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357Y1 -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 Google Patents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357Y1
KR200264357Y1 KR2020010033888U KR20010033888U KR200264357Y1 KR 200264357 Y1 KR200264357 Y1 KR 200264357Y1 KR 2020010033888 U KR2020010033888 U KR 2020010033888U KR 20010033888 U KR20010033888 U KR 20010033888U KR 200264357 Y1 KR200264357 Y1 KR 200264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lve
passage
branch pip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정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훈 filed Critical 정승훈
Priority to KR2020010033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357Y1/ko

Links

Landscapes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나 연수기 또는 비데 등에 적용되어 유체의 통로의 방향을 변경하거나 다수로 분기(分岐)하는 데 이용되는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직선 주관(主管)에 직각되게 분기관을 구성하는 T자형 이음관의 분기관에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설치시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밸브 적용의 용이성과 유체 제어 작동의 정밀성 확보, 및 취급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THE PIPE JOINT WITH VALVE OF DIVERGENCE PIPE}
본 고안은 정수기나 연수기 또는 비데 등에 적용되어 유체 통로의 방향을 변경하거나 다수로 분기(分岐)하는 데 이용되는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직선 주관(主管)에 직각되게 분기관을 구성하는 T자형 이음관의 분기관에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설치시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밸브 적용의 용이성과 유체 제어 작동의 정밀성 확보, 및 취급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음관은 관(管)을 이어 맞추는 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관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型)이 있으며,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이음에는 직각으로 접속하는 엘 보우(elbow), T형으로 접속하는 티, Y형으로 접속하는 90° Y, 십자형으로 접속하는 크로스, U형으로 접속하는 귀환 벤드(return bend) 등이 있으며, 관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는 곳에는 마개 이음(socket and spigot joint)이 사용된다. 관의 지름이 큰 곳에는 플랜지 이음이 사용된다.
또한 밸브는 관로(管路)의 도중이나 용기에 설치하여, 유체의 유량 ·압력 등의 제어를 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스톱밸브(글로브 밸브 및 앵글밸브) ·슬루스밸브 ·체크밸브 ·감압 밸브 등이 알려지고 있으며, 밸브의 일종인 콕은 기체의 유통을 막는 미끄럼 면의 회전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급속히 차단하거나, 방향을 바꾸는 데 사용한다.
한편 정수기나 연수기에는 원수를 유입시켜 처리한 용수를 차기 공정 또는 다수의 용도 처로 이송하기 위하여 분기관을 갖는 이음관(10)을 적용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이음관(10)과 연결되는 연결관 중 선택적인 유체의 공급이 요구되는 해당라인의 연결관(11)에는 유체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개폐밸브(12)를 구비시키고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개폐밸브(12)를 연결관(11)에 설치시키기 위서는 일일이 별도의 밸브 유니트를 연결관(11)의 중간에 직접 설치해야하는 것이므로 이음관과 밸브 유니트를 각기 별개로 구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개폐밸브의 설치를 위해 연결관에 별도의 사전 가공 공정 및 조립 공정이 요구되는 것으로 밸브의 설치에 많은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요구되고 또한 결합이음부분의 실링을 정밀하게 유지시키기가 어려워 누수가 초래되는 경우가 허다하며, 또한 연결관이 플랙시블 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밸브의 개폐 시 연결관의 유동이 초래되어 이음부분의 결속이 이완되는 경우가 많아 밸브 적용에 불합리한 요인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성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밸브 적용의 용이성과 유체 제어 작동의 정밀성 확보, 및 취급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선 주관(主管)에 직각되게 분기관을 구성하는 T자형 이음관의 분기관 상에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설치시킨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음관과 개폐밸브를 적용한 종래의 예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분기통로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이는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분기통로를 폐쇄하는 상태를 보이는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개폐밸브의 형상을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T자형 이음관 2 : 주관
2A : 유입구 2B : 배출구
3 : 분기관 3A : 통로
4 : 작동안내로 5 : 개폐밸브
5A : 차단체 5B : 연결봉
5C : 노브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A)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B)를 가진 직선의 주관(主管)(2)에 직각 되게 형성되며 주관(2)의 내부와 상호 연결되는 상태의 통로(3A)를 구비하는 분기관(3)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T자형 이음관(1)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3)의 통로(3A)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유입구(2A) 및 배출구(2B)의 통로와 직각으로 교차되는 상태로 주관(2)에 형성되는 작동안내로(4)와;
상기 분기관(3)의 통로(3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안내로(4)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체(5A)와, 연결봉(5B)을 통해 상기 차단체(5A)와 일체로 연결 구성되며 차단체(5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주관(2)의 외부로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노출 형성되는 노브(5C)로 구성되는 개폐밸브(5)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분기관(3)의 통로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상기 개폐밸브(5)의 노브(5C)가 뽑혀져 차단체(5A)가 후퇴됨으로써 유입구(2A)와 배출구(2B)의 연결통로가 분기관(3)의 통로(3A)와 연결될 수 있도록 주관(2) 및 분기관(3)의 통로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주관(2)의 유입구(2A)에서 유입되는 유체는 배출구(2B)로 이송,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 개방된 분기관(3)의 통로(3A)를 통해 분기관(3)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통해 소정의 목적지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분기관(3)통로(3A)를 폐쇄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상기 개폐밸브(5)의 노브(5C)가 눌려져 차단체(5A)가 유입구(2A)와 배출구(2B)의 연결통로를 지나 분기관(3)의 통로(3A)의 내부로 진입되어 통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서 연결봉(5B)의 직경이 작동안내로(4)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됨으로 주관(2)의 유입구(2A)와 배출구(2B)는 여전히 개통되어 있는 상태로서 하지만 분기관(3)의 통로(3A)는 차단체(5A)에 의해 주관(2)의 통로와 차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주관(2)의 유입구(2A)에서 유입되는 유체는 배출구(2B)로 이송, 배출될 수 있지만 폐쇄된 분기관(3)의 통로(3A)를 통과할 수 없게 되어 분기관(3)에 연결되는 해당 라인으로는 유체를 공급할 수 없게 된다.
상기의 개폐밸브(5)에 적용되는 차단체(5A)는 작동안내로(4)의 내면과 접하여 우수한 내구성과 실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적당하며 특정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차단체(5A)는 작동안내로(4) 내에서 긴밀하게 결합시켜 적절한 마찰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으로 그 이유는 외부에서 노브(5C)에 힘을 가하여 인위적으로 동작시키지 않는 한 해당 위치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개폐밸브(5)가 무단으로 유동되어 유체의 흐름에 지장을 주거나 장치의 고장을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T자형 이음관의 분기관(3)에 직접 개폐밸브(5)를 적용 설치함으로써 기존에서와 같이 각 부재를 개별적으로 준비, 적용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해결되어 밸브 적용이 용이하고 내구성과 견고성을 갖는 이음관 자체에밸브구조가 적용되는 관계로 개폐동작의 정밀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밸브구조와 이음관이 단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기존과 같이 밸브 유니트를 각기 별개로 구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배제되는 관계로 개폐밸브의 설치를 위해 연결관에 별도의 사전 가공이 필요 없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결합이음부분의 실링을 정밀하게 유지시키기가 용이하여 누수방지를 통해 제품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A)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B)를 가진 직선의 주관(主管)(2)에 직각 되게 형성되며 주관(2)의 내부와 상호 연결되는 상태의 통로(3A)를 구비하는 분기관(3)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T자형 이음관(1)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3)의 통로(3A)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유입구(2A) 및 배출구(2B)의 통로와 직각으로 교차되는 상태로 주관(2)에 형성되는 작동안내로(4)와;
    상기 분기관(3)의 통로(3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안내로(4)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체(5A)와, 연결봉(5B)을 통해 상기 차단체(5A)와 일체로 연결 구성되며 차단체(5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주관(2)의 외부로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노출 형성되는 노브(5C)로 구성되는 개폐밸브(5)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KR2020010033888U 2001-11-01 2001-11-01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KR200264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888U KR200264357Y1 (ko) 2001-11-01 2001-11-01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888U KR200264357Y1 (ko) 2001-11-01 2001-11-01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947A Division KR20020024152A (ko) 2002-01-25 2002-01-25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357Y1 true KR200264357Y1 (ko) 2002-02-16

