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449B1 - 소변튐 방지 좌변기 - Google Patents

소변튐 방지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449B1
KR102503449B1 KR1020210103856A KR20210103856A KR102503449B1 KR 102503449 B1 KR102503449 B1 KR 102503449B1 KR 1020210103856 A KR1020210103856 A KR 1020210103856A KR 20210103856 A KR20210103856 A KR 20210103856A KR 102503449 B1 KR102503449 B1 KR 102503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ilet
washing water
toilet seat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908A (ko
Inventor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이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덕 filed Critical 이재덕
Priority to KR102021010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4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8Covers with urine fun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이 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돌출부가 회동하면 차단막이 전면으로 펼쳐져 소변이 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을 예방하며, 상기 전면돌출부와 결합된 세척수호스는 차단막의 내면에 묻은 잔여 소변을 세척하고 진공호스가 악취를 흡기함으로써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변튐 방지 좌변기 {Anti-spill toilet seat}
본 발명은 소변이 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돌출부가 회동하면 차단막이 전면으로 펼쳐져 소변이 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을 예방하며, 상기 전면돌출부와 결합된 세척수호스는 차단막의 내면에 묻은 잔여 소변을 세척하고 진공호스가 악취를 흡기함으로써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변기본체, 좌변시트 및 변기덮개로 이루어져서 별도 공
간인 화장실에 설치되어 걸터앉은 자세에서 용변을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기기로서, 사용자의 대변과 소변을 모두 해결할 수 있고 물탱크에 담긴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외부의 하수도로 흘려 보낸다.
대변을 볼 경우에는, 좌변시트를 변기본체의 림 위에 안착시켜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게 하고, 소변을 볼 경우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좌변시트를 들어올려 변기본체로부터 좌변시트를 이격시킨 후 소변을 보게 한다.
가정은 물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호텔, 공항, 요식업체 등을 비롯한 많은 곳에서도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화장실에 좌변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어 좌변기의 사용은 일반화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곳의 화장실 면적이 넓어 소변기와 좌변기를 별도로 설치할 경우에는 소변시 또는 대변 시 각각 다른 양변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특별하게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소변기가 따로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변기의 사용자가 꽉 차있어 빈 자리가 없어 대변기에 소변을 보거나, 화장실의 면적이 좁아 소변기와 양변기를 설치하지 않은 화장실의 경우 남,녀 구분없이 좌변기를 공용으로 이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남,녀 구분없이 좌변기를 공용으로 사용할 경우, 남성들이 소변을 보기 위해서는 좌변기의 본체의 상부에 위치한 좌변시트를 세운 뒤에 소변을 보아야 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좌변시트의 아래쪽이 불결하여 좌변시트를 잡고 올리는 과정에서 남성의 손에 균이 많이 묻을 수 있어 매우 비위생적이며, 좌변시트를 세워둔 상태에서 좌변시트 아래쪽의 균이 좌변시트의 위쪽으로 물을 타고 내려와서 여성에게도 매우 비위생적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사용자의 경우 상기와 같이 좌변시트를 세우지도 않고 소변을 보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데, 이때 양변기와의 낙차로 소변과 좌변기 내의 물이 비산되어 화장실 내부를 오염시키거나 좌변시트에 비산될 경우에는 다음 이용자들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것은 물론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이렇게 비산된 소변은 좌변기 주위에서 건조됨으로서 악취발생의 가장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고 위생적으로 대단히 불결한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그로 인해, 특히 다수의 공중이 사용하는 병원, 공항, 역 등에서는 화장실의 청결을 위해 많은 관리비용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10-2015-0096962와 등록특허 10-1186534에서는 공통적으로 소변이 변기본체의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차단막이 구비된다.
두 문헌에서의 차단막은 상기 좌변시트를 들어올리면 상기 차단막도 연동되어 펼쳐지면서 양측면에 벽이 형성되어 소변이 외부로 튀지 못하게 하고 변기 내부로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화장실 위생의 청결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두 문헌의 경우 차단막에 부착된 잔여 소변을 세척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으며, 소변이 건조되어 악취유발물질만 남게 되어 찌린내가 발생하면서 악취가 화장실 전 공간으로 퍼져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차단막의 잔여 소변이 좌변시트로 퍼지는 등 다음 이용자가 이용하기 곤란한 상황이 연출된다.
