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969Y1 - 세면기용 트랩 - Google Patents

세면기용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969Y1
KR200313969Y1 KR20-2003-0004762U KR20030004762U KR200313969Y1 KR 200313969 Y1 KR200313969 Y1 KR 200313969Y1 KR 20030004762 U KR20030004762 U KR 20030004762U KR 200313969 Y1 KR200313969 Y1 KR 200313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induction pipe
trap
drain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충삼
Original Assignee
장충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충삼 filed Critical 장충삼
Priority to KR20-2003-0004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9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9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수 유도관 하측으로 일측이 개방된 토출구를 형성하여, 세면수의 신속한 배수를 유도하면서, 머리카락 등과 같이 이물질등이 상기 배수 유도관에 막히는일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상기 배수 유도관 저부 중앙으로 배수 저류관의 배수 유입돌기가 형성되어 세면수의 신속한 배수 및 소량의 물에 의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시키며, 특히 세면기용 트랩은 동축상으로 배수 유도관 및 배수 저류관이 설치되어 신속한 세면수의 배출은 물론,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분해,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면기용 트랩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배수 유도관(130) 상부에 나사부(150)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20)를 통해 세면기 배수관(110)과 결합되어 연통 연설되고,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중앙으로 형성되는 단차부(160) 하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토출구(170)가 형성되어 세면수가 배출토록 하며, 이때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토출구(170) 저면(底面)은 신속한 배수를 위하여 경사진 경사부(K)가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세면기용 트랩{A Trap of Wash Vessel}
본 고안은 화장실등에 설치하는 세면기용 트랩에 있어서, 상기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관과 결합너트를 통해 연결되는 배수 유도관 하측으로 일측이 개방된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 유도관 저부(低部) 중앙으로 중공상의 배수 유입돌기가 형성되어 악취를 제거하는 배수 저류관이 배수 유도관 상측과 결합 고정되며, 상기 배수 저류관은 그 저부에 세면수를 배출하는 프렉시블관과 연결 설치토록 됨으로써, 상기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관과 동축상으로 배수 유도관 및 배수 저류관이 설치되어 세면수의 신속한 배수 및 소량의 물에 의한 악취의 역류방지는 물론, 특히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등이 배수 유도관 및 배수 저류관등에 걸려 막히는 일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한 세면기용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세면기용 트랩에 있어서는 P형과 S형이 있으며, 이와같은 세면기용 트랩은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설치시, 세면기측 배수관과 하수관측등 두 곳에서 너트를 각각 체결하여 트랩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같은 종래의 세면기용 트랩은, S형 및 P형 곡관부에 고여있는 악취 역류방지용 물의 양이 많게 되며, 이에따라 수압이 매우 높기 때문에 세면수의 배출속도가 더디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트랩의 구조에 있어서는,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이 트랩의 곡관부에 걸려 트랩이 막히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됨은 물론, 배수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같은 세면기용 배수트랩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제안하여 등록받은바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0133501호에 의하면, 나사부(6)가 형성된 상체(2)와, 하부에 역시 나사부가 형성된 하체(3)를 나사결합에 의해 케이싱(1)을 구성하고, 내부에 설치되는 거르개(4)의 안쪽 바닥에는 세면기측 배수관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돌기(10)를 형성하며, 바닥의 밑면에는 밑돌기(11)를 그리고 외주면에는 주면돌기(12)를 형성하고, 상기 상체(2)의 나사부(6)에는 세면기 트랩의 배수관에 패킹(14)을 장착한 조이개(5)를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세면기용 트랩에 있어서는, 배수관을 타고 케이싱(1)으로 유입되는 세면수는 일단은 낙차 수압때문에 하체(3)의 바닥에 부딛쳤다가 그 반력으로 받침돌기(10)사이의 공간으로 빠져나온 뒤에 거르개(4)를 타고 넘쳐 주면공간으로 낙하한 다음 밑공간을 거쳐 하수관으로 유출되며, 이때 상기 거르개(4)의 밑돌기(11) 및 주면돌기(12)에는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배수용 트랩은, 케이싱(1)으로 세면수와 함께 유입되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거르개(4)의 밑돌기(11)와 주면돌기(12)등에 쉽게 걸리게 되어, 상기 세면기용 트랩이 극히 쉽게 막히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면기용 트랩은 케이싱(4)내부에 별도의 거르개(4)를 삽입한후, 상체 및 하체를 각각 결합하고, 이를 세면기측 배수관(a) 및 하수관과 각각 결합시킴으로 인하여,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며, 분해 및 조립이 렵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관과 결합너트를 통해 연결되는 배수 유도관 하측으로 일측이 개방된 토출구를 형성하여, 세면수의 신속한 배수를 유도하면서, 머리카락 등과 같이 이물질등이 상기 배수 유도관에 막히는일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상기 배수 유도관 저부 중앙으로 배수 저류관의 배수 유입돌기가 형성되어 세면수의 신속한 배수 및 소량의 물에 의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시키며, 특히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관과 동축상으로 배수 유도관 및 배수 저류관이 설치되어 신속한 세면수의 배출은 물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 및 분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세면기용 트랩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배수용 트랩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배수용 트랩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배수용 트랩의 배수 유도관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배수관 120...결합너트
