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125B1 -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125B1
KR102058125B1 KR1020170177517A KR20170177517A KR102058125B1 KR 102058125 B1 KR102058125 B1 KR 102058125B1 KR 1020170177517 A KR1020170177517 A KR 1020170177517A KR 20170177517 A KR20170177517 A KR 20170177517A KR 102058125 B1 KR102058125 B1 KR 102058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faucet
operating member
pump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708A (ko
Inventor
이충현
Original Assignee
이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현 filed Critical 이충현
Priority to KR102017017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1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E03C1/0465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by mounting an independent soap dispenser to outlet of ta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은, 수전몸체; 및 상기 수전몸체 내에 설치되며 수전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물을 개폐시키거나 세정액을 토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수전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전핸들의 제1조작에 의하여 물을 토출시키거나 제2조작에 의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어셈블리;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의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동부재;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세정액을 펌핑할 수 있게 구성된 펌프작동부재; 및 그 일측은 상기 작동부재에 구속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펌프작동부재에 구속되며,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펌프작동부재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펌프작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거리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증폭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FAUCET CAPABLE OF DISPENSING CLEANING LIQUID AND CARTRIDGE MOUNTABLE THEREIN}
본 발명은 수전 및 수전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수전은 급수 배관의 말단에 위치하여 물을 개폐시키는 장치로서, 설치 장소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화장실이나 샤워장 또는 주방에 설치되는 수전은 세정 또는 세척을 위한 물의 사용이 집중되므로 비누나 세정액도 수전의 근처에 비치된다.
일반적으로 물의 사용량은 수전의 이용 패턴과 관련이 높다. 물을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수전을 개방한다면 물의 낭비는 그만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수전을 개방하였으나 실제로는 물이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도 여전히 수전을 닫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대표적인 예가 물을 틀고 비누나 세정액을 찾아 대상물에 묻히고 세척을 한 후 다시 헹굼을 하기까지이다. 이 사이 수전을 닫지 않는 한 물은 사용되지 않은 채 그대로 하수로 흘려보내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세정액을 사용하는 동안 수전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여 절수가 가능한 수전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6-0005901호에는 수전본체 내에 세정액 펌핑이 가능한 수단을 수전 내에 배치하고 손잡이를 올리면 물이 개방되고 손잡이를 누르면 물은 닫히고 세정액이 토출되도록 구성한 수전이 제시되었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발명된 한국 등록특허 제10-1663101호 및 10-1721956호는 물을 개폐시키는 밸브 기능 외에 세정액의 펌핑 기능을 추가한 수전용 카트리지를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수전 내의 작은 카트리지에 디스펜싱 기능을 적용하였을 때 관련된 부품 및 설치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세정액 펌핑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수전핸들을 조작하는 제한된 스트로크로도 세정액의 펌핑양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정액의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은, 수전몸체; 및 상기 수전몸체 내에 설치되며 수전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물을 개폐시키거나 세정액을 토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수전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전핸들의 제1조작에 의하여 물을 토출시키거나 제2조작에 의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어셈블리;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의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동부재;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세정액을 펌핑할 수 있게 구성된 펌프작동부재; 및 그 일측은 상기 작동부재에 구속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펌프작동부재에 구속되며,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펌프작동부재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펌프작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거리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증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작동부재에 제1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증폭부재는 상기 제1랙기어에 맞물려지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펌프작동부재에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려지는 제2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제1랙기어에 맞물려지며 제1반경을 갖는 제1피니언; 및 상기 제2랙기어에 맞물려지며 상기 제1반경보다 큰 제2반경을 갖는 제2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피니언은 상기 제1피니언의 중간 위치에 상기 제1피니언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은,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펌프작동부재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제1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디스크를 감쌀 수 있는 호상(弧狀)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은, 상기 혼합수가 토출되기 위한 혼합수 토출구; 및 상기 세정액이 토출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와 별도로 형성되는 세정액 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조작은 중립위치에서 상기 수전핸들을 들어올리는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작은 상기 중립위치에서 상기 수전핸들을 눌러내리는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용 카트리지는, 수전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수전핸들의 제1조작에 의하여 물을 토출시키거나 제2조작에 의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어셈블리;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의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동부재;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세정액을 펌핑할 수 있게 구성된 펌프작동부재; 및 그 일측은 상기 작동부재에 구속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펌프작동부재에 구속되며,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펌프작동부재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펌프작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거리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증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의 카트리지에 의하면, 카트리지에 세정액 토출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여러 기능을 갖는 수전 내부의 부품들을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전몸체 내에 설치되는 카트리지에 작동부재, 펌프작동부재 및 증폭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카트리지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이동되는 작동부재의 거리를 증폭부재에 의해 증폭시켜 펌프작동부재에 전달하므로 수전핸들을 조작하는 동일한 스트로크로도 세정액의 펌핑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100)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용 카트리지(130)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용 카트리지(130)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용 카트리지(130)의 작동 상태들로서, 도 4는 중립상태이고, 도 5는 물을 개방하는 상태이며, 도 6은 세정액을 펌핑하는 상태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수전(100)은 욕실이나 세면장 등 수도배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 수전(100)은 수전핸들(115)과 함께 내부의 여러 부품들이 장착되는 수전몸체(110)를 구비한다. 수전몸체(110)의 하단의 개구에는 수도배관에 연결되기 위한 냉수유입관(111)과 온수유입관(112)이 구비되며, 일측에는 냉수와 온수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온도조절된 혼합수를 토출하는 혼합수 토출구(113)가 구비된다.