이는 다음 이용자가 청결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세척수단을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이며, 본래의 목적인 좌변기의 위생과 청결 도모에도 부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남성이 서있는 자세로 좌변기에 소변을 보는 경우 좌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잔여 소변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다음 이용자도 이용시에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의 개발이 대두된다.
KR 10-2015-0096962 (A) 2016.08.26. KR 10-1186534 (B1) 2012.09.2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변시트의 전면돌출부를 회동시키면 차단막이 펼쳐지면서 내벽이 형성되어 소변이 둔부와 접촉되는 좌변시트로 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좌변기 및 화장실의 청결과 위생을 도모할 수 있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차닥막의 내측테두리를 따라 진공호스 또는 세척수호스가 구비되어 차단막과 같이 회동하며, 상기 세척수호스는 차단막의 내벽에 잔류하는 소변을 세척하고 상기 진공호스는 주변 공기를 흡기함으로써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하여 쾌적하고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변시트의 전면돌출부는 절개림의 회전받침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전면돌출부가 회전받침부의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소변이 묻지않아 좌변시트의 전면도 청결이 유지될 수 있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막의 내측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진공호스 또는 세척수호스는 이용자의 둔부가 닿는 부분인 좌변시트의 접촉면의 하방으로 배치되므로 둔부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이용자가 불결함을 느끼지 않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절개림의 하부면에 이격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림이 변기본체의 본체림과 이격되도록 하여 형성된 공간에 진공호스 또는 세척수호스가 지나가므로 전면이 절개된 절개림의 및 호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려하고 이용자가 좌변기 이용시에 걸림이 되지 않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기덮개와 좌변시트를 회동시키는 전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이용자가 변기덮개 및 좌변시트를 손으로 회동시키지 않고 자동화하여 이용자의 청결한 위생을 도모할 수 있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장실 바닥에 하부가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용변공간(120)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둥근모양으로 테두리를 이루는 본체림(110)이 형성되는 변기본체(100); 상기 본체림(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전면부 끝단이 직선으로 절개된 형상의 회전받침부(230)가 형성되는 절개림(200); 상기 절개림(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받침부(230)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돌출부(430)가 상기 회전받침부(230)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좌변시트(400); 상기 좌변시트(400)의 내측과 결합되며, 상기 좌변시트(400)의 전면돌출부(430)가 회동하면서 펼쳐지는 차단막(300); 및 상기 좌변시트(4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좌변시트(400)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는 변기덮개(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변시트(400)의 전면부 끝단에 위치한 전면돌출부(430)는 상기 절개림(200)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차단막(300)이 전면으로 펼쳐져 상승하면, 상기 전면돌출부(430)의 끝단이 상기 회전받침부(230)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좌변시트(400)의 폭은 상기 절개림(200)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막(300)이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내측 테두리를 따라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막(300)의 펼침에 따라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가 차단막(300)의 전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막(3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는 둔부와 닿는 부분인 좌변시트(400)의 접촉면(410)보다 낮게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개림(20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절개림(200)을 상기 본체림(110)과 이격시키며 내부에 상기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가 지나가는 공간이 마련된 이격수용부(240)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좌변시트(400)와 변기덮개(500)를 회동시키는 전동모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전동모터와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키패트가 구비된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면돌출부(430)가 회전받침부(230)를 기준을 회동할 때에, 상기 좌변시트(400)는 상기 절개림(200) 상부와 접촉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튐 방지 좌변기는 좌변시트의 전면돌출부를 회동시키면 차단막이 펼쳐지면서 내벽이 형성되어 소변이 둔부와 접촉되는 좌변시트로 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좌변기 및 화장실의 청결과 위생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닥막의 내측테두리를 따라 진공호스 또는 세척수호스가 