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099A - 양변기용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099A
KR20020076099A KR1020010017048A KR20010017048A KR20020076099A KR 20020076099 A KR20020076099 A KR 20020076099A KR 1020010017048 A KR1020010017048 A KR 1020010017048A KR 20010017048 A KR20010017048 A KR 20010017048A KR 20020076099 A KR20020076099 A KR 20020076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cylinder
piston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2447B1 (ko
Inventor
홍인택
Original Assignee
홍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인택 filed Critical 홍인택
Priority to KR10-2001-001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4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using flushing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 사용시 필수적으로 투입되는 물의 량을 최소화하여 변기 사용에 따른 물의 소비를 기존의 양변기에 비하여 대폭 절감될 수 있도록 국내 물 소비를 줄이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제작할 수 있고, 또 사용상에 있어서도 제반 편익성이 제공될 수 있는 양변기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양변기(A)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A)의 밑단에서 그 일측 수직으로 구비되는 배수관(10)에 수평 연통되게 배수구(1)를 마련하고, 상기 배수구(1)와 대응되는 배수관(10) 후단부에는 스프링(21)이 내장된 실린더(20)를 구비시키는 것과; 일측에 피스톤(31)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는 로드(32)에 의하여 연결된 밀착편(33)이 구비되는 작동대(30)를 상기 배수구(1)가 마련된 배수관(10)과 실린더(20)사이에 설치하는 것과; 상기 실린더(20)의 상단 중앙지점에서 상부 수직으로 원통형의 압력유입관(40)을 설치시키되, 그 상단부에 작동레버(41)를 구비하는 압력발생용피스톤(42)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압력발생용피스톤(42)의 하부 일정구간의 위치에 스프링(46)을 가지는 개폐편(45)이 장착되는 것으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용 절수장치{saving water device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양변기 사용시 필수적으로 투입되는 물의 량을 최소화하여 변기 사용에 따른 물의 소비를 기존의 양변기에 비하여 대폭 절감될 수 있도록 국내 물 소비를 줄이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제작할 수 있고, 또 사용상에 있어서도 제반 편익성이 제공될 수 있는 양변기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양변기에는 유입될 수 있는 악취를 막기 위하여 상기 양변기 하측의 배수관 구조를 И자 형으로 하여 항시 일정량의 물이 양변기 하단부와 상기 배수관 일부분에 고여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용자가 상기 양변기를 사용하게 되면 그 소변 또는 대변이 상기 일정량 고여있는 물과 혼합되어 오물이 된다. 따라서 상기 오물을 제거한 후 다시 깨끗한 물이 고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최소 상기한 오물의 2배 이상 수돗물을 유입 시켜야만 그 오물이 하방으로 연장된 배수관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맑은 물이 그 자리에 다시 고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위와 같은 종래의 양변기는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1회 사용시 평균 1.6ℓ 정도의 물이 유입되어야만 상기 오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자리에 청결한 새로운 물이 고일 수 있다는 것을 본원 출원인은 그 물의 량을 측정하고 또 수 차례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와 현재국내 양변기 설치대수를 감안할 때 양변기 사용에 있어서, 막대한 물의 량이 소비되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양변기 1회 사용시 일부분의 량만 절감하더라도 국내 전체적으로 볼 때 상당량의 물을 절약할수 있다는 것 또한 어렵지 않게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세면대, 욕조 등에서 1차적으로 사용한 물을 상기 양변기 사용시 투입되는 물로 재활용하는 방안은 일부에서 연구된 바는 있었는데, 적용결과 구조가 복합하고, 많은 장치와 공간, 시설비 등이 요구되어 실질적으로 적용가치를 상실한 상태일 뿐 상기 양변기에 투입되는 수돗물의 량을 근원적으로 줄이는 방안은 보고된바 없다.
