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845Y1 - 비데기 - Google Patents

비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845Y1
KR200349845Y1 KR20-2004-0005039U KR20040005039U KR200349845Y1 KR 200349845 Y1 KR200349845 Y1 KR 200349845Y1 KR 20040005039 U KR20040005039 U KR 20040005039U KR 200349845 Y1 KR200349845 Y1 KR 200349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bidet
washing
toilet
spra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필
이창국
송성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to KR20-2004-0005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8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72Special adaptation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개의 유체제어밸브를 이용하여 각각 독립된 세정수유로와 세척수유로를 갖도록 구성되는 비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비데기는, 인체 국부의 세척을 위해 유체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수단(300)과; 변기 내부의 오물 부착방지 및 부착된 오물이 제거되도록 유체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400)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노즐(420)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세척수분사노즐(420)로 안내하는 세척수유로(440)와, 상기 세척수유로(440)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세척수제어밸브(V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의 하중을 인식하여 상기 세척수제어밸브(V2)의 개폐를 유도하는 감지기(4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세척수유로(440)의 일측에는 미온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기(48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용변 전 변기 내부에 미리 세척수가 분사되어 변기 내부의 오물 부착이 예방되며, 불필요한 물과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데기{Apparatus of Bidet}
본 고안은 비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유체제어밸브를 이용하여 각각 독립된 세정수유로와 세척수유로를 갖도록 구성되는 비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화장실 문화는 용변 후 그 처리과정을 대부분 화장지에 의한 해결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용변이 배설되는 사람의 항문 주위에는 천여개 이상의 잔주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장지를 이용하여 아무리 깨끗하게 뒷처리를 한다 하더라도 잔주름 사이에 잔류하는 오물을 완전하게 제거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이와 같은 불완전한 뒷처리로 인해 사람들 사이에는 치질과 같은 항문질환, 질염과 같은 여성질환, 전립선과 같은 남성질환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용변 후 뒷처리 과정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세정수를 분출되게 하여 항문을 세정토록 하고, 세정된 항문 주위는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도록 한 비데기가 널리 개발되어 각 가정에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에는 종래 비데기가 변기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변기세척용수가 저수되는 저수조(12)의 상부에는 저수조커버(14)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조(12)의 전방에는 변기(1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변기(10)의 상부에는 배변시 착석이 가능하면서 그 후단이 비데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앙개구형태의 좌대(22)가 설치되고, 상기 좌대(22)의 상부에는 좌대(22) 전체를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24)가 그 후단이 상기 비데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좌대(22)의 하부에는 신체의 세정을 위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분사노즐(28)이 설치되는데, 상기 세정수분사노즐(28)은 대기위치(초기위치)와 작동위치(세정위치 또는 비데기능위치)의 사이에서 출몰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세정수분사노즐(28)의 단부에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분사구(28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데본체(20)에는 건조기능이 고려되는 경우 상기 세정수분사노즐(28)에 일체로 송풍노즐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거나 상기 세정수분사노즐(28)과 독립적으로 송풍노즐(도시되지 않음)도 갖추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세정수분사노즐(28)에 의한 비데기능과 세정기능의 실행 및 그 실행조건(예컨대 수온/수압 및 건조기능이 설계된 경우의 송풍온도와 송풍세기를 포함)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패널(26)이 상기 비데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패널(26)의 하측에는 상기 세정수분사노즐(28)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된 물저장부(27)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패널(26)에는 상기 세정수분사노즐(28)에 의해 여성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비데기능을 선택하는 비데버튼(26a)과, 상기 세정수분사노즐(28)에 의한 항문 세정을 선택하는 세정버튼(26b)이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분사노즐(28)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수온조정버튼(26c) 및 세정수의 수압을 조정하기 위한 수압조정버튼(26d)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비데본체(20)에 건조기능이 설계된 경우 송풍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송풍온도조정버튼(도시되지 않음) 및 그 송풍세기를 조정하기 위한 송풍세기조정버튼(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데기의 작동 상태를 살펴본다.
