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279B1 - 누름 개폐식 밸브 - Google Patents

누름 개폐식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279B1
KR101051279B1 KR1020090052710A KR20090052710A KR101051279B1 KR 101051279 B1 KR101051279 B1 KR 101051279B1 KR 1020090052710 A KR1020090052710 A KR 1020090052710A KR 20090052710 A KR20090052710 A KR 20090052710A KR 101051279 B1 KR101051279 B1 KR 10105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pressing
push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4135A (ko
Inventor
김기교
Original Assignee
김기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교 filed Critical 김기교
Priority to KR1020090052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2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pin and sl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 개폐식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누름부의 누름동작에 의해 밸브체의 위치설정부가 일정간격만큼 하강되어 누름부의 개방유로공이 밸브체의 관로측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종래 회전식 손잡이구조의 밸브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비용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름부의 누름돌기와 위치설정부의 회전돌기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에 의해 위치설정부가 밸브체의 하부 내측에서 단계별로 하강되어 밸브체의 관로를 단계별로 설정하여 개방시킬 수 있어 관로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누름 개폐식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관통된 관로(11)가 형성되고 일측의 인입부(12)와 타측의 인출부(13)로 구성되며 중앙 하부측 내면에 정지돌기(14)가 수직형성된 수직홈부(15)로 구성되는 밸브체(10)와; 상기 밸브체(10)의 중앙 하부측 내면에 형성된 수직홈부(15)에 내삽되고 상기 수직홈부(15)의 정지돌기(14)에 하면이 접촉되며 상단이 편경사진 제1경사면(21)이 형성된 회전돌기(22)가 외주면에 돌설형성되는 위치설정부(20)와; 상기 위치설정부(20)의 제1경사면(21)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31)이 하단에 형성된 누름돌기(32)가 하부 외면을 따라 돌설되고 중앙 내측에 상기 밸브체(10)의 관로와 연통되는 개방유로공(33)이 통공되며 상단에 상기 밸브체(1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손잡이(34)가 연장형 성된 누름부(30)와; 상기 누름부(30)의 누름손잡이(34)가 돌출된 밸브체(10)의 상부 내측에 장입되어 상기 누름부(30)를 하방측으로 밀어주는 푸쉬스프링(40)과; 상기 밸브체(10)의 수직홈부(15)의 내측에 내삽되어 상기 위치설정부(20)의 하단을 지지하여 위치설정부(20)의 승강 및 하강이 용이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밸브, 누름밸브, 누름식 밸브, 누름개폐밸브

