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958Y1 - 냉온수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수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958Y1
KR200259958Y1 KR2020010031126U KR20010031126U KR200259958Y1 KR 200259958 Y1 KR200259958 Y1 KR 200259958Y1 KR 2020010031126 U KR2020010031126 U KR 2020010031126U KR 20010031126 U KR20010031126 U KR 20010031126U KR 200259958 Y1 KR200259958 Y1 KR 200259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cold water
hot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윤
Original Assignee
안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윤 filed Critical 안병윤
Priority to KR2020010031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958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온수선택손잡이를 조작하여 냉수와 온수중 하나 이상을 토출할 때 냉수손잡이를 조작하여 토출구로 냉수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 냉온수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형상의 유로를 갖는 몸체(110)의 상부에 공지된 종래기술의 냉온수선택밸브(120)가 수용되도록 커버(130)가 체결되고, 이 커버(130)의 상부에 안착되어 나사못(140)으로 상기 냉온수선택밸브(120)에 냉온수선택손잡이 (150)가 체결되며,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토출하도록 된 토출수단(160)을 포함하는 냉온수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냉수배출손잡이(171)가 좌우로 회동될 때 차단밸브(172)가 회동되면서 냉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유로를 구성함과 더불어 상기 차단밸브(172)에 의해 유로가 개구되면 하측에 구비된 냉수토출부(173)를 통해 냉수가 배출되도록 냉수배출수단 (1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온수배출장치{A supply device of warm water and cold water}
본 고안은 냉온수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온수선택손잡이를 조작하여 냉수와 온수중 하나 이상을 토출할 때 냉수손잡이를 조작하여 토출구로 냉수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 냉온수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배출장치는 가정 또는 목욕탕등의 세면대 및 욕조에 설치되는 급수전내에 장착되어 용수공급용으로 사용되며 그 싱글레버에 의하여 용수의 공급량 및 수온이 조절된다.
즉, 레버의 상하작동에 의하여 용수의 공급량이 제어되며, 좌우회전에 의해 냉수와 온수의 공급량의 조절과 함께 수온이 조절된다.
종래의 냉온수배출장치(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유로를갖는 몸체(10)와, 이 몸체(10)의 상부에 안착되는 냉온수선택밸브(20)와, 이 냉온수선택밸브(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30)와, 이 커버(30)의 상부에 안착되어 나사못(40)으로 상기 냉온수선택밸브(20)에 체결되는 냉온수선택손잡이(5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토출하도록 된 토출수단(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온수선택밸브(20)는, 소정형상의 하우징(21)과, 고정핀(22d)을 중심으로 a, b 방향으로의 상하이동 및 c, d 방향으로의 좌우회전가능한 레버(22c)를 수납한 원통부(22a)와 평판부(22b)를 일체로 하여 상기 하우징(21)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레버부재(22)와, 상기 고정핀(22d)를 중심으로 레버(22c)가 상하 회동할 때 철부(23b)의 형성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레버부재(22)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전달부재(23)와, 이 전달부재(23)에 결합되어 전달부재(23)와 함께 A-B방향으로의 왕복운동 및 C-D방향으로의 좌우회전을 행하면서, 냉·온수의 개폐를 조절하여 용수의 공급량과 수온을 제어하는 제어부재(24)와, 이 제어부재(24)의 좌우회전 및 왕복운동시에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베이스표면에 도포된 실리콘 그리스등의 윤활제의 유출방지를 위한 윤활제유출방지편(25a)이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 제어부재(24)의 하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25)와,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26c)와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구(26b) 및 냉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6a)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21)의 하부에 고정되는 냉온수공급/배출부재(2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수단(60)은, 상기 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11)에설치된 것이나, 주방에 사용하는 경우와 욕조에 사용하는 경우 또는 베란다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 구성에 차이가 있으나, 여기서는 나사부(11)에 밀착되는 패킹(61)과, 이 패킹(61)과 나사부(11)의 내측에 끼워지는 연결구(62)와, 이 연결구(62)와 패킹(61)을 나사부(11)에 밀착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6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온수배출장치(1)는 상기 냉온수선택손잡이(50)를 상하 또는 좌우로 조작함에 따라 냉온수선택밸브(20)가 작동하여 상기 토출수단(60)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량을 조절하게 됨과 더불어 온수와 냉수의 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냉온수배출장치(1)는 세탁기등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토출수단(60)의 