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202B1 -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 Google Patents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202B1
KR100705202B1 KR1020067027128A KR20067027128A KR100705202B1 KR 100705202 B1 KR100705202 B1 KR 100705202B1 KR 1020067027128 A KR1020067027128 A KR 1020067027128A KR 20067027128 A KR20067027128 A KR 20067027128A KR 100705202 B1 KR100705202 B1 KR 100705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am
toilet
water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211A (ko
Inventor
카츠노리 토미타
켄이치 이토
코지 미와
신고 모리카와
야스히로 시라이
마사타카 미즈타니
쇼이치 나카무라
히데야 코이케
히데후미 토요시
아츠시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Priority to KR102006702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202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03D3/04Self-closing flushing valves with piston valve and pressure chamber for retarding the valve-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using flushing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작동 응답성의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는 개폐 밸브를 제공한다. 하우징에 입수 포트 및 출수 포트를 갖는다. 또한, 샤프트의 외부 조작에 의해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 피스톤과, 피스톤이 출수 포트 내의 세정수로부터 다른쪽 측에 받는 압력을 상쇄하는 압력 상쇄 수단을 갖는다. 피스톤은, 축방향의 한쪽측으로 활주함으로써 하우징의 좌면에 착좌하여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와의 연통을 폐쇄하고, 축방향의 다른쪽 측으로 활주함으로써 좌면으로부터 이좌하여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압력 상쇄 수단은, 피스톤의 다른쪽 측에 형성된 압력 상쇄실과, 피스톤의 한쪽측과 압력 상쇄실을 연통하는 통로로 이루어진다.
수세식 변기

Description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TANK-LESS WESTERN WATER CLOSET}
도 1은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개폐 밸브의 폐쇄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개폐 밸브의 개방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적용 형태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림용 개폐 밸브를 이용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적용 형태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림용 개폐 밸브를 이용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적용 형태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적용 형태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평면도.
도 7은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적용 형태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배면도.
도 8은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적용 형태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9는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의 적용 가능한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10은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12는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평면도.
도 13은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배면도.
도 14는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개폐 밸브의 폐쇄 상태의 단면도.
도 15는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개폐 밸브의 개방 상태의 단면도.
도 16은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측면도.
도 17은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해 제트용 개폐 밸브, 림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정면도.
도 18은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측면도.
도 19는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림 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정면도.
도 20은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3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측면도.
도 21은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3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림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정면도.
도 22는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4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림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23은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5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림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24는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6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림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정면도.
도 25는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6에 관하여 캠 장치의 측면도.
도 26은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27은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28은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평면도.
도 29는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배면도.
도 30은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A)는 개폐 밸브의 폐쇄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B)는 개폐 밸브의 개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1은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장치의 측면도.
도 32는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림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장치의 정면도.
도 33은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장치의 측면도.
도 34는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림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장치의 정면도.
도 35는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3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장치의 측면도.
도 36은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3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림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장치의 정면도.
도 37은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4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림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8은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5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림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9는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6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림용 개폐 밸브 및 캠 장치를 이용한 변기 세정 장치의 정면도.
도 40은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6에 관하여 캠 장치의 측면도.
도 41은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42는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43은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평면도.
도 44는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배면도.
도 45는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A)는 폐쇄 상태의 개폐 밸브의 단면도, (B)는 개방 상태의 개폐 밸브의 단면도, (C)는 유동 모드에 있어서의 개폐 밸브의 단면도.
도 46은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변기 세정 장치의 측면도.
도 47은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변기 세정 장치의 정면 도.
도 48은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출수 포트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0%인 상태를 도시한 단계 지수전의 단면도.
*도 49는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도 48의 상태의 단계 지수전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의 단면도.
도 50은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조작 손잡이의 단면도.
도 51은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단계 지수전의 주요부 단면도.
도 52는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단계 지수전의 주요부 단면도.
도 53은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출수 포트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100%인 상태를 도시한 단계 지수전의 단면도.
도 54는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도 53의 상태의 단계 지수전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의 단면도.
도 55는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유동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계 지수전의 단면도.
도 56은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도 55의 상태의 단계 지수전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의 단면도.
도 57은 제 4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사시도.
도 58은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것으로, 유로 전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9는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초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도 58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58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60은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최초의 림 통수로에의 급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도 58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58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61은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트 구멍(5)에의 급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도 58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58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62는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사이펀 종료 후의 림 통수로에의 급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도 58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58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63은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것으로, 유로 전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64는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초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도 58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58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65는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최초의 림 통수로에의 급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도 58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58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66은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제트 구멍(5)에의 급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도 58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58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67은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사이펀 종료 후의 림 통수로에의 급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도 58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58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68은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4에 관한 초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도 58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58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69는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4에 관한 유동 모드를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도 58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58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70은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4에 관한 림 통수로에의 급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도 58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58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71은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5에 관한 것으로, 유로 전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72는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6에 관한 것으로, 유로 전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73은 제 5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6에 관한 것으로, 도 (A)는 도 72의 I-I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B)는 도 72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74는 제 6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75는 제 6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평면도.
도 76은 제 6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배면도.
도 77은 제 6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 78의 Ⅲ-Ⅲ선 단면도.
도 78은 제 6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관한 밸브 수단의 단면도.
도 79는 제 6 발명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밸브 수단의 단면도.
도 80은 제 7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모식 측면도.
도 81은 제 7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장치의 모식 배면도.
도 82는 제 7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개폐 밸브 등의 단면도.
도 83은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평면도.
도 84는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배면도.
도 85는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림용 개폐 밸브를 구비한 변기 세정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도.
도 86은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도 87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87은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림용 개폐 밸브를 구비한 개폐 밸브의 단면도.
도 88은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89는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90은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림용 개폐 밸브를 구비한 개폐 밸브의 단면도.
도 91은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림용 개폐 밸브를 이용한 개폐 밸브의 정면도.
도 92는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림용 개폐 밸브를 이용한 개폐 밸브의 측면도.
도 93은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급수원이 분기 장치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배면도.
도 94는 제 8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급수원이 분기 장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배량도.
도 95는 제 9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모식 측면도.
도 96은 제 9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변기 세정 장치의 모식 정면도.
도 97은 제 9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 및 림용 개폐 밸브의 단면도.
도 98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99는 제 10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100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캠 장치가 장비된 림용 개폐 밸브 및 제트용 개폐 밸브의 단면도.
도 101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컨트롤러를 포함한 제어계의 블록도.
도 102는 제 10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관하여 컨트롤러의 CPU가 실 행하는 플로우 차트.
도 103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관하여 변기 세정 탱크를 갖는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사시도.
도 104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모식도.
도 105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변기 세정 장치 등의 모식도.
도 106은 제 1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전환 스위치의 외관도.
도 107은 제 1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세정수의 제어 계통의 모식도.
도 108은 제 11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세정수의 타임 차트.
도 109는 제 1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모식도.
도 110은 제 1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변기 세정 장치 등의 모식도.
도 111은 제 1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컨트롤러 등의 블록 구성도.
도 112는 제 1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에 관하여 컨트롤러가 행한 보통의 세정 처리를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13은 제 12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컨트롤러가 행하는 이상 처리를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14는 제 1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모식도.
도 115는 제 1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변기 세정 장치 등의 모식도.
도 116은 제 1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컨트롤러 등의 블록 구성도.
도 117은 제 1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A)는 「물기 제거 위치」에 있는 경우의 수동 핸들의 측면도, (B)는 림용 개폐 밸브 및 제트용 개폐 밸브 등의 단면도.
도 118은 제 1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A)는 「원점」에 있는 경우의 수동 핸들의 측면도, (B)는 림용 개폐 밸브 및 제트용 개폐 밸브 등의 단면도.
도 119는 제 1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A)는 「림 세정 위치」에 있는 경우의 수동 핸들의 측면도, (B)는 림용 개폐 밸브 및 제트용 개폐 밸브 등의 단면도.
도 120은 제 13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하여 (A)는 「제트 세정 위치」에 있는 경우의 수동 핸들의 측량도, (B)는 림 용 개폐 밸브 및 제트용 개폐 밸브 등의 단면도.
