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391B1 -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391B1
KR100946391B1 KR1020080010178A KR20080010178A KR100946391B1 KR 100946391 B1 KR100946391 B1 KR 100946391B1 KR 1020080010178 A KR1020080010178 A KR 1020080010178A KR 20080010178 A KR20080010178 A KR 20080010178A KR 100946391 B1 KR100946391 B1 KR 100946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man body
body load
toile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162A (ko
Inventor
이재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프
Priority to KR102008001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391B1/ko
Priority to US12/865,307 priority patent/US20110010831A1/en
Priority to EP08871718A priority patent/EP2250322A2/en
Priority to CN2008801262235A priority patent/CN101939496A/zh
Priority to JP2010544879A priority patent/JP2011511189A/ja
Priority to PCT/KR2008/007821 priority patent/WO2009096666A2/en
Publication of KR2009008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4Operated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무전원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고, 배관을 통해 급수된 물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와;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제어부(300)의 제어밸브에서 수로를 통해 통과되는 수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체크조절밸브(40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을 감지하면,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자동으로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하는 실린더 동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무전원으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여, 무전원에 의해 전력절감은 물론 건전지 사용으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용변 후 변기내에 휴지를 버리는 타임까지 제어해 줌으로 보다 환경적인 제품을 개발 완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대,소변을 구분하여 자동으로 물내림을 해주므로 변기종류에 따라 소변시에 물을 30~50%까지 절약 할 수 있으므로 21세기 물과의 전쟁에서 적지 않은 효과를 발휘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우리의 소중한 자원절약 할 수 있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이다.
수압, 인체하중, 무전원, 변기, 변좌시트 , 자동 물내림

Description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oilet seat having non-power chamber pot auto-flush by water pressure and body weight}
본 발명은 변기의 자동 물내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무전원으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여, 무전원에 의해 전력절감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건전지 사용으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용변후 변기내에 휴지를 버리는 타임까지 제어해 줌으로 보다 환경적인 제품을 개발 완성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소변을 구분하여 자동으로 물내림을 해주므로 변기 종류에 따라 소변시에 물을 30~50%까지 절약 할 수 있으므로 21세기 물과의 전쟁에서 적지 않은 효과를 발휘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우리의 소중한 자원을 절약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재래식 대변기, 소변기, 양식 변기(대소변 겸용) 등이 있다. 양식 변기는 모두 수세식이며, 재래식 변기 배수량에는 수세식과 급취식이 있다. 재래식 대변기로 비수세식의 것에는 변기의 가장자리만으로 밑이 뚫린 형과 앞쪽에 밑이 있고 뒤쪽만 열려 있는 것 등이 있다. 수세식의 것은 오물의 세정방식에 따라 후급수-전배수식, 사이펀제트식, 전급수-후배수식의 3종류로 나누어진다.
양식 변기는 대/소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기제의 본체와 목제 에나멜칠 또는 플라스틱제의 변좌 및 뚜껑으로 되어 있다. 오물유출방법에 따라 사이펀제트식과 워시아웃식으로 나눈다. 양식 변기의 일종에는 용변 후 자동적으로 둔부를 온탕이 세정하고 온기가 나와 건조시키는 형식의 것도 있다.
이러한 변기 배수량에서 자동으로 물내림을 수행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전기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래서 전원에 연결하거나 건전지를 이용하여야만 자동 물내림 장치로 이루어진 변기 배수량에서 자동으로 물내림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기술 등은 반드시 전원이 있어야만 동작하기 때문에 특별한 장소에만 설치 사용될 수밖에 없었으며 가격적인 부분과 관리적인 문제가 있어 대중화 될 수 없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적외선 센서적용 및 전기전자 제품들로서 외란 광에 의한 에러가 발생하는 등 습도로 인한 에러가 발생하고 갑자기 건전지가 소모되면 물을 내리지 않아 다음 사용자들에게 오히려 불쾌감을 제공하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될 수밖 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무전원으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여, 무전원에 의해 전력절감은 물론 건전지 사용으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용변 후 변기내에 휴지를 버리는 타임까지 제어해 줌으로 보다 환경적인 제품을 개발 완성할 수 있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소변을 구분하여 자동으로 물내림을 해주므로 변기종류에 따라 소변시에 물을 30~50%까지 절약 할 수 있으므로 21세기 물과의 전쟁에서 적지 않은 효과를 발휘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우리의 소중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고,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된 물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와;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제어밸브에서 수로를 통해 통과되는 수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체크조절밸브(40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을 감지하면,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자동으로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하는 실린더 동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는,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인체하중 스위치(31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ON) 되면 열림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가 수압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는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물내림 개폐밸브(52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물이 퇴수되도록 하는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크조절밸브(400)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퇴수시키는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의 수압에 의해 전진하며, 전진하는 방향의 말단 부분에 위치하여 물내림 개폐밸브(520)를 열어주는 물내림 동작을 위한 돌기(511)를 구비한 실린더로드(510)와; 상기 물내림 동작을 위한 돌기(511)의 전진 동작에 의해 들어올려져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에서 공급되는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되도록 하는 물내림 개폐밸브로드(521)를 구비한 물내림 개폐밸브(52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오프시 상기 실린더로드(510)를 후진시키는 스프링(5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도 1의 변좌시트를 건물 직수형 변기에 사용할 경우의 예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직수형 대변기 세척 밸브 상부의 피스톤 내부 압력실(도면상에 미도시)에서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상부 피스톤 내부 압력실에서 공급 받는 물보다 적은 양을 (물내림하지 않고) 배출시키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와;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제어밸브에서 수로를 통해 통과되는 수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체크조절밸브(40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을 감지하면,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건물 직수형 변기의 대변기 세척 밸브 상부의 피스톤 내부 압력실의 물을 퇴수시켜 자동물내림 해주는 실린더 동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조절밸브(400)를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조절하고,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설정단계(ST1)와; 상기 설정단계 후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가 열림 되어 작동하면 실린더 동작부(500)로 급수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를 수압에 의해 전진시키는 전진단계(ST2 ~ ST5)와; 상기 전진단계 후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이 오프된 상태임을 판별하면 상기 실린더로드(510)를 후진시켜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키는 급수단계(ST6, ST7);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단계는,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시,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오프,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닫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는 열림,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열림 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작동시,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온,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열림,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는 닫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닫힘 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의 열림 상태에 의해 급수된 물이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로 배관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여 전달된 물의 수압에 상기 실린더로드(510)를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실린더로드(510)가 전진시, 상기 실린더로드(510)의 물내림 동작을 위한 개폐 돌기(511)가 물내림 개폐밸브(520)의 물내림 개폐밸브로드(521)를 지나가면서 밀어올려 상기 물내림 개폐밸브(520)를 열림 시키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가 닫힘되어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시는 물의 급수는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오프 되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가 열림 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물내림 개폐밸브(520)를 통해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단계는,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킬 때 상기 실린더로드(510)가 스프링(540)에 의해 후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블록구성도이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어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00)와; 상기 필터(100)에서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일정한 