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157B1 - 남성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 - Google Patents

남성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157B1
KR100614157B1 KR1020040054604A KR20040054604A KR100614157B1 KR 100614157 B1 KR100614157 B1 KR 100614157B1 KR 1020040054604 A KR1020040054604 A KR 1020040054604A KR 20040054604 A KR20040054604 A KR 20040054604A KR 100614157 B1 KR100614157 B1 KR 10061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toilet
lid
seat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5692A (ko
Inventor
구건모
Original Assignee
구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건모 filed Critical 구건모
Priority to KR102004005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1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05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8Covers with urine fun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뚜껑을 구비하는 좌석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 하부에 은폐되는 상태의 제1 위치와, 그 자유단부가 상기 뚜껑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한 상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뚜껑에 설치되며 상기 자유단부로 되는 상단과 상기 상단에 대향하는 하단에서 개방된 통형의 소변기, 상기 소변기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단, 상기 소변기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회전하도록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수단, 그리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소변기를 상기 뚜껑에 대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있게 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좌석식 양변기가 제공된다.
소변기, 양변기, 세척, 버튼, 돌출, 뚜껑

Description

남성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FLUSH TOILET HAVING A SEPARATE URINAL FOR MA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변기 잠금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양변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양변기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변기통
20: 좌판
30: 좌판 뚜껑
40: 소변기
50: 수조
60: 버튼
70: 소변기 고정장치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남성 전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 혹은 사무실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좌석식 양변기는 표현 그대로 대변 및 소변을 모두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양변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남성 및 여성의 경우가 다른데, 여성은 대변 혹은 소변 모두 양변기의 뚜껑을 열고 좌판 위에 둔부를 위치시킨 자세로 볼일을 보게 된다. 그러나, 남성의 경우에 있어서는 대변은 여성의 경우와 동일한 자세를 취하여 보게 되지만, 소변은 서 있는 자세로 보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양변기에 있어서는, 대변을 보는 경우에는 둔부 부분이 변기통에 최대한 밀착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배설물이 변기통 이외의 다른 부분에 낙하하는 일이 거의 없지만, 남성이 서 있는 자세로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소변 분출이 변기통으로부터 어느 거리 이상 떨어진 곳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설물이 종종 변기통 자체 및 화장실 바닥, 좌판 혹은 뚜껑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변기와 남성 전용의 소변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은 화장실의 공간 활용면에서 좋지 않고, 특히 가정용의 경우에는 미관에도 좋지않은 결과를 낳는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기술의 양변기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남성이 소변보는 경우 그 배설물을 보다 근거리에서 집요하여 변기통의 수변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남성의 소변을 집요한 부분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능을 갖는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을 구비하는 좌석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 하부에 은폐되는 상태의 제1 위치와, 그 자유단부가 상기 뚜껑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한 상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뚜껑에 설치되며 상기 자유단부를 형성하는 상단과 상기 상단에 대향하는 하단이 개방된 소변기, 상기 소변기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단, 상기 소변기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회전하도록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수단, 그리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소변기를 상기 뚜껑에 대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 로 있게 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좌석식 양변기를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소변기 내부에 설치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연결된 샤워헤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소변기의 외면에 형성된 고정용 홈, 그리고 상기 고정용 홈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뚜껑에 상기 고정용 홈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과 그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고정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고정봉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을 갖는 삼각부재, 그리고 상기 경사면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봉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부재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변기의 단면은 타원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변기(100)는 변기의 뚜껑(3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소변기(40)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소변기(40)는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갖는 통형의 부재이다. 소변기(40)는 양변기(100)의 뚜껑(30)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재(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1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소변기(40)의 자유단부(40a)의 일부가 뚜껑(30) 및 그 하부의 공간으로 숨겨져 은폐된 제1 상태와 소변기의 자유단부(40a)가 뚜껑(30) 상측으로 돌출한 제2 상태의 두 상태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소변기(4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통형의 부재로서, 양단을 가진다. 이하, 양단 중 자유단부(40a)로 되는 단을 상단이라 하고, 상단에 대향하는 양단 중 나머지 하나를 하단이라 한다. 자유단부(40a)로 되는 상단은 개방되어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20은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좌판을 의미하고, 도면부호 50은 용변을 본 후 변기통(10)을 세척할 때 필요한 세척수를 저장하는 수조이다.
좌판(20)과 뚜껑(30)은 힌지부(21)를 중심으로 변기통(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변기(40)는 각각 결합구멍(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한 쌍의 결합구(4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봉(32)은 결합구(42)의 결합구멍을 통과하여 지지판재(31)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변기(40)는 뚜껑(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토션 스프링(33)이 지지봉(32)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33)의 두 단부(하나만 도시됨)는 지지판재(31) 및 결합구(42)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소변기(40)는 뚜껑(30)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바이어스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기(40)는 그 자유단부(40a)가 뚜껑(30) 상부로 돌출하도록 즉, 제2 상태를 향해 회전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72는 소변기(4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소변기(40)를 뚜껑(30)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봉이고, 도면부호 62는 소변기(40)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봉(72)을 소변기(4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해제버튼이다.
