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409Y1 -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409Y1
KR200408409Y1 KR2020050033868U KR20050033868U KR200408409Y1 KR 200408409 Y1 KR200408409 Y1 KR 200408409Y1 KR 2020050033868 U KR2020050033868 U KR 2020050033868U KR 20050033868 U KR20050033868 U KR 20050033868U KR 200408409 Y1 KR200408409 Y1 KR 200408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water
inlet
outlet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국
Original Assignee
오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국 filed Critical 오영국
Priority to KR2020050033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409Y1/ko
Priority to PCT/KR2006/005028 priority patent/WO200706412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6Bidets without upward spra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7An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비데 장치는, 세정수를 도입하는 도입호스와; 도입호스와 연결되어 세정수를 도입하는 입구와, 입구로 유입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출구를 갖는 정수실 및, 정수실로 유입된 세정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정수실에 수용되는 필터요소를 갖는 정수기와; 정수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정수실의 출구와 연결되는 세정수의 토출구를 갖는 헤드와; 헤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구의 세정수를 분사하는 비데노즐과; 헤드의 토출구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허용함과 아울러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콘트롤밸브와; 정수실의 필터요소를 통과한 세정수를 2차적으로 정화하는 후처리필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세정이 필요한 부분에 직접 근접시켜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체의 어느 곳이든 비데 세정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장내 또는 질 내부로 항균 실리콘 호스를 삽입하여 세정함으로써 장내 또는 질 내부를 보다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세정수를 깨끗하게 정화한 후 사용함으로써, 세정부위를 더욱 더 깨끗하게 세정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깨끗하게 정화된 세정수로 장내 또는 질내부를 세정하므로, 체내에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BIDET HAVING WATER PURIFI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비데 장치를 구성하는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비데 장치를 구성하는 중간비데노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비데 장치를 구성하는 콘트롤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비데 장치를 구성하는 콘트롤밸브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비데 장치를 구성하는 콘트롤밸브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입호스 20: 정수기
22: 정수기하우징 24: 정수실
24a: 입구 24b: 출구
25: 필터요소 26: 체크밸브
27: 밸브바디 27a: 밸브구멍
28: 가요성 밸브플랩 29: 커버
30: 후처리필터 40: 헤드
46: 토출구 50: 비데노즐
52: 노즐본체 54: 항균 실리콘 호스
60: 중간비데노즐 62: 갈매기형(Chevron) 노즐구멍
64: 밸브체 66: 스프링
70: 콘트롤밸브 72: 밸브하우징
72a: 입수구 72b: 출수구
74: 포핏 76: 조작노브
80: 걸림편 82: 걸림홈
90: 헤드 100: 제 1비데노즐
102: 갈매기형 노즐구멍 104: 제 1연결관
110: 제 2비데노즐 112: 노즐본체
112a: 내경부 114: 항균 실리콘 호스
120: 콘트롤밸브 122: 밸브하우징
122a: 입수구 122b: 제 1출수구
122c: 제 2출수구 130: 스풀
132: 내부 유로 138: 조작노브
140: 걸림편 142: 제 1걸림홈
144: 제 2걸림홈 146: 제 3걸림홈
150: 보조 콘트롤밸브 152: 밸브하우징
152a: 입수구 152b: 출수구
154: 포핏 156: 조작노브
160: 걸림편 162: 걸림홈
200: 펌프 210: 용기
본 고안은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 또는 질 내부로 항균 실리콘 호스를 삽입하여 내부 세정할 수 있으며, 도입된 세정수를 깨끗하게 정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 장치는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배변 부위, 즉, 항문을 세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비데 장치는 청결을 중요시하는 근래의 추 세에 따라 여성 사용자는 물론 남성 사용자도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비데 장치는 좌변기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항문만 세정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항문의 하부에서만 물(이하, "세정수"라 칭함)을 분사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겉으로 드러난 부분만 세정할 수 있고, 실제적인 청결이 요구되는 장내부 또는 여성의 질내부로는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내부 세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비데 장치는 수도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세정수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청정도가 다소 떨어지며, 따라서 세정부위에 대한 세정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세정이 필요한 부분에 직접 근접시켜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체의 어느 곳이든 세정이 가능한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 또는 질 내부로 항균 실리콘 호스를 삽입하여 내부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도입된 