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735Y1 -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735Y1
KR200453735Y1 KR2020080012177U KR20080012177U KR200453735Y1 KR 200453735 Y1 KR200453735 Y1 KR 200453735Y1 KR 2020080012177 U KR2020080012177 U KR 2020080012177U KR 20080012177 U KR20080012177 U KR 20080012177U KR 200453735 Y1 KR200453735 Y1 KR 200453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flow
water
air inlet
backflow prevention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035U (ko
Inventor
조금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80012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73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7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6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aerating on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부의 림부와 제트수로에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T'자형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시 공기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역압의 압력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에 의하면, 볼부의 림부와 제트수로에 급수되도록 'T'자형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시 발생하는 역압으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볼부에 위치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Figure R2020080012177
비데, 일체, 위생도기, 역류방지장치,

Description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device for backward prevention of bidet one body sanitary ware}
본 고안은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부의 림측과 제트수로에 급수되도록 'T'자형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발생시, 발생하는 역압으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볼부에 위치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위생도기에 안착되어 조작부의 버튼 조작으로 노즐로 분사되는 온수를 통해 항문이나 국부를 세정하는 장치로, 상기 항문세정은 용변자가 대변을 본 후,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항문을 세정하는 것이고, 상기 국부세정은 용변자 특히 여성의 소변 후, 국부를 세정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용변자의 용변 후, 위생도기의 볼부에 위치한 용변은, 저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나 수도전의 세척수가 급수장치를 경유하여 볼부로 공급되고, 상기 볼부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수로로 토출되면서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급수장치는 위생도기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비데의 설치가 어려우며,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척수의 역류시, 볼부에 위치한 세척수가 순간적으로 'T'자형 급수관으로 역류되어 'T'자형 급수관의 세척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오염된 세척수가 'T'자형 급수관을 통해 화장실, 부엌 등으로 급수되므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볼부의 림부와 제트수로에 급수되도록 'T'자형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볼부에 위치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는,
볼부의 림부와 제트수로에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상기 볼부에 위치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로서,
상기 볼부의 림부와 제트수로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T'자형 급수관과;
상기 'T'자형 급수관 상부에 장착되어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역압 및 자중으로 하강하면서 개방되는 공기유입공으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역압차를 줄이도록 하는 공기유입부와;
상기 'T'자형 급수관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볼부의 림부와 제트수로로 세척수의 급수를 안내하면서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에 의하면, 볼부의 림부와 제트수로에 급수되도록 'T'자형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시 발생하는 역압으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볼부에 위치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위생도기(10) 볼부(11)의 림부(11a)와 제트수로(11b)에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상기 볼부에 위치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로서,
상기 볼부(11)의 림부(11a)와 제트수로(11b)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T'자형 급수관(110)가 구성되고, 상기 'T'자형 급수관(110) 상부에 장착되어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역압 및 자중으로 하강하면서 개방되는 공기유입공(520)으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역압차를 줄이도록 하는 공기유입부(500)가 구성되며, 상기 'T'자형 급수관(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볼부(11)의 림부(11a)와 제트수로(11b)로 세척수의 급수를 안내하면서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류방지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유입부(500)는, 상기 'T'자형 급수관(110)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5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공(520)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공(510)에 설치돌기(531)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유입공(520)을 개폐시키는 공기유입개폐부재(530)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입개폐부재(530)의 설치돌기(531)에 장착되는 이탈방지편(5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역류방지부(600)는, 상기 'T'자형 급수관(110)에 대향하게 관통된 급수공(111)(111')에 장착되어 세척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안내부재(610)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안내부재(610)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되어 세척수의 공급을 안내하고,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공급안내부재(610)를 폐쇄시키는 역류방지부재(6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에 장착되면서 'T'자형 급수관(110)의 제1,2관(120)(120')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역류방지부재(620)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재(63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건 출원인이 2008년 특허 제8875호로 출원한 위생도기(10)에 본 고안을 적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위생도기(10)에 일체로 장착된 비데(B)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역류방지장치가 설치된 급수장치가 장착되어 급수부(100)의 제1관(120)이 볼부(11)의 림부(11a)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급수부(100)의 제2관(120')이 볼부(11)의 제트수로(11b)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에서 비데(B)의 시트에 용변자가 앉아 용변을 본 후, 비데(B)의 시트에서 용변자 이탈하면, 수도전을 통해 'T'자형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으로 공기유입부(500)의 공기유입개폐부재(530)를 가압하고, 상기 공기유입개폐부재(530)는 공기유입공(520)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작동부(300)의 제어부(320)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310)(310')에 전원을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상기 전원이 인가된 솔레노이드밸브(31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스프링(312) 압축시키면서 코어(311)을 