도 121은 제 13 발명에 있어서 림용 개폐 밸브 및 제트용 개폐 밸브의 개폐 상태와 펄스 카운트 수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22는 종래의 강제 사이펀 변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
기술분야
제 1, 제 7, 제 8 발명은 물의 공급 및 공급 정지를 행하는 밸브 수단으로서의 개폐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 개폐 밸브는, 예를 들면 수세식 변기에 이용하는데 적합하고, 특히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서양식 수세식 변기인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이용하는데 알맞다. 제 2 발명은 그러한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3 발명은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제 4 발명은 서양식 수세식 변기로의 급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급수 방법은 특히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이용하는데 알맞다. 제 5 발명은, 복수의 유로 각각에 밸브체가 기계적으로 개폐 조작되는 개폐 밸브를 마련한 경우, 각 개폐 밸브 밸브체의 개폐 조작을 하나의 조작 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유로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6 발명은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정수를 림 통수로나 제트 구멍에 선택적으로 공급·정지 가능하게 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제 9 발명은 수세식 변기용 개폐 밸브에 관한 것이다. 제 10 발명은 요동에 의해 변기 본체의 세정이 가능한 수동 핸들을 갖는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제 11 발명은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제 12, 제 13 발명은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인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수도관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로우(low) 탱크 등의 변기 세정 탱크에 일단 저장하고, 그 변기 세정 탱크에 저장한 세정수에 의해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을 행한다. 이 변기 세정 탱크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서양식 변기 본체의 뒷부분에 재치되거나, 화장실의 측벽에 부착되어 있고, 더구나, 배설물의 서양식 변기 본체로부터의 배출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 다량의 세정수를 한번에 서양식 변기 본체에 토출하기 때문에 대용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변기 세정 탱크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근래, 공간의 유효 활용 등의 관점에서, 급수원과 서양식 수세식 변기와의 사이에 개폐 밸브(유량 조정 밸브)를 마련하고, 개폐 밸브의 개방에 의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직접 공급 가능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가 개발되어 있다(일본 특개평 3-90723호 공보, 일본 특허 2841537호 공보).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세정수로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을 행하는 변기 세정 급수 장치가 서양식 변기 본체 에 마련되어 있고, 변기 세정 급수 장치에 조립되어 있는 개폐 밸브의 개방에 의해, 세정수를 서양식 변기 본체에 직접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변기 세정 급수 장치는, 개폐 밸브가 하우징에 인렛 포트로서의 입수 포트 및 아웃렛 포트로서의 출수 포트를 구비함과 함께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와의 사이에서 개방도를 조정 가능한 밸브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입수 포트는 급수원에 접속되고 하우징 내로 세정수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있고, 출수 포트는 서양식 변기 본체에 접속되고 세정수를 하우징으로부터 서양식 변기 본체로 토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밸브 기구로서,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와의 사이에 다이어프램을 갖고 있고, 이 다이어프램은 온·오프 작동하는 전자 밸브의 조작에 의해 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급수 장치에서는, 전자 밸브의 조작에 의해 다이어프램을 휘게 하고, 이로써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와의 연통(pass)의 개방도가 조정 가능하다.
또한,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개폐 밸브에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변기보울의 상부에 마련된 림 통수로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림(rim)용 도관 등의 림용 유로와, 변기보울의 저부에 마련된 강제 사이펀 효과(siphon effect)를 생기게 하는 제트 구멍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트용 도관 등의 제트용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밸브는, 림용 유로에 세정수를 공급하고, 림 통수로에서 흘러 내리는 세정수로 변기보울의 내벽면을 세정하는 림 통수 조작을 행하거나, 제트용 유로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변기보울 내부의 제트 구멍으로부터 세정수를 고속으로 분출하여, 강제 사이펀 효과를 일으키게 하여 변기보울 내에 배설된 배설물을 배출한 제트 통수 조작을 행하거나 한다. 이러한 림용 유로 및 제트용 유로는 서로 독 립된 별도 경로로 되어 있다. 상기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세정수를 공급하고 있는 개방 상태의 개폐 밸브가 폐쇄되어 림 통수로나 제트 구멍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된 후, 림용 유로 및 제트용 유로의 상류측에 부압이 발생하여 오수의 역류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대기로 연통하는 배큠(vaccum) 브레이커를 림용 유로 및 제트용 유로에 각각 마련하여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인 강제 사이펀 변기에서는, 유로 전환 장치에 의해 림용 유로 및 제트용 유로에의 급수 시기를 시간적으로 어긋나도록 제어하고 있다. 도 122에 이런 종류의 유로 전환 장치를 갖는 강제 사이펀 변기(1)의 한 예를 도시한다. 이 유로 전환 장치에서는, 급수원에 접속한 주 급수관(P)의 도중에 정유량 밸브(L)를 통하여 2개의 분기 급수관(Q, R)을 접속하고, 각 분기 급수관(Q, R)에 개폐 밸브(M, N)를 마련함과 함께, 한쪽 분기 급수관(Q)을 림 통수로(2)에 접속하고, 다른쪽의 분기 급수관(R)을 변기보울(4)의 저부의 제트 구멍(5)에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로 전환 장치에서는, 강제 사이펀 변기(1)의 세정을 실행할 때에, 처음에 한쪽 개폐 밸브(M)만을 개방하여 분기 급수관(Q)으로부터 림 통수로(2)측으로 세정수를 공급하여 변기보울(4)의 세정을 행한다. 뒤이어, 상기 개폐 밸브(M)을 폐쇄하고, 또한쪽의 개폐 밸브(N)를 개방하여 분기 급수관(R)을 경유하여 제트 구멍(5)으로부터 배출관(3) 내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출시킨다. 이로써 배출관(3)이 급속하게 만수화 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사이펀 작용이 일어난다. 세정수가 배출되어 사이펀 작용이 종료되는 시기를 적당히 골라서 개폐 밸 브(N)을 폐쇄하여 제트 구멍(5)측의 분기 급수관(R)에의 급수를 정지함과 함께, 재차 개폐 밸브(M)를 개방하여 림 통수로(2)측의 분기 급수관(Q)으로부터 세정수를 변기보울(4) 내로 보급하여 강제 사이펀 변기(1) 내에 봉수(封水)를 형성한다.
또한, 하우징 내에 밸브 기구를 갖는 수세식 변기용 개폐 밸브에서는, 하우징에 입수 포트, 출수 포트 및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로는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를 연통하고, 이 연통에서 밸브 기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수세식 변기용 개폐 밸브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 기구가 연통로를 개방하면, 급수원으로부터 입수 포트를 통하여 받아들인 세정수가 출수 포트를 통하여 서양식 변기 본체로 토출되고, 이로써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 등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 등이 종료되면, 밸브 기구가 연통로를 폐쇄하고, 서양식 변기 본체에의 세정수의 토출이 종료된다.
또한, 보통, 변기 세정 탱크에는 수동 핸들이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가 그 수동 핸들을 수동 조작으로 요동시키면, 수동 핸들로 당겨진 체인이 변기 세정 탱크의 바닥에 마련되어 있는 밸브를 들어올려서 개방 상태로 한다. 이로써, 변기 세정 탱크 내의 세정수가 서양식 변기 본체로 공급되고,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이렇게 하여, 수동 핸들을 수동 조작으로 요동시키는 경우, 밸브에 작용하고 있는 수압에 대항하여 수동 핸들을 요동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것은, 어느 정도의 힘을 요하게 하고, 힘이 상당히 약한 노인이나 중병인에 있어서는, 반드시 조작성이 좋은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근래, 수동 핸들을 자동적으로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를 변기 세정 탱크에 부착함과 함께, 서양식 변기 본체로부터 떨어진 화장실 벽에 변기 세정용 스위치를 수동 핸들과는 독립시켜서 별개로 마련한 서양식 수세식 변기도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용변 후에 서양식 변기 본체로부터 떠난 사용자가 화장실 벽의 변기 세정용 스위치를 가압 조작하면, 전동 모터가 구동하여 수동 핸들을 자동적으로 요동시키고,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변기 세정용 스위치의 가압 조작에는 그다지 힘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우수한 조작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을 행할 때, 서양식 변기 본체의 트랩에 접속된 배수관이 바닥 밑 배수 구조인지 바닥 위 배수 구조인지에 따라 세정수의 공급량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수 구조에 따라 개폐 밸브의 개방 시간이 유지되고, 적절한 공급량의 세정수에 의해 효율적인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발명)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개폐 밸브에서는, 밸브 기구로서 가요성이 풍부한 다이어프램을 채용하고 있고, 다이어프램이 휘여서 작동 응답성이 안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세정성 등에 관한 신뢰성이 염려되게 된다.
특히, 이 개폐 밸브에서는, 그 다이어프램의 한 면이 입수 포트 내의 세정수의 압력을 항상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이 개폐 밸브에서는, 입수 포트 내의 세정수의 압력이 과잉하게 높은 때에는, 개방도를 작게 하는 전자 밸브의 조작에 반하 여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를 연통하는 개방도가 커지기 쉽다. 역으로, 입수 포트 내의 세정수의 압력이 과잉하게 낮은 때에는, 개방도를 크게 하는 전자 밸브의 조작에 반하여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를 연통하는 개방도가 작게 되기 쉽다. 이들 입수 포트 내의 세정수 압력의 변동은, 빌딩의 높은층 또는 깊은 지하 등, 개폐 밸브가 사용되는 환경 등에 의해 생긴다. 이 때문에, 이 개폐 밸브는 특히 작동 응답성이 안정되기 어렵다고 할수있다.