수압으로 변환시키는 감압밸브(200)와;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고, 상기 감압밸브(200)에서 공급된 물을 수로 배관을 통해 급수받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와;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제어밸브에서 수로를 통해 통과되는 수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체크조절밸브(40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을 감지하면,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자동으로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하는 실린더 동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는,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에 의해 수동레버(630)에 의한 물내림 시의 물량조절이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수동레버(630)를 돌리면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하여 물내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레버부(6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의 상세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는,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인체하중 스위치(31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ON) 되면 열림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가 수압에 의해 전진 동작하도록 하는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ON)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가 수압에 의해 후진 동작하도록 하는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열림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의 전진시 물이 퇴수되도록 하는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의 후진시 물이 퇴수되도록 하는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도 5 및 도 6에서 체크조절밸브의 상세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조절밸브(400)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퇴수시키는 실린더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1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퇴수시키는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와;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와 연결되어 휴지버리는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430)와; 수동레버부(600)와 연결되어 상기 수동레버부(600)에 의한 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레버 물량체크조절밸브(4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도 5 및 도 6에서 실린더 동작부의 상세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의 수압에 의해 전진하며, 전진하는 방향의 말단 부분에 위치하여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를 열어주는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를 구비하고, 상기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 보다 전진 방향의 뒤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를 열어주는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를 구비하며,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를 열어주는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돌기(514)를 구비한 실린더로드(510)와; 상기 실린더로드(510)의 전진 동작에 의해 들어올려져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대소변량 급수개폐밸브(341)에서 공급되는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되도록 하는 대소변량 개폐밸브로드(523)를 구비한 대소변량 개폐밸브(522)와; 상기 실린더로드(510)의 전진 동작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로드(531)를 구비하고, 상기 체크조절밸브(400) 내의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440)의 조절에 의해 통과하는 수량이 조절되어, 휴지버리는시간을 고려하여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는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오프시 상기 실린더로드(510)를 후진시키는 스프링(54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는, 상기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는 상기 실린더로드(510)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는 상기 실린더로드(510)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도 5 및 도 6에서 수동레버부의 상세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레버부(600)는, 상기 수동레버부(600) 내에서 배관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함유한 부분과 수동레버 실린더로드(620)가 위치한 부분을 막는 고무패킹(610)과; 상기 고무패킹(610)과 연결되고, 수동레버(630)의 동작시 상기 고무패킹(610)을 열어 급수된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되도록 하는 수동레버 실린더로드(620)와; 회전시 수동레버 캠(631)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실린더로드(620)를 동작시켜 상기 고무패킹(610)을 열어 급수된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되도록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수동레버(630)와; 상기 실린더로드(620)와 연결되어 자동 물내림 장치로의 급수 후 상기 고무패킹(610)이 닫히도록 하는 수동레버 스프링(6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도 5의 변좌시트를 건물 직수형 변기에 사용할 경우의 예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직수형 대변기 세척 밸브 상부의 피스톤 내부 압력실에서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00)와; 상기 필터(100)에서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일정한 수압으로 변환시키는 감압밸브(200)와;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고, 상기 감압밸브(200)에서 공급된 물을 수로 배관을 통해 급수받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상부 피스톤 내부 압력실에서 공급 받는 물보다 적은 양을 (물내림하지 않고) 배출시키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와;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제어밸브에서 수로를 통해 통과되는 수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체크조절밸브(40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을 감지하면,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건물 직수형 변기의 대변기 세척 밸브 상부의 피스톤 내부 압력실의 물을 퇴수시켜 자동물내림 해주는 실린더 동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조절밸브(400)를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조절하고,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설정단계(ST11)와; 상기 설정단계 후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단계(ST12)와; 상기 필터단계 후 공급된 물을 일정한 수압으로 변환시키는 감압단계(ST13)와; 상기 감압단계 후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가 온 되어 작동하면 실린더 동작부(500)로 급수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를 수압에 의해 전진시키면서 대소변 구분 및 휴지버리는시간 구분을 수행하는 전진단계(ST14 ~ ST16)와; 상기 전진단계 후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이 오프된 상태임을 판별하면 상기 실린더로드(510)를 후진시키면서 구분된 대소변, 휴지버리는시간에 따라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키는 급수단계(ST17, ST18);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단계는,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에서 실린더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10),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430), 수동레버 물량체크조절밸브(440) 중 하나 이상의 밸브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시,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오프,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닫힘,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는 열림,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는 열림,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는 닫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열림 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작동시,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온,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열림,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는 닫힘,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는 닫힘,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는 열림,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닫힘 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의 열림 상태에 의해 급수된 물이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의 앞부분으로 배관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여 전달된 물의 수압에 상기 실린더로드(510)를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실린더로드(510)가 전진시, 상기 실린더로드(510)의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와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에 의해 소변량인지 또는 대변량인지를 구분하도록 하고,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돌기(514)에 의해 휴지버리는시간을 구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단계에서 대소변 구분은, 상기 체크조절밸브(400) 내의 실린더전진 시 퇴수체크밸브(410)의 조절에 의해 구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진단계에서 대소변 구분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된 후 5초~20초 이상이고 50초~180초 이하이면 소변으로 판단하여 소변에 따른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고, 50초~180초 이상은 대변으로 판단하여 대변에 따른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오프 되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가 열림 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를 통해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단계는,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킬 때 상기 실린더로드(510)가 스프링(540)에 의해 후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무전원으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여, 무전원에 의해 전력절감은 물론 건전지 사용으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용변후 변기내에 휴지를 버리는 타임까지 제어해 줌으로 보다 청결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소변을 구분하여 자동으로 물내림을 해주므로 변기 종류에 따라 소변시에 물을 30 ~ 50%까지 절약 할 수 있으므로 21세기 물과의 전쟁에서 적지 않은 효과를 발휘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우리의 소중한 자원절약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무전원으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블록구성도이다.
