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965Y1 - 세면대 - Google Patents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965Y1
KR200377965Y1 KR20-2004-0034236U KR20040034236U KR200377965Y1 KR 200377965 Y1 KR200377965 Y1 KR 200377965Y1 KR 20040034236 U KR20040034236 U KR 20040034236U KR 200377965 Y1 KR200377965 Y1 KR 200377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alve
wash basin
sink
val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창
Original Assignee
장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창 filed Critical 장은창
Priority to KR20-2004-0034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9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9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rigi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밸브와, 배수밸브를 개폐 작동시키는 레버를 가지는 세면대에서,
세면대의 물을 재취수관이나 방수관으로 선택하여 배출토록 하는 적어도 한쌍의 밸브(170,175); 및
각 밸브(170,175)가 개별 개폐작동토록 대응 설치한 한쌍의 레버(141a, 141b)를 동시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이다.

Description

세면대{Wash stand}
본 고안은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재취수관과 방수관으로 구분하여 배출토록 작동하는 개별의 밸브를 설치하고, 각 밸브는 대응하는 레버로 각각 작동토록 구성한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는 세면을 위한 것으로, 도 1 과 같이 외벽체(120)의 중앙에 물을 수용하는 오목 공간부를 이루도록 하고, 오목 공간부의 중앙에는 밸브(170)를 설치하고, 수도꼭지(172)및 이의 수도레버(171)를 일체로 설치하고, 수도꼭지(172)의 배출구(173)는 오목 공간부로 물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밸브(170)는 레버(141a)와 연계하여 개폐작동토록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 은 레버(141a)와 연동하는 밸브(170)의 작동 관계를 보이는 도면으로, 세면대(100)는 몸체중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돗물의 수용공간인 공간부(110)와, 공간부(110)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외벽체(120)로 구성되어 외관을 이루되, 공간부(110)의 바닥에 U패킹(131)이 끼워져 결합된 배수구(130)가 형성되며, 외벽체(120)의 후방에 승하강봉(141)이 끼워진 가이드구(1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U패킹(131)의 하단부에, 그 내부공간으로 배수구와 연통되는 레버실 (151)을 형성함은 물론 그 외벽으로 레버돌기(152)를 돌출형성한 배출파이프(150)가 너트식으로 체결되며, 승하강봉(141)의 하단부에 레버돌기(152)와 결합되는 대너트(161)를 통해 레버실(151)로 끼워지는 킥레버(16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U패킹(131)의 내부공간에 상방향에서 하방향을 향해 배수구(130)를 개폐하여 주도록 도1b의 도시와 같은 배수전(170)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 배수전 (170)의 하단부에 킥레버(160)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결합홀(17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하강봉(141)의 손잡이를 누르게 되면 승하강봉(141)이 가이드구 (140)를 따라 하향하는 분량만큼 킥레버(160)가 대너트(161)에 내장된 구형볼을 중심축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도 3 상태에서 도 2 상태로), 이로 인해 킥레버(160)의 선단부와 연결되어진 배수전(170)이 상향되어, 배수구(130)가 개방되는 것이다.
반대로, 승하강봉(141)의 손잡이를 도 3 과 같이 당기게 되면, 승하강봉(141)이 가이드구 (140)를 따라 상향하는 분량만큼 킥레버(160)가 대너트(161)에 내장된 구형볼을 중심축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로 인해 킥레버(160)의 선단부와 연결되어진 배수전(170)이 하향되어, 배수구(130)가 밀폐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세면대의 배출수를 방수관을 통하여 배출하는 일반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절수를 위하여 일부의 배출수를 모아 변기공급용 재취수로 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세면대에서 이를 직접 취수할 방도가 없어 별도로 방수관에서 분기관을 연결하여 항상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변기 공급용 재취수로 공급함으로써 재취수가 넘쳐날 경우,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세면대에 밸브와 레버를 각각 적어도 2개 설치하여 재취수와 방수를 선택하여 배출토록 하는 세면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고안은 세면대에 2개의 밸브를 설치하고, 이를 각각의 레버로 작동토록 한다. 작동의 편리를 위하여 레버의 상단에 이들을 동시에 작동하기도 하고 선택적으로도 작동 가능토록 하는 수평의 작동봉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은 배수밸브와, 배수밸브를 개폐 작동시키는 레버를 가지는 세면대에서,