세정수를 깨끗하게 정화한 후 사용함으로써 세정부위를 더욱 더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세정수를 도입하는 도입호스와; 상기 도입호스와 연결되어 세정수를 도입하는 입구와, 상기 입구로 유입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출구를 갖는 정수실 및, 상기 정수실로 유입된 세정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실에 수용되는 필터요소를 갖는 정수기와; 상기 정수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정수실의 출구와 연결되는 세정수의 토출구를 갖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토출구의 세정수를 분사하는 비데노즐과; 상기 헤드의 토출구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허용함과 아울러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콘트롤밸브와; 상기 정수실의 필터요소를 통과한 세정수를 2차적으로 정화하는 후처리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데노즐은, 상기 헤드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장내 또는 질내부로 삽입되어 세정수를 분사하는 항균 실리콘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의 토출구와 상기 비데노즐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비데노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중간비데노즐은, 갈매기형(Chevron) 노즐구멍을 구비하는 노즐본체와; 상기 갈매기형 노즐구멍으로부터 세정수가 간헐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간헐분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세정수를 도입하는 도입호스와; 상기 도입호스와 연결되어 세정수를 도입하는 입구와, 상기 입구로 유입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출구를 갖는 정수실 및, 상기 정수실로 유입된 세정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정 수실에 수용되는 필터요소를 갖는 정수기와; 상기 정수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정수기의 출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헤드에 설치되며,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비데노즐과; 상기 정수기의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상기 복수의 비데노즐 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와; 상기 정수실의 필터요소를 통과한 세정수를 2차적으로 정화하는 후처리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비데노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헤드에 설치되며, 트인 전방을 갖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즐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트인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사용자의 장내 또는 질내부로 삽입되어 세정수를 분사하는 항균 실리콘 호스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갈매기형 노즐구멍을 갖는 노즐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는, 세정수를 도입할 수 있는 도입호스(10)를 구비한다. 도입호스(10)는 휨변형이 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합성수지, 고무 등으로 구성되며, 수도관(도시하지 않음) 또는 샤워기의 연결호스에 연결되어 수돗물, 즉 세정수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는, 도입호스(10)와 연결되는 정수기(20)를 구비한다. 정수기(20)는 정수기하우징(22)을 가지며, 정수기하우징(22) 내부에는 정수실(24)이 형성되어 있다. 정수실(24)은 도입호스(10)와 연통되 는 입구(24a)와, 도입된 세정수를 배출시키는 출구(24b)를 가지며, 내부에는 필터요소(25)가 수용된다.
입구(24a)는 도입호스(10)와 연통됨으로써, 도입호스(10)를 따라 이송되는 세정수를 정수실(24)의 내부로 도입한다. 여기서, 입구(24a)에는 체크밸브(26)가 설치된다.
체크밸브(26)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입구(24a)에 설치되며 밸브구멍(27a)을 갖는 밸브바디(27)와, 입구(24a)로 세정수가 도입될 때에는 밸브구멍(27a)을 개방하고 정수실(24)로부터 도입호스(10)로 역류하는 세정수는 차단하도록 밸브바디(27)에 설치되는 가요성 밸브플랩(28)으로 구성된다. 특히, 가요성 밸브플랩(28)은 휘어짐이 자유로운 탄성 재질의 얇은 판상체로서, 밸브바디(27)의 바깥쪽면에 고정되며, 자체의 탄성에 의해 밸브구멍(27a)을 막고 있다.
한편, 밸브바디(27)의 트인 상부에는 차단망(29a)을 갖는 커버(29)가 설치된다. 차단망(29a)을 갖는 커버(29)는 정수실(24)의 필터요소(25)가 밸브바디(27)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출구(24b)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입구(24a)와 정수실(24)을 통과한 세정수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일측에는 후처리필터(30)가 설치된다. 후처리필터(30)는 정수실(24)의 필터요소(25)를 통과한 세정수를 2차적으로 정화한다.
필터요소(25)는 예를 들면, 은코팅된 "은나노 세라믹볼" 등으로 구성되며, 정수실(24)을 통과하는 세정수를 여과하여 고청정도를 갖는 깨끗한 세정수로 정화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필터요소(25)로서 "은나노 세라믹볼"을 사용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활성탄 등과 같이 세정수를 정화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비데 장치는, 정수기(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40)를 구비한다. 헤드(40)는 헤드몸체(42)를 가지며, 상기 헤드몸체(42)는 결합수단에 의해 정수기(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수단은 정수기(20)의 상면에 형성된 양쪽의 걸림돌기(44)와, 걸림돌기(44)가 끼워질 수 있도록 트인 입구를 가지며, 트인 입구에 끼워진 걸림돌기(44)가 회전됨에 따라 걸리도록 헤드몸체(42)에 형성되는 걸림홈(4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수단으로서, 암나사와 수나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헤드몸체(42)에는 전방으로 향하는 토출구(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토출구(46)에는 비데노즐(50)이 연결된다.