구비되어 차단막과 같이 회동하며, 상기 세척수호스는 차단막의 내벽에 잔류하는 소변을 세척하고 상기 진공호스는 주변 공기를 흡기함으로써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하여 쾌적하고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변시트의 전면돌출부는 절개림의 회전받침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전면돌출부가 회전받침부의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소변이 묻지않아 좌변시트의 전면도 청결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막의 내측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진공호스 또는 세척수호스는 이용자의 둔부가 닿는 부분인 좌변시트의 접촉면의 하방으로 배치되므로 둔부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이용자가 불결함을 느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개림의 하부면에 이격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림이 변기본체의 본체림과 이격되도록 하여 형성된 공간에 진공호스 또는 세척수호스가 지나가므로 전면이 절개된 절개림의 및 호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려하고 이용자가 좌변기 이용시에 걸림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덮개와 좌변시트를 회동시키는 전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이용자가 변기덮개 및 좌변시트를 손으로 회동시키지 않고 자동화하여 이용자의 청결한 위생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튐 방지 좌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튐 방지 좌변기의 구성으로, (a)는 변기본체의 평면도, (b)는 절개림의 평면도, (c)는 좌변시트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튐 방지 좌변기에서 차단막이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튐 방지 좌변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튐 방지 좌변기에서 차단막이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튐 방지 좌변기에서 차단막이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변튐 방지 좌변기는 소변이 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실 바닥에 하부가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용변공간(120)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둥근모양으로 테두리를 이루는 본체림(110)이 형성되는 변기본체(100);
상기 본체림(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전면부 끝단이 직선으로 절개된 형상의 회전받침부(230)가 형성되는 절개림(200);
상기 절개림(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받침부(230)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돌출부(430)가 상기 회전받침부(230)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좌변시트(400);
상기 좌변시트(400)의 내측과 결합되며, 상기 좌변시트(400)의 전면돌출부(430)가 회동하면서 펼쳐지는 차단막(300); 및
상기 좌변시트(4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좌변시트(400)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는 변기덮개(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변튐 방지 좌변기의 목적은 차단막(300)이 펼쳐지며 내벽이 형성되어 소변이 좌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을 막아 좌변기 및 화장실의 청결과 위생을 도모할 수 있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변기본체(100)의 상부면에 굽은 형상의 본체림(110)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림(110)의 상부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림(110)보다 약간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좌변시트(400)가 놓인다. 상기 좌변시트(400)는 좌변기 이용자의 둔부와 접촉되는 접촉면(410)이 상부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림(110)과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에 결합되는 차단막(300)이 구비되어, 상기 전면돌출부(430)의 회동시에 상기 차단막(300)이 펼쳐지면서 양측면과 후면이 폐쇄되도록 내벽을 형성하게 된다. 전면은 개방되어 상기 변기시트의 개방된 면으로 소변을 보면서 폐쇄된 양측면 및 후면의 내벽이 좌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좌변시트(4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가 배치된다.
상기 세척수호스(220)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분사구(221)를 통해 차단막(300)의 내벽면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한다. 따라서 소변을 본 후에 차단막(300)의 내벽면에 잔류하는 소변을 깨끗이 세척한다.
상기 진공호스(210)는 외부의 흡입펌프(미도시)를 통하여 흡입구(211) 주변의 공기를 흡기하여 잔류하는 악취유발물질을 빨아들여 악취가 화장실 전 실로 퍼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따라서 소변을 볼 시에 일부 소변이 좌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을 차단막(300)이 막아주며, 상기 차단막(300)의 내벽면에 묻어있는 잔류소변을 세척수를 분사하여 청소하여 잔류소변으로 인해 불결함을 제거하고, 상기 진공호스(210)가 주변의 공기를 흡기함으로써 악취를 흡수하여 화장실 내에서는 잔류 소변이 남지않고 찌린내와 같은 악취도 제거되므로 청결과 위생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변튐 방지 좌변기에서 변기본체(100)는 용변을 수용하여 외부의 하수로 흘려보내는 곳으로서, 하부면이 화장실의 바닥에 고정설치되고 상부는 개방된 굽은 형상의 본체림(110)이 형성된다. 후방에는 용변을 흘려보내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림(110)은 후술할 절개림(200)이 안착되고 지지되는 부분으로, 약간 얇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서 둥근모양으로 테두리를 이룬다.