제 1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작동 응답성의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는 개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1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는, 하우징에 인렛 포트 및 아웃렛 포트를 구비함과 함께 해당 인렛 포트와 해당 아웃렛 포트와의 사이에서 개방도를 조정 가능한 밸브 기구를 갖는 개폐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기구는, 외부 조작 수단의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마련되고, 해당 축방향의 한쪽측으로 활주함으로써 해당 하우징의 좌면에 착좌(着座)하여 해당 인렛 포트와 해당 아웃렛 포트와의 연통을 폐쇄하고, 해당 축방향의 다른쪽 측으로 활주함으로써 해당 좌면으로부터 이좌(離座)하여 그 인렛 포트와 그 아웃렛 포트와의 연통을 개방할 수 있는 피스톤과, 해당 피스톤이 해당 인렛 포트 또는 해당 아웃렛 포트 내의 해당 유체로부터 해당 다른쪽 측에 받는 압력을 상쇄하는 압력 상쇄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에서는, 외부 조작 수단의 외부 조작에 의해 피스톤이 축방향의 한쪽측으로 활주하면, 피스톤이 하우징의 좌면에 착좌하고, 인렛 포트와 아웃렛 포트와의 연통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는, 인렛 포트로부터의 유체의 흐름은 정지된다. 또한, 외부 조작 수단의 외부 조작에 의해 피스톤이 축방향의 다른쪽 측으로 활주하면, 피스톤이 하우징의 좌면으로부터 이좌하여 인렛 포트와 아웃렛 포트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는, 개방도에 따라, 유체가 인렛 포트로부터 하우징 내를 흘러서 아웃렛 포트로부터 토출된다. 이렇게 하여,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에서는, 외부 조작 수단의 외부 조작에 의해 인렛 포트와 아웃렛 포트와의 연통의 개방도가 조정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피스톤에 의해 인렛 포트와 아웃렛 포트와의 연통의 개폐를 행하기 때문에, 피스톤은 인렛 포트 또는 아웃렛 포트 내의 유체에 의해 다른쪽 측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이 때, 가요성을 갖지 않는 피스톤은 이 다른쪽 측으로의 압력에 의해 개방측으로 휘는 일은 없다. 그러나, 피스톤의 활주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만으로는, 이러한 다른쪽 측으로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은 축방향의 활주성이 저해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에서는, 압력 상쇄 수단에 의해 그 다른쪽 측으로의 압력을 상쇄하고, 이로써 피스톤 축방향의 활주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에서는, 작동 응답성이 안정되고, 예를 들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세정성 등에 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에서는,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폐쇄·개방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개폐 밸브의 다이어프램에 의한 것과 같 은 급한 폐쇄·개변을 없앨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에서는, 유체를 대유량으로 흘리여도, 급한 폐쇄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워터해머의 발생을 방지하고, 소음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개폐 밸브에서는, 다이어프램을 이용하기 때문에, 유체의 저압시에 충분히 개방을 행하기 어렵고, 압력 손실이 생기기 쉽다. 이 점, 종래의 개폐 밸브에 있어서, 유체의 저압시라도 충분한 개방을 행하게 하고, 이로써 압력 손실을 작게 하고자 하면, 그 개폐 밸브는, 다이어프램의 대형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대형화 하여 버리고, 서양식 수세식 변기 등에의 탑재성이 손상되게 된다. 이에 대해,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에서는, 소형의 피스톤이라도 그 동작에 의해 유체의 저압시에 있어서 충분히 개방을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반드시 대형화 하지 않고,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등에의 우수한 탑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압력 상쇄 수단으로서는, 피스톤의 다른쪽 측에 형성된 압력 상쇄실과, 피스톤의 한쪽측과 이 압력 상쇄실을 연통하는 통로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인렛 포트 또는 아웃렛 포트로부터 피스톤의 한쪽측에 존재하는 유체가 통로를 통하여 압력 상쇄실로 이동하고, 압력 상쇄실 내의 유체의 압력과, 피스톤의 한쪽측의 유체의 압력과의 균형이 도모되어 양자의 차압(差壓)이 해소 또는 감소된다.
통로는, 하우징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피스톤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에 통로를 형성하면,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활주하기 때문에, 통로를 굴곡시 키는 등, 통로가 복잡하게 되지만, 피스톤에 형성하는 것이면, 통로를 축방향으로 뚫는 등, 간이한 통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에 통로를 축방향으로 뚫으면, 통로 내를 이동하는 유체가 피스톤의 활주시에 저항을 받지 않고, 피스톤의 활주성이 향상한다.
하우징의 인렛 포트가 피스톤의 주면측으로 개구되고, 하우징의 아웃렛 포트가 피스톤 축방향의 한쪽측의 단면측으로 개구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피스톤은 인렛 포트 내의 유체에 의해 다른쪽 측으로 압력을 받지 않고, 개폐 밸브가 사용되는 환경 등에 의해 인렛 포트 내의 유체의 압력이 과잉하게 높아지거나, 또는 낮아지거나 하여도, 그것에 의해 피스톤의 활주성이 변화 하지 않는다.
외부 조작 수단으로서는, 피스톤을 자력 등에 의해 외부 조작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지만, 피스톤에 고정되고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고, 가세 수단과 대항하면서 피스톤을 축방향으로 활주시키는 샤프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종래의 개폐 밸브와 같은 전자 밸브를 채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폐 밸브의 제조 비용을 저렴화 할 수 있다. 특히, 개폐 밸브를 복수 이용하는 경우, 종래의 개폐 밸브에서는 각각의 전자 밸브로 개폐를 행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샤프트를 채용하면, 각각의 샤프트를 각각의 캠으로 개폐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저렴화의 효과가 크다.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에서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한 가세 수단과 샤프트와의 관계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세 수단으로서는, 피스톤을 가압하 는 가압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 외에, 피스톤을 인장하는 인장 스프링 등의 인장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한 관계에서는, 가세 수단(S)이 피스톤(P)을 축방향의 한쪽측으로 가세하고, 샤프트(D)가 한쪽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관계에서는, 가세 수단(S)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샤프트(D)를 다른쪽 측으로 누르면, 피스톤(P)이 인렛 포트(I)와 아웃렛 포트(O)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다른 한편, 가세 수단(S)의 가세력에 굽히여서 샤프트(D)를 한쪽측으로 당기면, 피스톤(P)이 인렛 포트(I)와 아웃렛 포트(O)와의 연통을 폐쇄한다.
또한, 도 9(B)에 도시한 관계에서는, 가세 수단(S)이 피스톤(P)을 한쪽측으로 가세하고, 샤프트(D)가 다른쪽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관계에서는, 가세 수단(S)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샤프트(D)를 다른쪽 측으로 당기면, 피스톤(P)이 인렛 포트(I)와 아웃렛 포트(O)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다른 한편, 가세 수단(S)의 가세력에 굽히여서 샤프트(D)를 한쪽측으로 누르면, 피스톤(P)이 인렛 포트(I)와 아웃렛 포트(O)와의 연통을 폐쇄한다.
또한, 도 9(c)에 도시한 관계에서는, 가세 수단(S)이 피스톤(P)을 다른쪽 측으로 가세하고, 샤프트(D)가 한쪽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관계에서는, 가세 수단(S)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샤프트(D)를 한쪽측으로 당기면, 피스톤(P)이 인렛 포트(I)와 아웃렛 포트(O)와의 연통을 폐쇄한다. 다른 한편, 가세 수단(S)의 가세력에 굽히여서 샤프트(D)를 다른쪽 측으로 누르면, 피스톤(P)이 인렛 포트(I)와 아웃렛 포트(O)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또한, 도 9(D)에 도시한 관계에서는, 가세 수단(S)이 피스톤(P)을 다른쪽 측으로 가세하고, 샤프트(D)가 다른쪽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관계에서는, 가세 수단(S)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샤프트(D)를 한쪽으로 누르면, 피스톤(P)이 인렛 포트(I)와 아웃렛 포트(O)와의 연통을 폐쇄한다. 다른 한편, 가세 수단(S)의 가세력에 굽히여서 샤프트(D)를 다른쪽 측으로 당기면, 피스톤(P)이 인렛 포트(I)와 아웃렛 포트(O)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이들 중, 도 9(A)에 도시한 관계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가세 수단(S)으로서 일반적인 가압 스프링을 채용하고, 이 가압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피스톤(P)이 인렛 포트(I)와 아웃렛 포트(O)와의 연통을 폐쇄할 수 있는 한편, 인렛 포트(I)와 아웃렛 포트(O)와의 연통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세 수단(S)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샤프트(D)를 다른쪽 측으로 누르기 위한 캠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캠은, 인렛 포트(I)와 아웃렛 포트(O)와의 연통을 개방하기 위해, 샤프트(D)를 다른쪽 측으로 누르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구조가 비교적 간이하게 되고, 개폐 밸브의 제조 비용을 저렴화 할 수 있다.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체는 세정수이고, 아웃렛 포트는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접속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빌딩의 높은층 또는 깊은 지하 등에 있어서도,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대한 급수 및 급수 정지를 개폐 밸브에 의해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제 2 발명)
또한, 상기 종래의 변기 세정 급수 장치에서는, 밸브 기구로서 가요성이 풍부한 다이어프램을 작동시키기 위해 전자 밸브를 채용하고 있고, 다이어프램이 전자 밸브의 조작에 의해 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부적합함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전자 밸브는 솔레노이드로의 급전에 의한 여자에 의해 자기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전자 밸브에 내장되어 있는 투자(透磁) 재료로 형성된 가동체를 자기(磁氣) 흡인하여 개방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전자 밸브에서는, 솔레노이드를 소자하여도 비교적 큰 잔류 자기가 가동체에 남는 부적합함이 있다. 이 때문에, 가령 그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전자 밸브에 잔류 자기에 의한 영향을 피하는 방책이 시행되지 않으면, 입수 포트에 작용하는 1차 수압의 여하에 따라서는, 밸브 기구의 작동이 안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전자 밸브는 그 개방도를 전체개방 또는 전체폐쇄로 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개방도를 도중의 중간 단계로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에서는, 한냉시 등에 있어서 급수 계통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세정수를 소량씩 계속해서 흐르게 하고자 하여도, 전자 밸브는 이와 같은 사용 형태를 달성할 수가 없다.