토출구(46)는 정수기(20)의 출구(24b)와 연결관(46a)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정수기(20)를 통과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연결관(46a)은 헤드(40)를 정수기(20)로부터 분리하면, 정수기(20)의 출구(24b)로부터 분리되고, 헤드(40)를 정수기(20)에 결합하면, 정수기(20)의 출구(24b)와 연결된다.
비데노즐(50)은 헤드몸체(42)의 토출구(46)와 연결되는 노즐본체(52)와, 노즐본체(52)에 설치되는 항균 실리콘 호스(54)로 구성된다.
노즐본체(52)는 캡(cap) 형상으로서, 관통구멍(52a)을 가지며, 헤드몸체(4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노즐본체(52)는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헤드몸체(42)의 앞부분에 결합되는데, 착탈수단은 헤드몸체(42)의 앞부분 둘레에 형성되 는 결합홈(55)과, 결합홈(55)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노즐본체(5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56)로 구성된다. 한편, 착탈수단으로서, 암나사와 수나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항균 실리콘 호스(54)는 노즐본체(52)의 관통구멍(52a)에 관통하여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휨변형이 가능하며, 내부에는 토출구(46)와 연통되는 유로(54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앞부분에는 노즐구멍(54c)을 갖는 노즐헤드(54b)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헤드(54b)는 원추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항균 실리콘 호스(54)의 후단부에는 고정부재(57)가 끼워지며, 고정부재(57)의 둘레에는 압착링(58)이 끼워진다.
이러한 항균 실리콘 호스(54)는, 노즐본체(52)의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장내 또는 질내로 삽입된다. 그리고 헤드(40)의 토출구(46)로부터 배출된 세정수를 장내 또는 질내로 분사하여 장내 또는 질내를 세정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비데 장치는, 헤드(40)의 토출구(46)와 비데노즐(50)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비데노즐(60)을 구비한다.
중간비데노즐(60)은 헤드몸체(42)의 트인 앞부분에 끼워지는 것으로, 갈매기형(Chevron) 노즐구멍(62)을 구비한다. 이러한 중간비데노즐(60)은 상기 비데노즐(50)을 헤드(40)로부터 분리하였을 경우, 토출구(46)의 세정수를 사용자의 배변부위 즉, 항문, 질에 분사하여 세정한다.
한편, 도 4에는 중간비데노즐(6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의 중간비데노즐(60)은, 갈매기형 노즐구멍(62)으로 분사되는 세정수가 간헐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간헐분사수단을 구비한다.
간헐분사수단은, 갈매기형 노즐구멍(62)을 차단하도록 중간비데노즐(6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체(64)와, 상기 밸브체(64)를 갈매기형 노즐구멍(62)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66)으로 구성된다.
밸브체(64)는 헤드(40)의 토출구(46)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운동하면서 갈매기형 노즐구멍(62)을 차단한다. 따라서 갈매기형 노즐구멍(62)으로 흐르는 세정수 흐름을 차단하여 세정수 분사를 차단한다. 여기서, 세정수의 압력이 가해지는 밸브체(64)의 후면은 후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이룬다.
스프링(66)은 세정수의 수압을 받는 밸브체(64)에 의해 압축되는 것으로, 설정된 압축력에 도달하면 순간적으로 이완되면서 상기 밸브체(64)를 노즐구멍(62)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따라서, 상기 노즐구멍(62)을 개방하며, 이에 따라 세정수가 갈매기형 노즐구멍(62)으로 분사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완된 스프링(66)은 세정수의 수압을 받는 밸브체(64)에 의해 다시 압축되며, 따라서 상기 밸브체(64)가 노즐구멍(62)을 다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간헐분사수단은, 세정수를 간헐적으로 분사함으로써, 배변부의 세정효과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배변부에 마사지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비데 장치는, 헤드(40)의 토출구(46)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허용하며,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콘트롤밸브(70)를 구비한다.