한편 수년 내 우리나라도 물부족 국가가 된다는 전문가의 의견도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일분야에서 부터 점차적으로 물의 낭비를 줄이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국내 수자원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는데 일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기존 И형의 배수관 구조상태에서 오물이 완전 제거되기 위해서 상당량의 수돗물이 유입되어야 하였던 것을 그 배수관 구조를 대폭 개량하여 보다 적을 량의 물이 상기 양변기내에 고이게 함과 동시에 그 유입되는 수돗물 또한 적은 량이 유입되더라도 쉽고도 완전하게 오물을 제거할 수 있고, 또 그 제거된 양변기 하측에 다시 새로운 수돗물이 고일 수 있도록 하여 물의 소비량을 극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양변기 1:배수구
10:배수관 20:실린더
21,46:스프링 30:작동대
31:피스톤 32:로드
33:밀착편 40:압력유입관
41:작동레버 42:압력발생용피스톤
45:개폐편 45a:통공
47:걸림턱 50:감지구
60:수돗물유입관 61:밸브
70:작동매체
위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통상의 양변기(A)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A) 하단 일측에 배수관(10)을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배수관(10)상단 일측에 양변기(A)의 배수구(1)가 연통되게 구성시키고, 상기 배수구(1)와 대응되는 배수관(10) 후단부에는 스프링(21)이 내장된 실린더(20)를 구비시켜 상기 실린더(20)와 배수구(1)가 연통된 배구관(10)간에 작동대(30)가 관통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작동대(30)는 일측에 피스톤(31)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는 로드(32)에 의하여 연결된 밀착편(33)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로드(32)를 중심으로 양측에 피스톤(31)과 밀착편(31)이 각 구비되는 작동대(30) 중 피스톤(31)부를 상기 실린더(20)의 스프링(21)선단에 위치케 하는 반면 상기 밀착편(33)부는 상기 배수관(10)으로 연통된 배수구(1)에 밀착되게 구비 시킨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0)의 상단 중앙지점에서 상부 수직으로 원통형의 압력 유입관(40)을 설치시키되, 그 상단부에 작동레버(41)를 구비하는 압력발생용피스톤(42)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압력발생용피스톤(42)의 하부 일정 구간의 위치에 스프링(46)을 가지는 개폐편(45)이 장착된다.
상기한 개폐편(45)의 상단일면에 걸림턱(47)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46)에 의하여 상부로 당기는 힘이 작용함으로 상기 압력유입관(40) 상단의 압력발생용피스톤(42)에서 발생된 압력이 하방으로 작용할 경우 하방으로 유입은 가능하지만 반대(상방으로)로 역유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근원적으로는 역류를 차단하는 구조이지만 상기 개폐편(45) 중앙지점에 미세 통공(45a)을 형성시켜 적은 압력만 역유될 수 있도록 하여 실린더(20)내에 유입된 일정압력이 상기 통공울 통하여 일정시간동안 상부를 이동함에 따라서 서서히 소멸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양변기(A) 절수장치는 양변기(A)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양변기 사용 후 그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발생용피스톤(42) 상부 작동레버(41)를 순간적으로 하방을 향하여 누르게 되면 상기 압력유입관(40)내에서 압력발생용피스톤(42)이 하방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일정한 압력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압력은 개폐편(45)을 밀면서 통과하여 실린더(20)내로 유입되어 상기 작동대(30)의 피스톤(31)을 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20)내에 유입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대(30)의 피스톤(31)이 후방으로 밀림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31)과 로드(32)에 의하여 연결된 밀착편(33)이 상기 양변기 배수구(1)에 밀착된 상태에서 해제되게 된다,
상기한 밀착편(33)의 작동으로 양변기의 배수구(1)가 배수관(10) 쪽으로 개방되면 양변기(A)에 고여있던 물을 포함한 오물이 배수관(10)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그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서 수위 감지구(50)의 작동으로 수돗물유입관(60)의 밸브(61)가 열려 상기 양변기내에 깨끗한 일정량의 물이 유입되어 양변기 내부를 씻어낸다.
이때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실린더(20) 후방으로 후퇴되었던 작동대(30)는 상기 실린더(20)의 후방에 구비된 스프링(21)의 장력과 또 상기 개폐편(45)에 천공된 통공(45a)으로 일정압력이 제거됨에 따라서 상기 작동대(30)의 밀착편(33)이 배수구(1)를 다시 밀착하게 되어 물의 배출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물의 배출이 정지됨에 따라서 상기 양변기 내에는 다시 맑은 물이 일정량 고이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0은 양변기내의 칸막이를 나타낸 것임.