또한, 전자 밸브는 일반적으로 모터 등에 비교하여 고가이어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고비용을 초래하게 된다.
제 2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밸브 기구의 작동의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음과 함께, 한냉시 등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동결 방지가 가 능하고, 또한 비교적 저비용의 변기 세정 급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2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2 발명의 변기 세정 급수 장치는, 급수원에 연통하고 세정수가 공급되는 입수 포트와 수세식 변기의 유로에 그 세정수를 공급 가능한 출수 포트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해당 밸브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고 해당 밸브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해당 입수 포트와 해당 출수 포트와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 기구를 갖는 개폐 밸브와,
해당 밸브 기구를 기계적으로 개폐시키는 캠을 갖는 캠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캠 장치란, 종동자인 밸브 기구측의 부위를 기계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회전체를 갖고, 회전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종동자를 왕복 이동시키는 기구를 말한다. 여기서, 회전체는 회전축이라도 좋고 기어라도 좋고, 요컨대 회전하는 것이면 좋다. 캠 장치는, 캠과 종동자와의 접점의 궤적이 평면 곡선이 되는 평면 캠이라도 좋고, 접점의 궤적이 입체 곡선이 되는 입체 캠이라도 좋다.
종동자를 캠에 접촉시키기 위해 중력을 이용하여도 좋고, 또는, 캠과 종동자와의 접점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 등의 가세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회전체의 회전 방향은 설치 공간 등의 사정을 고려하고 선택할 수 있고, 변기보울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이들에 대해 경사하는 방향 등을 불문한다. 캠 장치로서는 공지의 캠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제 2 발명의 변기 세정 급수 장치에서는, 캠 장치가 작동하면, 캠 장치의 캠 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밸브 기구가 개폐 작동하여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와의 연통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또한, 제 2 발명의 변기 세정 급수 장치에서는, 캠 장치의 캠의 프로필 선택에 의해, 밸브 기구의 개방 속도·폐쇄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급격한 개방 및 급격한 폐쇄를 억제할 수 있고, 소음, 워터해머 현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개방이나 폐쇄할 때에 캠 장치의 구동을 도중에서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전체개방나 전체폐쇄뿐만 아니라, 밸브 기구의 개방량이나 폐쇄량을 도중의 단계에서 계속해서 유지할 수도 있고, 이렇게 하면 세정수를 소량씩 서양식 변기 본체에 계속 흘릴 수 있어서 한냉시 등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동결 방지에도 유리하게 된다.
제 2 발명의 변기 세정 급수 장치에서는, 밸브 기구는, 캠 장치의 캠에 의해 밸브 하우징측으로 가압된 샤프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밸브 하우징측으로 샤프트를 가압하여 밸브 기구를 개방하는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가압하여 밸브 기구를 개방하는 방식은, 기구의 간소화에 유리하고, 제조 비용을 저렴화 할 수 있다.
캠 장치의 캠은 수동에 의해 구동시킬 수도 있지만,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으로 변기 본체의 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터는 일반적으로 전자 밸브 등에 비교하여 염가여서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의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개폐 밸브, 모터 및 캠 장치는, 단일의 공통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단일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개폐 밸브, 모터 및 캠 장치를 종합하여 부착하면, 공간 절약화, 부품 개수의 저감,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변기보울의 뒷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 또는 캠 장치는, 캠 장치의 캠을 수동으로 구동하는 수동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캠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모터가 구동하지 않는 정전시 등에 있어서도, 밸브 기구의 개폐에 의해 변기 본체의 세정을 행할 수 있다. 수동축은 탈착 가능한 것이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보통은,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동축을 떼어 두고, 수동 조작이 필요하게 되는 때에 수동축을 부착하면 좋다. 또한, 수동축은 접어 적층이 가능하여도 좋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변기 세정 급수 장치는,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수세식 변기인 탱크레스 수세식 변기에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빌딩의 높은층 또는 깊은 지하 등에 있어서도, 탱크레스 수세식 변기에 대한 급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제 3 발명)
또한, 상기 종래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서양식 변기 본체에 변기 세정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서양식 변기 본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방해가 되지 않는 등, 변기 세정 장치의 서양식 변기 본체에의 설치 공간에 관한 검토가 충분하지 않다.
예를 들면, 상기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변기 세정 장치에 개 폐 밸브가 조립되어 있는 외에, 개폐 밸브의 밸브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 등의 각종 부품도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변기 세정 장치의 설치 공간이 대형화 하는 경향으로 된다. 특히, 서양식 변기 본체 내의 배설물을 배출하기 위해 서양식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가 복수인 경우, 유로마다 개폐 밸브를 조립할 것이 요청되고, 이 의미에 있어서도 설치 공간은 대형화 하는 경향으로 된다. 또한, 국부 세정 기능이 있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나 난방 변기 시트 기능이 있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인 경우에는, 국부 세정이나 난방 변기 시트에 필요하게 되는 부품도 변기 세정 장치에 상기 개폐 밸브 등과 함께 조립되게 되어, 이 의미에 있어서도 변기 세정 장치의 설치 공간이 대형화 하는 경향으로 된다.
제 3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변기 세정 장치의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3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3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고,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로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을 행하는 변기 세정 장치를 갖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세정 장치는, 상기 급수원에 연통하고 세정수가 공급되는 입수 포트와 상기 서양식 변기 본체의 유로에 그 세정수를 공급 가능한 출수 포트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해당 밸브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여 그 밸브 하우징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해당 입수 포트와 해당 출수 포트와의 개폐를 행하는 샤프트를 갖는 개폐 밸브와,
해당 샤프트를 그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을 갖는 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기 세정 장치는, 상기 샤프트가 상기 서양식 변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개폐 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캠 장치의 캠을 구동하면, 개폐 밸브의 밸브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여 있는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개폐 밸브의 밸브 하우징의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와의 개폐가 행하여진다. 이로써,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서양식 변기 본체의 유로에 공급되거나, 정지되거나 한다. 이로써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제 3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개폐 밸브의 밸브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샤프트가 서양식 변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샤프트의 선단이 서양식 변기 본체의 측방이나 후방으로는 돌출되지 않아, 변기 세정 장치의 설치 공간이 커짐을 억제할 수 있다.
캠 장치는, 종동자인 샤프트가 결합되는 회전체를 갖고, 회전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샤프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기구를 말한다. 종동자인 샤프트를 캠에 접촉시키기 위해 중력을 이용하여도 좋고, 또는 샤프트와 캠과의 접점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 등의 가세 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체의 회전 방향은 설치 공간 등의 사정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고, 서양식 변기 본체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이들에 대해 경사하는 방향 등을 불문한다. 캠 장치로서는 공지의 캠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제 3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캠 장치의 캠의 프로필의 선택에 의해, 밸브 기구의 개방 속도·폐쇄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급격한 개방, 급격한 폐쇄를 억제할 수 있고, 소음, 워터해머 현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방이나 폐쇄할 때에 캠 장치의 구동을 도중에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전체개방나 전체폐쇄뿐만 아니라, 개방량이나 폐쇄량을 도중의 단계에서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세정수를 소량씩 서양식 변기 본체에 계속 흘림으로써 한냉시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동결 방지에도 유리하게 된다.
개폐 밸브의 축방향 상단에 캠 장치가 마련되고, 캠 장치에 인접하여 캠을 구동하는 모터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의 축방향 하단에 캠 장치가 마련되고, 캠 장치에 인접하여 캠을 구동하는 모터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서양식 변기 본체를 세정하기 위한 유로가 복수인 경우에는, 유로의 수에 따라 개폐 밸브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유로마다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3 발명의 효과가 크다. 복수개의 개폐 밸브는 서로 인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 밸브의 샤프트는, 캠 장치의 캠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개폐 밸브의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와의 연통을 개방할 수 있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기구의 간소화에 유리하고, 제조 비용을 저렴화 할 수 있다.
(제 4 발명)
또한, 상기 일반적인 서양식 수세식 변기 및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한냉시에 있어서의 급수 계통의 동결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이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상류측에서 세정수가 동결한 경우, 서양식 변기 본체에 배설된 배설물을 흘리고 제거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이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동결 상태가 해소될 때까지 사용이 제약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게 됨과 함께, 비위생적이기도 하다.
