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152B1 -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152B1
KR100338152B1 KR1020000020419A KR20000020419A KR100338152B1 KR 100338152 B1 KR100338152 B1 KR 100338152B1 KR 1020000020419 A KR1020000020419 A KR 1020000020419A KR 20000020419 A KR20000020419 A KR 20000020419A KR 100338152 B1 KR100338152 B1 KR 100338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edal
opening
channel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6331A (ko
Inventor
이종균
Original Assignee
이종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균 filed Critical 이종균
Priority to KR102000002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152B1/ko
Priority to KR2020000010976U priority patent/KR200198051Y1/ko
Publication of KR2001009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폐식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여분의 물로 조작페달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페달을 발로 조작함에 따라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페달에서 발을 제거하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에서 상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고인 물이 하부로 배출되어 조작페달을 세척하도록 한 자폐식 수전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관에 연결되어 냉수와 온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벽체등에 설치된 수전금구에 수로개폐수단의 조작에 의해 수로가 개폐됨에 따라 물이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절수수단을 갖춘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개폐수단을 구성하는 상부페달을 밟고 있던 발을 상부페달로 부터 이탈시키면 절수수단의 상부에 고여있던 물이 하부로 자연 낙하하여 수로개폐수단의 상부페달로 흘러내려 상부페달을 세척하는 페달세척부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페달세척부는, 상기 절수수단을 구성하는 수로개폐연동수단의 샤프트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체결됨과 더불어 소정위치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판부재와, 이 판부재의 하부에 밀착됨과 더불어 후크가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후크부재와, 이 후크부재에 의해 판부재의 하부에 밀착되게 설치된 패킹부재와, 상기 수로설정구와 수로개폐구 및 하부수로형성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배수구중 최하부에 설치되어 안착된 튜브연결구와, 이 튜브연결구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상부페달을 세척할 수 있도록 배치된 배수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A washing device of automatic shutter type faucet }
본 발명은 자폐식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여분의 물로 조작페달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전금구(수도꼭지)는 손을 사용하여 수도꼭지의 핸들(handle)을 누르거나 올리고, 상하·좌우로 작동시키수로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싱크대에서 식기 세척을 하거나 샤워 중에 비누칠, 세발, 면도 등으로 양손을 사용하는 물 사용자는 상기 수도꼭지의 핸들을 돌려야만 물의 수로가 개폐되어 물의 사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전금구(수전기)는 물 사용자의 번거로움과 부주의로 물 사용 중 수도꼭지를 신속히 잠그지 않거나 자리를 떠서 많은양의 귀중한 수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999-051997호로 (1999년 11월 22일 출원) 발로 페달을 밟아 수전기의 물 개·폐를 하는 에너지절약용 풋밸브 절수 수전기를 출원하였는바, 이는 상기 수전기의 페달을 밟아 수로를 개구하여 상부로 물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제거하고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전기는 페달이 통상 오염되어 있어 다른 사람이 사용할 때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 불결한 느낌을 주어 사용시 별도로 세척해야 함으로서 불필요하게 물의 낭비를 가져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페달을 밟고 있던 발을 페달로 부터 이탈시키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를 구성하는 절수수단의 상부에 고여있던 물이 하부로 자연낙하하여 페달의 상부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페달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형성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형성부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의 수로형성부를 통해 외부로 물이 공급될 때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의 수로형성부를 통해 외부로 물이 공급되지 않고 상부페달로 잔여분의 물이 내려가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로개폐수단을 나타내는 상세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로개폐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절수장치 10: 절수수단
