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059B1 -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 Google Patents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059B1
KR102669059B1 KR1020230048333A KR20230048333A KR102669059B1 KR 102669059 B1 KR102669059 B1 KR 102669059B1 KR 1020230048333 A KR1020230048333 A KR 1020230048333A KR 20230048333 A KR20230048333 A KR 20230048333A KR 102669059 B1 KR102669059 B1 KR 102669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art
internal space
rotating
flui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현
Original Assignee
최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현 filed Critical 최창현
Priority to KR1020230048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spout or the outlet nozz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에 관한 것으로, 제1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배출구가 마련되는 제1 바디; 제2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바디로 유입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배출구가 마련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조절수단; 및 상기 제2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제2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조절수단 및 상기 제2 조절수단을 수직하게 서로 동심원상에 배치시켜 전체적인 부피를 콤팩트화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VERTICAL INTEGRATED WATER FAUCET}
본 발명은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수도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양을 제어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 꼭지는 수도관의 종단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수돗물의 토출을 단속하는 장치로서, 수전(水栓)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수도 꼭지는 몸체 내부에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유수로가 형성되고, 이 유수로의 중앙부분에 유수로를 중간에서 차단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물의 토출을 단속함과 아울러 토출량을 조절하는 밸브가 구비된다.
종래의 경우 가정의 주방이나 욕실, 다용도실,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수도관에는 단일의 전용 수도 꼭지가 설치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하여 두곳 이상의 급수가 가능한 수도 꼭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도 꼭지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69511호 "이중 토수구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수도 꼭지는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유입유로와 연통되는 제1배출유로가 형성되는 제1배출부; 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1배출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유입유로와 연통되는 제2배출유로가 형성되는 제2배출부; 및 본체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제2배출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도 꼭지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가 상이한 위치에 각각 별도로 구성되므로, 이들 각각에 대한 부품수가 많아 내외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는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며, 심각하게는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도 꼭지는 수도관과 분기된 꼭지 사이의 연결 부위가 많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69511호 "이중 토수구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기된 수도 꼭지 마다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로 상이한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구성을 동일한 위치에 일체형 구성으로 마련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콤팩트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는 일체형 구성을 이용하여 수도관과 분기된 꼭지 사이의 연결 부위를 줄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는 제1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배출구가 마련되는 제1 바디; 제2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바디로 유입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배출구가 마련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조절수단; 및 상기 제2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제2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절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되, 타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조절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되, 타측이 상기 제1 조절수단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조절수단 및 상기 제2 조절수단은 수직하게 서로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상기 제1 조절수단은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며,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 내측에 돌출된 환형홀에 연결된 상태로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회전부;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상기 제1 회전부가 내삽된 상태로 제1 회전부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타측이 상기 바디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일체를 이루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브라켓;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바디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1 패킹부재; 상기 제1 회전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1 연결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패킹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제1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제2 조절수단은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내삽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일측이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관통된 제2 환형홀과 상기 제1 회전부의 내부를 지나 상기 제1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2 바디의 제2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일측에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 바디의 제2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연통된 가이드로가 형성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회전부와 상기 제1 회전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3 패킹부재;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바디의 제2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제2 연통홀을 갖는 연통부재; 상기 제2 회전부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통부재의 제2 연통홀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부재;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통부재와 상기 제2 바디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4 패킹부재; 상기 연통부재 및 상기 제3 패킹부재가 상기 제2 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브라켓; 및 상기 제2 회전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회전부와 일체를 이루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기포제거수단은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일측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기포제거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기포제거수단은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일측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형성된 환형레일; 및 상기 환형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 형태를 이루며, 외주연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갖는 회전부재;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유체를 회전시켜 와류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유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절수단은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며,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 내측에 돌출된 환형홀에 연결된 상태로 승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회전부;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상기 제1 회전부가 내삽되되, 제1 회전부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일측이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상기 제2 연결부가 내삽되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 연결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이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에 배치되는 누름부;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상기 누름부가 내삽되되, 상기 누름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누름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바디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일체를 이루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연결부와 연동되어 제1 연결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와 나사결합되는 제1 이탈방지브라켓;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제1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부재; 상기 누름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에 관통형성된 다수의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제3 개폐부재;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3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제3 개폐부재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제3 개폐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이탈방지브라켓; 상기 제1 개폐부재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3 이탈방지브라켓과 자성결합되어 상기 제1 개폐부재와 상기 제3 개폐부재가 밀착되도록 하는 자성체;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바디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1 패킹부재;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패킹부재; 상기 누름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와 상기 제1 연결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5 패킹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6 패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에 의하면, 제1 조절수단 및 제2 조절수단을 수직하게 서로 동심원상에 배치시켜 전체적인 부피를 콤팩트화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절수단 및 제2 조절수단은 수직 일체형으로 동일한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수도관으로부터 분기된 연결 부분을 줄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더욱더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의 전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조절수단을 이용한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 조절수단을 이용한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기포제거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기포제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의 전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절수단을 이용한 하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절수단을 이용한 다른 하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조절수단을 이용한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제1 조절수단(130), 제2 조절수단(140)을 포함한다.