남성은 개방된 상부면을 통하여 상기 본체림(110)의 내측을 향하여 소변을 보지만 의도치 않게 소변이 본체림(110)의 테두리에 묻거나 또는 본체림(110)의 외측으로 소변줄기가 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차단막(300)이 상기 본체림(11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될 수 있으며, 차단막(300)이 상기 본체림(110)의 상부로 펼쳐지면서 소변이 튀는 것을 막는 내벽이 형성되어 소변이 본체림(110)의 외측으로 튀지 않으며 본체림(110)의 내측으로 소변이 들어가도록 유도한다.
상기 본체림(110)의 하부에는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용변공간(120)이 형성된다. 상기 용변공간(120)으로 소변 및 대변을 수용하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용변공간(120)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외부의 하수도(미도시)로 배출된다.
상기 본체림(110)의 전면부 끝단은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술할 절개림(200)의 회전받침부(230)와 일치될 정도로 직선과 가까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림(110)의 전면부 끝단은 회전받침부(230)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될 수 없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림(110)의 상부에는 절개림(200)이 배치된다. 상기 절개림(200)은 상기 변기본체(100)와 고정결합된다.
상기 절개림(200)은 상기 본체림(110)의 형상을 따라 일치하거나 유사하도록 형성된다. 절개림(200)의 폭(a)도 상기 본체림(110)의 폭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절개림(200)의 폭(a)은 후술할 좌변시트(400)의 폭(b)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없다. 좌변시트(400)의 내측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절개림(200)의 내측테두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전면돌출부(430)가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는 절개림(200)과 이웃하도록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절개림(200)의 하부면에는 이격수용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수용부(240)는 받침대의 기능을 가지는 형상이며 내부에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이격수용부(240)는 산과 골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림(200)의 하부면이 본체림(110)의 상부면과 일정 이격되도록 받치고 있으며,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진공호스(210)와 세척수가 통과하면서 지나간다.
상기 이격수용부(240)는 절개림(200)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절편의 형상으로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는 후술할 좌변시트(4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다가 일측에서 절개림(200)을 통과하여 상기 이격수용부(240)에서 지나간다. 이격수용부(240)를 통과한 후 좌변기 외측의 흡입펌프(미도시) 및 세척수공급장치(미도시)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이격수용부(240)에는 후술할 전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미도시)이 상기 진공호스(210)와 세척수와 함께 지나갈 수 있다.
상기 절개림(200)에는 전면부의 끝단이 직선으로 절개된 형상의 회전받침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림(200)의 상부에는 좌변시트(40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받침부(230)는 후술할 좌변시트(400)가 회동할 시에 중심축이 되는 직선이다.
상기 회전받침부의 끝단에는 전면돌출부(430)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1모터(231)이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좌변시트(400)의 전면부 끝단인 전면돌출부(430)는 상기 절개림(200)의 회전받침부(230)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받침부(230)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면돌출부(430)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전면돌출부(430)가 90°이상으로 회동시에 좌변시트(400)의 전면돌출부(430)는 회전받침부(230)의 아래로 회전하면서 변기본체(100)의 용변공간(120)의 저면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받침부(230)보다 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면돌출부(430)과 결합된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는 상기 회전받침부(230)를 축으로 회동 시에 90°보다 더 회동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회전받침부(230)보다 더 전방으로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절개림(200)의 상부에 놓이는 좌변시트(400)는 좌변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둔부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림(110)과 유사하게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중앙부를 통해 용변이 통과하여 변기본체(100)의 용변공간(120)으로 수용된다.
상기 좌변시트(400)의 상부면은 이용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접촉면(4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접촉면(410)은 수평으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좌변시트(400)는 절개림(200)의 상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돌출부(430)가 회전받침부(230)를 기준을 회동할 때에, 상기 좌변시트(400)는 상기 절개림(200) 상부와 접촉된다.
좌변시트(400)와 후술할 전면돌출부(430)는 분리되어 제1모터(231)가 회전시 에 좌변시트(400)는 절개림(200)과 접촉되어 있고, 전면돌출부(430)가 회전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접촉면(410)의 폭은 하부에 위치한 절개림(200)의 폭(a)보다 유사하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접촉면(410)의 폭과 후술할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의 너비와 합한 값(b)은 상기 절개림(200)의 폭(a)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좌변시트(400)의 내측 테두리에는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가 테두리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상기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는 접촉면(410)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좌변기 이용자의 둔부가 상기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에 닿지 않는다.
