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560B1 -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 Google Patents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560B1
KR101920560B1 KR1020170051805A KR20170051805A KR101920560B1 KR 101920560 B1 KR101920560 B1 KR 101920560B1 KR 1020170051805 A KR1020170051805 A KR 1020170051805A KR 20170051805 A KR20170051805 A KR 20170051805A KR 101920560 B1 KR101920560 B1 KR 10192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lastic
drain
housing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453A (ko
Inventor
서상봉
서광복
Original Assignee
서상봉
서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봉, 서광복 filed Critical 서상봉
Priority to KR102017005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56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오수를 안내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이 끼움되도록 상부에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과 연통되게 배수구가 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체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수용되도록 오버플로우수조가 마련되는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진 트랩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하수연결관과, 상기 인입홈에 형성되되, 상단부가 상기 인입홈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탄성관과, 상기 배수관에 끼움되어 상기 탄성관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탄성관의 상부를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탄성관에 끼움된 상기 배수관을 분리시키는 분리캡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제품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원터치에 의한 가압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Drain trap structure for wash basin with separation cap}
본 발명은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제품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원터치에 의한 가압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의 배수트랩에는 악취의 역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P형 또는 S형의 곡관으로 이루어지고 세면대쪽 배수관과 하수관측 사이에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한 배수관과 체결 고정되는 배수트랩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P형 또는 S형의 곡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트랩은 곡관부에 상당한 양의 물이 담겨지는 수봉부를 형성하여 악취유입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배수 속도를 더디게 하고 이물질이 막히는 등으로 배수기능이 저하되며, 특히 머리카락이나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 제거 작업시에는 복잡한 레버장치까지 모두 해체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자제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71576호로 I자형 배수트랩인 세면대용 배수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트랩은 배수관과 연결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기밀유지용 캡이나, 기밀테이프를 사용하여 배수트랩과 배수관의 연결부분으로 악취가 배출되거나 물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으나, 유지보수를 위해 배수트랩에서 배수관을 분리시 상기한 기밀용 캡이나 기밀테이프를 분리한 후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분리과정이 복잡하여 유지보수하는데 과도한 시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제품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원터치에 의한 가압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면대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오수를 안내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이 끼움되도록 상부에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과 연통되게 배수구가 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체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수용되도록 오버플로우수조가 마련되는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진 트랩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하수연결관과, 상기 인입홈에 형성되되, 상단부가 상기 인입홈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탄성관과, 상기 배수관에 끼움되어 상기 탄성관을 가압함으로서, 상기 탄성관의 상부를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탄성관에 끼움된 상기 배수관을 분리시키는 분리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측 외면에 승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의 상단부에는 환형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캡은 상기 배수관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에 끼움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환형의 턱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캡은 상면패널 저면에 상기 탄성관의 상부를 가압시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방사상으로 테이퍼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캡은 상기 배수관을 따라 승강하는 과정에서 마찰을 줄이도록 상기 관통공에 상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턱부에는 하부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기 분리캡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곡선의 마찰파지면들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는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제품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원터치에 의한 가압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에 있어, 배수관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에 있어, 배수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에 있어, 배수관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에 있어, 배수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배수트랩구조라 명명함)는 세면대에 설치되어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물을 하수관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머리카락의 배출을 거르고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배수트랩구조(10)로서, 이에 이와 같은 배수트랩구조(10)는 배수관(20)과 트랩하우징(30)과 하수연결관(40)과 탄성관(50)과 분리캡(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관(2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관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면대의 배출구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세면대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트랩하우징(30)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트랩하우징(30)은 상기 배수관(20)이 끼움되도록 상부에 인입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311)과 연통되게 배수구(312)가 