Description

누름 개폐식 밸브{PUSH OPENING AND SHUTTING TYPE VALVE}
본 발명은 유체 또는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유로공이 통공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의해 눌러져 회전하강되는 위치설정부와, 상기 위치설정부가 정지되는 정지돌기를 밸브의 내측에 구성하여, 상기 누름부를 눌러 줌으로써 누름부의 개방유로공이 단계별로 개방되도록 하여 유체 또는 기체의 흐름에 따른 유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누름 개폐식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관로(管路)의 도중이나 용기에 설치하여, 유체의 유량 또는 압력 등의 제어를 하는 장치로서, 볼 밸브, 스톱밸브, 게이트 밸브, 체크 밸브등 여러 가지 구조와 형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볼 밸브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저렴하여 수도관이나 도시가스관, 냉동장치의 냉매관과 같이 대체로 일정한 유압이나 기압을 요하는 곳에서 공급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을 조절하는데 쓰이고 있는 것으로, 볼 밸브장치의 본체 내부에는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는 볼 타입 디스크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볼 타입 디스크를 유로 내에서 회전시키는 조절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바, 조절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볼 밸브의 경우,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 설치되는 관로에 필요에 따라 유체의 흐름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별도로 더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의 관로에 볼 밸브와 체크밸브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설치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고, 관리 및 보수작업시에 과다한 비용과 인원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체크밸브가 내장된 볼 밸브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체크밸브가 내장된 볼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의 상부측에 구비된 손잡이(2)와, 상기 몸체(1)의 내부에 내장되고 중심부가 관통되어 유로(3a)가 형성된 볼 밸브체(3)와, 상기 볼 밸브체(3)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볼 밸브체(3)의 개방된 유로(3a)의 일측을 차단하는 체크밸브체(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체(4)는, 상기 몸체(1)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부(5)의 내측에 인입된 슬라이딩부(4a)와, 상기 개방된 유로(3a)를 차단하는 유로개폐부(4b)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브밸브체(4)의 유로개폐부(4b) 후방측에는 상기 가이드부(5)의 외면에 끼워진 스프링(6)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2)를 돌림에 따라 볼 밸브체(3)의 유로(3a)가 개방되면, 상기 몸체(1)의 인입부(1a)측으로 유체가 볼 밸브체(3)의 유로(3a) 내부로 인입되고 이에 따라 인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체(4)가 열리게 되어 상기 몸체(1)의 인입부(1a)측으로 인입되는 유체는 상기 개방된 볼 밸브체(3)의 유로(3a)를 지나 몸체(1)의 배출부(1a)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볼 밸브체(3)의 내부에 구비된 체크밸브체(4)에 의해 상기 몸체(1)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역류됨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체크밸브가 구비된 볼 밸브는, 내부에 체크밸브가 더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흐르는 유체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 밸브의 내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하나의 관로에 볼 밸브와 체크밸브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그러나, 종래 밸브의 경우 밸브의 관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수단이 회전식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무리하게 손잡이를 돌릴 경우 손잡이의 파손이 뒤따르게 되어 밸브의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식 손잡이에 의해 관로의 개방범위가 조절되기 때문에, 적절한 관로의 개방범위를 조절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옴으로써 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누름식 개폐구조를 갖는 밸브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11269호인 누름개폐식 팝업기능을 갖는 배수밸브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 하이동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상단에 결합되어 개폐작동되는 팝업헤드로 구성되는 통상의 배수밸브에서, 상기 케이싱은 그 통공 내부면에 다수의 가이드편이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숫나사홈이 형성된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장입되어 외부 압력차에 의해 상기 가이드편을 따라 걸림 및 분리되면서 상하이동되는 로킹부와, 상기 케이싱본체 내부의 고정로크부재 하부에 장입되어 로킹부의 상하운동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밸브개방시 로킹부의 급격한 배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케이싱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싱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브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많고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밸브의 생산단가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밸브의 개방에만 주안점을 두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의 누름동작에 의해 개방범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개방범위를 조절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밸브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밸브체의 내부에 개방유로공이 통공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의해 눌러져 회전하강되는 위치설정부와, 상기 위치설정부가 정지되는 정지돌기를 구성하여, 상기 누름부를 눌러 줌으로써 누름부의 개방유로공이 단계별로 개방되도록 하여 유체 또는 기체의 흐름에 따른 유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누름부 에 통공된 개방유로공이 단계별로 밸브체의 개방범위를 적절하게 조정하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밸브의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누름부를 눌러 밸브체의 내부를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밸브체의 차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누름 개폐식 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는, 내부에 관통된 관로가 형성되고 일측의 인입부와 타측의 인출부로 구성되며 중앙 하부측 내면에 정지돌기가 수직형성된 수직홈부로 구성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의 중앙 하부측 내면에 형성된 수직홈부에 내삽되고 상기 수직홈부의 정지돌기에 하면이 접촉되며 상단이 편경사진 제1경사면이 형성된 회전돌기가 외주면에 돌설형성되는 위치설정부와; 상기 위치설정부의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이 하단에 형성된 누름돌기가 