수전몸체(110)의 내부에는 수전핸들(115)의 조작에 따라 물을 개폐시키거나 세정액을 토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 카트리지(130)가 설치된다. 이중 세정액의 토출을 위하여, 수전몸체(110)의 하단 개구에는 세정액 용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세정액 연결관(120)이 구비되며, 카트리지(130)의 조작에 의하여 세정액이 펌핑되어 수전몸체(1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세정액 토출관(121) 및 세정액 토출구(122)가 각각 형성된다. 세정액 토출구(122)는 혼합수 토출구(113)와의 관계에서 혼합수 토출구(113)와 독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세정액 토출구(122)를 혼합수 토출구(113)의 일부로서 설치할 수도 있다.
수전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카트리지(130)에 의하여, 수전핸들(115)은 중립 위치를 가질 수 있으며, 중립 위치에서 들어 올려지면 혼합수 토출구(113)를 통하여 물이 토출되지만, 반대로 중립 위치에서 수전핸들(115)이 내려지면 혼합수 토출구(113)를 통한 물은 차단되고 세정액 토출구(122)를 통하여 세정액이 펌핑된다. 이하,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작용을 도 2 이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용 카트리지(13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용 카트리지(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트리지(130)는 수전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임의의 사이즈나 형상 또는 표준화된 사이즈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130)는 수전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우징 내에 물의 개폐를 담당하는 요소와 세정액의 펌핑을 담당하는 요소들이 구비된다. 하우징은 물의 개폐를 담당하는 요소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141)과, 세정액의 펌핑을 담당하는 요소들이 설치되는 제2하우징(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142)은 제1하우징(14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제1하우징(141)에 조립되기 위한 체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하우징(141)의 하부에는 앞서 설명된 냉수유입관(111) 및 온수유입관(112)에 연결되기 위한 베이스 어셈블리(150) 결합된다. 베이스 어셈블리(150)는 냉수유입관(111)의 물과 온수유입관(112)의 물이 각각의 유로를 따라 흐를 수 있게 형성된 제1디스크(15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하우징(141)의 내부에는 수전핸들(115)의 제1조작에 의하여 물을 토출시키거나 제2조작에 의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된 슬라이드 어셈블리(160)가 설치된다. 슬라이드 어셈블리(160)는 제1디스크(151)에 면접촉하면서 제1방향의 이동에 따라 물을 개폐시키거나 수전핸들(115)의 좌우방향 회동각에 대응하는 냉수와 온수의 섞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디스크(161)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조작은 수전핸들(115)의 중립 위치에서 수전핸들(115)을 들어올리는 모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조작은 중립 위치에서 수전핸들(115)을 눌러내리는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어셈블리(160)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어셈블리(160)에 의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동부재(170)가 배치된다. 작동부재(170)의 이동범위는 수전몸체(110) 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수전핸들(115)을 내림에 따라 회전되는 피봇레버(145)에 의해 결정된다. 작동부재(170)은 원형의 제2디스크(161)를 감쌀 수 있는 호상면(171) 또는 삼각면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수전핸들(115)의 좌우 회동에 따른 피봇레버(145) 및 제2디스크(161)의 회전이 있어도 작동부재(170)의 변위는 발생되지 않으며, 임의의 회전위치에서 수전핸들(115)의 다운이 있는 경우 제2디스크(161)가 전달하는 힘의 작용선은 작동부재(170)의 중심부를 통과하게 된다.