제1 바디(110)는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내부공간(111)을 가지며,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디(110)는 일측에 제1 내부공간(111)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2)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1 내부공간(111)으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바디(110)는 후술할 제1 회전부(131)가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내측에 돌출된 제1 환형돌기(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의 중앙에 제1 환형홀(115)이 관통형성될 수 있고, 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환형돌기(114)의 제1 환형홀(115)에 제1 회전부(131)가 나사결합될 경우, 제1 환형돌기(114) 및 제1 회전부(131)에 의해 제1 바디(110)의 제1 내부공간(111)이 제1 환형돌기(114)를 기준으로 상하 독립된 공간을 이루게 될 수 있는데, 이들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제1 환형돌기(114)의 일측에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통홀(114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10)는 하부 내주연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외주연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유체가 이동되는 다른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 내부공간(121)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디(120)는 상부에 관통된 제2 환형홀(124)이 형성되며, 하부에 개방된 제2 배출구(125)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바디(120)는 상부가 전술한 제1 바디(11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배치되며, 예컨대, 나사결합을 통해 제1 바디(110)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120)는 상부 내측에 돌출된 제2 환형돌기(123)가 형성되며, 이의 중앙에 제2 환형홀(124)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절수단(130)은 전술한 제1 바디(110)의 제1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회전부(131), 제1 연결부(132), 제1 손잡이부(133),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 제1 패킹부재(135), 제1 개폐부재(137)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131)는 후술할 제1 개폐부재(137)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부(131)는 일측 외주연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제1 환형홈(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부(131)는 전술한 제1 바디(110)에 내삽된 상태를 이루되, 일측이 제1 바디(110)의 제1 환형돌기(114)에 형성된 제1 환형홀(115)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타측이 제1 바디(1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부(131)는 제1 환형홀(115)에 나사결합된 상태를 이루므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2)는 전술한 제1 회전부(131)와 후술할 제1 손잡이부(133)를 연결시키기 위한 다른 구성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132)는 일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제2 환형홈(13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제3 환형홈(132b)이 형성될 수 있고, 일측 내주연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32)는 전술한 제1 회전부(131)가 내삽된 상태를 이루되, 일측이 제1 회전부(131)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일체를 이루어 제1 바디(110)의 제1 내부공간(1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타측이 제1 바디(1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132)는 제1 회전부(131)와 나사결합 또는 다른 결합방식을 통해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제1 손잡이부(133)는 전술한 제1 회전부(13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1 바디(110)의 외부에 노출된 제1 연결부(132)의 타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손잡이부(133)는 나사결합 또는 다른 결합방식을 통해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손잡이부(133)는 제1 연결부(132)와 일체를 이루므로, 사용자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연결부(132)와 일체를 이루는 제1 회전부(1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은 제1 연결부(132)가 제1 바디(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은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3 환형돌기(13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의 중앙에 제3 환형홀(134b)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은 제1 바디(110)의 상부에 나사결합 또는 다른 결합방식을 통해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은 제3 환형돌기(134a)에 제1 연결부(132)의 걸림턱(132c)이 걸리도록 하여 제1 연결부(132)가 제1 바디(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패킹부재(135)는 제1 연결부(132)와 제1 바디(11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루며, 전술한 제1 연결부(132)의 제2 환형홈(132a)에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패킹부재(135)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패킹부재(136)는 제1 회전부(131)와 제1 연결부(132)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루며, 전술한 제1 회전부(131)의 제1 환형홈(131a)에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패킹부재(136)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개폐부재(137)는 전술한 제1 바디(110)의 제1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루며, 전술한 제1 연결부(132)의 제3 