세면대의 물을 재취수관이나 방수관으로 선택하여 배출토록 하는 적어도 한쌍의 밸브; 및
각 밸브가 개별 개폐 작동토록 대응 설치한 한쌍의 레버(141a, 141b)를 동시에 설치한 세면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각 밸브 구동용 레버를 이루는 승하강봉 상단은 링상의 결합구를 이루고,
각 결합구에는 수평으로 작동봉을 여유있게 결합시키고,
작동봉은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각 승하강봉의 동시 및 선택 개폐 작동을 가능토록 구성한 것이 좋다.
이하 본원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레버를 보인 요부 사시도로,
배수밸브와, 배수밸브를 개폐 작동시키는 레버를 가지는 세면대에서,
세면대(100)의 물을 재취수관(153)이나 방수관(154)으로 선택하여 배출토록 하는 적어도 한쌍의 밸브(170,175); 및
각 밸브(170,175)가 개별 개폐작동토록 대응 설치한 한쌍의 레버(141a, 141b)를 동시에 설치한다.
상기 각 밸브 구동용 레버(141a, 141b)를 이루는 승하강봉(141) 상단은 링상의 결합구(142)를 이루고,
각 결합구(142)에는 수평으로 작동봉(143)을 여유있게 끼움 결합시키고,
작동봉(143)은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각 승하강봉(141)의 동시 및 선택 개폐 작동을 가능토록 구성한다.
상기 결합구(142)에는 장공의 결합공(144)을 형성하고, 결합공(144)에 끼워지는 작동봉(143)의 양단은 이탈방지용 스토퍼(145)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각각의 레버(141a141b)를 이루도록 각각의 승하강봉(141,141')이 도 2 및 도 3 과 같은 원리로 결합되어 밸브(170,173)를 각각 개별 작동토록 결합한다. 그리고 각 승하강봉(141,141')의 상단에는 결합공(144)을 가지는 결합구(142)의 결합공(144)에 작동봉(143)을 끼우고, 각 작동봉(143)의 양단에는 스토퍼(145)를 결합시켜(이는 나사 결합 등으로 결합 가능하므로 단순히 스토퍼로만 나타내었다), 작동봉(143)이 항상 결합구(142)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조립한 본원발명은 또한 각 밸브(170,175)에 연동하는 배수관은 도 4 와같이 방수관(154)과 재취수관(153)으로 선택 배출하도록 각각의 밸브(170,175)는 작동한다(도 2 및 도 3 의 밸브처럼 작동하기에 밸브 작동 자체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조립한 본원고안은 도 7a와 같이 작동봉(143)을 화살표 방향으로 동시에 누르면, 각각의 승하강봉(141,141')이 도 2 와 같은 원리로 작동하여 대응 밸브(170,175)가 동시에 열리게된다. 이 경우는 반반씩 사용한 세면대의 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7b 와 같이 우측의 승하강봉(141)만 누르면, 밸브(175)는 닫혀있고, 밸브(170)만 열려 도 4 기준으로 방수관으로만 세면대의 물이 흘러 기존처럼 사용하는 꼴이다.
한편 도 7c 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는 작동봉(143)을 동시에 상승시키는 경우로, 이는 각 밸브(179,175)가 도 3 과 같은 방식으로 동시에 닫히게 되어 세면대에 물을 채워 세면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d 와 같이 좌측의 승하강봉(141')을 눌러 아래로 오도록 작동시키면, 밸브(175)는 열리고, 밸브(170)는 닫혀, 재취수구(1530로의 물공급이 이루어지고, 방수관(154)으로의 물 공급은 차단하게 된다.
결국 본원 고안은 2개의 밸브를 구비하되 각 밸브는 재취수관과 방수관으로의 공급을 개폐토록 연결하고, 각 밸브는 역시 대응하는 각각의 레버를 설치하여 작동토록 함으로써, 물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토록 하여 사용한 물을 효율적으로 재사용 가능토록 한다.
또한 레버의 작동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토록 함으로써, 2개의 레버를 설치하였지만 사용시에는 하나의 레버를 사용하는 것처럼 편리하게 사용 가능토록 한다,
결국 본원 고안은 2개의 밸브를 구비하되 각 밸브는 재취수관과 방수관으로의 공급을 개폐토록 연결하고, 각 밸브는 역시 대응하는 각각의 레버를 설치하여 작동토록 함으로써, 물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토록 하여 사용한 물을 효율적으로 재사용 가능토록 한다.
또한 레버의 작동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토록 함으로써, 2개의 레버를 설치하였지만 사용시에는 하나의 레버를 사용하는 것처럼 편리하게 사용 가능토록 한다,
또한 세면대의 물일지라도, 샴프로 씻은 물과 행근물은 물의 깨끗한 정도가 달라 용도에 따라 편리하게 재사용 가능하므로, 이를 세면대에서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재사용의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세면기의 사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세면기의 레버와 밸브를 보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레버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7a 는 본 고안의 양측을 눌러 개방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도면,
도 7b 는 본 고안의 일측을 개방하는 경우를 보인 요부 도면,
도 7c 는 본 고안의 양측을 들어 밸브가 닫히도록 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d 는 본 고안의 다른 일측을 개방하는 경우를 보인 요부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세면대 141a, 141b;레버 141,141';승하강봉 142;결합구 143;작동봉
144;결합공 145;스토퍼 153;재취수관 154;방수관 170,175;밸브