그래서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는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고, 배관을 통해 급수된 물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배출시킨다.
체크조절밸브(400)는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제어밸브를 조절하도록 한다.
실린더 동작부(500)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을 감지하면,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자동으로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한다.
도 2는 도 1의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그래서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는 인체하중 스위치(310),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를 구비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하중 스위치(310),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의 열림/닫힘 동작은 미리 설정된 열림 또는 닫힘 값에 따라 함께 동작하게 된다.
이때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사람 등이 변기에 착좌했는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ON) 되면 열림 되어 급수된 물을 실린더 동작부(50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실린더 동작부(500)가 수압에 의해 동작하도록 한다.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는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물내림 개폐 밸브(52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한다.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체크조절밸브(400)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물이 퇴수되도록 한다.
또한 체크조절밸브(400)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퇴수시키는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동작부(500)는 실린더로드(510), 물내림 개폐 밸브(520), 스프링(5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로드(510)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의 수압에 의해 전진하며, 전진하는 방향의 말단 부분에 위치하여 물내림 개폐 밸브(520)를 열어주는 물내림 동작을 위한 개폐 밸브 (511)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물내림 동작을 위한 개폐 밸브 (511)는 실린더로드(510)의 말단에 위치하여 실린더로드(510)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내림 개폐 밸브(520)는 물내림 동작을 위한 개폐 밸브 (511)의 전진 동작에 의해 들어올려져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에서 공급되는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되도록 하는 물내림 개폐 밸브 로드(521)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스프링(540)은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오프시 실린더로드(510)를 후진시킨다.
도 3은 도 1의 변좌시트를 건물 직수형 변기에 사용할 경우의 예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이러한 도 3의 동작은 도 1 및 도 2와 동일하다. 다만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는 건물 직수형 대변기 세척 밸브 상부의 피스톤 내부 압력실에서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대변기 세척밸브 상부 피스톤 내부 압력실에서 공급 받는 물보다 적은 양으로 물내림하지 않고 배출시킨다. 또한 실린더 동작부(500)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건물 직수형 변기의 대변기 세척 밸브 상부 피스톤 내부 압력실의 물을 퇴수시켜 자동물내림 해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체크조절밸브(400)를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조절하고,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이 수행되도록 한다(ST1).
이때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체크조절밸브(400)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를 조절한다.
또한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시, 즉 인체가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서 이탈한 상태인 평상시의 경우,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오프,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닫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는 열림,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열림 으로 설정한다. 각각의 설정 상태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인체이탈시) 사용시 (인체하중시)
인체하중 스위치(310) OFF ON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 닫힘 열림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 열림 닫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 열림 닫힘
물내림 개폐밸브(520) 닫힘 열림
그래서 사람이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를 사용하여 인체하중이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가해질 경우에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가 온 되어 작동하게 된다. 즉,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람이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앉아서 용변을 보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하게 된다(ST2).
이때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작동시,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온,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표 1에서와 같이 닫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는 닫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닫힘 으로 변경된다(ST3).
그러면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의 열림 상태에 의해 급수된 물이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로 배관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여 전달된 물의 수압에 의해 실린더로드(510)를 전진시킨다(ST4).
그리고 실린더로드(510)가 전진시, 실린더로드(510)의 물내림 동작을 위한 돌기(511)가 물내림 개폐밸브(520)의 물내림 개폐밸브로드(521)를 밀어올려 물내림 개폐밸브(520)를 열림 시키게 된다(ST5).
이때 실린더로드(510)의 전진시, 물내림 동작을 위한 돌기(511)가 물내림 개폐밸브(52)를 열어주기는 하지만,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가 닫힘 상태로 막혀있어 물내림을 하지 않고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용변자가 용변을 다 보고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서 일어서면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오프 된다(ST6).
그리고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가 열림 되도록 하여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물내림 개폐밸브(520)를 통해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키게 된다. 이렇게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킬 때 실린더로드(510)는 스프링(540)에 의해 후진된다(ST7).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먼저 필터(100)는 메인급수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의 이물질을 걸러준다. 그래서 기존의 수도 배관에서 급수 호스를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조립된 필터(100)에 급수를 연결하여 메인급수를 공급받도록 한다. 그리고 필터(100)는 소비자가 쉽게 손으로 풀러 필터(100)의 케이스(도면상에 미도시) 안의 거름망(도면상에 미도시)을 빼내어 이물질 등을 털어내고 다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감압밸브(200)는 필터(100)에서 공급된 물을 배관을 통해 공급받아 일정한 수압으로 변환시켜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로 공급한다. 이러한 감압밸브(200)는 변기로 입수되는 수압이 높을 경우 미리 세팅되어 있는 일정한 수압으로 변환시켜주는 밸브이다. 예를 들어, 입수되는 수압이 10kg/f 일 경우, 감압밸브(200)를 통해서 나오면 1.5kg/f 로 변환해 줄 수 있게 된다. 만약 감압밸브(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입수되는 수압이 각 건물이나 가정집들이 일정치 않은데, 이 때문에 각각의 건물이나 가정집들에 들어오는 수압에 맞게 일일이 체크밸브를 열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감압밸브(200)를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번거로움 및 잘못 세팅 했을 시 물내림 물량이 많이 내려가서 물을 낭비하거나 적게 내려가면 변기가 막힐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는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고, 감압밸브(200)에서 공급된 물을 배관을 통해 급수받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배출시킨다.