환형홈(132b)에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폐부재(137)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폐부재(137)는 제1 연결부(132)와 일체를 이루므로, 제1 회전부(131)에 의해 승강되는 제1 연결부(132)가 승강됨에 따라 연동되어 승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폐부재(137)는 승강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113)를 개방하여 제1 바디(110)로 유입된 유체가 제1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113)를 차단하여 유체가 제1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1 배출구(113)의 크기를 조절하여 제1 배출구(113)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100)는 제1 조절수단(130)을 이용하여 제1 바디(110)의 제1 배출구(113)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양 만큼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조절수단(140)은 전술한 제2 바디(120)의 제2 배출구(125)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 회전부(141), 제3 패킹부재(142), 연통부재(143), 제2 개폐부재(144), 제4 패킹부재(145), 제2 이탈방지브라켓(146)을 포함한다.
제2 회전부(141)는 후술할 제2 개폐부재(14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길이를 갖는 봉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부(141)는 일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제4 환형홈(14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돌출된 환형의 연결돌기(141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부(141)는 제2 바디(120)에 내삽된 상태를 이루되, 연결돌기(141b)가 전술한 제2 바디(120)의 제2 환형홀(124)에 회전가능하게 걸리는 상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측이 제2 바디(120)에 형성된 제2 환형돌기(123)의 제2 환형홀(124)과 제1 바디(110)에 설치된 제1 회전부(131)의 내부를 지나 제1 바디(1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타측이 제2 바디(120)의 제2 내부공간(121)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회전부(141)는 전술한 제1 회전부(131)와 동심원 상에 배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부(141)는 일측에 제1 바디(110)의 제1 내부공간(111)으로 유입된 유체가 제2 바디(120)의 제2 내부공간(121)으로 유입되도록 연통된 가이드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패킹부재(142)는 전술한 제1 회전부(131)와 제2 회전부(141)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루며, 제2 회전부(141)의 제4 환형홈(141a)에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패킹부재(142)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통부재(143)는 전술한 제2 바디(120)의 제2 배출구(125)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의 구성으로, 양측이 폐쇄된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연통부재(143)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2 연통홀(143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통부재(143)는 제2 바디(120)의 내측에 설치되되, 제2 배출구(125)를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부재(143)는 제2 바디(120)의 제2 내부공간(121)과 외부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제2 연통홀(143a)을 통해 제2 내부공간(121)으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개폐부재(144)는 전술한 연통부재(143)의 제2 연통홀(143a)을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원형의 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2 개폐부재(144)는 일측에 관통된 제3 연통홀(144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개폐부재(144)는 전술한 제2 회전부(141)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20)에 설치된 연통부재(143)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2 개폐부재(144)는 제2 회전부(141)와 일체를 이루므로, 제2 회전부(141)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개폐부재(144)는 회전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연통홀(144a)이 제2 연통홀(143a)과 연통되도록 일치시킴에 따라 제2 바디(120)의 제2 내부공간(121)으로 유입된 유체가 제2 배출구(1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연통홀(144a)이 제2 연통홀(143a)과 연통되지 않도록 불일치시킴에 따라 제2 바디(120)의 제2 내부공간(121)으로 유입된 유체가 제2 배출구(1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3 연통홀(144a)과 제2 연통홀(143a)이 일치하는 크기를 조절하여 제2 배출구(125)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4 패킹부재(145)는 전술한 연통부재(143)와 제2 바디(12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루며, 제2 바디(120)의 제2 출입구 일측에 구비되되, 연통부재(143)를 지지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패킹부재(142)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이탈방지부재는 전술한 제4 패킹부재(145) 및 연통부재(143)가 제2 바디(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탈방지브라켓(146)은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탈방지브라켓(146)은 제2 바디(120)의 하부에 나사결합 또는 다른 결합방식을 통해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이탈방지브라켓(146)은 전술한 제4 패킹부재(145)를 지지하는 상태로 제2 바디(12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제4 패킹부재(145)는 물론 연통부재(143)가 제2 바디(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손잡이부(147)는 전술한 제2 회전부(14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2 바디(120)의 외부에 노출된 제2 회전부(141)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손잡이부(147)는 나사결합 또는 다른 결합방식을 통해 