특히, 서양식 수세식 변기가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인 경우, 종래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변기 세정 장치의 급수 계통 내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을 단계적으로 전환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등은 항상 상기 부적합함을 회피할 수 없고, 상기 부적합함은 현저한 것으로 되고 만다.
제 4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서양식 변기 본체의 상류측에서의 세정수의 동결을 방지 가능한 서양식 수세식 변기로의 급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4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4 발명의 서양식 수세식 변기로의 급수 방법은,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서양식 변기 본체에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급수로를 통하여 공급하는 서양식 수세식 변기로의 급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로에 세정수의 유량을 단계적으로 전환 가능한 유량 전환 수단을 마련하고, 그 유량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서양식 변기 본체의 상류측에서의 세정수의 동결을 방지 가능한 유량의 세정수를 유동시키는 유동 모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의 급수 방법에 의하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서양식 변기 본체로 공급하는 급수로에 유량 전환 수단을 마련하고, 유량 전환 수단의 전환에 의해 유동 모드를 행한다. 이로써, 급수로에 소량씩 급수원으로부터의 세정수를 흘릴 수 있기 때문에, 서양식 변기 본체의 상류측에서의 세정수의 동결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급수 방법을 채용한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상류측에서 세정수가 동결하기 어려워, 배설물의 세정 불능을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사용의 제약이 없어지고, 또한 위생적으로 된다.
유동 모드에 있어서의 단위 시간당의 수량으로서는, 한냉의 정도 등에 의해서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량 전환 수단에 의해 흐르는 보통의 수량을 100%로 하였을 때, 0.5 내지 15%, 특히 1 내지 10%, 또한 2 내지 5%로 할 수 있다.
제 4 발명의 급수 방법에 의하면, 유량 전환 수단은, 급수로 내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을 무단계로 조정 가능한 지수전(止水栓)과, 이 지수전의 하류측에서 급수로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 밸브로 이루어지, 지수전에서는 100%의 유량으로 세정수를 흘리고, 개폐 밸브의 개방도로 유동 모드를 행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밸브는 유동 모드를 달성하도록 개방도 조정 기구를 갖는다.
또한, 제 4 발명의 급수 방법에 의하면, 유량 전환 수단은, 급수로 내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을 단계적으로 조정 가능한 단계 지수전과, 이 단계 지수전의 하류측에서 급수로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 밸브로 이루어지, 단계 지수전으로 유동 모드를 행하고, 개폐 밸브에서는 100%의 개방도로 세정수를 흘리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계 지수전은 유동 모드를 달성하도록 세정수에 대한 유량 조정 기구를 갖는다.
개폐 밸브로서는, 급수원에 연통하고 세정수가 공급되는 입수 포트와 서양식 변기 본체의 유로에 세정수를 공급 가능한 출수 포트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밸브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고 밸브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와의 연통의 개폐를 행하는 샤프트를 갖고, 샤프트가 캠에 의해 이동되게 되어 있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캠은, 회전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종동자인 샤프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기구를 말한다. 캠은, 전체폐쇄·전체개방를 전제로 하는 전자 밸브와는 달리, 개방량·폐쇄량을 도중의 단계에서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세정수를 소량씩 흘리는 유동 모드를 실행하는데도 적합하다. 또한, 캠을 채용한 경우에는, 캠 면의 프로필의 선택에 의해 개폐 밸브의 개방 속도·폐쇄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급격한 개방·폐쇄를 억제할 수 있고, 소음이나 워터해머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캠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모터를 조작함으로써, 캠이 구동하여 개폐 밸브의 샤프트가 자동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와의 연통의 개폐를 자동적으로 행하여 끝낼 수 있다. 모터로서는, 정회전하는 모터,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모터, 입력 펄스의 수에 따라 회전량이 규정되는 스테핑 모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캠은 수동에 의해 구동 가능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정전 시나 모터 고장시라도, 캠을 구동함으로써,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뿐만 아니라, 유동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4 발명의 급수 방법에 의하면, 유동 모드에 있어서, 한냉의 정도, 절수의 요청 등을 고려하여, 급수로에 세정수를 소정 시간(일반적으로는 단시간)마다 간헐적으로 흐르게 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즉, 소량 통수와 통수 정지를 교대로 반복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동결을 억제하면서 절수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지수전 또는 단계 지수전 및 개폐 밸브 등의 유량 전환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 제어 장치를 채용하면, 프로그램에 의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 5 발명)
또한, 도 122에 도시한 상기 종래의 유로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 급수관(Q, R)에 마련한 개폐 밸브(M, N)의 개폐를 자동 제어하고자 하면, 개폐 밸브(M, N)를 각각 모터로 구동되는 전동 밸브로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개폐 밸브를 2개 사용하는 유로 전환 장치에서는, 모터도 2개 필요하게 되어, 고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제 5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비용을 초래하는 일 없이 개폐 밸브의 개폐를 자동 제어 가능한 유로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5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5 발명에 관한 유로 전환 장치는, 복수의 유로 각각에 밸브체가 기계적으로 개폐 조작되는 개폐 밸브가 마련되고, 각 해당 밸브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기계 적 조작력을 전달하는 전달 수단이 각 해당 개폐 밸브마다 마련되고, 각 해당 개폐 밸브에 각각 해당 전달 수단을 통하여 기계적 조작력을 주는 조작 수단이 마련되고, 해당 조작 수단으로부터 각 해당 전달 수단에의 기계적 조작력의 출력 시기가 각 해당 전달 수단마다 소정의 시간적 어긋남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나의 조작 수단에 의해, 복수의 유로에 마련한 각각의 개폐 밸브의 개폐를 시간적인 어긋남을 주고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비용을 초래하는 일 없이, 개폐 밸브의 개폐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제 5 발명의 유로 전환 장치에서는, 조작 수단을 모터로 하고, 각 전달 수단으로서, 그 모터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에 부착한 위상이 다른 복수개의 캠과, 각 개폐 밸브 각각의 밸브체에 연결한 밸브축에 부착되고, 각 캠과 접할 수 있는 조작력의 받이구(受具)로 구성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조작 수단이 모터인 경우, 정전시에 각 캠을 소정 위치까지 회전시키기 위한 백업 전원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발명의 유로 전환 장치에서는, 캠을 부착한 회전축을 수동에 의해 회전 조작 할 수 있는 수동 조작 수단을 병설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수동으로 개폐 밸브의 개폐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5 발명의 유로 전환 장치에서는, 모터의 출력축과 각 캠을 부착한 회전축과의 사이에 클러치 기구를 개설하고,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력이 그 클러치 기구의 출력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로부 터의 조작력 전달 경로와 수동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조작력 전달 경로 경로를 공통화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 5 발명의 유로 전환 장치에서는, 클러치 기구의 출력부로부터 각 캠을 부착한 회전축에의 회전 조작력의 전달 기구로서, 웜기어 및 웜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캠의 급격한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유로 전환 장치에서는, 수동 조작에 의해 세정수를 공급하고자 하면, 다른 배관 계통을 마련하여야 하고,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도 갖고 있다. 이 점, 제 5 발명의 유로 전환 장치에서는, 조작 수단을 수동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동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에 부착한 위상이 다른 복수개의 캠과, 각 개폐 밸브 각각의 밸브체에 연결한 밸브축에 부착되고, 각 캠과 접할 수 있는 조작력의 받이구에 의해 전달 수단을 구성하고, 수동 부재로부터 입력한 회전 조작력의 각 캠을 부착한 회전축에의 전달 시간 길이를 소정 시간으로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마련하는 것으로 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동 부재로부터 입력한 조작력의 전달 시간을 조정하여, 캠의 회전 속도를 필요한 속도로 조정할 수 있다.
(제 6 발명)
또한, 상기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림용 유로 전용의 배큠 브레이커를 마련함과 함께 제트용 유로 전용의 배큠 브레이커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지고, 비용 저감의 면에서 불리하다.
제 6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 개수의 저감을 도모하고, 비용 저감의 면에서 유리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6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6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림 통수로 및 제트 구멍을 갖는 서양식 변기 본체와,
세정수를 공급 가능한 급수원에 접속되고, 해당 림 통수로에 해당 세정수를 공급하는 림용 도관과, 해당 제트 구멍에 해당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트용 도관이 접속되고, 해당 세정수를 해당 림 통수로 및/또는 해당 제트 구멍에 선택적으로 공급·정상 가능한 밸브 수단을 구비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로서,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림용 도관에 접속되는 림용 유로와 상기 제트용 도관에 접속되는 제트용 유로가 연통로에 의해 연통되고, 해당 림용 유로, 해당 제트용 유로 및 해당 연통로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림 통수로의 최상면보다 윗쪽에서 대기와 연통하는 흡기구를 갖는 배큠 브레이커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의하면, 밸브 수단이 개방하면, 세정수가 림 통수로나 제트 구멍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서양식 변기 본체가 세정된다. 밸브 수단이 폐쇄하면, 림 통수로나 제트 구멍에의 세정수의 공급은 정지된다.
