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370Y1 -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 - Google Patents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370Y1
KR200320370Y1 KR20-2003-0005184U KR20030005184U KR200320370Y1 KR 200320370 Y1 KR200320370 Y1 KR 200320370Y1 KR 20030005184 U KR20030005184 U KR 20030005184U KR 200320370 Y1 KR200320370 Y1 KR 200320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leaning
water supply
supply hol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근
Original Assignee
김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근 filed Critical 김성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샤워기 헤드 몸체 내에서 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흐르게 할 수 있도록 하되 세정용 물이 흐르는 쪽 몸체 상측에 질 내 삽입이 가능한 세정봉을 일체로 결합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여성 생식기 내를 청결하게 씻어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 하측 손잡이부가 급수호스와 연결되어 몸체 상부 일측에 형성된 물 분사홀을 통해 물을 분사시키도록 된 샤워기 헤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내부공간을 전후 분할하여 공급되는 물이 샤워용 또는 세정용으로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분리판(2)과, 상기 중앙 분리판(2)의 저면에 밀착되어 물 공급홀(1c)을 둘로 양분시키도록 손잡이부(1a)의 하단 내측에 전후 관통하도록 구비하되 내측판(3a)에 상하 연통홀(3b)을 형성시켜 전후 이동시 물 공급홀(1c)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는 물전환레버(3)와, 상기 물 분사홀(1b)과 반대되는 몸체(1)의 상부 후면에 일단이 결합 고정되며 외면에 복수개의 홀(4a)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세정용 물을 분사하게 되는 세정봉(4)과, 상기 물전환레버(3)의 상측으로 근접되게 몸체의 손잡이부(1a) 후면에 형성되어 물 공급홀(1c)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소량 배출토록 하여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물배출구(5a)로 된 수온감지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Showers head having washing rod}
본 고안은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기의 일측에 세정봉을 결합하여 여성 질 내의 위생을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샤워기 헤드는 몸체 하단에 물 공급호스가 연결되어 상측의 물 분사홀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되어 있으며 밸브에 개폐동작에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샤워기 헤드는 통상 신체 외면의 샤워기능에만 사용되며 신체 내부 즉 여성의 경우 더욱 청결성이 요구되는 생식기와 같은 질 내까지는 청결히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신체 내부를 청결히 하기 위해 비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질 내 세정이 용이치 않아 1~2시간후면 이물질이 다시 배출되어 청결함을 유지하는데는 자주 비데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또 샤워기 헤드와는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구비하기가 용이치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샤워기 헤드 몸체 내에서 물전환 레버의 조작으로 샤워 및 세정용 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흐르게 할 수 있도록 하되 세정용 물이 흐르는 쪽 몸체 상측에 질 내 삽입이 가능한 세정봉을 일체로 결합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성 생식기 내 질 속을 청결하게 씻어 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냉대하 질염 등의 질 내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물전환 레버 및 수온감지부를 발췌한 확대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세정봉을 발췌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온도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몸체 --- 1a. 손잡이부, 1b. 물 분사홀, 1c. 물 공급홀,
1d. 결합부
2. 중앙 분리판
3. 물전환 레버 --- 3a. 내측판, 3b. 연통홀
4. 세정봉 --- 4a. 홀, 4b. 장홈
5. 수온감지부 --- 5a. 물 배출구 5b. 차단밸브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는,
몸체 하측 손잡이부가 급수호스와 연결되어 몸체 상부 일측에 형성된 물 분사홀을 통해 물을 분사시키도록 된 샤워기 헤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전후 분할하여 공급되는 물이 샤워용 또는 세정용으로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분리판과,
상기 중앙 분리판의 저면에 밀착되어 물 공급홀을 둘로 양분시키도록 손잡이부의 하단 내측에 전후 관통하도록 구비하되 내측판에 상하 연통홀을 형성시켜 전후 이동시 물 공급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는 물전환레버와,
상기 물 분사홀과 반대되는 몸체의 상부 후면에 일단이 결합 고정되며 외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세정용 물을 분사하게 되는 세정봉과,
상기 물전환레버의 상측으로 근접되게 몸체의 손잡이부 후면에 형성되어 물 공급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소량 배출토록 하여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물배출구로 된 수온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보통 샤워시에는 물전환 레버를 샤워용 물이 흐르도록 조작하여 물 분사홀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샤워를 하게 되며, 여성의 질 내 비데시에는 물전환 레버를 세정용 물이 흐르도록 조작하고 세정봉을 질 내에 삽입함으로써 질 내를 깨끗이 씻어내게 됨으로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온감지부는 질 내 세정시 뜨거운 물이 샤워기 내로 투입되는 것을 미리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의 단면도, 도 2는 물전환 레버 및 수온감지부를 발췌한 확대도, 도 3은 세정봉을 발췌한 확대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샤워기 헤드의 몸체(1)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는 손잡이부(1a)로 되어 있고 상부는 폭을 넓게 하여 일측에 물 분사홀(1b)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1a)의 저부에는 급수호스가 연결되며 이를 통해 개폐밸브(미도시)의 조작으로 물이 샤워기 헤드 내로 급수된다.