작동부재(170)의 제1방향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2하우징(142)에는 돌기부(1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부재(170)에는 돌기부(144)가 삽입되는 가이드홀(173)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44) 및 가이드홀(173)은 작동부재(170)의 제1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쌍으로 배치됨으로써 힘의 편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부(144)에는 슬라이드 어셈블리(160)에 의하여 제1방향으로 밀려진 작동부재(170)의 원래 위치로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제2하우징(142)에는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펌프작동부재(190)가 배치된다. 펌프작동부재(190)는 경질의 로드 또는 연질의 코드 형태일 수 있다. 펌프작동부재(190)는 작동부재(170) 및 후술하는 증폭부재에 의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되며 세정액 연결관(120)의 세정액을 펌핑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작동부재(170)와 펌프작동부재(190)의 사이에는 증폭부재가 배치된다. 증폭부재의 일측은 작동부재(170)에 구속되고 다른 일측은 펌프작동부재(190)에 구속되며, 작동부재(170)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펌프작동부재(19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되, 펌프작동부재(190)의 이동거리를 작동부재(170)의 이동거리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증폭부재는, 도 3과 같이, 피니언기어(18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180)는 제2하우징(142)에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180)와의 기어 결합을 위하여, 작동부재(170)에는 제1랙기어(175)가 형성되고, 펌프작동부재(190)에는 제2랙기어(191)가 형성된다. 피니언기어(180)는 상이한 반경을 갖는 복수의 피니언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구별되어 제1랙기어(175) 및 제2랙기어(191)에 맞물려진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피니언기어(180)는 제1랙기어(175)에 맞물려지며 제2반경을 갖는 제1피니언(181)과, 제2랙기어(191)에 맞물려지며 제1반경보다 큰 제2반경을 갖는 제2피니언(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피니언(181)과 제2피니언(182)은 동심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동부재(170)의 이동에 의하여 제1피니언(181)이 어느 각도로 회전되면, 동일한 각으로 회전되는 제2피니언(182)은 큰 반경에 의하여 펌프작동부재(190)의 이동량을 증대시킨다. 힘의 균형을 위하여 제2피니언(182)은 제1피니언(181)의 중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작동부재(170)는 제2피니언(182) 및 펌프작동부재(190)와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중심이 만곡된 형태일 수 있다. 작동부재(170), 증폭부재 및 펌프작동부재(190)는 강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피니언기어(180)나 제1랙기어(175) 및 제2랙기어(191)는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금속에 의하여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용 카트리지(13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용 카트리지(130)의 작동 상태들로서, 도 4는 중립상태이고, 도 5는 물을 개방하는 상태이며, 도 6은 세정액을 펌핑하는 상태이다.
카트리지(130)는 수전핸들(115)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각도에 따라 물의 토출량이 결정되는 방식이나, 수전핸들(115)이 중립 위치에서 하방으로 내려지고 세정액의 펌핑이 완료된 이후에는 도 4와 같이 중립위치에 놓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수전핸들(115)의 올려지면 피봇레버(145)도 각도변환되고 슬라이드 어셈블리(160)를 이동시켜 그 각도만큼 물을 개방시킨다. 이때, 작동부재(170)는 중립 위치를 스토퍼 수단에 의하여 중립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수전핸들(115)을 눌러 내림으로써 슬라이드 어셈블리(160) 및 제2디스크(161)가 이동되어 작동부재(17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이다. 작동부재(170)의 제1랙기어(175)에 맞물려지는 피니언기어(180)의 제1피니언(181)이 연동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되면, 반경이 큰 제2피니언(182)은 동일 회전각도에서 맞물려져 있는 제2랙기어(191) 및 펌프작동부재(190)의 제2방향 이동량을 증폭시킨다. 세정액의 적절한 펌핑양은 제1피니언(181)과 제2피니언(182)의 직경비를 조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수전 110: 수전몸체
111: 냉수유입관 112: 온수유입관
113: 토출구 115: 수전핸들
120: 세정액 연결관 130: 카트리지
141: 제1하우징 142: 제2하우징
144: 돌기부 145: 피봇레버
150: 베이스 어셈블리 151: 제1디스크
160: 슬라이드 어셈블리 161: 제2디스크
170: 작동부재 171: 호상면
173: 가이드홀 175: 제1랙기어
180: 피니언기어 181: 제1피니언
182: 제2피니언 190: 펌프작동부재
191: 제2랙기어

Claims (11)

  1. 수전몸체; 및
    상기 수전몸체 내에 설치되며 수전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물을 개폐시키거나 세정액을 토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수전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전핸들의 제1조작에 의하여 물을 토출시키거나 제2조작에 의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어셈블리;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의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제1랙기어가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세정액을 펌핑할 수 있게 구성된 펌프작동부재;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펌프작동부재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제2하우징; 및
    그 일측은 상기 작동부재에 구속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펌프작동부재에 구속되며,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펌프작동부재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펌프작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거리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증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재는 상기 제1랙기어에 맞물려지며 그 양단이 상기 제2하우징에 지지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작동부재에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려지는 제2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제1랙기어에 맞물려지며 제1반경을 갖는 제1피니언; 및