세정수를 공급하고 있는 개방 상태의 밸브 수단이 폐쇄한 채로 림용 유로나 제트용 유로의 상류측이 부압으로 된 상태에서는, 연통로에 의해 림용 유로와 제트용 유로가 연통되고, 또한 림용 유로, 제트용 유로 및 연통로의 어느 하나에 마련 된 배큠 브레이커가 림 통수로의 최상면보다 윗쪽에서 대기와 연통한 흡기구를 갖기 때문에, 림용 유로, 제트용 유로 및 연통로는 대기로 연통되고, 림용 유로 및 제트용 유로를 경유한 오수의 역류는 방지된다. 즉, 제 6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림용 유로와 제트용 유로는 서로 독립된 별도 경로이기는 하지만, 양자는 연통로에 의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배큠 브레이커는 림용 유로의 상류측의 부압을 해소함과 함께 제트용 유로의 상류측의 부압도 해소할 수 있다. 환언하면, 배큠 브레이커는 림용 유로와 제트용 유로에 공통된 것으로 되고, 따라서 림용 유로 전용의 배큠 브레이커 및 제트용 유로 전용의 배큠 브레이커를 마련하지 않고도 해결되어, 부품 개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비용 저감에 유리하게 된다.
연통로에 배큠 브레이커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림용 유로와 제트용 유로를 연통로에 의해 연통하고, 림용 유로 및 제트용 유로의 어느 하나에 배큠 브레이커를 마련하면, 연통로가 작은 지름이라면, 그 연통로 내에는 세정수가 충만하기 쉽기 때문에, 배큠 브레이커가 마련되지 않은 쪽의 유로의 부압의 해소가 우려된다. 이 점, 연통로에 배큠 브레이커를 마련하면, 그 연통로 내에 세정수가 충만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림용 유로의 상류측 부압의 해소와 제트용 유로의 상류측 부압의 해소를 확실하게 양립할 수 있다.
제 6 발명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림용 유로중 연통로에 연결되는 부분에, 유로 면적을 조이는 스로틀 통로를 흡인 수단으로서 마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수가 림용 유로의 스로틀 통로 를 흐르면,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에 의해 스로틀 통로에 감압이 발생하고, 이로써 제트용 도관 내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는 연통로를 통하여 림용 유로로 흡인할 수 있다. 이로써, 제트용 도관 내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에 기인한 이음(異音)을 억제할 수 있다.
(제 7 발명)
또한, 상기 종래의 개폐 밸브에서는, 주(主)밸브에 의한 주(主)수로의 개방시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유동시킬 수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한냉시에 있어서의 급수 계통의 동결 또는 서양식 변기 본체 트랩의 동결 방지와, 염가의 유지료를 실현하려는, 소유량의 세정수를 유동시킬 수가 없다. 이 점, 이러한 개폐 밸브를 이용함과 함께, 그와같은 소유량으로 세정수를 유동시킬 수 있는 부수로(副水路)와, 이 부수로를 개폐하는 부밸브를 구비한 부개폐 밸브를 별도로 마련한다 하더라도, 주가 되는 개폐 밸브와 부개폐 밸브를 단지 접속한 것만으로는, 주밸브 부근에 사수(이용할 수 없는 물)가 생기기 쉽고, 사수의 오염, 동결이 생길 우려가 있다.
제 7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세정수를 대유량 및 소유량으로 유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사수가 생기는 일이 없는 개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7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7 발명의 개폐 밸브는, 급수원에 접속되어 세정수를 대유량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주수로와, 해당 급수원에 접속되어 세정수를 소유량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부수로와, 해당 주수로를 개폐 가능한 주밸브와, 해당 부수로를 개폐 가능한 부밸 브를 구비하고, 해당 부수로는 해당 주밸브를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의 개폐 밸브에서는, 주밸브에 의한 주수로의 개방시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유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주밸브에 의한 주수로의 폐쇄시 및 부밸브에 의한 부수로의 개방시에 소유량의 세정수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한냉시에 있어서의 수도관 등의 급수원이나 서양식 변기 본체에 이르는 급수 계통의 동결의 방지 또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트랩의 동결과, 염가의 유지료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7 발명의 개폐 밸브에서는, 부수로가 주밸브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소유량의 세정수를 유동시키고 있는 한 주밸브 부근에 사수가 생기기 어렵고, 사수의 오염, 동결이 생길 우려가 없다.
주수로를 급수원에 접속함과 함께, 부수로도 급수원에 접속하는 경우, 급수원으로부터 주수로와 부수로를 분기시키는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부수로가 주밸브를 관통하도록 하는 경우, 그 부수로의 입수구가 주수로의 1차측의 종단부가 아니라면, 주밸브에 의한 주수로의 폐쇄시 및 부밸브에 의한 부수로의 개방시에 있어서, 부수로의 입수구 부근과 주수로의 1차측의 종단부와의 사이에 사수가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부수로의 입수구는 주수로의 1차측 종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주밸브에 의한 주수로의 폐쇄시 및 부밸브에 의한 부수로의 개방시에 있어서도, 부수로의 입수구 부근과 주수로의 1차측의 종단부와의 사이에 사수가 생기지 않고, 제 7 발명의 효고가 더욱 이루어지게 된다.
주수로의 1차측을 급수원에 접속하고, 그 주수로의 2차측 및 부수로의 2차측 을 서양식 변기 본체에 접속할 수 있다. 이로써,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서양식 수세식 변기인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서양식 변기 본체의 상류측에서의 동결 또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트랩의 동결을 방지 가능한 유량의 세정수를 부수로에 의해 토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를 포함한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서양식 변기 본체의 상류측에서의 세정수의 동결 또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트랩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제 7 발명의 개폐 밸브는, 급수원에 접속되는 입수 포트와, 이 입수 포트에 접속되는 주수로 및 부수로와, 주수로에 주밸브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부수로에 부밸브를 통하여 접속되는 출수 포트가 형성된 하우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을 갖는 개폐 밸브에서는, 주수로 및 주밸브로 이루어진 주밸브 기구와, 부수로 및 부밸브로 이루어진 부밸브 기구가 일체가 되고, 서양식 수세식 변기 등에의 탑재성에 우수함과 함께, 배관이 불필요하게 되어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주밸브체로서는,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마련되고, 축방향의 한쪽측으로 활주함으로써 하우징의 좌면에 착좌하여 주수로의 연통을 폐쇄하고, 축방향의 다른쪽 측으로 활주함으로써 좌면으로부터 이좌하여 주수로의 연통을 개방할 수 있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 피스톤에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고, 가세 수단과 대항하면서 피스톤을 축방향으로 활주시키는 샤프트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폐쇄·개방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수를 대유량으로 유동시켜도, 급한 폐쇄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워터해머의 발생을 방지하고, 소음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소형의 피스톤이라도 그 동작에 의해 세정수의 저압시에 있어서 충분히 개방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반드시 대형화 하지 않고, 서양식 수세식 변기 등에의 우수한 탑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샤프트는, 수동으로 구동되는 것이라도 좋지만,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되는 샤프트를 채용하면, 개폐 밸브의 개폐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편리하기 때문이다.
하우징에는, 피스톤의 다른쪽 측에 형성된 압력 상쇄실과, 피스톤에 축방향으로 뚫리고, 피스톤의 한쪽측과 압력 상쇄실을 연통하고, 피스톤이 주수로 내의 세정수로부터 다른쪽 측에 받는 압력을 상쇄하는 통로를 갖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피스톤 축방향의 활주성이 확보되고, 작동 응답성이 안정되고, 예를 들면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세정성 등에 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입수 포트 또는 출수 포트로부터 피스톤의 한쪽측에 존재하는 세정수가 통로를 통하여 압력 상쇄실로 이동하고, 압력 상쇄실 내의 세정수의 압력과, 피스톤의 한쪽측의 세정수 압력과의 균형이 도모되어, 양자의 차이압이 해소 또는 감소된다. 그리고, 부수로가 이 통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림용의 주수로 및 주밸브 및 제트용의 주수로 및 주밸브가 입수 포트를 공통화 하여 조립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림용 개폐 밸브와, 제트용 개폐 밸브가 일체가 되고, 서양식 수세식 변기 등에의 탑재성에 우수함과 함께, 배관이 불필요하 게 되어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수로의 단일의 입수구가 그 주수로에 접속되고, 부수로의 2개의 출수구가 림용의 출수 포트와 제트용의 출수 포트에 접속될 수 있다.
부밸브는,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되는 것이라도 좋지만, 수동 조작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수동 조작 가능한 것이라면, 염가이다.