상기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는 상기 접촉면(41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좌변시트(400)의 저면보다 더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가 절개림(200)의 내측 테두리보다 중앙부 방향의 내측으로 더 배치되어 간섭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림(200)과 동일한 높이로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는 전면돌출부(430)에 결합되어 전면돌출부(430)가 회동시에 상기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도 회전돌출부(430)를 따라 회동한다. 또한, 차단막(300)의 일단이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에 결합되므로 전면돌출부(430)가 회동하면 차단막(300)도 같이 펼쳐진다.
상기 진공호스(210)는 좌변시트(4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진공호스(210)를 따라 복수개의 흡입구(211)가 상호 이격되면서 형성된다. 좌변기 외부의 흡입펌프(미도시)가 흡기하면 상기 흡입구(211)에서 좌변기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어 좌변기와 화장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유발물질이 제거되어 쾌적한 화장실 공기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호스(220)도 좌변시트(4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호스(220)를 따라서 복수개의 분사구(221)가 상호 이격되면서 형성된다. 좌변기 외부의 세척수공급장치(미도시)가 상기 세척수호스(220)에 세척수을 공급하면 분사구(221)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면서 후술할 차단막(300)의 내벽면에 묻은 잔류소변이나 오물 등을 세척한다. 따라서 소변이나 오물 등이 건조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것이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는 좌변시트(4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일측에서 상기 절개림(200)의 하부면으로 연결되어 회전받침부(230)의 내부공간으로 지나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변시트(400)의 폭(b)은 접촉면(410)의 폭과 상기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의 너비를 합한 값이다. 상기 접촉면(410)은 좌변기 이용자의 둔부가 닿는 곳이며, 상기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는 좌변시트(4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구비되어 접촉면(410)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는 접촉면(410)보다 더 낮은 위치로 배치되므로 이용자의 둔부에 닿지 않는다.
상기 좌변시트(400)의 폭(b)은 절개림(200)의 폭(a)보다 넓게 형성된다. 좌변시트(400)에서 접촉면(410)의 폭은 절개림(200)의 폭(a)과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좌변시트(400)의 내측에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가 더 구비되므로 좌변시트(400)의 폭(b)은 절개림(200)의 폭(a)보다 넓다.
상기 좌변시트(400)는 상기 절개림(200)의 상부에 올려지기 때문에 절개림(200)에 형성된 회전받침부(230)와 접촉된다.
상기 전면돌출부(430)와 절개림(200)은 회전받침부(230)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와 부싱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회전받침부(23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시에 전면돌출부(430)는 아래로 하강하면서 회동하고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는 위로 올라오면서 회동한다. 즉, 상기 전면돌출부(430)는 종래의 좌변기의 좌변시트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돌출부(430)는 수평으로 누워있는 상태에서 회동되면 90°보다 더 회동되도록 움직인다.
상기 좌변시트(400)의 전면부에는 전면돌출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돌출부(430)는 회전받침부(230)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된다. 통상 전면돌출부(430)는 좌변기의 이용자가 주로 손으로 잡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부분이다.
전면돌출부(430)의 회동시에 차단막(300)이 펼쳐지면서 전면돌출부(430)는 아래로 하강하면서 이동하며, 90°보다 더 회동되면서 상기 전면돌출부(430)의 끝단이 회동의 중심축이 되는 회전받침부(230)의 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좌변기에서 소변을 볼 때에 상기 전면돌출부(430)는 변기본체(100)의 용변공간(120) 저면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소변줄기가 닿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면돌출부(430)가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용자는 청결이 유지되는 전면돌출부(430)를 잡고 좌변기를 이용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상기 좌변시트(400)의 전면돌출부(430) 하부에는 전동으로 작동되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돌출부(430)를 회동시키는 전동모터를 제1모터(231)로 지칭하며, 후술할 변기덮개(500)를 회동시키는 전동모터를 제2모터(510)로 지칭한다. 제1모터(231)와 제2모터(510)를 포괄적으로 지칭시에는 전동모터로 지칭한다.