20: 수로개폐수단 30: 페달세척부
31: 체결부재 32: 판부재
33: 후크부재 34: 패킹부재
35: 튜브연결구 36: 배수튜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관에 연결되어 냉수와 온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벽체등에 설치된 수전금구에 수로개폐수단의 조작에 의해 수로가 개폐됨에 따라 물이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절수수단을 갖춘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개폐수단을 구성하는 상부페달을 밟고 있던 발을 상부페달로 부터 이탈시키면 절수수단의 상부에 고여있던 물이 하부로 자연낙하하여 수로개폐수단의 상부페달로 흘러내려 상부페달을 세척하는 페달세척부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페달세척부는, 상기 절수수단을 구성하는 수로개폐연동수단의 샤프트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체결됨과 더불어 소정위치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판부재와, 이 판부재의 하부에 밀착됨과 더불어 후크가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후크부재와, 이 후크부재에 의해 판부재의 하부에 밀착되게 설치된 패킹부재와, 상기 수로설정구와 수로개폐구 및 하부수로형성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배수구중 최하부에 설치되어 안착된 튜브연결구와, 이 튜브연결구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상부페달을 세척할 수 있도록 배치된 배수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형성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형성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세척장치는, 메인관에 연결되어 냉수와 온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벽체등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수전금구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절수장치(1)는, 일측에는 수로가 개폐됨에 따라 물이 분사되는 샤워기 등이 설치되는 절수수단(10)과, 이 절수수단(10)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가압하면 절수수단(10)의 수로가 열리고 가압력을 제거하면 폐쇄되도록 한 수로개폐수단(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수수단(10)과 수로개폐수단(20)에는, 상기 수로개폐수단(20)을 구성하는 상부페달(21)을 밟고 있던 발을 상부페달(21)로 부터 이탈시키면 절수수단(10)의 상부에 고여있던 물이 하부로 자연낙하하여 상부페달(21)의 상부로 흘러내리도록 수로를 형성하는 페달세척부(30)가 구성되어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절수수단(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전금구에 결합되는 연결구(11)와, 이 연결구(11)와 결합되어 수직으로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설정구(12)와, 이 수로설정구(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수로개폐구(13)와, 상기 수로설정구(12)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오링(14a)과, 상기 수로개폐구(13)에 체결되어 수로설정구(12)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부수로형성구 (15)와, 상기 수로설정구(12)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오링(14b,14c)을 매개로 밀봉되도록 결합되는 하부수로형성구(16)와, 이 하부수로형성구(16)의 하부에 체결되는 결합구(17)와, 상기 수로설정구(12)와 수로개폐구(13) 및 하부수로형성구(16)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로개폐수단(20)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수로개폐연동수단(1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로개폐연동수단(18)은, 상기 수로개폐구(13)의 하부에 착탈되면서 수로를 개폐하는 패킹(18a)과, 이 패킹(18a)이 소정위치에 끼워지는 샤프트(18b)와, 이 샤프트(18b)의 소정위치에 끼워진 오링(18c,18d)과, 상기 샤프트(18b)에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수로설정구(12)의 하부와 하부수로형성구(16)의 상부에 체결되는 샤프트지지부재(18e)와, 이 샤프트지지부재(18e)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로개폐수단(20)의 후술하는 