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058Y1 -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 Google Patents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058Y1
KR200387058Y1 KR20-2005-0007824U KR20050007824U KR200387058Y1 KR 200387058 Y1 KR200387058 Y1 KR 200387058Y1 KR 20050007824 U KR20050007824 U KR 20050007824U KR 200387058 Y1 KR200387058 Y1 KR 200387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outer cylinder
cylinder
sew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예순
Original Assignee
한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예순 filed Critical 한예순
Priority to KR20-2005-0007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구의 이중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하수구가 액체나 작은 크기의 이물질만을 배출할 수 있고 실내의 기체를 배출할 수 없는 구조였던데 반하여 기체출입구와 액체출입구를 따로 두어 하수구가 설치된 실내에서 발생하는 악취또한 기존의 하수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하수구의 배출구조를 내통과 외통으로 나누어 기체와 액체가 별도로 유입되어 하수구를 통해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DOUBLE EXHAUSTING APPARATUS FOR SEWER}
본 고안은 욕실이나 화장실 또는 주방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수구의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액체뿐아니라 기체도 한꺼번에 배출할 수 있는 하수구 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하수구 배출구조는 액체나 크기가 작은 슬러지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단에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덮개를 가지고 있어 상기 통공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만이 하수구를 통해서 흘러내려 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악취와 오수, 이물질이 함께 발생하는 곳에 사용하는 경우에 악취는 따로 배출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문제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악취만 건물 외부로 배출하려고 하여도 건물외부에 배출되면 쉽게 퍼지기 때문에 주위에 피해를 줄 수가 있어 외부로 배출하는 장비를 새로 설치해야 하는 이외에 외부에 악취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을 별도로 두어야 하므로 위한 시설을 장치하는 경우에 상당한 비용이 들 수 있다.
그렇다고 하수구를 이용하려고 악취를 배출시키려고 하여도 기존의 하수구는 액체등을 배출하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구조가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배출구 구성이 오수나 작은 크기의 이물질 만을 배출할 수 있었던데 반해 하수구에 사용되는 배출구를 간단하게 교체함으로서 액체뿐아니라 악취도 함께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오수와 악취의 이중배출구조를 를 제공하는데, 아랫단이 트여 바닥면이 없는 원통형의 내통(13)으로서,
상기 내통의 상단에는 기체가 출입할 수 있도록 기체출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내통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액체가 출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액체출입구(12)가 형성된, 내통(13);과
원통형의 외통(14)으로서,상기 외통의 상단은 상기 내통이 상기 외통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트여 있으며, 상기 외통(14)의 바닥면에는 외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바닥면 위쪽으로 돌출된 배출구(15)가 형성된, 외통(14);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아랫단이 트여 바닥면이 없는 원통형의 내통(13)으로서, 상기 내통의 상단에는 기체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내통의 상단면을 관통하는 기체출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내통의 상단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진 액체출입구(12)가 형성되는, 내통(13);과
상단의 외주를 따라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의 외통으로서,
상기 외통의 상단면은 상기 내통이 상기 외통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트여 있으며, 상기 외통(14)의 바닥면에는 상기 외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바닥면 위쪽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기체출입구(11)의 말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배출구(15)가 형성되며, 상기 외통의 상단 옆면에는 액체가 출입할 수 있도록 액체배출구(24)가 별도로 형성된 외통(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아랫단이 트여 바닥면이 없는 원통형의 내통(13)으로서, 상기 내통(13)은 상단공간(22)과 하단공간(23)의 두부분으로 나뉘며, 상기 내통(13)의 상단에는 기체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내통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단공간(23)에 곧바로 연결되는 기체출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내통의 상단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진 액체출입구(12)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공간(22)의 벽면에는 벽면통공(21)이 형성되어 상기 액체출입구(12)로 유입되는 액체가 상기 벽면통공(21)을 통해 바깥쪽으로 나가는 구조를 갖는 내통(13);과
상단의 외주를 따라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의 외통(14)으로서,
상기 외통의 상단은 상기 내통이 상기 외통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트여 있으며, 상기 외통(14)의 바닥면에는 외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바닥면 위쪽으로 돌출된 배출구(15)가 형성된 외통(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출입구(11)의 말단에 연결되는 기체유입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통(13)의 하단면은 상기 배출구(15)의 끝단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르는 이중배출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되었듯이 본 고안에 따르는 배출구조는 크게 외통(14)과 내통(13)으로 구분되며 내통(13)의 상단에는 기체출입구(11)와 액체출입구(12)가 위치하게 되며 내통의 겉면은 유입되는 기체와 액체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액체출입구의 위치는 내통의 상단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있을 수도 있으며 내통의 상단면 기체출입구(11)의 주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내통(13)은 아래쪽이 트여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외통(14)은 상단면이 트여 있어 상기 내통(13)이 그 내부에 수납될 수 있으며 상단의 외주면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하수구에 고정되어 안착될 수 있다. 하단은 막혀 있지만 배출구가 하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외통(14)내부의 이물질을 하수구 쪽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배출구(15)는 외통(14) 안쪽으로 일정부분 돌출된다.