상기 제1모터(231)는 상기 전면돌출부(4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좌변시트(400), 절개림(200) 또는 변기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위치 및 구조를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전면돌출부(430)를 전동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위치와 구조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23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통하여 상기 좌변시트(400)를 손수 회동시키는 것이 아닌 전동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위생적인 측면에서 이용자의 청결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면돌출부(430)는 절개림(200)의 회전받침부(230)를 중심축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제1모터(231)는 절개림(200)의 회전받침부(230)와 결합된 좌변시트(400)의 힌지, 부싱과 같은 결합수단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돌출부(430)에는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가 결합되어 상기 전면돌출부(43)의 회동 동작과 연계되어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도 함께 회동한다.
상기 전면돌출부(430)가 회전받침부(230)를 축으로 회동하면 차단막(300)이 펼쳐지면서 소변이 좌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벽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막(300)은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전면돌출부(430)의 회동시에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와 상기 본체림(110) 사이의 양측면과 후면을 모두 차단한다.
상기 차단막(300)의 일단이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와 결합되어 상기 전면돌출부(430)의 회동 동작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즉, 상기 전면돌출부(430)가 회동되면 상기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도 회동하며, 상기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에 결합된 차단막(300)이 펼쳐지는 것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차단막(300)의 일단이 세척수호스(22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차단막(300)이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내측 테두리를 따라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가 구비된다. 상기 차단막(300)의 펼침에 따라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가 차단막(300)의 전면에 배치된다.
차단막(300)의 타단이 절개림(200)과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림(110)에도 결합될 수 있으며 좌변시트(400)의 회동시에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결합 위치면 충분하다.
전면돌출부(430)가 회동하는 경우 차단막(300)의 일단이 상기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를 따라 상승하면서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와 절개림(200) 사이의 양측면과 후면에 내벽을 형성한다.
상기 차단막(300)은 부채꼴의 모양으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전면돌출부(430)가 회전받침부(230)를 축으로 회동하므로 펼쳐진 차단막(300)은 회전받침부(230)가 있는 전면부가 좁고 후면부가 넓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막(300)은 좌변시트(400)와 절개림(200) 사이에 접힌 상태로 있다가 좌변시트(400)의 상승시에 주름시트식으로 펼쳐질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차단막(300)은 신축성이 좋은 소재로 되어 좌변시트(400)의 상승시에 큰 저항없이 늘어나면서 양측면과 후면에 내벽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막(300)을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막(300)의 신장되는 길이는 좌변시트(400)가 100°내지 120°사이로 펼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변시트(400)가 일정 각으로 펼쳐지면 더이상 펼쳐지지 못하도록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300)이 전면으로 펼쳐져 상승하면, 상기 전면돌출부(430)의 끝단이 상기 회전받침부(230)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차단막(300)은 펼쳐지는 동작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지지대(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된다.
상기 지지대(310)는 차단막(300)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기 위하여 보조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막(300)은 내측이 넉넉한 공간을 형성하여서 소변을 여유롭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300)은 진공호스(210) 및 세척수호스(220)와 절개림(200) 사이에 내벽면을 형성하여서 소변이 외측으로 튀지않고 용변공간(120)으로 수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막(300)의 내벽면은 소변과 부딪히면서 일정 잔류 소변이 남아있어 잔류소변이 건조될 시에 악취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잔류소변을 제거하기 위하여 좌변시트(400)에 구비된 세척수호스(220)에서 분사구(221)를 통해 세척수가 차단막(300)의 내벽면을 향하여 분사되며 잔류 소변을 씻어내 세척수와 함께 용변공간(120)으로 흘려보낸다.
따라서 좌변기 이용자가 소변을 보고 차단막(300)의 내벽면에 묻은 잔류 소변을 세척하므로 좌변기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좌변시트(400)의 상부에는 상기 좌변시트(400)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변기덮개(500)가 구비된다. 상기 변기덮개(500)는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2모터(510)가 설치되어 있다.