하부 외면을 따라 돌설되고 중앙 내측에 상기 밸브체의 관로와 연통되는 개방유로공이 통공되며 상단에 상기 밸브체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돌기가 연장형성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누름돌기가 돌출된 밸브체의 상부 내측에 장입되어 상기 누름부를 하방측으로 밀어주는 푸쉬스프링과; 상기 밸브체의 수직홈부의 내측에 내삽되어 상기 위치설정부의 하단을 지지하여 위치설정부의 승강 및 하강이 용이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는, 누름부의 누름동작에 의해 밸브체의 위치설정부가 일정간격만큼 하강되어 누름부의 개방유로공이 밸브체의 관로측으로 개방되 기 때문에, 종래 회전식 손잡이구조의 밸브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비용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누름부의 누름돌기와 위치설정부의 회전돌기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에 의해 위치설정부가 밸브체의 하부 내측에서 단계별로 하강되어 밸브체의 관로를 단계별로 설정하여 개방시킬 수 있어 관로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누름부의 한 번, 두 번 또는 그 이상으로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개방유로공이 개방범위가 설정되고 또한, 개방유로공이 밸브체의 관로로부터 완전히 차단될 수 있어 밸브의 열리고 닫힘 동작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의 구성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의 구성요부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에 의해 밸브체의 관로가 일부 개방되는 상 태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에 의해 밸브체의 관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는, 내부에 관통된 관로(11)가 형성되고 일측의 인입부(12)와 타측의 인출부(13)로 구성되며 중앙 하부측 내면에 정지돌기(14)가 수직형성된 수직홈부(15)로 구성되는 밸브체(10)와, 상기 밸브체(10)의 중앙 하부측 내면에 형성된 수직홈부(15)에 내삽되고 상기 수직홈부(15)의 정지돌기(14)에 하면이 접촉되며 상단이 편경사진 제1경사면(21)이 형성된 회전돌기(22)가 외주면에 돌설형성되는 위치설정부(20)와, 상기 위치설정부(20)의 제1경사면(21)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31)이 하단에 형성된 누름돌기(32)가 하부 외면을 따라 돌설되고 중앙 내측에 상기 밸브체(10)의 관로와 연통되는 개방유로공(33)이 통공되며 상단에 상기 밸브체(1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손잡이(34)가 연장형성된 누름부(30)와, 상기 누름부(30)의 누름손잡이(34)가 돌출된 밸브체(10)의 상부 내측에 장입되어 상기 누름부(30)를 하방측으로 밀어주는 푸쉬스프링(40)과, 상기 밸브체(10)의 수직홈부(15)의 내측에 내삽되어 상기 위치설정부(20)의 하단을 지지하여 위치설정부(20)의 승강 및 하강이 용이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체(10)의 인입부(12)에는 기체나 액체와 같은 유로물질이 인입되는 파이프 또는 호스의 인입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밸브체(10)의 인출부(13)에는 상기 인입부(12)를 통해 인입되는 기체나 액체가 인출되어 나가도록 파이프 또는 호스의 인출부분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밸브체(10)의 관로(11)는 중공되어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입부(12)측으로 인입되는 기체나 액체가 상기 인출부(13)측으로 인출되도록 유로된다.
상기 누름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10)의 중앙 내측에 하부측이 내삽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체(10)의 관로(11)의 폭과 동일한 내경으로 통공된 개방유로공(33)이 통공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유로공(33)이 상기 밸브체(10)의 관로(11)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면 관로(11)가 완전하게 개방되어 최대의 기체나 액체가 유로되는 것이며, 개방유로공(33)이 상기 관로(11)로부터 벗어나면 벗어나는 폭 만큼 유로되는 기체나 액체의 유로량이 조절되는 것으로, 개방유로공(33)의 개방폭이 적을 수록 적은 기체나 액체가 유로되고 개방유로공(33)의 개방폭이 클 수록 많은 양의 기체나 액체가 유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는, 상기 밸브체(1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상기 누름부(30)의 상부측 누름손잡이(34)를 눌러 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누름부(30)의 개방유로공(33)의 위치가 상기 밸브체(10)의 관로(11)측으로부터 하강되거나 승강되어 관로(11)의 개방범위가 조절된다.
즉, 상기 누름부(30)의 누름손잡이(34)를 한 번 눌러주면 상기 누름부(30)의 하단 외면에 돌설형성된 누름돌기(32)가 상기 밸브체(10)의 수직홈부(15)의 내부에 내삽된 상기 위치설정부(20)의 회전돌기(22)와 접촉되는 바, 이 때 상기 누름돌기(32)의 제2경사면과 회전돌기(22)의 제1경사면이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돌기(32)와 접촉되는 상기 회전돌기(22)는 상기 누름돌기(32)의 눌러지는 힘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돌기(22)가 외면에 돌설형성된 상기 위치설정부(20)가 회전하게 되는 바, 이 때, 상기 위치설정부(20)의 회전돌기(22)의 하부측과 접촉되어 있던 상기 밸브체(10)의 수직홈부(15) 내면의 정지돌기(14)로부터 상기 위치설정부(20)의 회전돌기(22)가 벗어나게 되어 상기 위치설정부(20)가 회전과 동시에 한 단계 수직홈부(15)의 하부측으로 하강된다.
이와 같이 위치설정부(20)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위치설정부(20)를 밀어주는 상기 누름부(30)가 위치설정부(20)가 하강된 범위만큼 하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름부(30)에 통공된 개방유로공(33) 역시 하강되어 상기 밸브체(10)의 내부 관로(11)가 일부 개방된다.
이와 같은 누름부(30)와 위치설정부(20) 및 상기 밸브체(10)의 수직홈부(15) 내면에 돌설된 정지돌기(14)와의 작동원리에 의해 누름부(30)의 개방유로공(33)이 상기 밸브체(10)의 관로(11)를 단계별로 개방시켜 줄 수 있음에 따라, 밸브체(10)의 관로(11) 개방에 대한 조절이 누름부(30)의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어 유체의 유로량에 대한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누름부(30)가 단계별로 하강될 때, 상기 푸쉬스프링(40)에 의해 누름부(30)에 계속적으로 눌러주는 힘이 작용되어 누름부(30)의 단계별 하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개방유로공(33)이 완전하게 개방되어 상기 관로(11)와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누름부(30)를 또 한 번 눌러주면 상기 누름부(30)의 하부측에 위치된 상기 위치설정부(20)가 수직홈부(15)의 정지돌기(14)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되고 또한, 수직홈부(15)의 내부에 구성된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이 작용되어 상기 누름부(30)는 수직홈부(15)를 따라 수직상승되어 관로(11)의 폐쇄가 이루어진다.
상기 푸쉬스프링(40)에 의해 눌러지는 누름부(30)의 상승복원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푸쉬스프링(40)의 장력보다 상기 탄성스프링(50)의 장력이 더 크게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의 구성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의 구성요부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에 의해 밸브체의 관로가 일부 개방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누름 개폐식 밸브에 의해 밸브체의 관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체 11 : 관로
12 : 인입부 13 : 인출부
14 : 정지돌기 15 : 수직홈부
20 : 위치설정부 21 : 제1경사면
22 : 회전돌기 30 : 누름부
31 : 제2경사면 32 : 누름돌기
33 : 개방유로공 34 : 누름손잡이
40 : 푸쉬스프링 50 : 탄성스프링

