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029U -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029U
KR19990036029U KR2019980001760U KR19980001760U KR19990036029U KR 19990036029 U KR19990036029 U KR 19990036029U KR 2019980001760 U KR2019980001760 U KR 2019980001760U KR 19980001760 U KR19980001760 U KR 19980001760U KR 19990036029 U KR19990036029 U KR 199900360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rain
drainag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공석
Original Assignee
송공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공석 filed Critical 송공석
Priority to KR2019980001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6029U/ko
Priority to KR1019980008265A priority patent/KR100263368B1/ko
Publication of KR19990036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029U/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의 배수량을 선택적으로 많고 적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세척수 배수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당김끈(50)이 길게 당겨지면 배수구(20)의 상부 일측을 중심으로 상승하여 배수구(21) 전체를 개방시켜 대량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하강하여 배수구(21)를 폐쇄시키는 제1개폐부(30)와; 당김끈(50)이 짧게 당겨지면 상기 제1개폐부(30)의 상부를 배수구(21)와 통하게 개방하여 소량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제1개폐부(30)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제2개폐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본 고안은 양변기용 배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조에 담긴 세척수의 배수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양변기는 용변을 마친 후 변기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조가 본체의 후방에 탑재된다. 이러한 수조에 구성되어 세척수를 변기로 배출시키는 일반적인 배출장치는, 수조의 외부로 표출되게 설치된 조절레버에 배출변이 직접 연결되어 조작에 의해 개폐변이 개방되면 수조에 담수된 세척수가 완전히 배출된 후 폐쇄되어 새로운 세척수를 일정량 공급받아 보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출밸브는 용변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조에 보유된 세척수를 모두 배출하게 됨으로써 특히 소변시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물을 소비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척수를 2단으로 조절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량 조절장치로서 일본국 특허공보 소49-49067호(하이탱크의 이단방수식 세척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이단방수식 세척장치는 복통을 순차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끈이 소복통의 직상부에 고리로 연결되어 하이탱크의 상부에서 끈을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변기의 직후방에 수조가 형성되고 이 수조의 전방에서 레버를 회전식으로 조절하는 양변기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하이탱크의 이단방수식 세척장치의 결함을 해소할 목적으로 본건 출원인은 1991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3211호로 양변기용 배수 밸브의 2단배수 조절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선출원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에 담수된 세척수의 배수량을 선택적인 2단조절에 의해 많고 적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양변기용 배수밸브의 2단 배수조절장치에 있어서, 배수구의 상단 주벽에 연이어 안내봉을 입설하며, 배수구의 상단 외주연에 환상의 패킹을 외향으로 돌설되게 개재시킨 배수관(2)과; 상기 안내봉의 하부에 원통형 몸체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향으로 개구되고 바닥면이 상기 패킹의 상면에 밀착되는 커버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 상단의 외주연에 환상의 패킹을 외향으로 돌설되게 개재시키며, 상기 커버의 상부 양측에 상부로 연장되어 중앙에 소정길이로 길게 안내장공이 통공된 승강안내대를 구성한 하부개폐변(4)과; 상기 하부개폐변(4)의 상부에 원통형 몸체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향으로 개구되고 바닥면이 하부개폐변(4)의 패킹 상면에 밀착되는 커버를 구성하고, 상기 커버의 하단 양측에 상기 승강안내대의 안내장공에 삽입되어 자유로이 승강하는 안내핀을 구성하며, 상기 커버의 일측 상부에 당김끈(5)이 연결되도록 연결편을 돌설한 상부개폐변(3)을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출원 2단배수 조절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대변과 같이 많은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를 보면, 조절레버의 회전각도를 크게 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끈(5)이 연결된 상부개폐변(3)이 수직으로 안내되어 상승함과 동시에 하부개폐변(4)의 패킹에 밀착된 커버의 바닥이 상부로 이격되어 안내공의 상부를 개방시킨후 커버 양측의 안내핀이 승강안내대의 안내장공 상단을 걸고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안내핀이 안내장공의 상단을 걸고 상승하게 되면 승강안내대와 일체로 구성된 하부개폐변(4)이 수직으로 상승하여 패킹의 상면에 밀착된 커버를 상부로 이격시켜 배수관(2)의 배수구 상부를 개방시킨다. 이렇게 하부개폐변(4)의 안내공상부와 배수관(2)의 배수구 상부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면 수조(1)내에 담수된 세척수가 안내공으로 먼저 배수되고, 개방된 배수관(2)의 배수구 상부를 통해 변기측으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배수관(2)의 배수구 상면과 동일선상이 됨과 동시에 상승한 상부개폐변(3)이 하강하여 커버의 바닥이 패킹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배수동작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어서 소변과 같이 적은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를 보면, 조절레버(미도시)를 작은 각도로 회전시켜 이에 연결된 당김끈(5)을 당기게 되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끈(5)이 연결된 상부개폐변(3)이 수직으로 안내되어 상승함과 동시에 하부개폐변(4)의 패킹에 밀착된 커버의 바닥이 상부로 이격되어 안내공의 상부를 개방시킨다.