제2모터(510)는 전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변기덮개(500)를 열고 닫는 동작을 전동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좌변기의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만지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전면돌출부(430)를 전동으로 동작시키는 제1모터(231)와 상기 변기덮개(500)를 전동으로 동작시키는 제2모터(5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가 변기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제1모터(231)와 제2모터(510)로 이루어지는 전동모터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전면돌출부(4030)와 변기덮개(500)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진공호스(210)에서 흡입구(211)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동작과 세척수호스(220)에서 분사구(221)를 통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에서는 전면돌출부(430)의 펼침 및 접힘 동작, 변기덮개(500)의 펼침 및 접힘 동작, 세척수 분사 동작, 흡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된다. 이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버튼을 누르게 함으로써 이용자가 손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막아 오물이 묻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청결을 도모한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다수개의 키패드를 포함하며, 비데 제어부의 일요소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변튐 방지 좌변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남성이 좌변기를 이용하여 소변을 보고자 할 경우, 제어부(600)에서 변기덮개(500)를 상승시키는 버튼을 눌러 변기덮개(500)가 제2모터(510)에 의하여 후방으로 펼쳐질 수 있다. 또는, 이용자가 직접 변기덮개(5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600)에서 전면돌출부(430)를 펼침 동작을 수행하는 버튼을 눌러 전면돌출부(430)가 제1모터(231)에 의하여 회동할 수 있다. 또는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전면돌출부(43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면돌출부(430)가 회동하면 절개림(200)의 회전받침부(230)를 중심축으로 90°보다 더 회전한다. 이때의 최대 회전각은 전면돌출부(430) 지나치게 회동하게 되면 소변을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의 개방된 중앙부로 통과시키기가 곤란하므로 100°°이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받침부(230)를 중심으로 좌변시트(400)의 전면돌출부(430)는 아래로 하강하면서 용변공간(120) 저면 아래로 들어가며 회전받침부(230)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고, 진공호스(210)와 세척수호스(220)는 위로 상승하면서 회전받침부(230)보다 더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면돌출부(430)가 불규칙한 소변줄기에 묻는 것이 방지되어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300)은 일단이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 결합되고, 타단이 절개림(200) 또는 변기본체(100)의 본체림(110)에 결합되므로 상기 전면돌출부(430)가 회동하면서 상기 차단막(300)도 펼쳐진다. 이때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게 되며 이용자가 좌변시트(400)의 개방된 중앙부를 통해 소변을 통과시키면 차단막(300)은 그 소변이 좌변기 외측으로 튀는 것을 차단한다.
소변을 다 본 후에는 이용자가 세척수호스(220)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누르면 외부의 세척수공급장치(미도시)에서 세척수를 세척수호스(220)에 공급하고, 상기 세척수호스(220)에 형성된 분사구(221)를 통하여 세척수를 분사한다. 분사구(221)는 좌변시트(4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부분에서만 형성된다.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어 차단막(300)의 내면에 묻어있는 잔류소변을 세척한다.
또한, 용변을 보고 악취가 퍼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제어부(600)에서 진공호스(210)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눌러 외부의 흡입펌프(미도시)가 작동하여 흡입구(211)를 통하여 주변의 공기를 흡기한다.
이후 제어부(600)에서 좌변시트(400)의 접힘 동작을 수행하는 버튼을 눌러서 좌변시트(400)를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회동시키며 이 과정에서 차단막(300)도 함께 접힌다. 또한 변기덮개(500)를 제어부(600) 또는 손을 이용해서 다시 덮어 좌변기의 이용을 완료한다.