도 3은 일부를 절결한 상태의 소변기(40)의 측단면도이다.
소변기(40)는 자유단부(40a)에서 소변을 집요하여 그 하부 즉,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46)를 통해 변기통(10)의 수변공간(受便空間;106;도 8 참조)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수구(46)는 수변공간(106)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소변기(40)의 단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타원형 혹은 다른 형상의 폐다각형일 수도 있다. 타원형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원형 단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보다 연장되고 수직방향으로 보다 축소된 형태의 타원형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소변기(40)는 내부에 세척기(44)를 구비하고 있다. 세척기(44)는 급수관(44b)과 샤워헤드(44a)를 포함한다. 급수관(44b)은 건물안으로 들어오는 상수관에 밸브 등을 거쳐 연결된다. 여기에서 밸브는 가정용 수도 밸브와 같이 인입수를 단속할 수 있는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샤워헤드(44a)는 직경이 작은 다수의 구멍(44c)을 구비하고 있으며, 급수관(44b)의 끝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급수관(44b)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면, 샤워헤드(44a)로부터 소변기(40)의 내면에 세척수가 분사되어 소변기(40)를 세척할 수 있다. 샤워헤드(44a)의 구멍(44c)의 크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속도 및 유량에 있어 적절한 형태의 세척수 분출을 얻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소변기(40)를 제1 상태에서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고정하거나 이러한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뚜껑(30)에는 소변기 잠금장치(60, 70)가 설치된다. 잠금장치(60, 70)는 고정봉(72)을 구비하고 있고, 소변기(40)의 측면에는 고정봉(72)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용 홈(40b)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잠금장치(60, 7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잠금장치(60, 70)는 해제부(60)와 잠금부(70)를 포함한다.
해제부(60)는 해제버튼(62)과 이를 수용하는 버튼 프레임(61)과 버튼 프레임(61) 내부에서 해제버튼(62)을 상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63)을 포함한다. 해제버튼(62)은 양변기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해제버튼(62)을 가압할 수 있는 가 압면을 제공하는 상단부(62a)와, 버튼 프레임(61)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해제버튼(62)이 수직운동을 할수 있도록 하는 측면(62b)과, 경사면(62d)이 형성된 하단부(62c)를 포함한다.
잠금부(70)는 고정봉(72)과, 고정봉(72)을 도면에서 우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76)과, 고정봉(72) 및 스프링(76)을 그 내부에 수용하고 고정봉(7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잠금 프레임(74)을 포함한다.
고정봉(72)에는 삼각부재(7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삼각부재(72b)는 경사면(62d)과 접촉하는 경사면(72a)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봉(7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72d) 주위에는 스프링(76)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봉(72)의 중앙부에는 고정봉(72)의 우측방향 진행을 제한하기 위한 돌출부(7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해제버튼(62)이 눌려지면 경사면(62d)과 경사면(72a)이 접촉하게 되고, 해제버튼(62)이 더욱 하강하면 고정봉(72)은 스프링(76)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방으로(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변기(40)의 고정용 홈(40b)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그 결과, 소변기(40)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소변을 볼 때의 본 발명의 양변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소변기(40)는 그 대부분이 뚜껑(30) 및 뚜껑(30) 하부에 은폐된 제1 상태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소변기의 고정용 홈(40b)에는 고정봉(72)이 삽입되어 있다.
제1 상태에서 소변을 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제버튼(62)을 누른다.
해제버튼(62)이 가압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봉(72)이 삽입홈(40b)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소변기(40)는 토션 스프링(33)의 힘에 의해 제2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제2 상태에서 사용자는 소변을 보게된다. 소변은 소변기(40)의 배수구(46)를 통해 변기통(10) 수변공간(106)에 떨어진다.
소변을 다 본 사용자가 급수관(44b)의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개방하면, 샤워헤드(44a)를 통해 세척수가 뿜어져 나와 소변기(40)의 내부를 세척한다.
그 후, 사용자는 소변기(40)를 가압하여 제1 상태로 회전시킨다. 제1 상태에 도달하기 직전에, 소변기(40)는 스프링(76)에 의해 소변기(40) 쪽으로 돌출한 상태의 고정봉(72)과 접촉하게 된다. 소변기(40)가 제1 상태를 향해 더욱 더 회전하면 고정용 홈(40b)이 고정봉(72)과 동일한 높이에 도달하게 되고 고정봉(72)은 고정용 홈(40b) 안으로 삽입된다. 그 결과, 소변기(40)는 뚜껑(30)에 대해 회전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에 있게 된다.
