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937B1 -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1937B1 KR101181937B1 KR1020100135740A KR20100135740A KR101181937B1 KR 101181937 B1 KR101181937 B1 KR 101181937B1 KR 1020100135740 A KR1020100135740 A KR 1020100135740A KR 20100135740 A KR20100135740 A KR 20100135740A KR 101181937 B1 KR101181937 B1 KR 101181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drain
- connection
- exit
- ent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관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관과 연결관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관과 연결관의 결합을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그리고, 상기 격벽(212)의 상단은 배관(B) 또는 배출관(200)을 배수관(100)에 연결되게 하는 입출부(110)의 구멍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봉수부(210)의 상단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관(200)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격벽(212)으로 인해 더 이상 유출되지 못하고 역류되어 상기 배수트랩(A)의 내부에 저장되며 봉수 역할을 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100) 등에서 물이 계속 유입되면 상기 격벽(212) 부분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상기 봉수부(210)의 상단과 상기 격벽(212)의 이격공간으로 흘러넘치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이후, 물의 유입이 중지되면 상기 격벽(212)부분의 수위가 낮아지며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수트랩(A)에 저장되어 봉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봉수부(210)는 상단이 개방되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할 수 있는 뚜껑(214)이 결합되어 상기 봉수부(210)의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토록 함으로써, 상기 격벽(212)에 이물질이 걸려 물이 배출되지 못하는 등과 같은 문제 발생시 바로 문제점을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입출부(110)는 상기 연결관(30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관(300)과 상기 배출관(200)이 끼워지는 선단부분이 확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300)과 배출관(200)이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00 : 배출관 210 : 배출관
212 : 격벽 300 : 연결관
310 : 선단부 320 : 결합체
Claims (3)
- 벽면 또는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트랩(A)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A)은,
오수가 유입되는 배수관(100)과, 상기 배수관(100)에 연결되고 일측 선단이 확개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입출부(110)와, 상기 다수의 입출부(1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200) 및 상기 다수의 입출부(1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외부에 매설된 배관(B)과 연결됨으로써 오수를 배수관(100)으로 유입시키는 연결관(300)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200)은 격벽(212)에 의해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는 봉수부(210)가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배수트랩(A)의 내부에 봉수가 지속적으로 잔존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00)은 입출부(110)와 연결되는 선단부(310)가 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입출부(110)에 삽입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특정한 위치에서 유입되는 상기 배관(B)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00)에는 상기 입출부(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체(3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연결관(300)과 상기 입출부(110)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5740A KR101181937B1 (ko) | 2010-12-27 | 2010-12-27 |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5740A KR101181937B1 (ko) | 2010-12-27 | 2010-12-27 |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3849A KR20120073849A (ko) | 2012-07-05 |
KR101181937B1 true KR101181937B1 (ko) | 2012-09-11 |
Family
ID=4670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5740A Active KR101181937B1 (ko) | 2010-12-27 | 2010-12-27 |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193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69515B (zh) * | 2013-12-13 | 2015-03-11 | 高占文 | 一种多用途防臭积水处理器及其处理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5271B1 (ko) | 2008-10-10 | 2009-04-29 | 양동훈 |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
-
2010
- 2010-12-27 KR KR1020100135740A patent/KR10118193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5271B1 (ko) | 2008-10-10 | 2009-04-29 | 양동훈 |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3849A (ko) | 2012-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37931A (ko) | 층상 배관 방식의 욕실 배수시스템의 배수받이 | |
KR101401231B1 (ko) | 세면기 배수장치 | |
KR101181937B1 (ko) |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 |
KR101229689B1 (ko) |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 |
JP7249480B2 (ja) | 排水トラップ | |
KR20110058613A (ko) | 건물의 실내 배수구조 | |
KR20210000700U (ko) | 층상 및 매립 배관용 이중배관식 바닥배수장치 | |
KR20110045600A (ko) | 배수트랩 | |
KR101119526B1 (ko) |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 |
KR101170813B1 (ko) | 배수 트랩 구조물 | |
KR101177495B1 (ko) |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 |
CN202440930U (zh) | 外方内圆地漏 | |
KR101177490B1 (ko) |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 |
KR101348450B1 (ko) | 용수공급부가 구비된 배수트랩 및 이를 이용한 층상 배수 시스템 | |
KR101487394B1 (ko) |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 |
KR100962021B1 (ko) | 배수 트랩 시스템 | |
JP6019287B2 (ja) | 排水トラップ | |
KR101511683B1 (ko) |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 |
KR200286057Y1 (ko) | 배수트랩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 |
KR20110007997U (ko) | 세면대용 배수트랩 | |
KR200311713Y1 (ko) | 배수트랩 | |
KR100451895B1 (ko) | 배수트랩에 있어서 이물질 걸림방지구조 | |
KR200447783Y1 (ko) | 세면대 연결소켓 겸용 욕실 배수트랩 | |
KR102370423B1 (ko) |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 |
JP2008115546A (ja) | 排水トラ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