Family

ID=7311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888U KR200264357Y1 (ko) 2001-11-01 2001-11-01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3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152A (ko) * 2002-01-25 2002-03-29 정승훈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KR100481802B1 (ko) * 2004-07-23 2005-04-11 주식회사 퓨어라인 티에스 밸브
KR101456616B1 (ko) * 2013-10-30 2014-10-31 (주)동성이엔지 다단 분기식 급수 시스템용 수전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152A (ko) * 2002-01-25 2002-03-29 정승훈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KR100481802B1 (ko) * 2004-07-23 2005-04-11 주식회사 퓨어라인 티에스 밸브
KR101456616B1 (ko) * 2013-10-30 2014-10-31 (주)동성이엔지 다단 분기식 급수 시스템용 수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2862B (zh) 阀门组件
US5090450A (en) Plug valve
PT1169588E (pt) Dispositivo para controlo de meios fluidos
US6923421B2 (en) Flexible half sleeve style pinch valve
US6966328B2 (en) Fluid diversion apparatus
US7448405B2 (en) Multiple valve drain and pipe-cleaning device
KR200264357Y1 (ko)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SE8102998L (sv) Kranventil med tidig avstengning
US6612536B2 (en) Remote shut-off valve
KR200264361Y1 (ko)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KR20020024152A (ko)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US7681591B2 (en) In-line swivel for inflatable plugs
DE60328117D1 (de) Ventil zur strümungsrichtungsänderung eines fluids in rohrleitungen
US6725875B2 (en) Valve
RU2206005C1 (ru) Вентиль, в частности вентиль радиатора отопления
KR20020024150A (ko)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EP0685670B1 (en) Slide valve
ATE275707T1 (de) Hahn
KR100457799B1 (ko)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KR20040023564A (ko) 게이트 밸브
KR200274150Y1 (ko) 배출방향 조정이 가능한 콕 밸브
US6431213B1 (en) Internally divided water pipe and diverter valve therefor
RU2171936C1 (ru) Шаровой кран
NO157792B (no) TrykkmediumpŸvirket gripeanordning.
AU2007100374B4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