들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급수부(100)의 배수공(131)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공(131)으로 덮개(130)와 공급조절부(200)의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되며, 상기 배수공(131)을 통과한 물은 배출공(132)을 통해 볼부(11)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공(131)으로 배수되면서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짐과 동시에 수도전을 통해 'T'자형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급수공(111)에 장착된 역류방지부(600)의 공급안내부재(610)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공급안내부재(610)의 공급안내공(611)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역류방지부재(620)의 역류방지편(621)을 밀어내어 역류방지편(621)과 공급안내공(611)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 세척수가 제1관(12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돌기(622)에 역류방지부재(620)가 결합되고,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단부가 제1관(1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역류방지부재(62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역류방지부(600)의 역류방지부재(620)를 통과하여 제1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가 상승하면서 제1관(120)을 개방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개방된 제1관(120)을 통해 볼부(11)의 상부인 림부(11a)로 세척수가 급수됨과 동시에 림부(11a)로 급수된 세척수는 볼부(11)의 내면을 선회하면서 세정한 후, 볼부(11)의 하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볼부(11) 내부에 부유하던 오물 등이 볼부(11)의 중앙부로 모이면서 볼부(11) 안의 수위가 상승한다.
또한, 상기 제1작동부(310)의 솔레노이드밸브(310) 작동 후, 제어부(320)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310')에 전원을 인가하면, 밸브스프링(312')을 압축시키 면서 코어(311')을 들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급수부(100)의 배수공(131')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공(131')으로 덮개(130)와 공급조절부(200)의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되며, 상기 배수공(131')을 통과한 물은 배출공(132)을 통해 볼부(11)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배수공(131)으로 배수되면서 덮개(130)와 필밸브(220) 사이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짐과 동시에 수도전을 통해 'T'자형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급수공(111')에 장착된 역류방지부(600)의 공급안내부재(610')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공급안내부재(610')의 공급안내공(611')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역류방지부재(620')의 역류방지편(621')을 밀어내어 역류방지편(621')과 공급안내공(611')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 세척수가 제2관(12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돌기(622')에 역류방지부재(620')가 결합되고, 상기 역류방지부재(620')의 단부가 제2관(1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역류방지부재(62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역류방지부(600)의 역류방지부재(620')를 통과하여 제2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가 상승하면서 제2관(120')을 개방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개방된 제2관(120')을 통해 볼부(11)의 제트수로(11b)로 급수되는 세척수가 제트수로(11b)를 통과하면서 트랩(미도시)의 곡선부를 넘어 정화조로 배출되며, 상기 정화조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흡입작용에 의해 볼부(11) 내부 에 위치한 오물과 세척수가 트랩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볼부(11) 내부에 위치한 오물 및 오물을 세척한 세척수가 정화조로 배출되면,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310')(3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순차적으로 중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0')의 코어(311')는 밸브스프링(312')의 복원력으로 복원되면서 덮개(130)의 배수공(131')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T'자형 급수관(110)을 통해 제2관(120')으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지지부재(210')의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며, 상기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는 물이 공급조절핀(230')을 상승시키면서 공급조절핀(230')과 결합봉(211') 사이를 통해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된다.
상기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되는 물의 압력이 높아지고, 높아지는 물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는 하강하여 제2관(120')을 폐쇄시키면서 제2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급수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2관(120')이 폐쇄될 때까지 제1관(120)으로는 'T'자형 급수관(110)으로부터 급수되는 세척수가 공급되어 볼부(11)의 내부에 저장되면서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과정으로 솔레노이드밸브(310')에 의해 제2관(120')이 폐쇄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밸브(3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중단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0)의 코어(311)는 밸브스프링(3120의 복원력으로 복 원되면서 덮개(130)의 배수공(131)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T'자형 급수관(110)을 통해 제1관(120)으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지지부재(210)의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며, 상기 결합봉(211) 내부로 급수되는 물이 공급조절핀(230)을 상승시키면서 공급조절핀(230)과 결합봉(211) 사이를 통해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된다.
상기 필밸브(220)와 덮개(130) 사이의 공간으로 급수되는 물의 압력이 높아지고, 높아지는 물의 압력에 의해 필밸브(220)는 하강하여 제1관(120)을 폐쇄시키며, 상기 제1관(12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급수를 정지시키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상기 'T'자형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수도전으로 역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하여 낮아지는 세척수의 수위 및 자중에 의해 공기유입부(500)의 공기유입개폐부재(530)가 하강하는데, 상기 공기유입개폐부재(530)의 설치돌기(531)는 설치공(510)을 따라 하강하면서 공기유입공(520)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대기중의 공기가 공기유입공(520)을 통해 'T'자형 급수관(110) 내부로 공급되면서 역압의 압력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공(510)으로 설치돌기(531)가 하강하는 공기유입개폐부재(530)는 상기 설치돌기(531)에 장착된 이탈방지편(540)이 설치공(510) 상면에 밀착되면서 공기유입개폐부재(530)의 하강동작을 정지시키면서 대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가 역류하는 역압에 의해 역류방지부재(620)(620')의 역류 방지편(621)(621)이 공급안내부재(610)(610)에 밀착되면서 공급안내공(611)(611')을 각각 폐쇄시키므로 제1,2관(120)(120')으로부터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도전을 통해 세척수가 'T'자형 급수관(110)으로 다시 공급되면, 상기 'T'자형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설치공(510)에 설치돌기(531)가 장착된 공기유입개폐부재(530)는 상승하여 공기유입공(520)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T'자형 급수관(11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공기유입개폐부재(530)가 공기유입공(520)을 폐쇄시키면서 급수장치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의해 볼부에 세척수를 급수하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급수부 110: 'T'자형 급수관
500: 공기유입부 510: 설치공
520: 공기유입공 530: 공기유입개폐부재
540: 이탈방지편 600: 역류방지부
610,610': 공급안내부재 620,620': 역류방지부재
630,630': 밀림방지부재