제2 회전부(141)와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손잡이부(147)는 제2 회전부(141)와 일체를 이루므로, 사용자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 회전부(141)와 일체를 이루는 제2 개폐부재(14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100)는 제2 조절수단(140)을 이용하여 제2 바디(120)의 제2 배출구(125)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양 만큼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100)는 제1 조절수단(130) 및 제2 조절수단(140)을 수직하게 서로 동심원상에 배치시켜 전체적인 부피를 콤팩트화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절수단(130) 및 제2 조절수단(140)은 수직 일체형으로 동일한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수도관으로부터 분기된 연결 부분을 줄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더욱더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100)는 기포제거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포제거수단(150)은 제1 바디(110)의 제1 내부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3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로, 기포제거수단(150)은 도 6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31)의 일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산과 골의 형태로 일부 돌출된 복수의 기포제거돌기(151)의 형태를 이룰 수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기포제거수단(1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레일(152) 및 회전부재(153)를 포함한다.
환형레일(152)은 후술할 회전부재(153)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제1 회전부(131)의 일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환형의 홈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회전부재(153)는 유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루며,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된 돌기부(153a)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153)는 전술한 환형레일(15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153)는 전술한 제1 바디(110)의 유입구(112)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입구(112)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제1 회전부(131)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부재(153)는 회전하면서, 돌기부(153a)를 통해 제1 내부공간(111)으로 유입된 유체를 와류시킴과 동시에 유체에 포함된 기포를 터트려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100)는 기포제거수단(150)을 이용하여 제1 바디(110)의 제1 내부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배출구(113) 또는 제2 배출구(125)로 배출되는 유체가 기포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고르게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100)는 제1 조절수단(130)의 구성으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31), 제2 연결부(203), 누름부(201), 제1 연결부(132), 제1 손잡이부(133),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 제1 개폐부재(137), 제3 개폐부재(202), 탄성부재(204), 제3 이탈방지브라켓(205), 자성체(206), 제1 패킹부재(135), 제2 패킹부재(136), 제5 패킹부재(207), 제6 패킹부재(20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소 상이한 구성으로 제1 연결부(132),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 제1 개폐부재(137), 제2 패킹부재(136)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 후, 나머지 추가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132)는 전술한 제1 손잡이부(133)와 후술할 누름부(201)를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132)는 일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제2 환형홈(13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제3 환형홈(13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32)는 내측 둘레에 등간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가이드레일(132d)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외주연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32)는 후술할 누름부(201)가 내삽된 상태를 이루되, 누름부(201)의 제1 가이드돌기(201c)가 제1 가이드레일(132d)에 가이드되도록 연결된 상태를 이루어 일측이 제1 바디(110)의 제1 내부공간(1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타측이 제1 바디(1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132)는 누름부(20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을 통해 누름부(201)가 제1 가이드레일(132d)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32)는 후술할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의 제3 환형홀(134d)에 내삽된 상태로 승강가능하게 나사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은 제1 연결부(132)가 제1 바디(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은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3 환형돌기(13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의 중앙에 제3 환형홀(134d)이 관통형성될 수 있고, 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은 제1 바디(110)의 상부에 나사결합 또는 다른 결합방식을 통해 제1 바디(110)와 일체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은 제3 환형돌기(134a)에 제1 연결부(132)의 걸림턱(132c)이 걸리도록 하여 제1 연결부(132)가 제1 바디(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탈방지브라켓(134)은 전술한 제1 연결부(132)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제1 