상기 몸체(1)의 내부공간에는 전후 분할하여 공급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샤워용 또는 세정용으로 분리되어 흐르도록 중앙 분리판(2)이 구비된다.
중앙 분리판(2)은 몸체(1)의 공간부를 전후 양분하도록 상부로부터 손잡이부(1a) 내측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두 개의 물 공급홀(1c)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중앙 분리판(2)의 저측에는 두 개의 물 공급홀(1c)과 연통하여 선택적으로 물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물전환 레버(3)가 구비된다.
물전환 레버(3)는 상기 중앙 분리판(2) 및 물 공급홀(1c)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손잡이부(1a)에 양단이 전후 관통 지지되어 있고, 그 내측판(3a)에는 두 개의상하 연통홀(3b)을 형성시켜 전후 이동시 상기 물 공급홀(1c)과 각기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물전환 레버(3)의 양단의 누름동작에 따라 각각 샤워 및 세정용 물이 공급되도록 된다.
상기 몸체(1)의 물 분사홀(1b)과 반대되는 상부 후면에는 세정봉(4)의 일단이 결합된다. 여기서 세정봉(4)의 결합은 몸체(1)상에 통공을 가진 결합돌부(1d)를 형성시키고 세정봉(4)의 일단 내측을 결합돌부(1d)에 나선 결합시키거나 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끼워서 돌리는 원터치형의 커플링 결합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봉(4)은 질 내 삽입이 용이토록 끝이 둥근 상부 밀폐형의 긴 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외면에는 사방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홀(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홀(4a)은 세정봉(4) 삽입시 세정 및 물분사가 용이토록 길이방향으로 장홈(4b)을 형성하고 홈 저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5는 질 내 세정시 공급되는 물이 갑자기 뜨거워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쇼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미리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수온감지부이다.
수온감지부(5)는 상기 물전환레버(3)의 상측으로 근접되게 몸체의 손잡이부(1a) 후면에 물배출구(5a)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물 공급홀(1c)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샤워기 헤드의 하단에서 공급과 동시에 외부로 소량 계속하여 배출토록 되어 있다. 따라서 뜨거운 물이 세정봉(4) 즉, 질 내에 닿기 전에 미리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물배출구(5a)에는 니플을 결합하여 상기 물 공급홀(1c)의 상측에 바로 가깝게 통로를 이루게 형성함으로써 물의공급 즉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배출구(5a)의 외측으로는 연결호스를 결합 구비하여 물을 적당한 신체부위에 유도하게 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물의 온도를 즉시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보통 샤워시에는 물전환 레버(3)를 샤워용 물이 흐르도록 후측으로 밀어 조작하여 물 분사홀(1b)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샤워를 하게 된다.