    상기 제2랙기어에 맞물려지며 상기 제1반경보다 큰 제2반경을 갖는 제2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피니언은 상기 제1피니언의 중간 위치에 상기 제1피니언과 동심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제1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디스크를 감쌀 수 있는 호상면을 갖는,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9. 제1항에 있어서,
    혼합수가 토출되기 위한 혼합수 토출구; 및
    상기 세정액이 토출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와 별도로 형성되는 세정액 토출구를 더 포함하는,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은 중립위치에서 상기 수전핸들을 들어올리는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작은 상기 중립위치에서 상기 수전핸들을 눌러내리는 모션을 포함하는,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11. 수전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수전핸들의 제1조작에 의하여 물을 토출시키거나 제2조작에 의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어셈블리;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에 의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제1랙기어가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세정액을 펌핑할 수 있게 구성된 펌프작동부재;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펌프작동부재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제2하우징; 및
    그 일측은 상기 작동부재에 구속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펌프작동부재에 구속되며,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펌프작동부재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펌프작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거리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증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재는 상기 제1랙기어에 맞물려지며 그 양단이 상기 제2하우징에 지지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작동부재에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려지는 제2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제1랙기어에 맞물려지며 제1반경을 갖는 제1피니언; 및
    상기 제2랙기어에 맞물려지며 상기 제1반경보다 큰 제2반경을 갖는 제2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피니언은 상기 제1피니언의 중간 위치에 상기 제1피니언과 동심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용 카트리지.
KR1020170177517A 2017-12-21 2017-12-21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KR102058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17A KR102058125B1 (ko) 2017-12-21 2017-12-21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17A KR102058125B1 (ko) 2017-12-21 2017-12-21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708A KR20190075708A (ko) 2019-07-01
KR102058125B1 true KR102058125B1 (ko) 2019-12-20

Family

ID=6725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517A KR102058125B1 (ko) 2017-12-21 2017-12-21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1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9518A1 (en) * 2012-05-09 2013-11-14 Gojo Industries, Inc. Foam dispensers and refill units for foam dispensers
JP2016132971A (ja) 2015-01-22 2016-07-25 株式会社Lixil 水栓装置
KR101663101B1 (ko) 2016-08-01 2016-10-06 이충현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KR101721956B1 (ko) * 2016-12-23 2017-03-31 이충현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9518A1 (en) * 2012-05-09 2013-11-14 Gojo Industries, Inc. Foam dispensers and refill units for foam dispensers
JP2016132971A (ja) 2015-01-22 2016-07-25 株式会社Lixil 水栓装置
KR101663101B1 (ko) 2016-08-01 2016-10-06 이충현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KR101721956B1 (ko) * 2016-12-23 2017-03-31 이충현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708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0327B2 (en) Waterway switching device and a shower head including the device
JP2010185569A (ja) 湯水混合栓
US6035463A (en) Actuating assembly for dual-output valve
US20220213977A1 (en) Arbitrary directional touch switch
WO2018117708A1 (ko)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KR102058125B1 (ko) 세정액 디스펜싱이 가능한 수전 및 그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RU2324855C2 (ru) Кран-смеситель
US6199581B1 (en) Toilet tank fill valve with adjustable standpipe
JP6057845B2 (ja) 弁ユニット及び水栓
EP3587880B1 (en) Flow control switch valve
JP2017115556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WO2021082343A1 (zh) 一种用于水槽进排水控制的集成开关及其自动控制系统
CN110291259B (zh) 水龙头装置
CA2557956C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KR102152544B1 (ko) 기계식 밸브 시스템
WO2021215136A1 (ja) 水栓
KR102421408B1 (ko) 수격 방지기능을 구비한 버튼형 혼합수전 카트리지
JP4238878B2 (ja) 湯水混合水栓
KR200408113Y1 (ko) 세면대용 수도꼭지
CN220228026U (zh) 推杯龙头
CN207830663U (zh) 节水型水龙头以及水槽
JP2015096669A (ja) 水栓装置
JP4502727B2 (ja) 湯水混合栓
KR200377965Y1 (ko) 세면대
JP2000213017A (ja) 吐水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