이렇게 안내공의 상부가 개방되면 수조(1)내에 담수된 세척수가 안내공과 배수관(2)의 배수구를 통해 변기측으로 배수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배수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하부개폐변(4)의 안내공 상면과 동일선상이 됨과 동시에 상승한 상부개폐변(3)이 하강하여 커버의 바닥이 패킹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배수동작이 정지된다. 이러한 적은량의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과정에서 승강하는 상부개폐변(3)은 양측의 안내핀의 승강안내대의 안내장공을 따라 그 높이의 범위내에서 승강하게 됨으로써 하부개폐변(4)을 간섭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출원 고안은 상부개폐변(3) 커버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공에 당김끈(5)을 연결하여 수조(1)의 전면에서 조절레버(5)로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어 변기의 후방에 수조가 구비되는 양변기에 적용이 가능하며, 하부개폐변(4) 양측의 승강안내대에 상부개폐변(3) 양측의 안내핀이 승강 안내되어 세척수 배수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2단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본고안 출원인이 선출원한 2단배수 조절장치의 조립은 수조를 변기 본체에 조립할 때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이를 기존의 양변기 수조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조 전체를 분리한 후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결함이 있었으며, 상부개폐커버와 하부개폐커버의 승강 높이가 결정된 후 사출 성형됨으로써 수조의 조건 등에 따라 배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미 설치된 수조의 배수구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배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내구성이 양호하며 구조가 간단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배수량 조절장치는, 당김끈이 길게 당겨지면 배수구의 상부 일측을 중심으로 상승하여 배수구 전체를 개방시켜 대량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하강하여 배수구를 폐쇄시키는 제1개폐부와; 당김끈이 짧게 당겨지면 상기 제1개폐부의 상부를 배수구와 통하게 개방하여 소량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제1개폐부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제2개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2단배수 조절장치의 구성도로서,
(A)는 대량 배수 상태이고,
(B)는 소량 배수 상태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4은 본 고안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로서,
(A)는 대량 배수 상태이고,
(B)는 소량 배수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조 20: 배수관
21: 배수구 30: 제1개폐부
31: 몸체 40: 제2개폐부
41: 지지부재 42: 개폐부재
43: 작동부재 44: 부구
50: 인장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의 배수량을 선택적인 조절에 의해 많고 적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세척수 배수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당김끈(50)이 길게 당겨지면 배수관(20)의 상부 일측을 중심으로 상승하여 배수구(21) 전체를 개방시키후 배수가 완료되면 하강하여 배수구(21)를 폐쇄시키는 제1개폐부(30)가 구성되고, 당김끈이 짧게 당겨지면 수직으로 상승하여 상기 제1개폐부(30)의 상부를 배수구(21)와 통하게 개방하여 소량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폐쇄시키는 제2개폐부(4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개폐부(30)는, 반구형 몸체(31)의 상부를 평면으로 절취하여 개구시키고, 폐쇄된 하부의 중앙에 하향으로 소정 길이 인출하여 배출구(311)를 관통시키며, 배출구(311)의 외곽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구(312)를 통공시키고, 몸체(31)의 일측에는 배수관(20)의 상부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쌍의 연결편(313)을 구성한다.