또 여성의 질 내 비데시에는 도 4와 같이 물전환 레버(3)를 세정용 물이 흐르도록 앞쪽으로 밀어 조작하고 세정봉(4)을 질 내에 삽입하면 물의 분사에 의해 질 내를 깨끗이 씻어내어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수온감지부(5)의 물배출구(5a)로는 샤워기 헤드 내로 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소량의 물이 곧바로 빠져 나올 수 있게 되며 이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뜨거운 물이 질 내에 도달되기 전 세정봉(4)을 질 내에서 뺄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수온감지부(5)는 질 내 쇼크를 줄 수 있는 온도 이상의 물이 공급되면 이를 감지하여 물 공급홀(1c)의 상면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센서를 갖는 차단밸브(5b)를 설치하여 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변형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기존 샤워기 헤드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세정봉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샤워 및 질 내 세정을 물전환 레버의 간단한 조작으로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별도로 비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비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샤워기 헤드에 결합되는 세정봉 만을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또 휴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세정봉을 질 내에 삽입하여 세정을 할 수 있게 되므로 냉대하 질염이나 여성생식기 내부의 잡균, 질 내벽에 붙어 있는 생리 후의 찌꺼기 등 모든 이물질을 더욱 청결하게 씻어줌으로서 자궁암 예방 등 여성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몸체 하측 손잡이부가 급수호스와 연결되어 몸체 상부 일측에 형성된 물 분사홀을 통해 물을 분사시키도록 된 샤워기 헤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내부공간을 전후 분할하여 공급되는 물이 샤워용 또는 세정용으로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분리판(2)과,
    상기 중앙 분리판(2)의 저면에 밀착되어 물 공급홀(1c)을 둘로 양분시키도록 손잡이부(1a)의 하단 내측에 전후 관통하도록 구비하되 내측판(3a)에 상하 연통홀(3b)을 형성시켜 전후 이동시 물 공급홀(1c)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는 물전환레버(3)와,
    상기 물 분사홀(1b)과 반대되는 몸체(1)의 상부 후면에 일단이 결합 고정되며 외면에 복수개의 홀(4a)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세정용 물을 분사하게 되는 세정봉(4)과,
    상기 물전환레버(3)의 상측으로 근접되게 몸체의 손잡이부(1a) 후면에 형성되어 물 공급홀(1c)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소량 배출토록 하여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물배출구(5a)로 된 수온감지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온감지부(5)는 물전환레버(3)의 상측 물 공급홀(1c)을 통해 공급되는 세정용 물이 일정 온도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물 공급홀(1c)의 상면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센서를 갖는 차단밸브(5b)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
KR20-2003-0005184U 2002-10-22 2003-02-21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 KR2003203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537 2002-10-22
KR20020031537 2002-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370Y1 true KR200320370Y1 (ko) 2003-07-22

Family

ID=4941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184U KR200320370Y1 (ko) 2002-10-22 2003-02-21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3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911B1 (ko) 2006-12-26 2008-06-03 김태은 수도전 연결용 비데
CN110273453A (zh) * 2019-07-30 2019-09-24 宁波世唯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分离式盥洗器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911B1 (ko) 2006-12-26 2008-06-03 김태은 수도전 연결용 비데
CN110273453A (zh) * 2019-07-30 2019-09-24 宁波世唯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分离式盥洗器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184B1 (ko) 좌변기 비데의 세척수 분사장치
KR19980078461A (ko) 여성세척기와 구강샤워기가 일체로 구비된 온냉수겸용 항문세척기
KR200450106Y1 (ko) 비데의 일체형 분사노즐
KR200320370Y1 (ko) 세정봉을 갖는 샤워기 헤드
JPS596980B2 (ja) 水洗便器における温水噴出装置
KR101196154B1 (ko)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KR200408409Y1 (ko)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US6918517B2 (en) Nozzle for a sanitary cleansing device
KR0134468Y1 (ko) 세면대의 보조 세척장치
JP2007135906A (ja) シャワー装置
US20070093777A1 (en) Water therapy apparatus for large intestine
CN220967192U (zh) 一种座便器及其座圈
KR100495471B1 (ko) 샤워기
KR100758687B1 (ko)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JP4570435B2 (ja) 吐水経路切替装置
KR200384911Y1 (ko) 비데용 급수 커넥터
KR200372461Y1 (ko) 비데 분사노즐의 분사캡 구조
CN111910722B (zh) 一种智能马桶
KR200250696Y1 (ko) 휴대용 비데기
JP3478093B2 (ja) 衛生洗浄装置
CN206867183U (zh) 一种自供清洁液的马桶刷
KR200349845Y1 (ko) 비데기
KR200320613Y1 (ko) 수압에 의해 세정수의 출수가 제어되는 노즐
KR200211443Y1 (ko) 비데
KR200424277Y1 (ko) 비데의 노즐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