A (ko) 악취 차단 하수구 마개
CN216108898U (zh) 一种防堵地漏
JP4199388B2 (ja) ユニットバスの排水装置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CN208329125U (zh) 双重防臭地漏
JP7276735B2 (ja) 排水装置
TWM446198U (zh) 防臭防蟑防污水倒灌之地板落水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