밸브 개방에 의한 소변기 세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변기(40)가 제2 상태에 위치할 때 수행될 수 있지만, 소변기(40)가 제1 상태로 복귀한 상태에서도 수행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양변기(200)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제2 실시예의 소변기(82)는 가요성 재료(flexible) 로 형성되며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소변기(82)에서 집요된 소변은 변기통의 수변공간(106)이 아닌 다른 배수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성들 및 남성들이 대변을 보는 경우, 등 쪽에 위치하게 되는 소변기(82)가 몸과 접촉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차단판(105)을 뚜껑(90)과 좌판(9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양변기의 뚜껑(90)을 부분적으로 절결한 형태의 소변기 지지판(80)이 제공되어 있다. 소변기 지지판(80)은 가요성을 갖는 소변기(82)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며 양변기의 뚜껑(90) 및 좌판(9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1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소변기 지지판(80)은 토션 스프링(96)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이어스 된다. 소변기 지지판(8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위치와, 제1 위치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여 세워진 상태가 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변기(82)는 소변기 지지판(8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소변기(82) 내부에는 세척기(86)가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변기(82)의 착탈식 구성은 소변기 지지판(80)에 부착된 다수의 벨크로(Velcro;84)를 통해 얻어진다. 이를 위해 소변기(82)의 배면에도 대응하는 벨크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변기(82)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장시간 사용에 의해 오염된 소변기(82)를 쉽게 교체할 수 있어서 양변기 및 소변기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소변기(82)는 비닐와 같은 얇은 합성수지 혹은 합성고무, 직물 혹은 부직포 와 같은 천에 불투수성 처리를 한 재료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 구성되는 소변기(82)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접혀질 수 있고, 따라서 소변기(82)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소변기(82)가 제2 위치로 가능 동안 자중에 의해 펼쳐져 도시한 바와 같이 집요가 가능한 크기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편리하다.
소변기(82)는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 예 중 하나는, 비닐 등을 사용하여 대략 삼각뿔, 혹은 원뿔 형태의 소변기를 만들고 그 내부에 세척기(86)를 위치시켜 벨크로를 이용하여 소변기 지지판(80)에 부착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세척기(86)를 소변기 지지판(80)에 부착하고, 일정한 크기의 평면형상으로 된 비닐을 준비하고 비닐의 양 단부가 세척기(86) 양측에 인접하도록 말아서 소변기(8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변기 지지판(80)의 일 부분에는 고정용 홈(88a)을 갖는 부재(88)가 설치된다. 고정용 홈(88a)은 제1 실시예의 고정용 홈(40b)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실시예에서 소변기(82)를 통해 집요된 소변은 변기통의 수변공간(106)에 낙하되지 않고 별도의 다른 배출통로(104)를 통해 배출된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통에는 배출통로(104)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소변용 배출통로(104)를 형성하면 세척수를 덜 사용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집요된 소변이 변기통 수변공간(106)에 낙하하면, 수변공간(106)에 고여있는 물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다음 사용자는 수조(50)의 세척수를 공급하여 수변공간(106)의 물을 교체한 후 대·소변을 보게되어 세척기(86)에 의한 세척수 사용과 더 불어 이중으로 세척수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별도의 배출통로(104)를 통해 소변이 배출되면 소변은 세척기(86)로부터의 세척수와 함께 배출통로(104)를 통해 직접 배출되기 때문에 변기통 수변공간(106)에 고여있는 물을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양변기(200)는 또한, 남성이 소변을 본 후 양변기를 이용하게 되는 사람을 위해서 차단판(105)을 구비한다. 차단판(105)은 뚜껑(90)과 좌판(9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힌지부(10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차단판(105)은 결합구멍(105a)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좌판(92)에 앉아 대·소변을 볼 사람이 뚜껑(90)과 차단판(105)을 함께 젖힌 후 좌판(92)에 앉게 되면, 차단판(105)이 소변기(82)와 사용자 사이에 위치하여 소변기(82)가 사용자의 몸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실 내의 정해진 공간에 별도의 남성용 소변기를 갖추지 않고도 소변에 의한 주위 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소변기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그 일부분이 양변기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변기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소변기를 세척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위생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양변기의 소변기는 변기의 뚜껑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기존의 양변기를 그 뚜껑만 교체함으로써 본 발명의 양변기로 구현하는 것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소변기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위생 적이다.