콘트롤밸브(70)는 정수기(20)의 정수실(24)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입수구 (72a)와 출수구(72b)를 갖는 밸브하우징(72)과, 밸브하우징(72)의 내경부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위치에 따라 출수구(72b)를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출수구(72b)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세정수 수압을 조절하는 포핏(74)과, 포핏(74)을 조작할 수 있도록 포핏(7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정수기하우징(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76)로 구성된다. 여기서, 밸브하우징(72)의 입수구(72a)는 후처리필터(30)와 연결되며, 출수구(72b)는 정수실(24)의 출구(24b)와 연결된다.
이러한 콘트롤밸브(70)는, 사용자가 조작노브(76)를 조작하여 출수구(72b)를 차단하거나 개방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정수기(20)의 세정수가 헤드(4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공급을 허용하되, 그 수압을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콘트롤밸브(70)는 상기 포핏(74)을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위치고정수단은, 포핏(74)에 탄성적으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걸림편(80)과, 상기 걸림편(80)이 걸릴 수 있도록 밸브하우징(72)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82)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걸림홈(8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포핏(74)이 출수구(72b)를 차단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핏(74)이 출수구(72b)를 차단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된다.
한편, 도 6과 도 7에는 콘트롤밸브(7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의 콘트롤밸브(70)는 정수기(20)의 정수실(24)에 설치되는 상기 일실시예와는 달리, 정수기(20)와 도입호스(10)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변형예의 콘트롤밸브(70)는 상기한 일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밸브하우징(72)의 입 수구(72a)는 도입호스(10)와 연통되고, 출수구(72b)는 정수기(20)의 입구(24a)와 연통되는 것이 다르며, 밸브하우징(72)이 별도의 케이스(70a)에 내장되는 것이 다르다. 별도의 케이스(70a)의 상,하부는 각각 정수기(20)와 도입호스(10)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변형예의 콘트롤밸브(70)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노브(76)로써, 상기 포핏(74)을 위치를 조절하면, 도입호스(10)의 세정수의 세정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거나 또는 허용하며, 따라서 헤드(40)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또는 허용한다. 그리고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을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입호스(10)를 수도관에 연결한 다음, 수도관을 개방한다. 그러면, 수도관의 물은 도입호스(10)로 도입되고, 도입된 물은 정수기하우징(22)의 정수실(24)로 유입되며, 유입된 물은 정수실(24)의 필터요소, 즉 "은나노 세라믹볼"을 거치면서 깨끗하게 정화된다.
한편, 정화된 세정수는 후처리필터(30)로 도입되면서 2차적으로 정화되며, 정화된 세정수는 콘트롤밸브(70)로 유입된다. 이때, 콘트롤밸브(70)가 후처리필터(30)와 정수실(24)의 출구(24b)를 연통시키면, 후처리필터(30)의 세정수는 정수실(24)의 출구(24b)와 연결관(46a)을 통해 헤드(40)의 토출구(46)로 이송되고, 헤드(40)의 토출구(46)로 이송된 세정수는 비데노즐(50)을 통해 분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사된 세정수로 장내 또는 질내를 세정한다.
다음으로, 도 8과 도 9에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 내는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비데 장치는, 헤드(90)를 구비하되, 상기 헤드(90)에는 2개의 비데노즐(100, 110)이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2개의 비데노즐(100, 110) 중, 어느 하나는 제 1비데노즐(100)로, 다른 하나는 제 2비데노즐(110)로 칭하기로 한다.
제 1비데노즐(100)은 갈매기형 노즐구멍(102)을 갖는 노즐본체로서, 제 1연결관(104)을 통해 정수기(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 1비데노즐(100)은 정수기(20)로부터 이송된 세정수를 사용자의 배변부위 즉, 항문, 질에 분사하여 세정한다.
제 2비데노즐(110)은 노즐본체(112)와, 노즐본체(112)의 내부에 끼워지는 항균 실리콘 호스(114)로 구성된다.
노즐본체(112)는 길이가 긴 관체로서, 헤드몸체(92)의 후면과 상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대략 "ㄱ"자형태로 절곡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노즐본체(112)는 내경부(112a)를 가지며, 이 내경부(112a)는 제 2연결관(115)을 통해 정수기(20)와 연결된다. 따라서 노즐본체(112)내로 정수기(20)의 세정수를 도입한다.