형성된 상부하우징(31)과, 상기 상부하우징(31)의 하부에 체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배수구(312)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수용되도록 오버플로우수조(321)가 마련되는 하부하우징(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하우징(31)의 저면에는 상기 배수구(312)와 연통되게 침수관(316)이 일체로 더 형성되어, 상기 침수관(316)의 하단부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버플로우수조(321)에 충진되는 오수에 인입되어, 오수를 상기 오버플로우수조(321)에 공급함과 아울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침수관(316)의 외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환형의 밀폐날개가 더 접착 또는 융착고정되어, 상기 하부하우징(32)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서, 악취가 역류되거나 상기 상부하우징(31)과 상기 하부하우징(32) 사이의 틈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32)의 내측면에는 환형으로 인입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인입홈에 상기 밀폐날개가 끼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입홈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밀폐날개를 가압하도록 탄성링을 더 접착 또는 융착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플로우수조(321)는 상부가 개방된 수조이며, 외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32)의 내측면에 일단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된다. 다르게는 상기 하우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착 또는 융착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우수조(321)는 일방향(도면상 좌측)으로 오수가 오버블로우되어 배출되도록 상측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르게는 상기 오버플로우수조(321)의 외면 상측에 유출관을 형성하여 충진되는 오수를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트랩하우징(3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하우징(31)과 상기 하부하우징(32)은 상호 끼워져 고정되고, 다르게는 나사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31)과 상기 하부하우징(32) 사이에는 밀폐링을 더 체결하여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수연결관(40)은 상기 하부하우징(32)에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하수연결관(40)은 상기 하부하우징(32)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하수관으로 상기 오버플로우수조(32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관(50)은 상기 인입홈(311)에 형성되되, 상단부가 상기 인입홈(311)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탄성관(50)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인입홈(311)에 인입되어 고정되며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인입홈(311)의 저면에 환형의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탄성관(50)의 하단부를 끼운 후 접착 또는 융착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상부하우징(31)을 사출하는 과정에서 인서트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인입홈(311)에 끼움된 탄성관(50)의 외면과 상기 인입홈(311)의 내면 사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분리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캡(6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탄성관(50)이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관(50)에는 상기 배수관(20)이 억지끼움되어 상기 탄성관(50)의 탄성에 의해 배수관(20)을 고정시키게 되며, 외부로 악취 및 오수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관(50)의 내측면에는 끼움된 상기 배수관(20)을 재차 가압하도록 환형을 가압돌부를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압돌부에 의해 상기 탄성관(50)과 상기 배수관(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캡(60)이 상기 탄성관(50)을 가압시 외측으로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캡(60)은 상기 배수관(20)에 끼움되어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관(50)을 가압함으로서, 상기 탄성관(50)의 상부를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탄성관(50)에 끼움된 상기 배수관(20)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31)은 상측 외면에 승강홈(313)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313)의 상단부에는 환형의 걸림턱(314)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캡(60)은 상기 배수관(20)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관통공(6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31)의 상부에 끼움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턱(314)에 걸림되도록 환형의 턱부(62)가 더 형성되어, 상기 분리캡(60)이 상기 상부하우징(3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캡(60)은 상기 배수관(20)을 따라 승강하는 과정에서 마찰을 줄이도록 상기 관통공(61)에 상부경사면(611)이 형성되고, 상기 턱부(62)에는 하부경사면(621)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캡(60)의 상면패널에는 저면에 상기 관통공(61)을 감싸면서 하향으로 돌출되게 인입관이 일체로 더 형성되어, 상기 분리캡(60)으로 상기 탄성관(5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관(50)과 상기 배수관(20) 사이에 인입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탄성관(50)에서 상기 배수관(20)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입관의 외면은 하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시켜, 상기 인입관이 상기 탄성관(50)과 상기 배수관(20) 사이에 인입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61)의 내주연과 상기 배수관(20)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분리캡(60)을 나사식으로 회전시켜 상기 탄성관(50)을 가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리캡(60)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10)는 상기 오버플로우수조(321)에 물이 체워진 상태로 배치됨과 아울러 침수관(316)이 상기 오버플로우수조(321)에 인입되므로, 하수관에서 역류하는 악취가 상기 세면대 또는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배수관(20) 및 상기 오버플로우수조(321)에 머리카락이나 이물질이 뭉쳐있을 경우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분리캡(60)으로 상기 탄성관(50)을 가압하여 상기 배수관(20)에서 상기 트랩하우징(30)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뭉쳐진 머리카락을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며, 배수관(20)에 트랩하우징(30)을 끼우는 것으로 트랩구조가 완료되어 별도의 체결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 및 제품단가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생산성이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하우징(31)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기 분리캡(60)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곡선의 마찰파지면(315)들이 더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부하우징(31)을 파지한 수 상기 분리캡(60)을 가압할 수 있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고, 상부하우징(31)을 형성시키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캡(60)은 상면패널 저면에 상기 탄성관(50)의 상부를 가압시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방사상으로 테이퍼부(63)가 더 형성되어, 상기 분리캡(60)이 상기 탄성관(50)을 가압시 상기 탄성관(50)이 상기 테이퍼부(63)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탄성관(50)에 끼움된 상기 배수관(20)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는, 침수관을 오버플로우수조에 인입시키도록 트랩하우징을 배수관의 하단부에 끼우는 것으로 오수를 배출시키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구조가 완료되고, 분리캡으로 트랩하우징에 체결되는 탄성관을 가압하여 배수관에서 트랩하우징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트랩장치와 결합부재를 별도로 하우징에 설치하여 발생하는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와 유지보수가 번거로워지는 문제 및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배수트랩구조 20 : 배수관