상기 좌대(22) 위에, 예컨대 여성이 착석하여 용변을 하고나서 상기 조작패널(26)에 구비된 비데버튼(26a)을 조작하면 비데기능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하에 상기 세정수분사노즐(28)이 대기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데위치로 인출되어 상기 세정수분사구(28a)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되는데, 이는 상기 수온조정버튼(26c) 및/또는 상기 수압조정버튼(26d)에 의해 설정된 비데기능 실행조건에 따라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분사노즐(28)은 주어진 세정수분사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비데기능제어부의 제어하에 원래의 대기위치로 복귀하여 대기하게 되며, 건조기능이 상정된 경우에는 상기 송풍온도조정버튼 및/또는 송풍세기조정버튼에 의해 설정된 건조실행조건에 따라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어, 여성의 청결 유지가 보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좌대(22) 위에 착석하여 배변을 하고나서 세정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조작패널(26)에 구비된 세정버튼(26b)을 조작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어 항문의 청결 유지도 보장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변기(10)에 설치되는 비데기는 세정수유로만을 이용하여 세정수(국부 세척용)만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청결만을 지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용변이나 배변을 하고나서 변기 내에 오물이 묻게 되면,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변기(10) 내에 묻어 있는 오물을 처리하기 위해 변기(10)의 물내림을 반복하게 되어 불필요한 물과 개별적인 청소로 불필요한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2개의 유체제어밸브를 이용하여 각각 독립된 세정수유로와 세척수유로를 갖도록 구성되는 비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비데기가 변기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비데기를 변기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비데기의 부분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데기의 세척수가 분사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인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변기 120. ..... 저수조
140. ..... 저수조커버 200. ..... 비데본체
220. ..... 좌대 240. ..... 조작패널
242. ..... 비데버튼 244. ..... 세정버튼
246. ..... 수온조정버튼 248. ..... 수압조정버튼
300. ..... 세정수 공급수단 320. ..... 세정수분사노즐 322. ..... 세정수분사구 340. ..... 세정수유로
360,480. ..... 온수공급기 400. ..... 세척수 공급수단
420. ..... 세척수분사노즐 440. ..... 세척수유로
460. ..... 감지기 V1. ..... 세정수제어밸브
V2. ..... 세척수제어밸브 V. ..... 유체제어밸브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비데기는, 인체 국부의 세척을 위해 유체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수단과; 변기 내부의 오물 부착방지 및 부착된 오물이 제거되도록 유체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수 공급수단은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분사노즐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세정수분사노즐로 안내하는 세정수유로와, 상기 세정수유로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세정수제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노즐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세척수분사노즐로 안내하는 세척수유로와, 상기 세척수유로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세척수제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에는 사용자의 하중을 인식하여, 상기 세척수제어밸브의 개폐를 유도하는 감지기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유로의 일측에는 미온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정수 공급수단과 세척수 공급수단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하나의 유체제어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세정수유로와 세척수유로로 공급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비데기에 의하면, 용변 전 변기 내부에 미리 세척수가 분사되어 변기 내부의 오물 부착이 예방되며, 불필요한 물과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비데기를 변기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비데기의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데기의 세척수가 분사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변기세척용수가 저수되는 저수조(120)의 상부에는 저수조커버(140)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조(120)의 전방에는 변기(10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변기(100)의 상부에는 배변시 착석이 가능하면서 그 후단이 비데본체(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앙개구형태의 좌대(220)가 설치되고, 상기 좌대(220)의 상부에는 좌대(220) 전체를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그 후단이 상기 비데본체(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좌대(220)의 하부에는 신체의 세정을 위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분사노즐(3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세정수분사노즐(320)은 