항균 실리콘 호스(114)는, 사용자의 장내 또는 질내로 삽입되는 것으로, 휨변형이 가능하며, 내부에는 유로(114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앞부분에는 노즐구멍(114b)을 갖는 노즐헤드(114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항균 실리콘 호스(114)는 노즐본체(112)의 내경부(112a)에 운동가능하게 끼워져 배치된다. 그리고 항균 실리콘 호스(114)는 내경부(112a)로 도입된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내경부(112a)의 트인 전방을 향해 전진하면서 노즐본체(112)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장내 또는 질내로 진입하여 세정수 를 분사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질내로 진입한 상태에서 질내부를 세정한다.
한편, 제 1비데노즐(100)과 제 2비데노즐(110)에는 캡(118)이 씌워진다. 따라서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오염을 방지한다.
다시,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비데 장치는, 정수기(20)의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또는 제 1 및 제 2비데노즐(100, 110) 중 어느 한쪽에 공급하는 콘트롤밸브(120)를 구비한다.
콘트롤밸브(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9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하우징(122)을 구비한다. 밸브하우징(122)은 입수구(122a)와 제 1출수구(122b)와 제 2출수구(122c)를 구비한다. 입수구(122a)는 후처리필터(30)와 연결되고, 제 1출수구(122b)는 제 1연결관(104)과 연결되며, 제 2출수구(122c)는 제 2연결관(115)과 연결된다.
그리고 콘트롤밸브(120)는 밸브하우징(122)의 내경부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풀(130)을 구비한다. 스풀(130)은 내부 유로(132)를 갖는 것으로, 중앙의 중립위치(N)에서 일측의 제 1절환위치(Q) 및, 중립위치(N)에서 타측의 제 2절환위치(R)로 절환운동가능하다.
이러한 스풀(130)은, 중립위치(N)에서 밸브하우징(122)의 입수구(122a)를 차단하고, 제 1절환위치(Q)에서 밸브하우징(122)의 입수구(122a)와 제 1출수구(122b)를 연통시키며, 제 2절환위치(R)에서 밸브하우징(122)의 입수구(122a)와 제 2출수구(122c)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중립위치(N)에서는 정수기(20)의 세정수를 차단하고, 제 1절환위치(Q)에서는 정수기(20)의 세정수를 헤드(90)의 제 1비데노즐(100) 로 도입시키고, 제 2절환위치(R)에서는 정수기(20)의 세정수를 헤드(90)의 제 2비데노즐(110)로 도입시킨다.
그리고 콘트롤밸브(120)는 사용자가 스풀(130)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스풀(130)로부터 연장되어 정수기(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138)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작노브(140)는 사용자가 스풀(130)을 조작하여 중립위치(N)에서 제 1절환위치(Q)로, 중립위치(N)에서 제 2절환위치(R)로 절환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콘트롤밸브(120)는 상기 스풀(130)을 중립위치(N)와 제 1절환위치(Q)와 제 2절환위치(R)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위치고정수단은, 스풀(130)에 탄성적으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걸림편(140)과, 상기 걸림편(140)이 걸릴 수 있도록 밸브하우징(122)에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3걸림홈(142, 144, 14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걸림홈(142)과 제 2걸림홈(144)과 제 3걸림홈(146)의 간격은 제 1절환위치(Q)와 중립위치(N)와 제 2절환위치(R)의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콘트롤밸브(120)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노브(138)를 조작하여 스풀(1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정수기(20)의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또는 헤드(90)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비데노즐(100, 11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비데 장치는, 정수기(20)로 공급되는 도입호스(10)의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허용하며,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보조 콘트롤밸브(150)를 더 구비한다.