30 : 트랩하우징 40 : 하수연결관
50 : 탄성관 60 : 분리캡
31 : 상부하우징 311 : 인입홈
312 : 배수구 313 : 승강홈
314 : 걸림턱 315 : 마찰파지면
316 : 침수관
32 : 하부하우징 321 : 오버플로우수조
61 : 관통공 611 : 상부경사면
62 : 턱부 621 : 하부경사면
63 : 테이퍼부

Claims (5)

  1. 세면대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오수를 안내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이 끼움되도록 상부에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과 연통되게 배수구가 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체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수용되도록 오버플로우수조가 마련되는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진 트랩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하수연결관;
    상기 인입홈에 형성되되, 상단부가 상기 인입홈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탄성관; 및
    상기 배수관에 끼움되어 상기 탄성관을 가압함으로서, 상기 탄성관의 상부를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탄성관에 끼움된 상기 배수관을 분리시키는 분리캡으로 이루어진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측 외면에 승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의 상단부에는 환형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캡은 상기 배수관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부에 끼움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환형의 턱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분리캡은 상면패널 저면에 상기 탄성관의 상부를 가압시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방사상으로 테이퍼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분리캡은 상기 배수관을 따라 승강하는 과정에서 마찰을 줄이도록 상기 관통공에 상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턱부에는 하부경사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기 분리캡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곡선의 마찰파지면들이 더 형성되며,
    침수관의 외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환형의 밀폐날개가 더 융착고정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서, 악취가 역류되거나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의 틈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에는 환형으로 인입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인입홈에 상기 밀폐날개가 끼움되도록 하고, 상기 인입홈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밀폐날개를 가압하도록 탄성링을 더 융착하여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탄성관의 내측면에는 끼움된 상기 배수관을 재차 가압하도록 환형을 가압돌부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더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가압돌부에 의해 상기 탄성관과 상기 배수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캡이 상기 탄성관을 가압시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하고,
    상기 분리캡의 상면패널에는 저면에 상기 관통공을 감싸면서 하향으로 돌출되게 인입관이 일체로 더 형성시켜, 상기 분리캡으로 상기 탄성관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관과 상기 배수관 사이에 인입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탄성관에서 상기 배수관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인입관의 외면은 하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시켜, 상기 인입관이 상기 탄성관과 상기 배수관 사이에 인입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51805A 2017-04-21 2017-04-21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KR101920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05A KR101920560B1 (ko) 2017-04-21 2017-04-21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05A KR101920560B1 (ko) 2017-04-21 2017-04-21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53A KR20180118453A (ko) 2018-10-31
KR101920560B1 true KR101920560B1 (ko) 2019-02-08

Family

ID=6409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05A KR101920560B1 (ko) 2017-04-21 2017-04-21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3861B1 (en) 2021-04-24 2021-12-21 Warren Bregman Through-floor combination tub and surface drai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983B1 (ko) * 2006-09-28 2007-06-14 김광석 배관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983B1 (ko) * 2006-09-28 2007-06-14 김광석 배관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53A (ko)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2897B2 (en) Internal drain hair and debris straining assembly
KR20180044510A (ko) 배수트랩
KR101920560B1 (ko)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US20230078805A1 (en) Pop-up sink drain with overflow knock-out blank
CN104114782A (zh) 用于盥洗台的弹跳装置的设置构件以及设置方法
KR101354072B1 (ko) 배수 트랩
KR101679787B1 (ko) 욕조 배수관 장치 및 그 교체 지그 장치
US2045731A (en) Device for cleaning out the overflow passages of washbasins
KR101391478B1 (ko) 원터치 팝업식 배수구 개폐 장치
JP2013199786A (ja) 排水トラップ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KR20100127461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1371894B1 (ko) 세면대용 배수관장치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101912041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KR102077282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JP5901594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479005Y1 (ko) 청소가 용이한 벽배수관용 배수트랩
KR101350158B1 (ko) 배수 트랩
KR200305388Y1 (ko) 배수용 트랩
KR101694497B1 (ko) 역류차단 기능이 강화된 배수관과 트랩관의 체결장치
CN218264137U (zh) 一种盆用下水器
KR102047158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WO2024060223A1 (zh) 一种盆用下水器
CN211596943U (zh) 一种面盆用下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