기체의 경우 기체출입구(11)를 통해 들어와 하단의 배출구(15)를 통해 빠져 나가게 된다. 액체의 경우는 액체출입구(12)를 통해 들어와 내통의 겉면과 외통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흘러내려 내통 안쪽의 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배출구(15)가 외통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구(15)의 높이 만큼은 물이 항상 차있게 된다. 또한 내통의 하단은 상기 배출구(15)의 높이보다 더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하여 액체가 내통의 하단을 통해 내통의 안쪽면으로 들어와 상기 내통 안쪽까지 돌출된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기체출입구는 바로 외부와 연결이 되는 것이 아니라 기체를 넣기 위한 펌프등에 연결되기 때문에 하수구 안쪽에서 배출되는 악취는 역류하여 나올 수 없게 되며 실내의 기체를 원활하게 기체 출입구 쪽으로 공급하게 된다.
도2는 상기 도1의 배출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되듯이 기체출입구(11)를 통해 들어가는 기체는 하단의 배출구(15)를 통하여 하수구로 배출되며 액체등의 슬러지는 내통(13)의 플랜지에 마련된 통공(액체출입구,12)을 통하여 들어와 하단의 내통의 겉면과 외통의 내면사이에 이루어지는 공간을 지나 내통과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배출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것은 도2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기체와 액체가 배출되는 부분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기체출입구(11)로 유입되는 기체는 기체출입구(11)와 곧바로 연결되는 배출구(15)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 반면 액체등의 슬러지는 내통(13)의 상단에 여러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진 액체출입구(12)를 통해 내통의 안쪽으로 유입되어 내통하단의 공간을 지나고 내통과 외통 사이의 공간을 지나 외통 벽면의 상단에 형성된 액체배출구(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1의 구성과 달리 내통안쪽에 액체가 차있지 않으면서도 기체와 액체를 같이 배출할 수 있게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배출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내통은 그 내부가 상단공간(22)과 하단공간(23)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기 하단공간(23)은 기체 출입구(11)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공간은 그 위쪽으로 액체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옆쪽으로는 통공이 형성되어 위쪽에서 들어온 액체가 벽면통공(21)을 통해 옆쪽으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체는 기체출입구(11)를 통해 하단공간(23)으로 바로 연결되어 외통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15)를 통해 바로 배출이 될 수 있으며, 액체는 내통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액체출입구, 12)을 통해 들어와 상단공간(22)을 지나며 내통의 옆벽면에 형성된 벽면통공(21)을 지나 외통과 내통사이의 공간을 다시 지나고 내통의 아래쪽을 지나 배출구(15)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1의 구성과 비슷하게 액체출입구를 통해 액체가 들어오기 때문에 돌출된 배출구(15)의 높이 만큼은 항상 물이 차있게 된다.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는 내통의 벽면이 상기 배출구(15)의 높이보다 조금더 아래쪽으로 내려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체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서는 상기 기체출입구(11)의 말단은 별도의 배출펌프와 연결되어 기체출입구(11)에 기체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큰 비용을 들이거나 별도의 공사를 하지 않고도 기존의 하수구를 이용하여 기체와 액체를 함께 배출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르는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도면.