또한, 소변기에 집요된 소변을 변기통 내부의 배출통로가 아닌 별도의 다른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하는 경우 세척수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좌판에 앉은 채로 대·소변을 보게 되는 사용자와 소변기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판을 구비하고 있어서, 보다 위생적인 양변기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11)

  1. 뚜껑과 뚜껑 하부에 좌판을 구비하는 좌석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 하부에 은폐되는 상태의 제1 위치와, 그 자유단부가 상기 뚜껑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한 상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뚜껑에 설치되며 상기 자유단부로 되는 상단과 상기 상단에 대향하는 하단에서 개방된 통형의 소변기,
    상기 소변기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단,
    상기 소변기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회전하도록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수단, 그리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소변기를 상기 뚜껑에 대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 로 있게 하기 위한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좌석식 양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소변기 내부에 설치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연결된 샤워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식 양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소변기의 외면에 형성된 고정용 홈, 그리고
    상기 고정용 홈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뚜껑에 상기 고정용 홈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과 그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고정봉
    을 포함하는 좌석식 양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을 갖는 삼각부재, 그리고
    상기 경사면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봉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부재
    를 더 포함하는 좌석식 양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의 단면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식 양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소변기의 하단은 변기통의 수변공간 상측에 위치되는 좌석식 양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변기를 지지하는 소변기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좌석식 양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는 가요성을 갖는 좌석식 양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는 소변배출 전용의 배출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변기의 하단은 상기 배출통로에 연결되는 좌석식 양변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와 상기 소변기 지지판은 벨크로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좌석식 양변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와 상기 좌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변기와 사용자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좌석식 양변기.
KR1020040054604A 2004-07-14 2004-07-14 남성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 KR100614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604A KR100614157B1 (ko) 2004-07-14 2004-07-14 남성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604A KR100614157B1 (ko) 2004-07-14 2004-07-14 남성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692A KR20060005692A (ko) 2006-01-18
KR100614157B1 true KR100614157B1 (ko) 2006-08-25

Family

ID=3711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604A KR100614157B1 (ko) 2004-07-14 2004-07-14 남성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1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850B1 (ko) 2006-12-18 2007-11-07 박종음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KR100777165B1 (ko) 2007-05-25 2007-11-19 박순창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100944385B1 (ko) 2009-11-30 2010-03-02 이성부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101446652B1 (ko) * 2012-12-18 2014-10-13 석정원 변기커버의 자동닫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646B1 (ko) * 2006-12-04 2008-02-01 박민철 소변기의 각도 조절 장치와 소변을 흡수하는 수단을 가진 소변흡수장치
KR100840073B1 (ko) * 2007-04-10 2008-06-19 전미영 소음, 비산 및 튀김 방지기능을 가지는 소변수집 배출기
KR101492182B1 (ko) * 2014-08-07 2015-02-12 (주)여명테크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9331A (en) 1997-04-14 1998-10-13 Miuccio; Edward Urinal attachment for a toil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9331A (en) 1997-04-14 1998-10-13 Miuccio; Edward Urinal attachment for a toil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850B1 (ko) 2006-12-18 2007-11-07 박종음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KR100777165B1 (ko) 2007-05-25 2007-11-19 박순창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100944385B1 (ko) 2009-11-30 2010-03-02 이성부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101446652B1 (ko) * 2012-12-18 2014-10-13 석정원 변기커버의 자동닫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692A (ko) 200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9305A (ja) 便器を男性用小便器または腰掛け式便器のいずれにも兼用可能とする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便器
US8382012B2 (en)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disposable nozzle tip for bidet
KR100614157B1 (ko) 남성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
KR100597758B1 (ko) 비데 기능을 갖는 남성의 소변기
KR101059127B1 (ko) 다기능 소변수집 배출기
KR100777165B1 (ko)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200414378Y1 (ko) 좌변기의 덮개
KR100840073B1 (ko) 소음, 비산 및 튀김 방지기능을 가지는 소변수집 배출기
KR102091146B1 (ko) 회전식 배출구를 구비한 비데침대
JP2010037903A (ja) 洋式便器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JP2020076237A (ja) 便器シート
KR101722727B1 (ko)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
KR20120036039A (ko) 개폐문이 구비된 매립형 남자소변기
WO2019044742A1 (ja) 乗り物用化粧室ユニット
JP2007217914A (ja) 洋式便器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男性用排尿部材
JP2006271746A (ja) 男子用小便器
KR101186534B1 (ko) 자동승강식 변기시트와 착탈식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좌변기
JPH06322806A (ja) 局部洗浄装置付便器
KR200437292Y1 (ko)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KR200426389Y1 (ko)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KR100800646B1 (ko) 소변기의 각도 조절 장치와 소변을 흡수하는 수단을 가진 소변흡수장치
KR20190119254A (ko) 위생 좌변기
CN219374205U (zh) 一种中间有洞的塑料凳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