일정한 소유량의 세정수를 유동시키는 것을 부수로의 지름만에 의해 실현하는 것은, 급원 내의 세정수의 압력이 변동하기 십기 때문에 곤란하다. 이 때문에, 부수로에는, 내부의 세정수의 압력에 관계없이 일정한 소유량의 세정수를 유동시킬 수 있는 정유량 밸브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유량 밸브 기구로서는, 압력에 의해 개방도가 변화하는 탄성 고무 등을 이용한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제 8 발명)
또한, 예를 들면,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서양식 변기 본체에 변기 세정 장치가 탑재되어 있음과 함께,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기능을 갖는 국부 세정 장치 등의 세정수를 사용하는 부속 기기도 탑재될 수 있다. 이 점, 상기 종래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변기 세정 장치에 마련된 개폐 밸브가 각각 하나씩의 입수 포트 및 출수 포트를 갖는 것뿐이기 때문에, 변기 세정 장치의 개폐 밸브에 세정수를 공급함과 함께, 그 부속 기기에도 세정수를 공급하고, 변기 세정 장치에 의해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과 무관하게 부속 기기에 의해 다른 기능도 실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 화장실의 벽에 마련되어 있는 급수원과 개폐 밸브를 접속관에 의해 접속함과 함께, 접속관의 도중 부위에 분기전을 부착하고, 부속 기기와 분기전을 제 2의 접속관을 통하여 접속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면, 급수원과 서양식 변기 본체와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접속관이 병렬적으로 마련되게 되어, 접속관의 배관 공간을 필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관도 저하된다.
제 8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배관 공간의 저감 및 외관의 확보에 유리한 개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8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8 발명의 개폐 밸브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를 갖고, 또한 통수로에 연통하는 출수 포트를 갖는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에 마련되고, 그 출수 포트를 통하여 해당 통수로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를 행하는 밸브 기구를 구비한 개폐 밸브로서,
상기 제 2 포트는 상기 밸브 기구의 작동과 무관하게 상기 제 1 포트와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의 개폐 밸브에서는, 하우징이 통수로에 연통하는 출수 포트를 갖음과 함과 함께 서로 떨어진 위치에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포트가 밸브 기구의 작동과 무관하게 제 1 포트와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한쪽에 급수원에 접속하면,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다른쪽도 급수원에 연통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급수원으로부터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한쪽에 급수하면서, 통수로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 게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다른쪽에도 급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서양식 변기 본체에 개폐 밸브를 갖는 변기 세정 장치를 탑재함과 함께 국부 세정 장치 등의 부속 기기도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 화장실의 벽에 마련되어 있는 급수원과 변기 세정 장치의 개폐 밸브를 하나의 접속관에 의해 접속하고, 개폐 밸브와 부속 기기를 제 2의 접속관을 통하여 접속하면, 변기 세정 장치의 개폐 밸브에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그 부속 기기에도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변기 세정 장치에 의해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과 무관하게 부속 기기에 의해 다른 기능도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원과 서양식 변기 본체와의 사이에는 하나의 접속관이 마련될 뿐이여서, 배관 공간을 생략할 수 있음과 함께, 외관도 향상한다.
부속 기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다른쪽을 밀봉하여 두면 좋다. 예를 들면, 제 1 포트를 입수 포트로서 급수원에 접속한다고 하면, 급수 포트인 제2 포트를 밀봉 가능하게 한다. 밀봉함에 있어서는,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다른쪽에 뚜껑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뚜껑 부재의 부착 구조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나사 고정으로 부착하는 구조라도 좋고, 요철 결합으로 부착하는 구조라도 좋다.
(제 9 발명)
또한, 상기 종래의 수세식 변기용 개폐 밸브에서는, 연통로의 바닥면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냉지 등의 저온 조건하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상 태가 계속되는 경우, 예를 들어 밸브 기구를 개방하여 연통로 내 및 이보다 하류측의 세정수의 물기 제거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연통로 내에 세정수가 잔류하기 쉽다. 이 때문에, 그러한 경우, 연통로 내에서 세정수가 동결하여, 파손이 생기거나, 신속하게 다음회의 사용이 가능하지 않거나 하여, 다음회의 알맞은 사용에 부적합함이 생기는 일이 있다.
제 9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물기 제거 후의 부적합함이 생기는 일이 없는 수세식 변기용 개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9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9 발명의 수세식 변기용 개폐 밸브는, 급수원에 접속되고 세정수를 받아들이는 입수 포트와, 변기 본체에 접속되고 해당 변기 본체에 해당 세정수를 토출하는 출수 포트와, 해당 입수 포트와 해당 출수 포트를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해당 연통로를 개폐 가능한 밸브 기구를 갖는 수세식 변기용 개폐 밸브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의 바닥면은 상기 입수 포트 또는 상기 출수 포트를 향하여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의 수세식 변기용 개폐 밸브에서는, 연통로의 바닥면이 입수 포트 또는 출수 포트를 향하여 아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냉지 등의 저온 조건하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 밸브 기구를 개방하여 연통로 내 및 이보다 하류측의 세정수의 물기 제거를 하면, 연통로 내의 세정수는 입수 포트 또는 출수 포트를 향하여 유출되고, 연통로 내에 세정수가 잔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그러한 경우, 연통로 내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동결이 방지된다.
(제 10 발명)
그러나, 상기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서양식 변기 본체로부터 떨어진 화장실 벽에 변기 세정용 스위치를 수동 핸들과는 독립시켜서 별개로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익숙치 않으면, 변기 세정용 스위치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변기 세정용 스위치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람은 수동 핸들을 수동 조작하여 버리고, 결국, 조작성의 이점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특히, 본 출원인는, 근래, 설치 공간 등의 이점을 고려하여,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를 개발하고 있다.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세정수로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이 가능한 변기 세정 장치를 갖기 때문에, 종래의 변기 세정 탱크 내의 세정수의 급수를 행하는 의미에서의 수동 핸들은 불필요하게 되어, 익숙치 않은 사용자를 더욱 당황하게 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장치로서, 급수원과 서양식 변기 본체와의 사이에서 세정수의 공급·정지를 행하는 개폐 밸브와, 이 개폐 밸브를 개폐시키는 캠 장치와, 사용자의 변기 세정용 스위치의 조작에 의거하여 그 캠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동 모터를 갖는 것을 채용한 경우에는, 정전시 등의 비상용으로서, 캠 장치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 핸들을 예비적으로 아울러 갖는 것이 유효하다. 익숙치 않은 사용자는, 가령 정전시가 아닌 경우에도, 그 수동 핸들이 서양식 변기 본체를 세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착각하는 것도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수동 핸들로 캠 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큰 힘을 필요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무거운 조작감을 주게 될 우려가 있다.
제 10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익숙치 않은 사용자라도 우수한 조작성으로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이 가능한 서양식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10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10 발명의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서양식 변기 본체와, 개폐 밸브와, 수동 핸들을 갖고, 해당 수동 핸들의 요동에 의해 해당 개폐 밸브가 개방되어 해당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이 가능한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수동 핸들에는 접촉 또는 미소한 각도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이 마련되고, 해당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적어도 상기 개폐 밸브의 개방이 어시스트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발명의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익숙치 않아서, 가령 다른데 있는 변기 세정용 스위치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수동 핸들을 가볍게 조작하면, 사용자가 수동 핸들에 접촉한 것 또는 수동 핸들을 미소 각도 변위를 시킨 것을 검출 수단이 검출하고, 이로써 개폐 밸브의 개방이 어시스트 되어,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제 10 발명의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수동 핸들은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에 의해 요동이 어시스트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익숙치 않은 사용자라도, 요동하는 수동 핸들에는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주의하게 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수동 핸들을 돌릴려고 하는 일도 없어진다. 따라서 수동 핸들을 무리하게 돌린 것을 원인으로 하는 오동작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 10 발명의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사용자가 어시스트 때를 알 수 있게 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그 사용자가 필요 이상으로 수동 핸들을 돌릴려고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어시스트 때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단속적인 전자음 등의 음을 발생시키거나, 광을 점멸시키는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 10 발명의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고,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세정수를 개방된 개폐 밸브가 급수하여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이 가능한 변기 세정 장치를 갖는 경우, 수동 핸들이 변기 세정 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익숙치 않은 사용자를 당황하게 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장치로서, 급수원과 서양식 변기 본체와의 사이에서 세정수의 공급·정지를 행하는 개폐 밸브와, 이 개폐 밸브를 개폐시키는 캠 장치와, 사용자의 변기 세정용 스위치 조작에 의거하여 그 캠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동 모터를 갖는 것을 채용한 경우, 정전시 등의 비상용으로서, 캠 장치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 핸들을 예비적으로 아룰러 갖는 것이면, 그 수동 핸들에 검출 수단을 마련하고, 그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 에 의해 적어도 개폐 밸브의 개방이 어시스트 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정전시 등의 비상시에는, 어느 정도의 힘을 필요하게 하지만, 그 수동 핸들로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이 가능함과 함께, 정전시가 아닌 경우, 익숙치 않은 사용자의 무거운 조작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 10 발명에 관한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수도관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서양식 변기 본체에 흘리기 전에 일단 저장하는 변기 세정 탱크를 갖는 탱크식의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변기 세정 탱크의 외면에 마련되는 수동 핸들에 검출 수단을 마련하고, 그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적어도 개폐 밸브의 개방이 어시스트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출 수단으로서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핸들의 접촉 또는 물리적 변위를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센서로서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핸들의 접촉을 검출하는 감압 센서, 사용자에 의한 수동 핸들의 초기 작동시의 토오크를 검출하는 토오크 센서, 사용자에 의한 수동 핸들의 초기 작동을 광으로 검출하는 광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광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양자 사이의 장애물(수동 핸들)의 존재를 검출하는 포토 인터럽터를 채용할 수 있다.