도2는 상기 도1에 도시된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3는 상기 도1에 도시된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상기 도1에 도시된 하구수 이중 배출 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5)

  1. 하수구의 배출구조로서,
    아랫단이 트여 바닥면이 없는 원통형의 내통(13)으로서,
    상기 내통의 상단에는 기체가 출입할 수 있도록 기체출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내통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액체가 출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액체출입구(12)가 형성된, 내통(13);과
    원통형의 외통(14)으로서,상기 외통의 상단은 상기 내통이 상기 외통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트여 있으며, 상기 외통(14)의 바닥면에는 외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바닥면 위쪽으로 돌출된 배출구(15)가 형성된, 외통(14);을
    포함하는, 하수구 이중배출구조
  2. 하수구의 배출구조로서,
    아랫단이 트여 바닥면이 없는 원통형의 내통(13)으로서, 상기 내통의 상단에는 기체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내통의 상단면을 관통하는 기체출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내통의 상단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진 액체출입구(12)가 형성되는, 내통(13);과
    상단의 외주를 따라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의 외통으로서,
    상기 외통의 상단면은 상기 내통이 상기 외통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트여 있으며, 상기 외통(14)의 바닥면에는 상기 외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바닥면 위쪽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기체출입구(11)의 말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배출구(15)가 형성되며, 상기 외통의 상단 옆면에는 액체가 출입할 수 있도록 액체배출구(24)가 별도로 형성된 외통(14);을 포함하는, 하수구 이중배출구조.
  3. 하수구의 이중배출구조로서,
    아랫단이 트여 바닥면이 없는 원통형의 내통(13)으로서, 상기 내통(13)은 상단공간(22)과 하단공간(23)의 두부분으로 나뉘며, 상기 내통(13)의 상단에는 기체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내통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단공간(23)에 곧바로 연결되는 기체출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내통의 상단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진 액체출입구(12)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공간(22)의 벽면에는 벽면통공(21)이 형성되어 상기 액체출입구(12)로 유입되는 액체가 상기 벽면통공(21)을 통해 바깥쪽으로 나가는 구조를 갖는 내통(13);과
    상단의 외주를 따라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의 외통(14)으로서,
    상기 외통의 상단은 상기 내통이 상기 외통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트여 있으며, 상기 외통(14)의 바닥면에는 외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바닥면 위쪽으로 돌출된 배출구(15)가 형성된 외통(14)을 포함하는, 하수구 이중배출구조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출입구(11)의 말단에 연결되는 기체유입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이중배출구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3)의 하단면은 상기 배출구(15)의 끝단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이중 배출구조.
KR20-2005-0007824U 2005-03-22 2005-03-22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KR200387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824U KR200387058Y1 (ko) 2005-03-22 2005-03-22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824U KR200387058Y1 (ko) 2005-03-22 2005-03-22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058Y1 true KR200387058Y1 (ko) 2005-06-20

Family

ID=4368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824U KR200387058Y1 (ko) 2005-03-22 2005-03-22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05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72Y1 (ko) * 2009-07-27 2009-12-07 김미해 하수구의 배출구조
KR100967490B1 (ko) 2009-11-21 2010-07-07 곽철호 하수구의 배출 처리 구조
KR101031707B1 (ko) 2010-03-29 2011-04-29 최문환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72Y1 (ko) * 2009-07-27 2009-12-07 김미해 하수구의 배출구조
KR100967490B1 (ko) 2009-11-21 2010-07-07 곽철호 하수구의 배출 처리 구조
KR101031707B1 (ko) 2010-03-29 2011-04-29 최문환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22455A1 (en) Waste Outlet
KR20080006707A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20110137931A (ko) 층상 배관 방식의 욕실 배수시스템의 배수받이
KR200387058Y1 (ko)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100820226B1 (ko)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KR20140040440A (ko) 배수 안정성 향상과 배수소음 최소화를 갖춘 통합 배수트랩 장치
JP2019218736A (ja) 防臭ワン
CN211200661U (zh) 一种预埋式防反溢地漏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JPH10159147A (ja) 排水管路の臭気止め装置
KR200181575Y1 (ko) 베란다용 배수구조
JP6427469B2 (ja) 簡易水洗式の仮設トイレのボックス内に設置されるロータンク及び同ロータンクを設置した仮設トイレ
KR200169068Y1 (ko) 욕실용 배수장치
KR101181937B1 (ko)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JP2839860B2 (ja) 防水パン
JP2005240518A (ja) 排水装置及びそれが用いられる排水配管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100005037U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KR20110011043A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168154Y1 (ko) 배수관의 하수역류방지기
KR101814595B1 (ko) 세면기의 배수장치
KR200239586Y1 (ko) 배수트랩
KR20090129111A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252812Y1 (ko) 주택용 배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