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161Y1 - 변기용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용 절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1161Y1 KR200251161Y1 KR2020010021094U KR20010021094U KR200251161Y1 KR 200251161 Y1 KR200251161 Y1 KR 200251161Y1 KR 2020010021094 U KR2020010021094 U KR 2020010021094U KR 20010021094 U KR20010021094 U KR 20010021094U KR 200251161 Y1 KR200251161 Y1 KR 2002511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oilet
- drain pipe
- water level
- auxiliary dr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 사용시 필수적으로 투입되는 물의 량을 최소화하여 변기 사용에 따른 물의 소비를 기존의 변기에 비하여 대폭 줄이는 한편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제작할 수 있고, 또 사용상에 있어서도 제반 편익성이 제공될 수 있는 좌변기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수위 조절구(301)가 내장된 물보관통(300)이 구비된 통상의 양변기(100)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100) 하단 배출구(101)에 상, 하 일정거리 작동되는 보조 배수관(1)을 자바라형 연결구(2)로 연결 구비시키되, 상기 보조배수관(1)의 상부 일단과 상기 물보관통(300)내 수위 조절구(301)의 하부 일단에 각 연결편(1a,301a)을 구비시켜 상기 보조배수관(1)과 수위 조절구(301)간 연결대(30)로 연결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변기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변기 사용시 필수적으로 투입되는 물의 량을 최소화하여 변기 사용에 따른 물의 소비를 기존의 변기에 비하여 대폭 줄이는 한편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제작할 수 있고, 또 사용상에 있어서도 제반 편익성이 제공될 수 있는 변기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양변기에는 유입될 수 있는 악취를 막기 위하여 상기 양변기 하측의 배수관 구조를 ' И'자 형으로 하여 항시 일정량의 물이 양변기 하단부와 상기 배수관 일부분에 고여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용자가 상기 양변기를 사용하게 되면 그 소변 또는 대변이 상기 일정량 고여있는 물과 혼합되어 오물이 된다. 따라서 상기 오물을 제거한 후 다시 깨끗한 물이 고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최소 상기한 오물의 2배 이상 수돗물을 유입시켜야만 그 오물이 하방으로 연장된 배수관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맑은 물이 그 자리에 다시 고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위와 같은 종래의 양변기는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1회 사용시 평균 1.6ℓ정도의 물이 유입되어야만 상기 오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자리에 청결한 새로운 물이 고일 수 있다는 것을 그 물의 량을 측정하고 또 수차례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와 국내 양변기 설치 댓수를 감안할 때 양변기 사용에 있어서 막대한 물의 량이 소비되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양변기 1회 사용시 일부분의 량만 절감하더라도 상당량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어렵지 않게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세면대, 욕조 등에서 1차적으로 사용한 물을 상기 양변기 사용시 투입되는 물로 재활용하는 방안은 일부에서 간흘적으로 연구된 바는 있었는데, 적용결과 구조가 복합하고, 많은 장치와 공간, 시설비 등이 요구되어 실질적으로 적용가치를 상실한 상태일 뿐 상기 양변기에 투입되는 수돗물의 량을 근원적으로 줄이는 방안은 보고된바 없다.
한편 국내의 물사정이 수년내에 물부족국가가 된다는 전문가의 의견도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일분야에서 부터 점진적으로 물의 낭비를 줄려야 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국내 수자원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는데 일조키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기존 ' И'형의 배수관의 구조상태에서 오물이 완전 제거되기 위해서 상당량의 수돗물이 유입되어야하였던 것을 그 배수관 구조를 대폭 개량하여 보다 적을 량의 물이 상기 양변기내에 고이게 함과 동시에 그 유입되는 수돗물 또한 적은 량이 유입되더러도 쉽고도 완전하게 오물을 제거할 수 있고, 또 그 제거된 양변기하측에 다시 새로운 수돗물이 고일 수 있도록 하여 물의 소비량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도 1~3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절수장치가 구비된 양변기의 단면도로서,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보조 배수관 1a,301a:연결편
2:연결구 30:연결대
100:변기 101:배출구
300:물보관통 301:수위 조절구
위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수위 조절구(301)가 내장된 물보관통(300)이 구비된 통상의 변기(100)에 있어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100) 하단 배출구(101)에 상, 하 일정거리 작동되는 보조 배수관(1)을 자바라형 연결구(2)로 연결 구비시키되,