Claims (3)

  1. 배수밸브와, 배수밸브를 개폐 작동시키는 레버를 가지는 세면대에서,
    세면대의 물을 재취수관이나 방수관으로 선택하여 배출토록 하는 적어도 한쌍의 밸브(170,175); 및
    각 밸브(170,175)가 개별 개폐작동토록 대응 설치한 한쌍의 레버(141a, 141b)를 동시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밸브 구동용 레버(141a, 141b)를 이루는 승하강봉(141) 상단은 링상의 결합구(142)를 이루고,
    각 결합구(142)에는 수평으로 작동봉(143)을 여유있게 결합시키고,
    작동봉(143)은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각 승하강봉(141)의 동시 및 선택 개폐 작동을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3.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구(142)에는 장공의 결합공(144)을 형성하고, 결합공(144)에 끼워지는 작동봉(143)의 양단은 이탈방지용 스토퍼(14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KR20-2004-0034236U 2004-12-02 2004-12-02 세면대 KR200377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236U KR200377965Y1 (ko) 2004-12-02 2004-12-02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236U KR200377965Y1 (ko) 2004-12-02 2004-12-02 세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965Y1 true KR200377965Y1 (ko) 2005-03-11

Family

ID=4367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236U KR200377965Y1 (ko) 2004-12-02 2004-12-02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9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12193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of fill valve in water toilet
US7526819B2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WO2013170527A1 (zh) 节水座便器
KR200377965Y1 (ko) 세면대
US6553583B1 (en) Stop valve for basin or sewer
KR200457162Y1 (ko) 대변 및 소변에 따라 물내림양을 조절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용 플러시밸브 구조
KR102070294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CN211341011U (zh) 一种用于水槽出水和排水控制的集成控制开关
KR200418907Y1 (ko) 세면대
KR100704196B1 (ko)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KR102085962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20100101342A (ko) 세면대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JP3092723U (ja) 便器の水タンクを利用した手洗い及び水節約の装置
KR200165276Y1 (ko) 절수용 세면기
KR200419551Y1 (ko) 절약형 양변기
KR100338152B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JP2611602B2 (ja) 洋風便器用タンクアッセンブリ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KR200262721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50145030A (ko) 이중 물탱크 구조의 양변기 및 이를 이용한 절수 시스템
KR101157213B1 (ko) 수도꼭지 및 수도밸브
WO2003016641A1 (en) Toilet installation
KR200344204Y1 (ko)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KR100705202B1 (ko)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KR200146305Y1 (ko) 급수변의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