대기위치(초기위치)와 작동위치(세정위치 또는 비데기능위치)의 사이에서 출몰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세정수분사노즐(320)의 단부에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분사구(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데본체(200)에는 건조기능이 고려되는 경우 상기 세정수분사노즐(320)에 일체로 송풍노즐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거나 상기 세정수분사노즐(320)과 독립적으로 송풍노즐(도시되지 않음)도 갖추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세정수분사노즐(3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용변 또는 배변 후 변기(100) 내에 오물이 묻지 않게 변기(100) 내부를 미리 적셔주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노즐(420)이 설치되고, 상기 좌대(220)의 후방에는 사용자가 좌대(220)에 착석했을 때 사용자의 하중으로 사용자를 인식하는 감지기(46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감지기(460)는 리미트스위치(Limit Switch)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정수분사노즐(320)에 의한 비데기능과 세정기능의 실행 및 그 실행조건(예컨대 수온/수압 및 건조기능이 설계된 경우의 송풍온도와 송풍세기를 포함)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패널(240)이 상기 비데본체(2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조작패널(240)에는 상기 세정수분사노즐(320)에 의해 여성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비데기능을 선택하는 비데버튼(242)과, 상기 세정수분사노즐(320)에 의한 항문 세정을 선택하는 세정버튼(244)이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분사노즐(320)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수온조정버튼(246) 및 세정수의 수압을 조정하기 위한 수압조정버튼(24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비데본체(200)에 건조기능이 설계된 경우 송풍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송풍온도조정버튼(도시되지 않음) 및 그 송풍세기를 조정하기 위한 송풍세기조정버튼(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도 3 에는 본 고안에 의한 2개의 유체제어밸브로 구성된 비데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수도관(도시되지 않음)에서 유입되는 수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는 유체제어밸브(V)가 상기 비데본체(2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유체제어밸브(V)는 2개로 구성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유로(340)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유로(440)가 상,하(전방에서 봤을 때)로연결 설치되어 각각 제어를 하게 된다.
상기 세척수유로(440)를 제어하는 세척수제어밸브(V2)는 상기 감지기(460)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유로(340)와 세척수유로(440)는 각각 독립된 유로를 갖도록 각각 소정의 튜브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수유로(340)와 세척수유로(440)의 일측에는 미온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공급기(360,480)가 구비되는데, 상기 온수공급기(360,480)는 순간온수유닛(Unit)으로 함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데기의 작동 상태를 살펴본다.
상기 좌대(220) 위에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대(220)가 사용자의 하중을 인식(500)하게 되어 상기 감지기(460)가 온(ON,600)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작패널(240) 내부 일측에 구비된 마이콤(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세척수유로(440)와 연결되는 세척수제어밸브(V2)에 신호를 주게 되어, 세척수유로(440)의 세척수제어밸브(V2)가 온(ON,700)됨으로써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유로(440)를 따라 공급되어 세척수분사노즐(420)에서 분사된다(800).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용변 전에 미리 세척수가 상기 변기(100) 내부에 공급되어 오물 부착을 최소화하고, 다음 사용자의 불쾌감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대(220)에 앉은 사용자(예컨대, 여성)가 용변을 하고나서 상기 조작패널(240)에 구비된 비데버튼(242)을 조작하면 비데기능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하에 상기 세정수분사노즐(320)이 대기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데위치로 인출되어 상기 세정수분사구(322)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되는데, 이는 상기 수온조정버튼(246) 및/또는 상기 수압조정버튼(248)에 의해 설정된 비데기능 실행조건에 따라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상기 세정수분사노즐(320)은 주어진 세정수분사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비데기능제어부의 제어하에 원래의 대기위치로 복귀하여 대기하게 되며, 건조기능이 상정된 경우에는 상기 송풍온도조정버튼 및/또는 송풍세기조정버튼에 의해 설정된 건조실행조건에 따라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어, 여성의 청결 유지가 보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좌대(220) 위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배변을 할 때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좌대(220)가 사용자를 인식하게 되어 세척수가 미리 분사되고, 사용자가 배변을 하고나서 세정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조작패널(240)에 구비된 세정버튼(244)을 