Claims (4)

  1. 볼부의 림부와 제트수로에 세척수가 급수되도록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상기 볼부에 위치한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로서,
    상기 볼부의 림부와 제트수로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T'자형 급수관과;
    상기 'T'자형 급수관에 장착되어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역압 및 자중으로 하강하면서 개방되는 공기유입공으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역압차를 줄이도록 하는 공기유입부와;
    상기 'T'자형 급수관에 대향하게 관통된 급수공에 장착되어 볼부의 림부와 제트수로로 세척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안내부재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되어 세척수의 공급을 안내하고, 세척수의 역류 발생시,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하도록 공급안내부재를 폐쇄시키는 역류방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역류방지부재에 장착되면서 'T'자형 급수관의 제1,2관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역류방지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역류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유입부는,
    상기 'T'자형 급수관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공과;
    상기 설치공에 설치돌기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유입공을 개폐시키는 공기유입개폐부재와;
    상기 공기유입개폐부재의 설치돌기에 장착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
  3. 삭제
  4. 삭제
KR2020080012177U 2008-09-08 2008-09-08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 KR200453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177U KR200453735Y1 (ko) 2008-09-08 2008-09-08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177U KR200453735Y1 (ko) 2008-09-08 2008-09-08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035U KR20100003035U (ko) 2010-03-17
KR200453735Y1 true KR200453735Y1 (ko) 2011-05-27

Family

ID=4419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177U KR200453735Y1 (ko) 2008-09-08 2008-09-08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7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02A (ko) 2019-06-18 2020-12-29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역류 방지 구조를 구현한 비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9592A (ja) * 2000-05-25 2001-11-30 Fuji Seiko Kk 低圧損型切り換え弁装置
JP2004225431A (ja) * 2003-01-24 2004-08-12 Toto Ltd 水洗便器装置
JP2004316806A (ja) * 2003-04-17 2004-11-11 Toto Ltd 給水装置及びこの給水装置を用いた水洗便器
JP2006045775A (ja) * 2004-07-30 2006-02-16 Inax Corp 便器洗浄方法及び便器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9592A (ja) * 2000-05-25 2001-11-30 Fuji Seiko Kk 低圧損型切り換え弁装置
JP2004225431A (ja) * 2003-01-24 2004-08-12 Toto Ltd 水洗便器装置
JP2004316806A (ja) * 2003-04-17 2004-11-11 Toto Ltd 給水装置及びこの給水装置を用いた水洗便器
JP2006045775A (ja) * 2004-07-30 2006-02-16 Inax Corp 便器洗浄方法及び便器洗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02A (ko) 2019-06-18 2020-12-29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역류 방지 구조를 구현한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035U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063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100705193B1 (ko) 수세식 변기
KR101642101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밸브
JP5396679B2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逆流止め装置
CN108252381B (zh) 洁身器一体型卫生陶瓷的供水装置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200463115Y1 (ko) 도기 일체형 비데의 세척수 배출장치
KR200453734Y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200453735Y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CN108699823A (zh) 在坐便器座圈具有装卸及防水功能的无电源自动冲水装置的模块
KR101198901B1 (ko) 후레쉬밸브 압력실의 물을 이용한 비데 물공급 기능이 구비된 이중개폐밸브 자동 물내림 비데
KR20100003033U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자동급수장치
KR200455687Y1 (ko) 여성용 수세식 변기
CN115427644A (zh) 超节水型坐便器
KR101642100B1 (ko) 역류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밸브
KR100993337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림측 급수장치
KR100993058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JP7154663B1 (ja) 災害対応便器
KR200452869Y1 (ko) 급수제어밸브의 역류방지구조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KR20090004217U (ko) 변기로의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직수형 후레쉬밸브구조
KR20020076031A (ko)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