130...배수 유도관 140...배수 저류관
150...나사부 160...단차부
170...토출구 180...배수 유입돌기
190...배수통로 200...플렉시블관
210...결합편 220...암나사
220'...나사부 230a...키이
230b...키이홈 240...고무링
250...패킹 K...경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세면기용 트랩의 세면기측 배수관 하측으로 결합너트를 개재하여 배수 유도관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배수 유도관은 그 하측으로 세면수가 저류되는 배수 저류관을 개재하여 하수관과 연결 설치되는 세면기용 트랩에 있어서,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결합너트를 개재하여 세면기 배수관과 결합되어 연통 연설되고, 중앙으로 형성되는 단차부 하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토출구가 형성되어 세면수가 배출토록 설치되는 배수 유도관;
상기 배수 유도관의 단차부 하측 토출구가 내삽되고, 중앙에는 상기 토출구 내부에서 돌출되어 세면수가 저류되도록 배수 유입돌기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배수통로가 형성되어 세면수 배출을 위한 플렉시블관과 연통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배수 저류관; 및
상기 배수 유도관의 단차부 상면과 접촉되며,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배수 저류관 상측 주연의 나사부와 결합되어 배수 유도관을 고정토록 설치되는 결합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트랩을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배수 유도관과 배수 저류관을 결합하는 결합편 내부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이 착설되며, 상기 배수 유도관의 단차부 상면 일측에는 키이가 돌출되고, 그 표면에 결합되는 결합편의 주면 일측에 키이홈이 형성되어 결합편의 유동을 방지토록 하며, 상기 세면기 배수관과 연통 연결되어 배수 유도관을 결합하는 결합너트와, 상기 배수 유도관의 상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고무링이 착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트랩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배수용 트랩의 배수 유도관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세면기용 트랩의 세면기측 배수관(110) 하측에는 결합너트(120)를 개재하여 배수 유도관(130)이 연통되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수 유도관(130)은 그 하측으로 세면수가 저류되는 배수 저류관(140)을 개재하여 하수관과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수 유도관(130)은, 그 상부에 나사부(150)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20)를 통해 세면기 배수관(110)과 결합되어 연통 연설되고,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중앙으로 형성되는 단차부(160) 하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토출구(170)가 형성되어 세면수가 배출토록 하며, 이때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토출구(170) 저면(底面)은 신속한 배수를 위하여 경사진 경사부(K)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하측 토출구(170)가 내삽되어 세면수의 일부를 저류시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배수 저류관(140)은, 중앙으로 상기 토출구(170) 내부에 돌출되어 세면수가 저류되도록 배수 유입돌기(180)가 돌출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배수통로(190)가 형성되어 세면수 배출을 위한 플렉시블관(200)과 연통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상면과 접촉되는 결합편(210)은, 내부에 암나사(220)가 형성되어 배수 저류관(140) 상측 주연의 나사부(220')와 결합되어 배수 유도관(130)을 고정토록 설치되며, 이때 상기 결합편(210) 내부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250)이 착설되는 한편,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상면 일측에는 키이(230a)가 돌출되고, 그 표면에 결합되는 결합편(210)의 주면 일측에 키이홈(230b)이 형성되어 결합편(210)의 유동을 방지토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세면기 배수관(110)과 연통 연결되어 배수 유도관(130)을 결합하는 결합너트(120)와,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상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고무링(240)이 착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세면기측 배수관(110) 하측으로 결합너트(120)를 개재하여 배수 유도관(130)을 연통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 유도관(130)은 그 하측으로 세면수가 저류되는 배수 저류관(140)을 개재하여 하수관과 연결 설치하여,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면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 유도관(130)은, 중앙으로 형성되는 단차부(160) 하측으로 일측이 개방된 토출구(170)를 형성시켜, 상기 개방된 토출구(170)를 통해 세면수가 배출되어 저류부(140)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토출구(170) 저면(底面)은 경사진 경사부(K)가 형성되어 세면수가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하측 토출구(170)가 내삽되어 세면수의 일부를 저류시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배수 저류관(140)은, 중앙에 배수 유입돌기(180)가 돌출되어 상기 토출구(170) 내부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며 돌출토록 됨으로써, 상기 배수 유입돌기(180)의 높이만큼 세면수가 저류되어 배수관을 통한 악취의 역류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게속해서, 상기 배수 저류관(140)의 하측에는 배수통로(190)가 형성되어 플렉시블관(200)과 연통 연결됨으로써, 배수 저류관(140)의 세면수가 일부만 저류되고 상기 배수통로(190)를 통해 손쉽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상면과 접촉되는 결합편(210)은, 내부에 암나사(220)가 형성되어 배수 저류관(140) 상측 주연의 나사부(220')와 결합되어 배수 유도관(13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상기 결합편(210) 내부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250)이 착설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상면 일측에는 키이(230a)가 돌출되고, 그 표면에 결합되는 결합편(210)의 주면 일측에 키이홈(230b)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편(210)이 배수 유도관(130)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세면기 배수관(110)과 연통 연결되어 배수 유도관(130)을 결합하는 결합너트(120)와,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상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고무링(240)이 