연결부(132)가 회전에 의해서만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재(137)는 전술한 제1 바디(110)의 제1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루되, 하부 일측으로부터 내측 상부로 경사진 제1 경사면(137b)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둘레를 따라 관통된 다수의 배출홀(137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개폐부재(137)는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132)의 제3 환형홈(132b)에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폐부재(137)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폐부재(137)는 후술할 제3 개폐부재(202)에 의해 배출홀(137a)이 개폐될 수 있으며, 제1 조절수단(130)의 사용상태의 경우 배출홀(137a)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 회전부(131)에 의해 승강되는 제1 연결부(132)가 승강됨에 따라 연동되어 승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폐부재(137)는 승강하면서, 제1 배출구(113)를 개방하여 제1 바디(110)로 유입된 유체가 제1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제1 배출구(113)를 차단하여 유체가 제1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1 배출구(113)의 크기를 조절하여 제1 배출구(113)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패킹부재(136)는 제1 회전부(131)와 후술할 제2 연결부(203)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루며, 후술할 제2 연결부(203)의 제7 환형홈(203b)에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패킹부재(136)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부(201)는 후술할 제3 개폐부재(202)를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201)는 일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제5 환형홈(20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돌출된 환형의 누름돌기(201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누름부(201)는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132)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외측 둘레에 등간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제1 가이드돌기(201c)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2 연결부(203)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내측 둘레에 등간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제2 가이드돌기(201d)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개폐부재(202)는 전술한 제1 개폐부재(137)의 배출홀(137a)을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루되, 전술한 제1 개폐부재(137)의 제1 경사면(137b)에 대응되도록 상부 일측으로부터 외측 하부로 경사진 제2 경사면(20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개폐부재(202)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3 개폐부재(202)는 전술한 누름부(201)와 일체를 이루므로, 누름부(201)가 하강함에 따라 연동되어 하강할 수 있으며, 이후 후술할 탄성부재(204)에 의해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3 개폐부재(202)는 누름부(201)에 의해 하강하면서 제1 개폐부재(137)의 배출홀(137a)을 개방하여 제1 바디(110)로 유입된 유체가 제1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후술할 탄성부재(20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제1 개폐부재(137)의 배출홀(137a)을 폐쇄하여 제1 바디(110)로 유입된 유체가 제1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즉, 제3 개폐부재(202)는 탄성부재(204)가 압축되는 시간부터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는 시간까지 제1 개폐부재(137)의 배출홀(137a)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204)가 복귀되는 설정된 시간에 따른 용량만큼 제1 바디(110)의 제1 배출구(113)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03)는 전술한 누름부(201)와 제1 회전부(131)를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부(203)는 일측 내주연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 외주연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제6 환형홈(203a)이 형성될 수 있고, 타측 내주연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제7 환형홈(203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203)는 전술한 제1 회전부(131)가 내삽된 상태를 이루되, 일측이 제1 회전부(131)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일체를 이루어 제1 바디(110)의 제1 내부공간(1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타측이 제1 바디(1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203)는 전술한 누름부(201)에 내삽된 상태를 이루되, 누름부(201)의 제2 가이드돌기(201d)가 제2 가이드레일(203c)에 가이드되도록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203)는 누름부(20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을 통해 누름부(201)가 제2 가이드레일(203c)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204)는 전술한 제3 개폐부재(202)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3 개폐부재(202)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3 개폐부재(202)의 하단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204)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204)는 누름부(201)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와 연동되어 하강하는 제3 개폐부재(202)에 의해 압축될 수 있으며, 누름부(201)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될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04)는 제3 개폐부재(202)의 하단을 탄성지지하므로, 