보조 콘트롤밸브(150)는 정수기(20)와 도입호스(1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입수구(150a)와 출수구(150b)를 갖는 밸브하우징(152)과, 밸브하우징(152)의 내경부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위치에 따라 출수구(152b)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출수구(152b)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세정수 수압을 조절하는 포핏(154)과, 포핏(154)을 조작할 수 있도록 포핏(15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정수기하우징(15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156)로 구성된다. 여기서, 밸브하우징(152)의 입수구(152a)는 도입호스(10)와 연통되고, 출수구(152b)는 정수기(20)의 입구(24a)와 연통되며, 밸브하우징(152)은 별도의 케이스(150a)에 내장된다. 별도의 케이스(150a)의 상,하부는 각각 정수기(20)와 도입호스(10)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보조 콘트롤밸브(150)는, 사용자가 조작노브(156)를 조작하여 출수구(152b)를 차단하거나 개방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정수기(20)의 세정수가 헤드(4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공급을 허용하되, 그 수압을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보조 콘트롤밸브(150)는 상기 포핏(154)을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위치고정수단은, 포핏(154)에 탄성적으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걸림편(160)과, 상기 걸림편(160)이 걸릴 수 있도록 밸브하우징(152)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162)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걸림홈(16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포핏(154)이 출수구(152b)를 차단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핏(154)이 출수구(152b)를 차단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비데 장치는, 상술한 설명 이외의 구조 및 작용은, 상기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10에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의 비데 장치는, 도입호스(10)의 말단에 펌프(200)가 더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펌프(200)는 유체펌프로써, 세정수 공급원, 예를 들면 수도관이 없을 경우, 별도의 용기(210)에 담겨져 있는 세정수를 펌핑하여 정수기(20)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러한 변형예의 비데 장치는, 별도의 용기(210)에 담겨져 있는 세정수를 펌핑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도관이 없는 곳에서도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로써, 도입호스(10)의 말단에 삼방향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수도관과 항상 연결한 상태에서도 세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입호스(10)의 말단과 수도관을 삼방향 밸브로 연결한 후, 삼방향 밸브를 조절하여 수도관의 물을 장치 내로 도입할 수도 있으며, 삼방향 밸브를 조절하여 수도관의 물을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세정이 필요한 부분에 직접 근접시켜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체의 어느 곳이든 비데 세정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장내 또는 질 내부로 항균 실리콘 호스를 삽입하여 세정함으로써 장내 또는 질 내부를 보다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세정수를 깨끗하게 정화한 후 사용함으로써, 세정부위를 더욱 더 깨끗하게 세정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깨끗하게 정화된 세정수로 장내 또는 질내부를 세정하므로, 체내에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2)

  1. 세정수를 도입하는 도입호스와;
    상기 도입호스와 연결되어 세정수를 도입하는 입구와, 상기 입구로 유입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출구를 갖는 정수실 및, 상기 정수실로 유입된 세정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실에 수용되는 필터요소를 갖는 정수기와;
    상기 정수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정수실의 출구와 연결되는 세정수의 토출구를 갖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토출구의 세정수를 분사하는 비데노즐과;
    상기 헤드의 토출구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허용함과 아울러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콘트롤밸브와;
    상기 정수실의 필터요소를 통과한 세정수를 2차적으로 정화하는 후처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노즐은,
    상기 헤드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장내 또는 질내부로 삽입되어 세정수를 분사하는 항균 실리콘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토출구와 상기 비데노즐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비데노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중간비데노즐은,
    갈매기형(Chevron) 노즐구멍을 구비하는 노즐본체와;
    상기 갈매기형 노즐구멍으로부터 세정수가 간헐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간헐분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분사수단은,
    상기 헤드의 토출구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운동하면서 상기 갈매기형 노즐구멍을 차단하도록 상기 노즐본체에 설치되는 밸브체와;
    상기 세정수의 수압을 받는 상기 밸브체에 의해 압축되며, 설정된 압축력에 도달하면 이완되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노즐구멍으로부터 간헐적으로 이격시키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로부터 상기 도입호스로 역류하는 세정수를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더 구비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정수기의 입구와 연통되는 밸브구멍을 갖는 밸브바디와, 상기 입구로 세정수가 도입될 때에는 상기 밸브구멍을 개방하고 상기 정수실로부터 상기 도입호스로 역류하는 세정수는 차단하도록 상기 밸브바디에 설치되는 가요성 밸브플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밸브는,
    상기 후처리필터와 연결되는 입수구와, 상기 정수실의 출구와 연결되는 출수구를 갖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경부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위치에 따라 상기 출수구를 차단거나 상기 출수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세정수 수압을 조절하는 포핏과;
    상기 포핏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포핏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정수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밸브는,