상기 제2개폐부(40)는, 제1개폐부(30) 몸체(31)의 개구된 상부에 형합되도록 외주면에 고정홈(411)이 형성되고 일측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한쌍의 고정편(412)이 일체로 구비되며 내부의 중앙에는 리브(413)로 연결된 안내공(414)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부재(41)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재(41)의 안내공(414)로 삽입되어 자유로이 승강하는 승강축(421)이 구비되며 이 승강축(421)의 상단에는 걸림구(422)가 구비되고 걸림구(422)와 소정간격 이격된 하부에는 지지부재(41)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판(423)이 고정된 개폐부재(42)를 구성한다. 이러한 개폐부재(42)의 승강축(421)은 지지부재(41)의 안내공(414)을 통해 삽입시킨 후 하단에서 스프링(45)을 끼워 탄력있게 설치한다.
또한 일측이 절곡되고 절곡된 하단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부재(41)의 고정편(4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수대(431)가 구비되고 상부의 선단에는 당김끈(50)을 걸수 있는 홈(432)이 통공되며, 후단에는 상기 승강축(421)의 걸림구(422)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433)이 구비된 작동부재(43)를 구비하며, 이러한 작동부재(43)는 축수대(431)를 지지부재(41)의 고정편(412) 사이에 끼워 핀(434)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내부가 중공 상태이고 중앙이 수직으로 통공(441)된 부구(44)를 구비하여 이 부구(44)의 통공(441)에 당김끈(50)을 통과시켜서 그 하단을 작동부재(43)의 선단에 형성된 홈(432)의 하부에서 고정시키며, 부구(44)의 상면이 일치하는 당김끈(50)의 소정위치에 고정핀(51)을 꽂아 부구(44)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 구성된 배수량 조절장치는 배수관(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돌기(22)에 제1개폐부(30)에 구성된 연결편(313)을 끼워 결합하게 되는 것이며, 당김끈(50)의 상단은 조절레버(미도시)에 연결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로서, (A)는 대량 배수 상태이고, (B)는 소량 배수 상태이다.
먼저 대변과 같이 많은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를 보면, 도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미도시)를 큰 각도로 회전시켜 이에 연결된 당김끈(50)을 당긴다. 이때의 당김력은 제1개폐부(30)에 가하여진 수압보다 크게 작용됨으로서 작동부재(43)와 지지부재(41)를 통해 연결된 제1개폐부(30)의 몸체(31)는 배수관(20) 상부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편(313)을 중심으로 상승하게 되며, 몸체(31)의 저면이 배수관(20)으로부터 이탈되면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는 배수구(21)를 통해 배출되고, 이러한 배출 상태에서 조절손잡를 놓아 당김력이 해제되면 몸체(31)는 부력에 의해 천천히 하강하여 수위가 (a)지점에 위치함과 동시에 하강 동작이 완료되어 배수구(21)는 완전히 폐쇄된다.
이어서 소변과 같이 적은량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를 보면, 도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미도시)를 작은 각도로 회전시켜 이에 연결된 당김끈(50)을 당긴다. 이때 당김력은 제1개폐부(30)에 가하여진 수압보다 작고 제2개폐부(40)의 스프링(45) 압력보다 크게 작용됨으로써 당김끈(50)에 연결된 작동부재(43)는 핀(41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승강축(421)이 상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지지부재(41)의 저면 중심에 탄설된 스프링(45)이 압축되면서 수직으로 상승한다. 이렇게 승강축(421)이 상승하면 승강축(421)에 고정된 개폐판(423)이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지지부재(41)의 상부를 개방시켜 제1개폐부(30)의 부력을 상실시킴과 동시에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를 배수관(20)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배출 과정에서 조절레버를 놓아 당김력이 해제되면 부구(44)의 부력에 의해 당김끈(50)은 천천히 하강하여 작동부재(43)에 안착된 승강축(421)을 하강시키게 되고,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의 수위가 부구(44)의 상면과 일치하게 되면 부구(44)는 부력을 상실함과 동시에 수위를 따라 하강하기 시작하여 그 수위가 (a)지점에 위치할 때 승강축(421)의 하강 동작은 종료되고 이에 고정된 개폐판(423)은 지지부재(41)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시켜 세척수의 배출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당김끈(50)의 길이를 가변시키거나 부구(44)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키게 되면 세척수의 배수량을 임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당김끈의 당김력에 의해 배수관의 상부 일측을 중심으로 승강하면서 배수구 전체를 개방시켜 대량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다시 폐쇄시키는 제1개폐부가 구성되고, 당김끈의 당김력에 의해 수직으로 상승하여 배수구와 통하도록 상기 제1개폐부의 상부를 개방하여 소량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다시 폐쇄시키는 제2개폐부를 구성하여 이미 설치된 수조의 배수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배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내구성이 양호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의 배수량을 선택적으로 많고 적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세척수 배수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당김끈(50)이 길게 당겨지면 배수구(21)를 개방하여 대량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하강하여 배수구(21)를 폐쇄시키는 제1개폐부(30)와;