상기 보조배수관(1)의 상부 일단과 상기 물보관통(300)내의 수위 조절구(301)의 하부 일단에 각 연결편(1a,301a)을 구비시켜 상기 보조배수관(1)과 수위 조절구(301)간 연결대(30)로 연결시켜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보조배수관(1)은 상기 변기(100)내에 위치하는 수위 조절구(301)와 연결대(30)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수위 조절구(301)의 상하움직임에 따라서 동시 상하일정간격 작동되게되는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가 변기의 사용을 마치고 물 배출레버(302)를 작동시키면 물보관통(300)에 충만된 물이 양변기(100)내로 유입됨에 따라서 줄어든 수위만큼 상기 수위조절구(301)가 하방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와 동시 상기 보조 배수관(1) 또한 상기 양변기(100)의 배출구(101)를 깃점으로 원 운동하면서 하방으로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 배수관(1)이 하방으로 작동이 되면 상기 양변기(100)의 바닥부 즉, 상기 양변기 배출구(101)의 높이와 평행 또는 평행에 가깝게 됨으로 상기 양변기(100)내에서 배수관(200)으로 배출코자하는 물이 별다른 저항 없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물보관통(300) 내의 적은 량의 물을 상기 양변기(100)내로 유입시켜도 양변기(100)내의 오물을 쉽게 배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그 만큼의 물을 절약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전술 된바와 같이 변기 배수관(200)의 구조가 ' И'자 형으로 되어 있어 배출될 때 많은 저항이 받게 됨으로 상기 물보관통(300)의 물을 상당량 양변기(100) 내로 유입시켜야만 상기 변기내의 오물이 그 저항을 이기고 배수관(200)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것과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대(30)가 관통하게 되는 물보관통(300) 아래 바닥의 연결대(30) 관통부에는 물의 유출을 막기 위하여 패킹(미도시)을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고안의 변기 절수장치는 적은 량의 물보관통내의 물을 사용하더라도 양변내의 오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기존 양변기 사용시 보다 월등하게 물을 절약할 수 있고, 현재 각 가정 등에 설치된 양변기 댓수를 고려할 때 국내 물의 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 수위 조절구(301)가 내장된 물보관통(300)이 구비된 통상의 변기(100)에 있어서,상기 변기(100) 하단 배출구(101)에 상, 하 일정거리 작동되는 보조 배수관(1)을 자바라형 연결구(2)로 연결 구비시키되,상기 보조배수관(1)의 상부 일단과 상기 물보관통(300)내 수위 조절구(301)의 하부 일단에 각 연결편(1a,301a)을 구비시켜 상기 보조배수관(1)과 수위 조절구(301)간 연결대(30)로 연결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절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094U KR200251161Y1 (ko) | 2001-07-12 | 2001-07-12 | 변기용 절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094U KR200251161Y1 (ko) | 2001-07-12 | 2001-07-12 | 변기용 절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1161Y1 true KR200251161Y1 (ko) | 2001-11-17 |
Family
ID=7306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109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1161Y1 (ko) | 2001-07-12 | 2001-07-12 | 변기용 절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1161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5419B1 (ko) * | 2003-11-07 | 2004-04-08 | 임옥화 |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 |
KR100479678B1 (ko) * | 2004-04-20 | 2005-03-31 | 원종칠 | 양변기의 가변 사이폰관 구동장치 |
KR100523950B1 (ko) * | 2003-06-26 | 2005-10-26 | 양홍모 | 양변기의 저수 및 배수구조 |
KR100714961B1 (ko) * | 2006-06-01 | 2007-05-04 | 이종인 |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
-
2001
- 2001-07-12 KR KR2020010021094U patent/KR200251161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3950B1 (ko) * | 2003-06-26 | 2005-10-26 | 양홍모 | 양변기의 저수 및 배수구조 |
KR100425419B1 (ko) * | 2003-11-07 | 2004-04-08 | 임옥화 |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 |
KR100479678B1 (ko) * | 2004-04-20 | 2005-03-31 | 원종칠 | 양변기의 가변 사이폰관 구동장치 |
KR100714961B1 (ko) * | 2006-06-01 | 2007-05-04 | 이종인 |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51161Y1 (ko) | 변기용 절수장치 | |
CN204875955U (zh) | 一种智能家庭卫浴系统 | |
CN201176608Y (zh) | 废水收集再用装置 | |
KR100442447B1 (ko) | 양변기용 절수장치 | |
CN203594085U (zh) | 多水箱节水座便器 | |
CN2883505Y (zh) | 家庭洗衣用水、废水二次利用装置 | |
CN201043287Y (zh) | 洗面盆、储水箱一体式节水装置 | |
KR20100071911A (ko) |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 |
CN215253197U (zh) | 一种洗面台节水装置 | |
CN205822365U (zh) | 家用节水器 | |
CN203583600U (zh) | 节能环保排水系统 | |
CN201033884Y (zh) | 楼房中水回收利用装置 | |
CN2437743Y (zh) | 具有储水罐的抽水马桶 | |
KR200166030Y1 (ko) | 절수식 화장실구조 | |
KR200188217Y1 (ko) | 오·폐수 재활용 장치 | |
KR200281573Y1 (ko) | 수세식 변기의 재활용 절수구조 | |
CN210766978U (zh) | 一种生活用水二次利用的环保卫生洁具 | |
CN203346962U (zh) | 卫生间节水系统 | |
CN210002485U (zh) | 一种可利用生活废水的马桶 | |
CN201534990U (zh) | 家用厨卫节水装置 | |
KR200172008Y1 (ko) |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 |
CN2903202Y (zh) | 二次利用节水装置 | |
CN209194662U (zh) | 一种具有节水功能坐便器 | |
KR20020076100A (ko) | 양변기용 절수장치 | |
KR0130567Y1 (ko) | 오수를 세정수로 이용한 수세변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712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110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71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