연결구가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샤프트(18b)의 하단과 체결되는 수로개폐수단연결부재(18f)와, 이 수로개폐수단연결부재(18f)의 하부와 하부수로형성구(16)의 사이에 배치되어 수로개폐수단연결부재(18f)를 상부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8g)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로개폐수단(20)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밟을 수 있도록 된 상부페달(21)과, 이 상부페달(21)의 하부에 배치된 탄성부재 (22)와, 상기 상부페달(21)의 선택적인 가압에 의해 연동되어 일정각도 회동하도록 된 회동링크(23)와, 이 회동링크(23)와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24)와, 이 와이어 (24)를 감싸는 와이어보호튜브(25)와, 상기 와이어(24)의 타단에 고정됨과 더불어 수로개폐수단연결부재(18f)를 견인하도록 수용된 볼(26)과, 상기 와이어보호튜브 (25)를 감싸면서 결합구(17)에 일단이 고정되는 보호관(27)과, 이 보호관(27)의 타단에 결합되는 결합구(28)와, 이 결합구(28)가 측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부페달 (21)이 상기 탄성부재(22)를 매개로 상부에 설치되는 페달베이스부재(29)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 29a는 페달베이스부재(29)의 상부커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요부인 상기 페달세척부(30)는 도 3과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로개폐연동수단(18)의 샤프트(18b)에 체결되는 나사못 등의 체결부재(31)와, 상기 샤프트(18b)의 단부에 체결됨과 더불어 소정위치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판부재(32)와, 이 판부재(32)의 하부에 밀착됨과 더불어 후크가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후크부재(33)와, 이 후크부재(33)에 의해 판부재(32)의 하부에 밀착되게 설치된 패킹부재(34)와, 상기 수로설정구(12)와 수로개폐구(13) 및 하부수로형성구(16)에 연통되게 설치된 배수구 (12a,13a,16a,16b)중 최하부에 설치되어 안착된 튜브연결구(35)와, 이 튜브연결구 (35)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상부페달(21)을 세척할 수 있도록 배치된 배수튜브(3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수장치(1)를 구성하는 절수수단(10)의 연결구(11)를 수전금구에 연결하고 수로개폐수단(20)의 페달베이스부재(29)를 바닥에 놓은 후, 수전금구의 냉/온수레버를 돌려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후,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페달(21)을 밟거나 가압하게 되면 도 5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회동링크(23)가 회동되면서 와이어(24)의 일단을 당기게 되므로 타단의 볼(26)을 매개로 상기 수로개폐수단연결부재(18f)가 탄성부재(18g)의 탄성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수로개폐수단연결부재(18f)와 결합된 샤프트(18b)는 샤프트지지부재(18e)의 축방향중심으로 미끄러지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수로개폐구(13)의 하부에 밀착되어 있던 패킹(18a)이 하부로 이동되므로 수전금구의 물이 수로개폐구(13)와 패킹부재(34), 후크부재(33), 판부재(32) 및, 상부수로형성구(15)를 통해 샤워기 등으로 분출된다.
상기 샤워기로 연결되는 연결관(P)의 일단은 연결캡(W)에 의해 상부수로형성구(15)에 결합된다.
한편, 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상기 상부페달(21)을 밟거나 가압하다가 이를 제거하게 되면 도 6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페달(21)이 탄성부재(22)에 의해 상부로 복귀됨에 따라 회동링크(23)가 회동되면서 와이어(24)의 일단에 가했던 인장력을 제거하게 되므로 타단의 상기 수로개폐수단연결부재(18f)가 탄성부재(18g)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수로개폐수단연결부재(18f)와 결합된 샤프트(18b)는 샤프트지지부재(18e)의 축방향중심으로 미끄러지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수로개폐구(13)의 하부에 밀착되어 있던 패킹(18a)이 상부로 이동되어 수로개폐구(13)의 하부밀착면(13b)에 밀착되어 수전금구의 물이 수로개폐구(13)쪽으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페달세척부(30)의 상기 패킹부재(34)와 후크부재(33) 및 판부재(32)는 상기 샤프트(18b)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므로, 상기 패킹부재(34)가 수로개폐구(13)의 상부면에서 이탈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로개폐구(13)에 형성된 배수구(13a)와, 상기 수로설정구(12)에 형성된 배수구(12a) 및, 상기 하부수로형성구(16)의 배수구(16a,16b)가 연통되어 상기 상부수로형성구(15) 및 샤워기 쪽에 있던 물이 배수구(12a,13a,16a,16b)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구(16b)로 배수된 고인 물은 이 배수구(16b)에 설치된 상기 튜브연결구(35)와, 이 튜브연결구(35)에 일단이 연결된 배수튜브(36)를 통해 배수됨과 동시에 상기 수로개폐수단(20)을 구성하는 상부페달(21)의 상부에 배치된 타단으로 배수되어 상부페달(21)을 세척하게 된다.