    당김끈(50)이 짧게 당겨지면 상기 제1개폐부(30)의 상부를 배수구(21)와 통하게 개방하여 소량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제1개폐부(30)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제2개폐부(4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1개폐부(30)는,
    반구형 몸체(31)의 상부를 평면으로 절취하여 개구시키고, 폐쇄된 하부의 중앙에 하향으로 소정 길이 인출하여 배출구(311)를 관통시키며, 배출구(311)의 외곽에 다수의 공기 유입구(312)를 통공시키고, 몸체(31)의 일측에 배수관(20)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편(313)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제2개폐부(40)는,
    제1개폐부(30) 몸체(31)의 개구된 상부에 형합되도록 외주면에 고정홈(411)이 형성되고, 일측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한쌍의 고정편(412)이 일체로 구비되며, 내부의 중앙에 안내공(414)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부재(41)와;
    상기 지지부재(41)의 안내공(414)으로 삽입되어 자유로이 승강하는 승강축(421)이 구비되며, 이 승강축(421)의 상단에 걸림구(422)가 구비되고, 걸림구(422)와 소정간격 이격된 하부에 개폐판(423)이 구비되며, 상기 안내공(414)의 저면에 승강축(421)의 하단이 스프링(45)으로 탄력있게 설치된 개폐부재(42)와;
    상기 지지부재(41)의 고정편(4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수대(431)가 구비되고, 상부의 선단에 인장끈(50)이 연결되며, 후단에 승강축(421)의 걸림구(422)가 안착되며, 상기 축수대(431)가 지지부재(41)의 고정편(412) 사이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작동부재(43)와;
    상기 안착홈(433)의 직상부에 당김끈(50)을 중앙으로 통과시켜 소정 높이로 승강동작이 제한되도록 부구(44)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19980001760U 1998-02-12 1998-02-12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9990036029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760U KR19990036029U (ko) 1998-02-12 1998-02-12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19980008265A KR100263368B1 (ko) 1998-02-12 1998-03-12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760U KR19990036029U (ko) 1998-02-12 1998-02-12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029U true KR19990036029U (ko) 1999-09-15

Family

ID=6971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760U KR19990036029U (ko) 1998-02-12 1998-02-12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602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53B1 (ko) * 2010-03-17 2012-04-18 이수인 (주)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1230354B1 (ko) * 2010-12-22 2013-02-06 이수인 (주)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1339989B1 (ko) * 2011-09-06 2013-12-10 박봉남 배출유량 조절형 부구를 갖는 배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53B1 (ko) * 2010-03-17 2012-04-18 이수인 (주)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1230354B1 (ko) * 2010-12-22 2013-02-06 이수인 (주)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1339989B1 (ko) * 2011-09-06 2013-12-10 박봉남 배출유량 조절형 부구를 갖는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652B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100764836B1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US4371992A (en) Water feeder conservation tank
JPS61130532A (ja) 水槽排水装置
KR19990071333A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9990036029U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US4185339A (en) Water closet tank and inclined outlet valve ball element support therefor
KR200439595Y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19990036030U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164180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200277618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JPH036693Y2 (ko)
US4842011A (en) Flushing means
KR200441830Y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200310476Y1 (ko) 양변기용 2단 급수조절레버
KR200301100Y1 (ko) 변기 절수형 밸브
KR200184873Y1 (ko)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042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2단 배수장치
KR101010343B1 (ko) 양변기
KR200287466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1009369B1 (ko)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KR200211470Y1 (ko) 양변기 절수장치
KR200206146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CN215858047U (zh) 一种马桶水箱节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