체크조절밸브(400)는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제어밸브를 조절하도록 한다.
실린더 동작부(500)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을 감지하면,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자동으로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한다.
수동레버부(600)는 체크조절밸브(400)에 의해 수동레버(630)에 의한 물내림 시의 물량조절이 설정되도록 하고, 수동레버(630)를 돌리면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하여 물내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의 상세개념도이다.
그래서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는 인체하중 스위치(310),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스위치와 밸브(310 ~ 360)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하중 스위치(310),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의 열림/닫힘 동작은 미리 설정된 열림 또는 닫힘 값에 따라 함께 동작하게 된다.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한다.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ON) 되면 열림 되어 급수된 물을 실린더 동작부(50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실린더 동작부(500)가 수압에 의해 전진 동작하도록 한다.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는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ON)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실린더 동작부(50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실린더 동작부(500)가 수압에 의해 후진 동작하도록 한다.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는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차단시킨다.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는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열림 되어 급수된 물을 체크조절밸브(400)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의 전진시 물이 퇴수되도록 한다.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차단시킨다.
도 8은 도 5 및 도 6에서 체크조절밸브의 상세개념도이다.
그래서 체크조절밸브(400)는 실린더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10),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430), 수동레버 물량체크조절밸브(440)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10)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퇴수시키도록 하며, 밸브의 조절 정도에 따라 실린더로드가 전진하는 시간에 따라 대변 또는 소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퇴수시키는 것으로, 밸브의 조절 정도에 따라 수압 또는 변기 종류의 배수량의 조건에 의해 퇴수시키는 물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430)는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와 연결되어 휴지버리는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수동레버 물량체크조절밸브(440)는 수동레버부(600)와 연결되어 수동레버부(600)에 의한 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도 5 및 도 6에서 실린더 동작부의 상세개념도이다.
그래서 실린더 동작부(500)는 실린더로드(510), 대소변량 개폐밸브(522),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 스프링(54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로드(510)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의 수압에 의해 전진 한다.
또한 실린더로드(510)에서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는 전진하는 방향의 말단 부분에 위치하여, 실린더로드(510)의 전진시 대소변량 개폐밸브로드(523)를 밀어올려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를 열어준다.
또한 실린더로드(510)에서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는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 보다 전진 방향의 뒤 부분에 위치하고, 실린더로드(510)의 전진시 및 후진시 대소변량 개폐밸브로드(523)를 밀어올려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를 열어준다.
이때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는 실린더로드(510)에 고정되도록 하고,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는 실린더로드(510)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한다.
또한 실린더로드(510)에서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돌기(514)는 실린더로드(510)의 전진시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로드(531)를 밀어올려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를 열어준다.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는 대소변량 개폐밸브로드(523)를 구비한다. 대소변량 개폐밸브로드(523)는 실린더로드(510)의 후진 동작에 의해 들어올려져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에서 공급되는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되도록 한다.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는 실린더로드(510)의 전진 동작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로드(531)를 구비하고, 체크조절밸브(400) 내의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440)의 조절에 의해 통과하는 수량이 조절되어, 휴지버리는시간을 고려하여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한다.
스프링(540)은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오프시 실린더로드(510)를 후진시킨다.
도 10은 도 5 및 도 6에서 수동레버부의 상세개념도이다.
그래서 수동레버부(600)는 고무패킹(610), 수동레버 실린더로드(620), 수동레버(630), 수동레버 스프링(640)으로 구성할 수 있다.
고무패킹(610)은 수동레버부(600) 내에서 배관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함유한 부분과 수동레버 실린더로드(620)가 위치한 부분을 막는다.
수동레버 실린더로드(620)는 고무패킹(610)과 연결되고, 수동레버(630)의 동작시 고무패킹(610)을 열어 급수된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되도록 한다.
수동레버(630)는 회전시 수동레버 캠(631)의 회전동작에 의해 실린더로드(620)를 동작시켜 고무패킹(610)을 열어 급수된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되도록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수동레버 스프링(640)은 실린더로드(620)와 연결되어 자동 물내림 장치로의 급수 후 고무패킹(610)이 닫히도록 한다.
그래서 용변을 본 후 수동레버부(600)의 동작할 경우, 수동레버(630)를 돌리면 수동레버(630)가 캠 방식으로 수동레버 실린더로드(620)를 전진시킨다. 그러면 고무패킹(610)에 막혀있던 밸브가 열려 수동레버부(600)로 급수된 물이 고무패킹(610)으로 막혀있던 부분을 통과하여 자동 물내림 장치로 연결된 배관으로 나간다.
그리고 수동레버부(600)로 급수된 물 중 일정량은 배관으로 통해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되고, 남은 일정량은 수동레버 실린더로드(620)의 수동레버 방향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수동레버 실린더로드(620)의 뒤쪽으로 유입된 물과 수동레버 스프링(640)에 의해 실린더로드(620)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물내림 동작이 멈추게 된다.
이때 고무패킹(610)이 열리는 시간은 체크조절밸브(400)의 수동레버 물량체크조절밸브(4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즉, 수동레버 물량체크조절밸브(440)로 빠져나가는 물의 양을 조절하면 수동레버 스프링(640)에 의해 수동레버 실린더로드(62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시간을 연장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어 원하는 대변 또는 소변량에 해당하는 물내림을 할 수 있다.