즉, 상기 배수튜브(36)를 통해 배수된 물은 상기 페달베이스부재(29)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커버(29a)에 부딪혀 하부로 내려가면서 상기 상부페달(21)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페달(21)을 가압하였다가 이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작동이 반복되므로 목욕탕과 같은 곳에서는 위생상으로 특히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절수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수로개폐수단을 가압하는 동안만 물이 공급되므로 사용자가 부주의로 자리를 비우거나 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 불필요하게 수자원을 낭비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하던 중에 수로개폐수단을 가압하지 않게 되면 페달세척부에 의해 수로개폐수단의 상부페달을 세척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함이 없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메인관에 연결되어 냉수와 온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벽체등에 설치된 수전금구에 수로개폐수단의 조작에 의해 수로가 개폐됨에 따라 물이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절수수단을 갖춘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개폐수단을 구성하는 상부페달을 밟고 있던 발을 상부페달로부터 이탈시키면 절수수단의 상부에 고여있던 물이 하부로 자연낙하하여 수로개폐수단의 상부페달로 흘러내려 상부페달을 세척하는 페달세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세척부는,
    상기 절수수단을 구성하는 수로개폐연동수단의 샤프트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체결됨과 더불어 소정위치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판부재와, 이 판부재의 하부에 밀착됨과 더불어 후크가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후크부재와, 이 후크부재에 의해 판부재의 하부에 밀착되게 설치된 패킹부재와, 상기 수로설정구와 수로개폐구 및 하부 수로형성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배수구중 최하부에 설치되어 안착된 튜브연결구와, 이 튜브연결구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상부페달을 세척할 수 있도록 배치된 배수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와 후크부재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KR1020000020419A 2000-04-18 2000-04-18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KR100338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419A KR100338152B1 (ko) 2000-04-18 2000-04-18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KR2020000010976U KR200198051Y1 (ko) 2000-04-18 2000-04-18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419A KR100338152B1 (ko) 2000-04-18 2000-04-18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976U Division KR200198051Y1 (ko) 2000-04-18 2000-04-18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331A KR20010096331A (ko) 2001-11-07
KR100338152B1 true KR100338152B1 (ko) 2002-05-27

Family

ID=196652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976U KR200198051Y1 (ko) 2000-04-18 2000-04-18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KR1020000020419A KR100338152B1 (ko) 2000-04-18 2000-04-18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976U KR200198051Y1 (ko) 2000-04-18 2000-04-18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80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439B1 (ko) * 2010-06-08 2011-03-11 진명홈바스(주) 수도밸브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7238U (ko) * 1974-04-03 1975-10-18
JPS55166963U (ko) * 1979-05-19 1980-12-01
US5307837A (en) * 1992-10-27 1994-05-03 Woltz Robert L Water valve apparatus
KR20000012304A (ko) * 1999-11-22 2000-03-06 이종균 발로 페달을 밟아 수전기의 물 개·폐를 하는 에너지절약용 풋밸브 절수 수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7238U (ko) * 1974-04-03 1975-10-18
JPS55166963U (ko) * 1979-05-19 1980-12-01
US5307837A (en) * 1992-10-27 1994-05-03 Woltz Robert L Water valve apparatus
KR20000012304A (ko) * 1999-11-22 2000-03-06 이종균 발로 페달을 밟아 수전기의 물 개·폐를 하는 에너지절약용 풋밸브 절수 수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331A (ko) 2001-11-07
KR200198051Y1 (ko) 200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200202253Y1 (ko) 절수용 변기
KR100338152B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KR101172196B1 (ko) 접이식 수전
US20210340744A1 (en) Sink spinner
KR100232376B1 (ko) 자동 개폐되는 다용도 수도전
JPH1037275A (ja) トイレ装置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237908Y1 (ko) 절수용 페달밸브
KR101460445B1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대 겸용 소변기
KR200384911Y1 (ko) 비데용 급수 커넥터
KR20010077633A (ko) 다기능 수도꼭지
KR100992711B1 (ko) 샤워기헤드
KR200185082Y1 (ko) 거울의 김서림 제거장치
RU2141240C1 (ru) Биде-комби
KR200377965Y1 (ko) 세면대
KR200320370Y1 (ko)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
KR200211939Y1 (ko) 배수성능이 개선된 급수대
JP2611602B2 (ja) 洋風便器用タンクアッセンブリ
JPS624599Y2 (ko)
KR200276615Y1 (ko) 자동발판손세정대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KR200418907Y1 (ko) 세면대
CA2287065A1 (fr) Siphon deboucheur
JP2591018Y2 (ja) シン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