조작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세정수 분사과정을 거치게 되어 항문의 청결 유지가 보장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비데기에서는, 2개의 유체제어밸브를 이용하여 각각 독립된 세정수유로와 세척수유로를 갖도록 구성하여, 각 유로에 형성된 세정수분사노즐과 세척수분사노즐로 세정수 및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용변이나 배변을 보기 위해 좌대에 앉음과 동시에 사용자를 인식하여 감지기가 작동되어 세척수유로를 제어하는 세척수제어밸브가 열리면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용변이나 배변을 하고나서 세정기능 또는 비데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 후에도 변기 내부에 오물이 묻지 않게 변기 내부를 미리 적셔주어 오물 부착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쾌적하고 청결한 화장실 문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용변이나 배변 후 한번의 물내림으로 변기에 묻은 오물이 쉽게 세척이 됨으로써 불필요한 물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사용 후에 사용자가 변기 내부에 오물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이나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그리고, 세정수유로에 온수공급기을 접목함으로써 기존의 제한적이었던 온수 제공시간에 제약받지 않고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종전의 비데기에 설치되는 물저장부를 제거하여 물저장부 금형비용 등의 추가비용을 줄여 저가의 비데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결국, 용변이나 배변 후 변기 내부에 오물이 묻지 않아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게 되고, 저가의 비데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인지도가 향상되어 그 파급효과로 소비자의 제품구매욕이 상승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6)

  1. 인체 국부의 세척을 위해 유체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수단과;
    변기 내부의 오물 부착방지 및 부착된 오물이 제거되도록 유체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수단은,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분사노즐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세정수분사노즐로 안내하는 세정수유로와,
    상기 세정수유로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세정수제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노즐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세척수분사노즐로 안내하는 세척수유로와,
    상기 세척수유로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세척수제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에는,
    사용자의 하중을 인식하여, 상기 세척수제어밸브의 개폐를 유도하는 감지기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유로의 일측에는,
    미온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수단과 세척수 공급수단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하나의 유체제어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세정수유로와 세척수유로로 공급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KR20-2004-0005039U 2004-02-26 2004-02-26 비데기 KR200349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039U KR200349845Y1 (ko) 2004-02-26 2004-02-26 비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039U KR200349845Y1 (ko) 2004-02-26 2004-02-26 비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845Y1 true KR200349845Y1 (ko) 2004-05-10

Family

ID=4942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039U KR200349845Y1 (ko) 2004-02-26 2004-02-26 비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8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234A (en) Bidet assembly
JP2021526604A (ja) ビデシャワーを備えるトイレ
JPH1119003A (ja) 局部洗浄装置と手洗器
KR20100125847A (ko) 좌변기용 비데
KR200349845Y1 (ko) 비데기
JP2550805Y2 (ja) 温水洗浄装置
JP3709763B2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KR20090098184A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비데시트
KR200316313Y1 (ko) 비데용 노즐구조
KR200211463Y1 (ko) 비데
KR101460445B1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대 겸용 소변기
JP2001061705A (ja) 局部温水洗浄器付簡易便器
KR200436828Y1 (ko) 비데용 세정수의 배압차단장치
JP2015086632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WO2023068451A1 (ko) 양변기 물내림시 비말 튐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
CN215367622U (zh) 一种智能马桶用的喷管结构
JP2553667B2 (ja) 衛生洗浄装置
JP5120825B2 (ja) 便器と洗浄便座装置
US20230349140A1 (en) Toilet bowl bidet capable of preventing droplets from splashing when toilet is flushed
KR200397787Y1 (ko) 좌변기용 비데
KR200430012Y1 (ko) 소변기의 향 분사장치
KR200211443Y1 (ko) 비데
KR100893676B1 (ko) 남성용 비데를 갖춘 소변기
CN207794237U (zh) 一种移动马桶结构
JP2629850B2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