연결구(62)에 세탁기용 연결호스잭(도시않됨)을 연결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상기 토출수단(60)의 연결구(62)에 세탁기가 연결된 경우에 외부로 물청소를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온수와 냉수가 하나의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조작하는 하나의 냉온수선택손잡이가 설치된 몸체의 일측에 냉수만을 토출하는 토출구와 냉수손잡이 및 밸브와 유로를 갖도록 구성되어, 세탁기에 물이 공급되지 않거나 공급되는 중에도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물청소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냉온수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냉온수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에 수도배관과 세탁기용 호스 및 물호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4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도 4 및 도 5의 수도배관과 냉온수배출장치의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관부재의 단면도,
도 8은 종래 냉온수배출장치의 분해 단면도로 도 6의 대응도,
도 9는 도 8의 냉온수선택밸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호스 P - 수도전
100 - 냉온수배출장치 110 - 몸체
120 - 냉온수선택밸브 130 - 커버
140 - 나사못 150 - 냉온수선택손잡이
160 - 토출수단 170 - 냉수배출수단
171 - 냉수배출손잡이 172 - 차단밸브
173 - 냉수토출부 174 - 나사못
175 - 체결부재 180 - 연결관부재
181 - 수도전연결부 182 - 체크밸브
183 - 몸체연결부 190 - 너트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소정형상의 유로를 갖는 몸체의 상부에 냉온수선택밸브가 수용되도록 커버가 체결되고, 이 커버의 상부에 안착되어 냉온수선택밸브에 냉온수선택손잡이가 체결되며, 몸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토출하도록 된 토출수단을 포함하는 냉온수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냉수배출손잡이가 좌우로 회동될 때 차단밸브가 회동되면서 냉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유로를 구성함과 더불어 상기 차단밸브에 의해 유로가 개구되면 하측에 구비된 냉수토출부를 통해 냉수가 배출되도록 냉수배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수토출부는, 상부는 직경이 크고 하부는 직경이 작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배면에는, 수도전과 연결되는 수도전연결부와, 이 수도전연결부에서 일정각도로 절곡된 상부에 체결된 체크밸브와, 이 체크밸브의 하부에 일정각도 방향으로 유체가 토출되도록 형성된 몸체연결부가 구비되어 몸체로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연결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냉온수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수도배관과 세탁기용 호스 및 물호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 및 도 5의 수도배관과 냉온수배출장치의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관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소정형상의 유로를 갖는 몸체(110)의 상부에 공지된 종래기술의 냉온수선택밸브(120; 종래기술에서는 첨부번호 20)가 수용되도록 커버(130)가 체결되고, 이 커버(130)의 상부에 안착되어 나사못(140)으로 상기 냉온수선택밸브(120)에 냉온수선택손잡이(150)가 체결되며,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토출하도록 된 토출수단(160)을 포함하는 냉온수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냉수배출손잡이(171)가 좌우로 회동될 때 차단밸브(172)가 회동되면서 냉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유로를 구성함과 더불어 상기 차단밸브 (172)에 의해 유로가 개구되면 하측에 구비된 냉수토출부(173)를 통해 냉수가 배출되도록 냉수배출수단(1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냉수배출손잡이(171)는 차단밸브(172)의 상부에 나사못(174)등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밸브(172)는 공지의 것으로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체결됨과 더불어 좌우회전조작에 의해 축방향하부로 부터 공급된 냉수가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냉수토출부(173)로 배출된다.
상기 냉수토출부(173)는 상부는 직경이 크고 하부는 직경이 작은 형태로 이루어져 호스(h)를 끼운 상태로 체결부재(175)가 냉수토출부(173)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에 체결되면 누수 없이 호스를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배면에는 벽체로 부터 연결되어 몸체(110)로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연결관부재(18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부재(180)는, 수도전과 연결되는 수도전연결부(181)와, 이 수도전연결부(181)에서 90도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에 체결된 체크밸브(182)와, 이 체크밸브(182)의 하부에 90도 방향으로 유체가 토출되도록 형성된 몸체연결부(18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182)는, 상기 수도전연결부(181)와 몸체연결부(183)의 사이에 체결된 체결부재(182a)와, 이 체결부재(182a)의 하부에 상승되어 수용됨과 더불어 하강하여 수도전연결부(181)와 몸체연결부(183)의 유로를 차단하도록 된 밸브(182b)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밸브(182b)의 하부면에는 밀착이 용이하도록 원형의 패킹(182c)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배면에는 상기 연결관부재(180)의 몸체연결부(183)와 체결하기 위한 너트부재(190)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84는 수도전(P)과 수도전연결부(181)가 연결되는 부위를 마무리처리하기 위한 커버이다.