    상기 도입호스와 연결되는 입수구와, 상기 정수실의 입구와 연결되는 출수구 를 갖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경부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위치에 따라 상기 출수구를 차단거나 상기 출수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세정수 수압을 조절하는 포핏과;
    상기 포핏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포핏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호스의 말단에 설치되는 펌프를 더 구비하며, 상기 펌프는 용기에 담겨져 있는 세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정수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9. 세정수를 도입하는 도입호스와;
    상기 도입호스와 연결되어 세정수를 도입하는 입구와, 상기 입구로 유입된 세정수를 배출하는 출구를 갖는 정수실 및, 상기 정수실로 유입된 세정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실에 수용되는 필터요소를 갖는 정수기와;
    상기 정수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정수기의 출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헤드에 설치되며,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비데노즐과;
    상기 정수기의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상기 복수의 비데노즐 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와;
    상기 정수실의 필터요소를 통과한 세정수를 2차적으로 정화하는 후처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데노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헤드에 설치되며, 트인 전방을 갖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즐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트인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사용자의 장내 또는 질내부로 삽입되어 세정수를 분사하는 항균 실리콘 호스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갈매기형 노즐구멍을 갖는 노즐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밸브는,
    상기 후처리필터와 연결되는 입수구와, 상기 비데노즐 각각에 연결되는 제 1출수구와 제 2출수구를 갖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경부에 중립위치에서 제 1절환위치 및 중립위치에서 제 2절환위치로 절환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중립위치에서 상기 입수구를 차단하고, 상기 제 1절환위치에서 상기 입수구와 제 1출수구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 2절 환위치에서 상기 입수구와 제 2출수구를 연통시키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스풀로부터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로 공급되는 상기 도입호스의 세정수를 차단하거나 허용함과 아울러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보조 콘트롤밸브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 콘트롤밸브는,
    상기 도입호스와 연결되는 입수구와, 상기 정수실의 입구와 연결되는 출수구를 갖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경부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위치에 따라 상기 출수구를 차단거나 상기 출수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세정수 수압을 조절하는 포핏과;
    상기 포핏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포핏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KR2020050033868U 2005-11-29 2005-11-30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KR200408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868U KR200408409Y1 (ko) 2005-11-29 2005-11-30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PCT/KR2006/005028 WO2007064120A1 (en) 2005-11-30 2006-11-27 Bidet having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704 2005-11-29
KR2020050033868U KR200408409Y1 (ko) 2005-11-29 2005-11-30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607A Division KR100758687B1 (ko) 2005-11-29 2006-11-22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409Y1 true KR200408409Y1 (ko) 2006-02-08

Family

ID=4175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868U KR200408409Y1 (ko) 2005-11-29 2005-11-30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4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88B1 (ko) 2006-11-22 2007-09-13 오영국 호스 연결형 비데 장치
KR100834912B1 (ko) 2006-12-26 2008-06-03 김태은 휴대용 비데
KR100834911B1 (ko) 2006-12-26 2008-06-03 김태은 수도전 연결용 비데
KR102628608B1 (ko) * 2023-08-14 2024-01-23 박정현 핸드 비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88B1 (ko) 2006-11-22 2007-09-13 오영국 호스 연결형 비데 장치
KR100834912B1 (ko) 2006-12-26 2008-06-03 김태은 휴대용 비데
KR100834911B1 (ko) 2006-12-26 2008-06-03 김태은 수도전 연결용 비데
KR102628608B1 (ko) * 2023-08-14 2024-01-23 박정현 핸드 비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350Y1 (ko) 진동장치를 구비한 비데 미용기구
KR100705555B1 (ko) 비데 장치
KR200408409Y1 (ko)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WO2007064120A1 (en) Bidet having water purifier
KR101421477B1 (ko) 대장 세척용 의료기
CN111417419B (zh) 便秘预防、宿便去除及舒便引导用医疗设备
KR100705556B1 (ko) 다용도 샤워기
KR100758687B1 (ko)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KR200412454Y1 (ko)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KR100758688B1 (ko) 호스 연결형 비데 장치
WO2005097346A1 (en) Improved showerhead and valve assembly for receiving a rinsing system
KR20070059958A (ko)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KR100846470B1 (ko) 진동장치를 구비한 비데 미용기구
KR100705554B1 (ko) 정수 토출형 비데기
KR100734066B1 (ko) 좌변기용 비데기
KR100705602B1 (ko) 정수 토출형 비데기
KR200473265Y1 (ko) 비데 기능을 갖는 관장기
KR100680806B1 (ko) 좌욕기
KR200348618Y1 (ko) 구강세정장치
WO2010140977A1 (en) Vagina cleaning device
CN217056440U (zh) 龙头软水机和用于龙头软水机的控制阀
KR100734064B1 (ko) 좌변기용 비데기
KR20220001068A (ko) 구강세정 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KR100705601B1 (ko) 정수 토출형 비데기
KR100734065B1 (ko) 좌변기용 비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