Claims (1)

  1. 내부에 관통된 관로(11)가 형성되고 일측의 인입부(12)와 타측의 인출부(13)로 구성되며 중앙 하부측 내면에 정지돌기(14)가 수직형성된 수직홈부(15)로 구성되는 밸브체(10)와;
    상기 밸브체(10)의 중앙 하부측 내면에 형성된 수직홈부(15)에 내삽되고 상기 수직홈부(15)의 정지돌기(14)에 하면이 접촉되며 상단이 편경사진 제1경사면(21)이 형성된 회전돌기(22)가 외주면에 돌설형성되는 위치설정부(20)와;
    상기 위치설정부(20)의 제1경사면(21)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31)이 하단에 형성된 누름돌기(32)가 하부 외면을 따라 돌설되고 중앙 내측에 상기 밸브체(10)의 관로와 연통되는 개방유로공(33)이 통공되며 상단에 상기 밸브체(1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손잡이(34)가 연장형성된 누름부(30)와;
    상기 누름부(30)의 누름손잡이(32)가 돌출된 밸브체(10)의 상부 내측에 장입되어 상기 누름부(30)를 하방측으로 밀어주는 푸쉬스프링(40)과;
    상기 밸브체(10)의 수직홈부(15)의 내측에 내삽되어 상기 위치설정부(20)의 하단을 지지하여 위치설정부(20)의 승강 및 하강이 용이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개폐식 밸브.
KR1020090052710A 2009-06-15 2009-06-15 누름 개폐식 밸브 KR10105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10A KR101051279B1 (ko) 2009-06-15 2009-06-15 누름 개폐식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10A KR101051279B1 (ko) 2009-06-15 2009-06-15 누름 개폐식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135A KR20090074135A (ko) 2009-07-06
KR101051279B1 true KR101051279B1 (ko) 2011-07-22

Family

ID=4133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710A KR101051279B1 (ko) 2009-06-15 2009-06-15 누름 개폐식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900B1 (ko) * 2010-12-24 2011-07-08 김용오 정수기 겸용 곡물 저장고의 이중 토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8828U (ko) 1976-01-23 1977-07-26
JPH026769U (ko) * 1988-06-27 1990-01-17
KR200311269Y1 (ko) * 2003-01-23 2003-04-23 임호훈 누름개폐식 팝업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8828U (ko) 1976-01-23 1977-07-26
JPH026769U (ko) * 1988-06-27 1990-01-17
KR200311269Y1 (ko) * 2003-01-23 2003-04-23 임호훈 누름개폐식 팝업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135A (ko) 2009-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6503A (en) Fluid control valve
WO2008031270A1 (fr) Vanne d'eau réglable de type à temps contrôlé
KR20090076882A (ko) 누름 개폐식 밸브
KR101051279B1 (ko) 누름 개폐식 밸브
KR101365463B1 (ko) 유량조절 기능이 탑재된 난방용 자동 조절 밸브
RU2493333C2 (ru) Регулируемый клапан для наполнения смывных бачков
KR200191907Y1 (ko) 수전금구용 자폐식 절수장치
US7448403B2 (en) Faucet co-operating with shower head
US8408238B1 (en) Yard hydrant with improved valve
CN207776030U (zh) 一种进水量自动调节的限流阀
JP3187887U (ja) 静音及び調圧の多機能蛇口
KR101218739B1 (ko) 절수형 플래시밸브
KR200431986Y1 (ko) 앵글 체크 밸브
KR100891102B1 (ko) 유량조절카트리지
US9540797B2 (en) Anti-freeze faucet structure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KR200357338Y1 (ko) 절수형 수도밸브
KR102669059B1 (ko)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KR100634993B1 (ko) 자동 개폐식 시간 제어 밸브
JP2007309418A (ja) 止水栓
KR102016508B1 (ko) 출수 시간 조절이 가능한 절수형 자폐 밸브 장치
JP7373020B2 (ja) ドレン弁及び吐水装置
KR200396838Y1 (ko) 토출 수량 조절밸브를 갖는 수도밸브
JP5988633B2 (ja) ガス栓
KR200408113Y1 (ko) 세면대용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