따라서 상기 냉온수선택손잡이(150)의 조작에 따라 냉수와 온수가 냉온수선택밸브(120)에 의해 토출수단(160)으로 배출되는 량이 조절될 뿐 아니라 냉수와 온수의 량을 조절하여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냉온수선택손잡이(150)의 조작에 관계 없이 상기 냉수배출수단 (170)를 조작하게 되면 선택적으로 냉수를 몸체(110)의 하부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냉온수선택손잡이(150)의 조작시에는 몸체(110)의 중앙으로 공급되는 냉수가 냉온수선택밸브(120)와 토출수단(160)을 통해 공급됨과 더불어 차단밸브 (172)가 열려서 냉수토출부(173)로 냉수가 토출되게 되므로, 상기 토출수단(160)에 세탁기의 연결구가 연결된 경우에도 상기 냉수토출부(173)로 토출되는 냉수로 바닥등을 청소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관부재(180)는 체크밸브(182)가 설치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밸브(182b)가 상승하여 수도전연결부(181)로부터 몸체연결부(183)로 유로가 열리게 되지만, 상기 몸체연결부(183)의 유로가 닫히게 되면, 즉 상기 냉온수선택손잡이(150)와 냉수배출손잡이(171)를 상기 냉온수선택밸브(120)와 차단밸브 (172)가 닫히는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밸브(182b)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온수와 냉수가 하나의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조작하는 하나의 냉온수선택손잡이가 설치된 몸체의 일측에 냉수만을 토출하는 토출구와 냉수손잡이 및 밸브와 유로를 갖도록 하여, 세탁기에 물이 공급되지 않거나 공급되는 중에도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물청소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분야의 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기술적수단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소정형상의 유로를 갖는 몸체의 상부에 냉온수선택밸브가 수용되도록 커버가 체결되고, 이 커버의 상부에 안착되어 냉온수선택밸브에 냉온수선택손잡이가 체결되며, 몸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토출하도록 된 토출수단을 포함하는 냉온수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냉수배출손잡이가 좌우로 회동될 때 차단밸브가 회동되면서 냉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유로를 구성함과 더불어 상기 차단밸브에 의해 유로가 개구되면 하측에 구비된 냉수토출부를 통해 냉수가 배출되도록 냉수배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토출부는, 상부는 직경이 크고 하부는 직경이 작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배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배면에는, 수도전과 연결되는 수도전연결부와, 이 수도전연결부에서 일정각도로 절곡된 상부에 체결된 체크밸브와, 이 체크밸브의 하부에 일정각도 방향으로 유체가 토출되도록 형성된 몸체연결부가 구비되어 몸체로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연결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배출장치.
KR2020010031126U 2001-10-12 2001-10-12 냉온수배출장치 KR200259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126U KR200259958Y1 (ko) 2001-10-12 2001-10-12 냉온수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126U KR200259958Y1 (ko) 2001-10-12 2001-10-12 냉온수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958Y1 true KR200259958Y1 (ko) 2002-01-09

Family

ID=7311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126U KR200259958Y1 (ko) 2001-10-12 2001-10-12 냉온수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9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8059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retrofitting water control valves
US3884258A (en) Retractable bathroom fixture
JPH0654029B2 (ja) トイレットタンクフロ−ト弁組立体
US2846691A (en) Spout-shower plumbing fixture
KR101111567B1 (ko) 급수전
CA2457750C (en) Drain assembly and sink
KR200259958Y1 (ko) 냉온수배출장치
US8739827B2 (en) Single-lever mixing gear for a plumbing fixture
US5960486A (en) Faucet-like bidet attachment
US5146639A (en) Combination bath, shower and bidet spout
KR102445481B1 (ko) 수도 직결용 냉온수 수전
US3561480A (en) Fluid mixing apparatus
JP4657502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US3490492A (en) Fluid flow control mechanism
AU2006201628B2 (en) Improved Mixer Tap Arrangement
JP2884215B2 (ja) 湯水混合水栓のハンドル回転防止構造
KR200334828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JP3757869B2 (ja) 自動水栓
KR200408113Y1 (ko) 세면대용 수도꼭지
KR200376913Y1 (ko) 수전금구
KR20180001701U (ko) 보조 출수구가 구비된 앵글밸브
JP3713224B2 (ja) 水栓取替方法
KR200395245Y1 (ko) 욕실 급수용 중간밸브
JP2000096643A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を備えた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JP3620519B2 (ja) 湯水抜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