착설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상면과 접촉되는 결합편(210)은, 상기 단차부(160)와 일체로 용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인 세면기용 트랩에 의하면,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관과 결합너트를 통해 연결되는 배수 유도관 하측으로 일측이 개방된 토출구를 형성하여, 세면수의 신속한 배수를 유도하면서, 머리카락 등과 같이 이물질등이 상기 배수 유도관에 막히는일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상기 배수 유도관 저부 중앙으로 배수 저류관의 배수 유입돌기가 형성되어 세면수의 신속한 배수 및 소량의 물에 의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시키며, 특히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관과 동축상으로 배수 유도관 및 배수 저류관이 설치되어 신속한 세면수의 배출은 물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 및 분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세면기용 트랩의 세면기측 배수관(110) 하측으로 결합너트(120)를 개재하여 배수 유도관(130)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수 유도관(130)은 그 하측으로 세면수가 저류되는 배수 저류관(140)을 개재하여 하수관과 연결 설치되는 세면기용 트랩에 있어서,
    상부에 나사부(150)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20)를 개재하여 세면기 배수관(110)과 결합되어 연통 연설되고, 중앙으로 형성되는 단차부(160)) 하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토출구(170))가 형성되어 세면수가 배출토록 설치되는 배수 유도관(130);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하측 토출구(170)가 내삽되고, 중앙에는 상기 토출구(170) 내부에서 돌출되어 세면수가 저류되도록 배수 유입돌기(180)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배수통로(190)가 형성되어 세면수 배출을 위한 플렉시블관(200)과 연통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배수 저류관(140); 및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상면과 접촉되며, 내부에 암나사(220)가 형성되어 배수 저류관(140) 상측 주연의 나사부(220')와 결합되어 배수 유도관(130)을 고정토록 설치되는 결합편(21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관(130)과 배수 저류관(140)을 결합하는 결합편(210) 내부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250)이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트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상면 일측에는 키이(230a)가 돌출되고, 그 표면에 결합되는 결합편(210)의 주면 일측에 키이홈(230b)이 형성되어 결합편의 유동을 방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트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상면에는 결합편(210)의 내측 주면이 일체로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트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기 배수관(110)과 연통 연결되어 배수 유도관(130)을 결합하는 결합너트(120)와,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상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고무링(240)이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트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토출구(170) 저면은, 세면수의 신속한 배수를 위한 경사진 경사부(K)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트랩.
KR20-2003-0004762U 2003-02-18 2003-02-18 세면기용 트랩 KR200313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762U KR200313969Y1 (ko) 2003-02-18 2003-02-18 세면기용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762U KR200313969Y1 (ko) 2003-02-18 2003-02-18 세면기용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969Y1 true KR200313969Y1 (ko) 2003-05-22

Family

ID=4933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762U KR200313969Y1 (ko) 2003-02-18 2003-02-18 세면기용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9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72B1 (ko) 2011-10-11 2013-06-24 서상봉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160002081U (ko) * 2014-12-08 2016-06-16 김기옥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조
KR200484438Y1 (ko) * 2016-08-11 2017-09-07 (주)대성금속 필터부를 구비한 벨모양 배수트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72B1 (ko) 2011-10-11 2013-06-24 서상봉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160002081U (ko) * 2014-12-08 2016-06-16 김기옥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조
KR200480792Y1 (ko) * 2014-12-08 2016-07-07 김기옥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조
KR200484438Y1 (ko) * 2016-08-11 2017-09-07 (주)대성금속 필터부를 구비한 벨모양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200313969Y1 (ko) 세면기용 트랩
KR200395213Y1 (ko) 세면기용 배수트랩
KR200395112Y1 (ko) 세면대용 트랩 구조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20030012778A (ko) 배수트랩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1277772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449978Y1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KR200305388Y1 (ko) 배수용 트랩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200305387Y1 (ko) 배수용 트랩
KR200358904Y1 (ko) 세면기용 트랩
KR200388695Y1 (ko) 악취 방지 하수구 덮개
KR200367296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331009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1312665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317146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230642Y1 (ko) 하수구 덮개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224929Y1 (ko) 세면대의 배수연결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