100:변기본체 110:본체림 120:용변공간
200:절개림 210:진공호스 211:흡입구 220:세척수호스 221:분사구
230:회전받침부 231:제1모터 240:이격수용부
300:차단막 310:지지대
400:좌변시트 410:접촉면 430:전면돌출부
500:변기덮개 510:제2모터 600:제어부
a:절개림의 폭 b:좌변시트의 폭

Claims (8)

  1. 화장실 바닥에 하부가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용변공간(120)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둥근모양으로 테두리를 이루는 본체림(110)이 형성되는 변기본체(100);
    상기 본체림(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전면부 끝단이 직선으로 절개된 형상의 회전받침부(230)가 형성되는 절개림(200);
    상기 절개림(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받침부(230)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돌출부(430)가 상기 회전받침부(230)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좌변시트(400);
    상기 좌변시트(400)의 내측과 결합되며, 상기 좌변시트(400)의 전면돌출부(430)가 회동하면서 펼쳐지는 차단막(300); 및
    상기 좌변시트(4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좌변시트(400)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는 변기덮개(500);를 포함하며;
    상기 좌변시트(400)의 전면부 끝단에 위치한 전면돌출부(430)는 상기 절개림(200)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차단막(300)이 전면으로 펼쳐져 상승하면, 상기 전면돌출부(430)의 끝단이 상기 회전받침부(230)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시트(400)의 폭은 상기 절개림(200)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300)이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내측 테두리를 따라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막(300)의 펼침에 따라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가 차단막(3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3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는 둔부와 닿는 부분인 좌변시트(400)의 접촉면(410)보다 낮게 배치되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림(20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절개림(200)을 상기 본체림(110)과 이격시키며 내부에 상기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가 지나가는 공간이 마련된 이격수용부(240)가 형성되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
  7. 제4항에 있어서,
    좌변시트(400)와 변기덮개(500)를 회동시키는 전동모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전동모터와 진공호스(210) 또는 세척수호스(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키패트가 구비된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돌출부(430)가 회전받침부(230)를 기준을 회동할 때에, 상기 좌변시트(400)는 상기 절개림(200) 상부와 접촉되어 있는
    소변튐 방지 좌변기.
KR1020210103856A 2021-08-06 2021-08-06 소변튐 방지 좌변기 KR102503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856A KR102503449B1 (ko) 2021-08-06 2021-08-06 소변튐 방지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856A KR102503449B1 (ko) 2021-08-06 2021-08-06 소변튐 방지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908A KR20230021908A (ko) 2023-02-14
KR102503449B1 true KR102503449B1 (ko) 2023-02-23

Family

ID=8522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856A KR102503449B1 (ko) 2021-08-06 2021-08-06 소변튐 방지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4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462A (ja) * 2004-06-03 2005-12-15 Takeo Oshizawa 洋式便器の飛沫遮断具
CN205729233U (zh) * 2016-05-05 2016-11-30 连保东 一种男性小便池与座便式马桶结合的新型马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534B1 (ko) 2009-08-05 2012-10-08 서주원 자동승강식 변기시트와 착탈식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좌변기
KR101555427B1 (ko) 2014-02-17 2015-09-25 김진혁 양변기용 오염 방지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462A (ja) * 2004-06-03 2005-12-15 Takeo Oshizawa 洋式便器の飛沫遮断具
CN205729233U (zh) * 2016-05-05 2016-11-30 连保东 一种男性小便池与座便式马桶结合的新型马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908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80643A1 (en) Toilet
JPH10113364A (ja) 水洗便器付き介護用ベッド
JP2000024052A (ja) 便器が取り付けられた椅子兼用ベッド
KR101499107B1 (ko)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KR20210020948A (ko) 비데 샤워기를 갖는 변기
MX2007016205A (es) Dispositivo de excusado.
KR100944385B1 (ko)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100978796B1 (ko) 남성용 소변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503449B1 (ko) 소변튐 방지 좌변기
KR101186534B1 (ko) 자동승강식 변기시트와 착탈식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좌변기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26389Y1 (ko)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JP6229103B1 (ja) 男子の尿の飛沫で便器と、トイレの床や壁を汚さない洗浄便座
KR20130014667A (ko) 페달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소변 튐 방지 기능을 갖는 계란형 소변기
JP7488517B2 (ja) トイレユニット
JP2558873B2 (ja) 収納式便器ユニット
US11149424B2 (en) Restroom system
CN213851509U (zh) 可进行清洗和风干的护理轮椅
JP7208270B2 (ja) 複合便器及び複合便器を有するトイレ
KR200236424Y1 (ko) 양변기 좌대 세척장치
KR102482840B1 (ko) 위생 좌변기
JPH02274931A (ja) 収納式便器ユニット
KR200375570Y1 (ko) 재래식 겸용 양변기
KR20040064576A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
KR20220141439A (ko) 양변기와 소변기가 결합된 일체형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