탄성복원되면서 제3 개폐부재(20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3 이탈방지브라켓(205)은 전술한 탄성부재(204)가 제3 개폐부재(20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부분이 하부로 절첩된 찬넬 형상의 단면적을 갖는 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제3 이탈방지브라켓(205)은 후술할 자성체(206)와 자성결합 가능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개폐부재(202)의 하부에 나사결합 또는 다른 결합방식을 통해 제3 개폐부재(202)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3 이탈방지브라켓(205)은 찬넬 형상의 내측에 위치한 탄성부재(204)의 상부 일부분을 가로막아 제3 개폐부재(20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성체(206)는 전술한 제1 개폐부재(137)에 제3 개폐부재(202)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제1 개폐부재(137)의 하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제8 환형홈(137c)에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자성체(206)는 자력을 갖는 자석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개폐부재(137)의 하부에 나사결합 또는 다른 결합방식을 통해 제1 개폐부재(137)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206)는 제3 이탈방지브라켓(205)과 자성결합됨에 따라 제3 개폐부재(202)가 제1 개폐부재(137)에 더욱더 밀착되도록 하여 제1 개폐부재(137)와 제3 개폐부재(202) 사이를 더욱더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제5 패킹부재(207)는 전술한 누름부(201)와 제1 연결부(132)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누름부(201)의 제5 환형홈(201a)에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5 패킹부재(207)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병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6 패킹부재(208)는 전술한 누름부(201)와 제2 연결부(203)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제2 연결부(203)의 제6 환형홈(203a)에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6 패킹부재(208)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병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조절수단(130)을 이용하여 제1 배출구(113)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는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 번 사용시 설정된 용량만큼만 제1 배출구(113)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사용되는 물의 사용을 줄여 이로 인한 절수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100)는 제1 조절수단(130) 및 제2 조절수단(140)을 수직하게 서로 동심원상에 배치시켜 전체적인 부피를 콤팩트화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절수단(130) 및 제2 조절수단(140)은 수직 일체형으로 동일한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수도관으로부터 분기된 연결 부분을 줄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더욱더 방지할 수도 있다.
100 : 수전 금구 110 : 제1 바디
111 : 제1 내부공간 112 : 유입구
113 : 제1 배출구 114 : 제1 환형돌기
114a : 제1 연통홀 115 : 제1 환형홀
120 : 제2 바디 121 : 제2 내부공간
123 : 제2 환형돌기 124 : 제2 환형홀
125 : 제2 배출구 130 : 제1 조절수단
131 : 제1 회전부 132 : 제1 연결부
133 : 제1 손잡이부 134 : 제1 이탈방지브라켓
135 : 제1 패킹부재 136 : 제2 패킹부재
137 : 제1 개폐부재 140 : 제2 조절수단
141 : 제2 회전부 142 : 제3 패킹부재
143 : 연통부재 144 : 제2 개폐부재
145 : 제4 패킹부재 146 : 제2 이탈방지브라켓
147 : 제2 손잡이부

Claims (6)

  1. 제1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배출구가 마련되는 제1 바디;
    제2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바디로 유입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배출구가 마련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조절수단; 및
    상기 제2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제2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절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되, 타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2 조절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되, 타측이 상기 제1 조절수단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절수단 및 상기 제2 조절수단은 수직하게 서로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조절수단은,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며,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 내측에 돌출된 환형홀에 연결된 상태로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회전부;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상기 제1 회전부가 내삽된 상태로 제1 회전부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타측이 상기 바디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일체를 이루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브라켓;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바디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1 패킹부재;