도 11은 도 5의 변좌시트를 건물 직수형 변기에 사용할 경우의 예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이러한 도 11의 동작은 도 5 내지 도 10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다. 다만 필터(100)는 건물 직수형 대변기 세척 밸브 상부의 피스톤 내부 압력실에서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의 이물질을 걸러주고, 또한 실린더 동작부(500)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건물 직수형 변기의 대변기 세척 밸브 피스톤 내부의 물을 퇴수시켜 자동물내림 해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체크조절밸브(400)를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조절하고,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이 수행되도록 한다(ST11).
이때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체크조절밸브(400)에서 실린더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10),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430), 수동레버 물량체크조절밸브(440) 중 하나 이상의 밸브를 조절한다. 이러한 각각의 밸브(410 ~ 440)의 조절에 의해 수압 또는 변기 등의 조건에 따라 각각의 상태에서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시, 즉 인체가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서 이탈한 상태인 평상시의 경우,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오프,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닫힘,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는 열림,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는 열림,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는 닫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열림 으로 설정한다. 각각의 설정 상태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인체이탈시) 사용시 (인체하중시)
인체하중 스위치(310) OFF ON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 닫힘 열림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 열림 닫힘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 열림 닫힘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 닫힘 열림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 열림 닫힘
대소변량 개폐밸브(522) 닫힘 열림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 닫힘 열림
그리고 메인급수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필터(100)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걸러준다. 그래서 기존의 수도 배관에서 급수 호스를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조립된 필터(100)에 급수를 연결하여 메인급수를 공급받도록 한다. 그리고 필터(100)는 소비자가 쉽게 손으로 풀러 필터(100)의 케이스(도면상에 미도시) 안의 거름망(도면상에 미도시)을 빼내어 이물질 등을 털어내고 다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ST12).
또한 공급된 물을 감압밸브(200)를 이용하여 일정한 수압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감압밸브(200)는 변기로 입수되는 수압이 높을 경우 미리 세팅되어 있는 일정한 수압으로 변환시켜주는 밸브이다. 예를 들어, 입수되는 수압이 10kg/f 일 경우, 감압밸브(200)를 통해서 나오면 1.5kg/f 로 변환해 줄 수 있게 된다. 만약 감압밸브(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입수되는 수압이 각 건물이나 가정집들이 일정치 않은데, 이 때문에 각각의 건물이나 가정집들에 들어오는 수압에 맞게 일일이 체크밸브를 열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감압밸브(200)를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번거로움 및 잘못 세팅 했을 시 물내림 물량이 많이 내려가서 물을 낭비하거나 적게 내려가면 변기가 막힐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ST13).
그래서 사람이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를 사용하여 인체하중이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가해질 경우에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가 온 되어 작동하게 된다. 즉,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람이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앉아서 대변 또는 소변을 보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하게 된다(ST14).
이때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작동시, 표 2에서와 같이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온,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열림,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는 닫힘,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는 닫힘,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는 열림,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닫힘 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또한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의 열림 상태에 의해 급수된 물이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의 앞부분으로 배관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여 전달된 물의 수압에 의해 실린더로드(510)를 전진시킨다(ST15).
또한 실린더로드(510)가 전진시, 얼마만큼의 전진정도에 따라 실린더로드(510)의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와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에 의해 소변량인지 또는 대변량인지를 구분하도록 하고,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돌기(514)에 의해 휴지버리는시간을 구분하도록 한다(ST16).
이때 대소변 구분은, 체크조절밸브(400) 내의 실린더전진시 퇴수체크밸브(410)의 조절에 의해 구분되도록 한다. 또한 전진단계에서 대소변 구분은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된 후 5초~20초 이상이고 50초~180초 이하이면 소변으로 판단하여 소변에 따른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고, 50초~180초 이상은 대변으로 판단하여 대변에 따른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시간 간격이 최대 5초~180초 사이이거나 또는 시간 간격이 20초~50초 사이이면 소변으로 판단하여 소변에 따른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고, 최소 50초를 넘거나 또는 최대 180초를 넘으면 대변으로 판단하여 대변에 따른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래서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된 후 5초 이하이거나 또는 20초 이하이면, 자동 물내림을 수행하지 않게 되어, 청소 등의 목적으로 사람 등이 잠깐 변좌시트에 닿았을 경우에는 자동 물내림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오작동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실린더로드(510)의 전진시는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가 열림 상태가 되어 열리게 되고,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와 연결된 실린더 동작부(500)의 실린더로드(510) 전반부로 배관을 통해서 물이 급수된다.
그리고 실린더로드(510)의 전진시에 실린더로드(510)의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와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가 대소변량 개폐밸브로드(523)를 들어올려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를 열어주고,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돌기(514)가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로드(531)를 들어올려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를 열어주게 되는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와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가 닫힘 상태이므로 막혀있어 필터(100)와 감압밸브(200)를 통과해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로 공급된 물을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하지 않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오프 되면 자동 물내림 동작이 수행되게 된다(ST17).
그래서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킬 때 실린더로드(510)가 스프링(540)에 의해 후진되도록 하거나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상태 변경에 의해 실린더로드(510)가 후진되도록 하여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게 된다. 또한 구분된 대소변, 휴지버리는시간에 따라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킨다(ST18).
한편 용변자가 용변을 보고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서 탈좌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먼저 용변자가 소변을 보고 탈좌할 경우, 인체하중 센서부(300)가 표 2의 상태와 같이 인체이탈시의 상태로 변경되어 실린더로드(510)가 후진한다. 즉,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의 닫힘 상태에 의해 실린더로드(510)의 전반부의 물은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를 통해 빠져나가고,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의 열림 상태에 의해 실린더로드(510)의 후반부에는 물이 급수되어 실린더로드(510)는 수압에 의해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로드(510)의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돌기(514)가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의 위치까지 전진하게 되면,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로드(531)가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돌기(514)에 의해 눌러져 있어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가 열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일정한 휴지버리는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그래서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430)에 의해 세팅된 시간과 소변량으로 세팅되어 있는 시간이 합쳐져서 실린더로드(510)가 빠르게 후진하게 된다.