이상과 같은 작용을 가지는 절수장치는 양변기내의 물이 배수구(1)를 거처 배수관(10)으로 배출되는 물이 별다른 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많은 량의 물이 필요하지 않을 뿐 아니라 양변기(A) 내부에서 배수관(10)으로 수평선상에서 곧바로 직통 됨에 따라서 고인오물의 자중으로도 배출될 수 있어 투입되는 수돗물은 양변기내부 청소만 하면 됨으로 상당히 적은 량의 물만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 상태인 압력유입관(40) 내부에 기름(oil) 또는 공기(air)등과 같은 작동매체(70)를 유입시켜 사용되게 되는데, 이는 작동의 원활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의 양변기 절수장치는 양변기내 고인물의 배출시 별다른 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적는 량의 물로도 양변기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양변기에 비하여 월등한 물의 량이 절감될 수 있음으로 국내 양변기의 설치 대수를 감안 할 때 막대한 량의 물을 절약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2)

  1. 통상의 양변기(A)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A)의 밑단에서 그 일측 수직으로 구비되는 배수관(10)에 수평 연통되게 배수구(1)를 마련하고, 상기 배수구(1)와 대응되는 배수관(10) 후단부에는 스프링(21)이 내장된 실린더(20)를 구비시키는 것과;
    일측에 피스톤(31)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는 로드(32)에 의하여 연결된 밀착편(33)이 구비되는 작동대(30)를 상기 배수구(1)가 마련된 배수관(10)과 실린더(20)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밀착편(33)부를 배수구(1)에 밀착되게 함과 동시에 피스톤(31)부는 실린더(20)내의 스프링(21) 선단에 위치게 하는 것과;
    상기 실린더(20)의 상단 중앙지점에서 상부 수직으로 원통형의 압력유입관(40)을 설치시키되, 그 상단부에 작동레버(41)를 구비하는 압력발생용피스톤(42)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압력발생용피스톤(42)의 하부 일정구간의 위치에 스프링(46)을 가지는 개폐편(45)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용의 절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상태인 압력유입관(40) 내부에 기름(oil),공기(air) 등의 작동매체(70)를 유입시켜 원활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절수장치.
KR10-2001-0017048A 2001-03-26 2001-03-26 양변기용 절수장치 KR10044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048A KR100442447B1 (ko) 2001-03-26 2001-03-26 양변기용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048A KR100442447B1 (ko) 2001-03-26 2001-03-26 양변기용 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099A true KR20020076099A (ko) 2002-10-09
KR100442447B1 KR100442447B1 (ko) 2004-07-30

Family

ID=2769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048A KR100442447B1 (ko) 2001-03-26 2001-03-26 양변기용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4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9491A1 (en) * 2002-09-25 2004-04-08 Sung-Hyun Cho Water saving apparatus with function of deodorization
KR101111624B1 (ko) * 2009-11-10 2012-02-14 대림비앤코주식회사 절수형 양변기
CN104631585A (zh) * 2015-01-16 2015-05-20 许恩廷 节能强排坐便器
CN105888012A (zh) * 2014-12-03 2016-08-24 王永强 一种驱动及停止便器活塞旋转装置及设计方法
KR102463540B1 (ko) * 2021-12-30 2022-11-04 심민우 직수형 양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852B1 (ko) 2009-02-18 2011-04-07 한상표 물 절약형 좌변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9491A1 (en) * 2002-09-25 2004-04-08 Sung-Hyun Cho Water saving apparatus with function of deodorization
KR101111624B1 (ko) * 2009-11-10 2012-02-14 대림비앤코주식회사 절수형 양변기
CN105888012A (zh) * 2014-12-03 2016-08-24 王永强 一种驱动及停止便器活塞旋转装置及设计方法
CN104631585A (zh) * 2015-01-16 2015-05-20 许恩廷 节能强排坐便器
KR102463540B1 (ko) * 2021-12-30 2022-11-04 심민우 직수형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2447B1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447B1 (ko) 양변기용 절수장치
KR100499662B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200191298Y1 (ko) 절수변기
CN100507168C (zh) 便池配套用的低位中水回收利用装置
KR20020076100A (ko) 양변기용 절수장치
CN2846562Y (zh) 洗手小便池
KR200251161Y1 (ko) 변기용 절수장치
KR100332634B1 (ko)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KR20060058060A (ko) 직수와 저장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양변기
JPH1037275A (ja) トイレ装置
CN215253197U (zh) 一种洗面台节水装置
CN2405974Y (zh) 组合式节水洁具
KR200399352Y1 (ko) 양변기
KR200291589Y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CN2841791Y (zh) 一种带洗手盆的新型节水小便池
CN201074355Y (zh) 新型节水冲厕水箱
CN2903202Y (zh) 二次利用节水装置
JP3100510U (ja) 節水型便器
CN2201433Y (zh) 高效压板式节水冲洗器
KR200332451Y1 (ko) 물 절약형 사이폰 없는 평저(平底) 실내 변기
CN2483440Y (zh) 一种节水型坐便器
CN2654708Y (zh) 卫生间节水设施
CN2466228Y (zh) 生活污水再利用装置
CN2494388Y (zh) 污水冲洗的洁具
CN2483438Y (zh) 废水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