    상기 제1 회전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1 연결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패킹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제1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수단은,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내삽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일측이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관통된 제2 환영홀과 상기 제1 회전부의 내부를 지나 상기 제1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2 바디의 제2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일측에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 바디의 제2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연통된 가이드로가 형성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회전부와 상기 제1 회전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3 패킹부재;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바디의 제2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제2 연통홀을 갖는 연통부재;
    상기 제2 회전부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통부재의 제2 연통홀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부재;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통부재와 상기 제2 바디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4 패킹부재;
    상기 연통부재 및 상기 제3 패킹부재가 상기 제2 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브라켓; 및
    상기 제2 회전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회전부와 일체를 이루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거수단은,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일측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기포제거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거수단은,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일측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형성된 환형레일; 및
    상기 환형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 형태를 이루며, 외주연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갖는 회전부재;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제1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유체를 회전시켜 와류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유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KR1020230048333A 2023-04-12 2023-04-12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KR10266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333A KR102669059B1 (ko) 2023-04-12 2023-04-12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333A KR102669059B1 (ko) 2023-04-12 2023-04-12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9059B1 true KR102669059B1 (ko) 2024-05-23

Family

ID=9128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333A KR102669059B1 (ko) 2023-04-12 2023-04-12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90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57Y1 (ko) * 2001-11-01 2002-02-16 정승훈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JP2011226236A (ja) * 2010-03-30 2011-11-10 Toto Ltd 水栓装置
KR200473483Y1 (ko) * 2013-10-07 2014-08-06 이준재 더블 수도꼭지
JP2020153092A (ja) * 2019-03-19 2020-09-24 株式会社Lixil 水栓の操作装置
KR20210129342A (ko) * 2020-04-20 2021-10-28 박명수 자유 회전 구조를 갖춘 수전과 급수관 연결용 앵글 밸브
KR20220069511A (ko) 2020-11-20 2022-05-27 김기조 이중 토수구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57Y1 (ko) * 2001-11-01 2002-02-16 정승훈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JP2011226236A (ja) * 2010-03-30 2011-11-10 Toto Ltd 水栓装置
KR200473483Y1 (ko) * 2013-10-07 2014-08-06 이준재 더블 수도꼭지
JP2020153092A (ja) * 2019-03-19 2020-09-24 株式会社Lixil 水栓の操作装置
KR20210129342A (ko) * 2020-04-20 2021-10-28 박명수 자유 회전 구조를 갖춘 수전과 급수관 연결용 앵글 밸브
KR20220069511A (ko) 2020-11-20 2022-05-27 김기조 이중 토수구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6322A (en) Faucet valve with anti-siphon back flow preventer
EP1253361B1 (en) Diverter valve
US4805661A (en) Faucet valve with anti-siphon back flow preventer
US5901735A (en) Diverter valves with integral back flow preventer and inlet and outlet check valve mechanisms
US20120012210A1 (en) Multi-functional concealed shower valve
US5970534A (en) Diverter valves with integral back flow preventer and inlet check and outlet check valve mechanisms and improvements therefor
CA2001734C (en) Pipe interruptor
US7188641B2 (en) Water valve assembly for bathroom faucets
US6910499B2 (en) Valve assembly for pressurized fluid vessel
KR101988300B1 (ko) 초고압용 니들밸브
US20240218936A1 (en) Ceramic valve core assembly and a self-cleaning ceramic valve core
CN108953714A (zh) 一种自力控制低压常开减压的结构
KR102669059B1 (ko) 수직 일체형 수전 금구
US3866629A (en) Static pressure piston operated diverter mechanism
US3265082A (en) Valve and diverter construction
MXPA02009840A (es) Grifo con proteccion de rompedor de vacio.
JP2002286158A (ja) 電磁止水栓
US5360029A (en) Vacuum breaker
CN207122596U (zh) 一种厨房水龙头
CN111022696A (zh) 一种组合式截流装置、安装该装置的管道
JPH0914460A (ja) 流量制御弁
CN107524823A (zh) 一种厨房水龙头
CN210770471U (zh) 给排流体总成
KR200266157Y1 (ko) 자동 폐지형 에어벤트 밸브
CN218954112U (zh) 一种四通混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