그런 다음, 실린더로드(510)가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를 지나서까지 후진하게 되면, 실린더로드(510)에 고정되어 있는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가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를 눌러 물내림장치에 급수하여 소변량에 해당하는 자동 물내림을 수행하게 되고, 소변량에 해당하는 물을 내려주는 시간으로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밸브(420)에 의해 세팅된 시간 만큼의 속도로 실린더로드(510)가 후진한다.
또한 용변자가 대변을 보고 탈좌할 경우에는 대변량에 해당하는 물이 자동 물내림 되도록 한다.
그래서 대변량 배수시에는 먼저, 용변자가 착좌할 때 실린더로드(510)가 전진하면서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가 실린더로드(510)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를 넘어가지 않고 슬라이드 하게 된다. 그리고 대변량 위치까지 실린더로드(510)가 전진하게 되면, 실린더로드(510)의 턱에 걸려 넘어가게 된다.
그리고 용변자가 탈좌시 인체하중 센서부(300)의 상태 값이 표 2에서와 같이 인체이탈시로 변환되어 실린더로드(510)가 후진하게 된다.
이때 물내림 동작은 소변량에서의 물내림 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게 되는데, 다만 실린더로드(510)에 고정된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의 앞에 슬라이드가 가능한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가 먼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대변량에 해당하는 물내림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무전원으로 변기의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여, 무전원에 의해 전력절감이 가능하도록 하고, 물내림을 자동으로 수행하면서 대변 또는 소변을 구분하고 휴지버리는시간도 조절하여 물을 절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변좌시트를 건물 직수형 변기에 사용할 경우의 예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의 상세개념도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6에서 체크조절밸브의 상세개념도이다.
도 9는 도 5 및 도 6에서 실린더 동작부의 상세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5 및 도 6에서 수동레버부의 상세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5의 변좌시트를 건물 직수형 변기에 사용할 경우의 예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필터
200 : 감압밸브
300 :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
310 : 인체하중 스위치
320 :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
330 :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
340 : 물내림 급수제어밸브
341 :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
350 :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
360 :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
400 : 체크조절밸브
410 : 실린더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
420 :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
430 :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
440 : 수동레버 물량체크조절밸브
500 : 실린더 동작부
510 : 실린더로드
511 : 물내림 동작을 위한 돌기
512 :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
513 :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
514 :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돌기
520 : 물내림 개폐 밸브
521 : 물내림 개폐 밸브로드
522 : 대소변량 개폐밸브
523 : 대소변량 개폐로드
530 :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
531 :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로드
540 : 스프링
600 : 수동레버부
610 : 고무패킹
620 : 수동레버 실린더로드
630 : 수동레버
631 : 수동레버 캠
640 : 수동레버 스프링

Claims (34)

  1.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고, 배관을 통해 급수된 물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와;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제어부(300)의 제어밸브에서 수로를 통해 통과되는 수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체크조절밸브(40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을 감지하면,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자동으로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하는 실린더 동작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2. 건물 직수형 대변기 세척 밸브 상부 피스톤 내부 압력실에서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상부 피스톤 내부 압력실에서 공급 받는 물보다 적은 양을 배출시키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와;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제어밸브에서 수로를 통해 통과되는 수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체크조절밸브(40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을 감지하면,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건물 직수형 변기의 대변기 세척 밸브 상부 피스톤 내부압력실의 물을 공급받는 물량 만큼 퇴수시켜 자동물내림 해주는 실린더 동작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는,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인체하중 스위치(31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ON) 되면 열림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가 수압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는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물내림 개폐 밸브(52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물이 퇴수되도록 하는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크조절밸브(400)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퇴수시키는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의 수압에 의해 전진하며, 전진하는 방향의 말단 부분에 위치하여 물내림 개폐 밸브(520)를 열어주는 물내림 동작을 위한 돌기(511)를 구비한 실린더로드(510)와;
    상기 물내림 동작을 위한 돌기(511)의 전진 동작에 의해 들어올려져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에서 공급되는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되도록 하는 물내림 개폐 밸브 로드(521)를 구비한 물내림 개폐 밸브(52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오프시 상기 실린더로드(510)를 후진시키는 스프링(54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6. 체크조절밸브(400)를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조절하고,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설정단계(ST1)와;
    상기 설정단계 후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가 온 되어 작동하면 실린더 동작부(500)로 급수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를 수압에 의해 전진시키는 전진단계(ST2 ~ ST5)와;
    상기 전진단계 후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이 오프된 상태임을 판별하면 상기 실린더로드(510)를 후진시켜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키는 급수단계(ST6, ST7);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시,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오프,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닫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는 열림,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열림 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작동시,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온,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닫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는 닫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닫힘 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의 열림 상태에 의해 급수된 물이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로 배관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여 전달된 물의 수압에 상기 실린더로드(510)를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실린더로드(510)가 전진시, 상기 실린더로드(510)의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가 물내림 개폐 밸브(520)의 물내림 개폐 밸브 로드(521)를 밀어올려 상기 물내림 개폐 밸브(520)를 열림 시키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가 닫힘되어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시는 물의 급수는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오프 되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14.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물내림 급수제어밸브(340)가 열림 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물내림 개폐 밸브(520)를 통해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는,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킬 때 상기 실린더로드(510)가 스프링(540)에 의해 후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16.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어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00)와;
    상기 필터(100)에서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일정한 수압으로 변환시키는 감압 밸브(200)와;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고, 상기 감압밸브(200)에서 공급된 물을 수로 배관을 통해 급수받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와;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제어밸브에서 수로를 통해 통과되는 수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체크조절밸브(40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을 감지하면,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자동으로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하는 실린더 동작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17. 건물 직수형 대변기 세척 밸브 상부의 피스톤 내부 압력실에서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00)와;
    상기 필터(100)에서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일정한 수압으로 변환시키는 감압밸브(200)와;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고, 상기 감압밸브(200)에서 공급된 물을 수로 배관을 통해 급수받아 제어밸브의 열림/닫힘(ON/OFF)에 따라 제어하여 상부 피스톤 내부 압력실에서 공급 받는 물보다 적은 양을 배출시키는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와;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제어밸브에서 수로를 통해 통과되는 수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체크조절밸브(40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을 감지하면,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여 물 직수형 변기의 대변기 세척 밸브 상부 피스톤 내부압력실의 물을 공급받는 물량 만큼 퇴수시켜 자동물내림 해주는 실린더 동작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는,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에 의해 수동레버(630)에 의한 물내림 시의 물량조절이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수동레버(630)를 돌리면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하여 물내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레버부(600);
    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수동레버부(600)는,
    상기 수동레버부(600) 내에서 배관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함유한 부분과 수동레버 실린더로드(620)가 위치한 부분을 막는 고무패킹(610)과;
    상기 고무패킹(610)과 연결되고, 수동레버(630)의 동작시 상기 고무패킹(610)을 열어 급수된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되도록 하는 수동레버 실린더로드(620)와;
    회전시 수동레버 캠(631)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실린더로드(620)를 동작시켜 상기 고무패킹(610)을 열어 급수된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로 급수되도록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수동레버(630)와;
    상기 실린더로드(620)와 연결되어 자동 물내림 장치로의 급수 후 상기 고무패킹(610)이 닫히도록 하는 수동레버 스프링(64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20.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는,
    인체하중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인체하중 스위치(31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ON) 되면 열림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가 수압에 의해 전진 동작하도록 하는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ON)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가 수압에 의해 후진 동작하도록 하는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열림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의 전진시 물이 퇴수되도록 하는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와;
    상기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닫힘 되어 급수된 물을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로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의 후진시 물이 퇴수되도록 하는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21.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체크조절밸브(400)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퇴수시키는 실린더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10)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퇴수시키는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와;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와 연결되어 휴지버리는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430)와;
    수동레버부(600)와 연결되어 상기 수동레버부(600)에 의한 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레버 물량체크조절밸브(44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22.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가 열림 되면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의 수압에 의해 전진하며, 전진하는 방향의 말단 부분에 위치하여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를 열어주는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를 구비하고, 상기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 보다 전진 방향의 뒤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를 열어주는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를 구비하며,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를 열어주는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돌기(514)를 구비한 실린더로드(510)와;
    상기 실린더로드(510)의 전진 동작에 의해 들어올려져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에서 공급되는 물이 자동 물내림 장치에 급수되도록 하는 대소변량 개폐밸브로드(523)를 구비한 대소변량 개폐밸브(522)와;
    상기 실린더로드(510)의 전진 동작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로드(531)를 구비하고, 상기 체크조절밸브(400) 내의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440)의 조절에 의해 통과하는 수량이 조절되어, 휴지버리는시간을 고려하여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는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밸브(5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는,
    상기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는 상기 실린더로드(510)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는 상기 실린더로드(510)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24. 체크조절밸브(400)를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조절하고,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설정단계(ST11)와;
    상기 설정단계 후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단계(ST12)와;
    상기 필터단계 후 공급된 물을 일정한 수압으로 변환시키는 감압단계(ST13)와;
    상기 감압단계 후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가 온 되어 작동하면 실린더 동작부(500)로 급수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를 수압에 의해 전진시키면서 대소변 구분 및 휴지버리는시간 구분을 수행하는 전진단계(ST14 ~ ST16)와;
    상기 전진단계 후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에서 인체하중이 오프된 상태임을 판별하면 상기 실린더로드(510)를 후진시키면서 구분된 대소변, 휴지버리는시간에 따라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키는 급수단계(ST17, ST18);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수압 및 변기 종류의 배수량에 맞게 상기 체크조절밸브(400)에서 실린더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10), 실린더후진시 퇴수체크조절밸브(420), 휴지버리는시간 체크조절밸브(430), 수동레버 물량체크조절밸브(440) 중 하나 이상의 밸브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설정시,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오프,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닫힘,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는 열림,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는 열림,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는 닫힘,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열림 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27.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되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28.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의 작동시, 인체하중 스위치(310)는 온,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는 열림, 실린더후진시 급수제어밸브(330)는 닫힘,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는 닫힘, 실린더전진시 퇴수제어밸브(350)는 열림, 실린더후진시 퇴수제어밸브(360)는 닫힘 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29.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실린더전진시 급수제어밸브(320)의 열림 상태에 의해 급수된 물이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실린더로드(510)의 앞부분으로 배관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여 전달된 물의 수압에 상기 실린더로드(510)를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30.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전진단계는,
    상기 실린더로드(510)가 전진시, 상기 실린더로드(510)의 소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2)와 대변량 동작을 위한 돌기(513)에 의해 소변량인지 또는 대변량인지를 구분하도록 하고, 휴지버리는시간 조절돌기(514)에 의해 휴지버리는시간을 구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31.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전진단계에서 대소변 구분은,
    상기 체크조절밸브(400) 내의 실린더전진시 퇴수체크밸브(410)의 조절에 의해 구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32.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전진단계에서 대소변 구분은,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온 된 후 5초~20초 이상이고 50초~180초 이하이면 소변으로 판단하여 소변에 따른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고, 50초~180초 이상은 대변으로 판단하여 대변에 따른 자동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33. 청구항 24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인체하중 스위치(310)가 오프 되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34. 청구항 24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인체하중 센서 및 수로 제어부(300) 내의 대소변량 급수제어밸브(341)가 열림 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 동작부(500) 내의 대소변량 개폐밸브(522)를 통해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급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의 제어방법.
KR1020080010178A 2008-01-31 2008-01-31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 KR100946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178A KR100946391B1 (ko) 2008-01-31 2008-01-31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
US12/865,307 US20110010831A1 (en) 2008-01-31 2008-12-31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oilet seat having non-power chamber pot auto-flush by water pressure and body weight
EP08871718A EP2250322A2 (en) 2008-01-31 2008-12-31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oilet seat having non-power chamber pot auto-flush by water pressure and body weight
CN2008801262235A CN101939496A (zh) 2008-01-31 2008-12-31 用于具有通过水压和体重自动冲洗的非用电便池的马桶座的设备和控制方法
JP2010544879A JP2011511189A (ja) 2008-01-31 2008-12-31 水圧および人体荷重を用いた便器の無電源自動水洗装置付き便座およびその制御方法
PCT/KR2008/007821 WO2009096666A2 (en) 2008-01-31 2008-12-31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oilet seat having non-power chamber pot auto-flush by water pressure and body w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178A KR100946391B1 (ko) 2008-01-31 2008-01-31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162A KR20090084162A (ko) 2009-08-05
KR100946391B1 true KR100946391B1 (ko) 2010-03-18

Family

ID=4091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178A KR100946391B1 (ko) 2008-01-31 2008-01-31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10831A1 (ko)
EP (1) EP2250322A2 (ko)
JP (1) JP2011511189A (ko)
KR (1) KR100946391B1 (ko)
CN (1) CN101939496A (ko)
WO (1) WO200909666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77767A (zh) * 2010-11-29 2012-05-30 赵秋娴 自动除臭智能座便器
WO2012108730A2 (ko) * 2011-02-11 2012-08-16 베스트오토앤시트 주식회사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790B1 (ko) * 2008-06-13 2011-02-15 주식회사 에이에프 장진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및방법
KR101303826B1 (ko) * 2010-10-13 2013-09-04 송대석 소변기용 물내림장치
US9955828B2 (en) 2012-08-31 2018-05-01 Gmat Ventures, Llc Automatic raising and controlled lowering of a toilet seat
CN102943517A (zh) * 2012-12-10 2013-02-27 毕鹏云 一种智能环保节水厕所及智能冲厕控制方法
WO2014100499A1 (en) * 2012-12-19 2014-06-26 Primoris Holdings, Llc Water conservation based on toilet seat position
CN104358294B (zh) * 2014-11-03 2016-02-10 宁波博帆卫浴有限公司 一种节水的马桶
CN109024821A (zh) * 2018-10-02 2018-12-18 深圳市优瑞新科技有限公司 基于马桶盖体重检测的智能马桶冲水水量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766A (ja) 2000-03-31 2001-10-10 Toto Ltd 水回り装置
KR100359741B1 (ko) 2000-02-11 2002-11-07 주식회사 삼풍엔지니어링건축사 사무소 자동세척장치가 구비된 변기
KR200354643Y1 (ko) 2004-04-14 2004-07-05 서찬복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KR100761006B1 (ko) 2006-08-24 2007-10-01 송유리 무전원 다용도 자동 유체 공급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41A (ja) * 1986-06-02 1988-01-05 株式会社イナックス 小便器洗浄用バルブ及び小便器の自動洗浄装置
JP2770254B2 (ja) * 1992-02-19 1998-06-25 株式会社 木村技研 小便器への洗浄水放流装置
JP2002106019A (ja) * 2000-09-29 2002-04-10 Toto Ltd 水洗便器
JP2003313918A (ja) * 2002-04-23 2003-11-06 Vaital:Kk 便器用タンク装置
JP2004332470A (ja) * 2003-05-12 2004-11-25 Sansui Seisakusho:Kk ロータンク装置における排水弁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068837A (ja) * 2003-08-26 2005-03-17 Nok Corp トイレ洗浄補助装置
JP2006022587A (ja) * 2004-07-09 2006-01-26 Yuzo Ijima 取付け式便器洗浄器具
KR100756652B1 (ko) *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WO2008030016A1 (en) * 2006-09-04 2008-03-13 Auto-Flush Co., Ltd Auto flushing devices of toilet bowls using the water press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41B1 (ko) 2000-02-11 2002-11-07 주식회사 삼풍엔지니어링건축사 사무소 자동세척장치가 구비된 변기
JP2001279766A (ja) 2000-03-31 2001-10-10 Toto Ltd 水回り装置
KR200354643Y1 (ko) 2004-04-14 2004-07-05 서찬복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KR100761006B1 (ko) 2006-08-24 2007-10-01 송유리 무전원 다용도 자동 유체 공급 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77767A (zh) * 2010-11-29 2012-05-30 赵秋娴 自动除臭智能座便器
WO2012108730A2 (ko) * 2011-02-11 2012-08-16 베스트오토앤시트 주식회사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WO2012108730A3 (ko) * 2011-02-11 2012-12-20 베스트오토앤시트 주식회사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162A (ko) 2009-08-05
US20110010831A1 (en) 2011-01-20
CN101939496A (zh) 2011-01-05
WO2009096666A3 (en) 2009-10-22
WO2009096666A2 (en) 2009-08-06
EP2250322A2 (en) 2010-11-17
JP2011511189A (ja)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391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190006B1 (ko)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US8214930B2 (en) Toilet odor removal apparatus
KR20100064623A (ko)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804307B1 (ko) 변기 커버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물 내림 시스템 및 물내림 방법
CN206486957U (zh) 一种免水冲蹲坐两用便器
KR100980398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101023764B1 (ko)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960157B1 (ko)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959693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대소변에 대응하는 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구비된 변좌시트
KR100978354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 구비된 변좌시트
KR20090101021A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JP4693147B2 (ja) 便器装置
CA2369603C (en) Commode-urinal
CN211006914U (zh) 无水箱智慧型全自动冲水马桶
KR20120105998A (ko) 자동 양변기
CN202466694U (zh) 集成式整体洁具
KR101020101B1 (ko) 수압 및 인체 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제어장치
KR20100045805A (ko)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JP4039517B2 (ja) 局部洗浄装置付き便器
KR200401106Y1 (ko) 양변기 세척수 절수 시스템
CN214433930U (zh) 一种除臭坐便椅
KR20090070396A (ko) 절수형 다기능 자동화 양변기
KR20090101022A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