수동 핸들의 요동을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에 의해 어시스트 하기 위해서는, 구동 장치 및 컨트롤러를 채용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개폐 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으로서, 개폐 밸브를 개방시키는 전동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장치는, 서양식 변기 본체에의 세정수의 공급. 정지를 행하기 위해 개폐 밸브를 개폐하는 캠 장치와, 이 캠 장치를 작동시키는 전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CPU를 갖는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제 11 발명)
그러나, 상기 종래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수도관 내의 수도압의 차이가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세정수의 공급량이 불충분하게 되거나, 과잉으로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특히, 수도압이 낮은 경우에는, 세정수의 공급량 부족으로 되어, 서양식 변기 본체에 오물이 잔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불쾌한 냄새의 원인 등, 비위생으로 된다. 이 부적합함은, 세정수의 공급량을 수도압이 낮은 경우에 통일하면 해소 가능하지만, 이렇게 하면, 수도압이 낮지 않는 경우에, 세정수의 공급량이 과잉으로 되어, 불필요한 소비가 생기게 된다.
제 11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위생과 세정수의 쓸데없는 소비와의 양자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11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11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서양식 변기 본체와, 세정수에 의해 해당 서양식 변기 본체를 세정 가능한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해당 변기 세정 장치는, 외부로부터 세정수를 공급하는 수도관에 직결되고, 전기적으로 개폐되어 세정수를 토출 가능한 개폐 밸브를 갖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세정 장치는, 상기 개폐 밸브의 개방 시간을 적어도 2종류 확보하는 제어부와, 설치자가 상기 수도관의 수도압에 따라 해당 제어부를 전환 가능한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제어부가 개폐 밸브의 개방 시간을 적어도 2종류 확보하고 있고, 설치자가 수도관의 수도압에 따라 전환 수단을 전환함으로써, 개폐 밸브의 개방 시간이 선택되게 된다.
이 때문에, 수도관의 수도압에 응한 적절한 개방 시간에서 개폐 밸브가 개방되게 된다. 즉, 수도압이 낮고, 세정수의 토출의 세력이 약한 경우에 있어서도, 개폐 밸브의 개방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서양식 변기 본체의 트랩에 고여 있는 오물을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불쾌한 냄새의 원인 등이 없어지고, 위생적으로 된다.
다른 한편, 수도압이 높고, 세정수의 세력이 강한 경우에 있어서는, 개폐 밸브의 개방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세정수를 소비하지 않는다.
제 11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개폐 밸브가 서양식 변기 본체의 림에 세정수를 토출 가능한 림용 개폐 밸브와, 서양식 변기 본체의 트랩에 세정수를 토출 가능한 제트용 개폐 밸브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는, 대변용과 소변용과의 구별에 의하지 않고, 제트용 개폐 밸브의 개방 시간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양식 변기 본체에 존재하는 오물은, 대변도 소변도, 림용 개폐 밸브를 개 방시킴으로써, 림으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로 트랩에 집합하게 된다. 이 때, 대변을 트랩에 집합시킬 때에는 비교적 큰 공급량의 세정수가 필요한데 대해, 소변을 트랩에 집합시킬 때에는 그다지 크지 않는 공급량의 세정수라도 족하다, ㅍ이 후, 제트용 개폐 밸브를 개방시켜서 강제적으로 사이펀 효과를 생기게 할 때, 대변도 소변도, 이미 트랩에는 오물과 함께 동일한 용량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 공급량의 세정수로 거의 같은 정도의 사이펀 효과는 생긴다. 이 때문에, 제어부는, 대변용과 소변용과의 구별에 의하지 않고, 제트용 개폐 밸브의 개방 시간을 동일하게 하고 있으면 족한다. 이렇게 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의 개방 시간에 있어서는 대변용과 소변용으로 다르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부의 구조가 간이하게 되고,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2706131호 공보에 기재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사용자가 대변용 또는 소변용의 어느 하나의 세정 스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대변용과 소변용에서 제트용 개폐 밸브의 개방 시간에 차이를 마련하고 있다. 확실히 트랩에 집합한 오물을 배출하는 경우, 그 오물이 대변인지 소변인지로서 필요한 사이펀 효과에 차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차는 극히 적고, 이 때문에 제어부의 구조를 복잡화 하고, 제조 비용의 상승화를 초래하는 것은 없다고 할수있다.
(제 12 발명)
또한, 상기 종래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장난이나 변기 세정 장치의 고장에 의해, 개폐 밸브가 이상 상태로 되는 일이 있다. 이 이상 상태가 방치되면, 세정수 가 흐르는 채로 되어, 세정수의 쓸데없는 소비로 된다.
제 12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세정수를 필요없이 소비하지 않는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12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12 발명의 수세식 변기는, 변기 본체와, 세정수에 의해 해당 변기 본체를 세정 가능한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해당 변기 세정 장치는 전기적으로 개폐되어 세정수를 토출 가능한 개폐 밸브를 갖는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세정 장치는, 상기 개폐 밸브의 이상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해당 검지 수단의 이상 신호에 의해 해당 개폐 밸브를 폐쇄 상태로 하는 복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 발명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예를 들어 개폐 밸브가 이상 상태로 되어도, 검지 수단에 의해 이상 신호가 발하여져서, 복귀 수단에 의해 개폐 밸브는 자동적으로 폐쇄 상태로 된다.
제 12 발명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변기 세정 장치는, 검지 수단의 이상 신호에 의해, 이상 상태를 고지하는 고지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변기 세정 장치에 어떠한 이상이 있은 것을 알 수 있고, 신속하게 그 대응책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검지 수단으로서는, 위치 센서, 유량 센서, 수압 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고지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음을 발생시키는 장치나 발광 게이오도를 점멸시키는 장치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2 발명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복귀 수단은, 변기 본체의 적어도 봉수 처리를 행한 후, 개폐 밸브를 폐쇄 상태로 하는 것이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어 개폐 밸브가 이상 상태로 되더라도, 트랩 내가 봉수 처리되게 되어, 배수관을 통하여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복귀 수단은, 변기 본체의 보통의 세정 처리를 행한 후, 개폐 밸브를 폐쇄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어 개폐 밸브가 이상 상태로 되더라도, 변기 본체의 보통의 세정 처리가 적어도 1회 이루어지게 되어, 확실하게 변기 본체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오물이 잔류하는 일이 없고,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위생적으로 된다.
또한, 제 12 발명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복귀 수단은, 일정 회수의 재실행를 초과하면, 개폐 밸브를 폐쇄 상태로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개폐 밸브의 이상 상태에 의해, 변기 본체의 보통의 세정 처리를 행하는 것이 불능인 경우에도, 재실행을 무한 반복하는 일은 없고, 최종적으로 세정수가 흘린 채로 되는 일도 없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방지함과 함께, 불필요한 세정수의 소비도 방지할 수 있다.
개폐 밸브로서는, 스테핑 모터에 의해 구동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검지 수단은, 이 스테핑 모터의 회전각에 상당하는 펄스 수에 의해 개폐 밸브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이로써,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개폐 밸브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개폐 밸브가 현재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용이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3 발명)
또한, 종래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동절기에 있어서, 개폐 밸브 내의 체류수의 동결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자 하는 관리자의 의사(意思)와, 이 관리자에 의한 관리하에서의 사용이 양립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동절기에 있어서는, 개폐 밸브가 완전하게 폐쇄된 상태에서 유지된 경우, 개폐 밸브 내에 체류하는 체류수가 동결하여, 개폐 밸브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절기에 있어서는, 개폐 밸브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수도관을 관리자가 땅속에 있는 지수전에 의해 폐쇄함과 함께, 개폐 밸브를 반개방 상태로 하여, 개폐 밸브 내의 체류수를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 배출하는 물기 제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여 관리자가 물기 제거를 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지수전을 재차 개방하여, 변기 세정 장치의 세정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개폐 밸브가 서양식 변기 본체를 세정하기 위한 일련의 개폐 동작을 행한 후, 개폐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유지되고 정지하게 되면, 사용자의 사용 후, 관리자의 물기 제거가 해제되어 버려서, 개폐 밸브의 동결 방지의 효과를 이룰 수 없게 된다.
제 13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절기에 있어서의 관리자의 의사와 사용자의 사용을 양립 가능한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제 13의 과제로 하고 있다.
제 13 발명의 수세식 변기는, 변기 본체와, 세정수에 의해 해당 변기 본체를 세정 가능한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해당 변기 세정 장치는 개폐에 의해 세정수를 토출 가능한 개폐 밸브를 갖는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세정 장치는, 상기 개폐 밸브를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전기 구동 수단과, 해당 개폐 밸브를 수동에 의해 개방 가능한 수동 핸들과, 해당 개폐 밸브의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해당 검지 수단의 검지 신호에 의해 해당 전기 구동 수단을 소망하는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고, 해당 제어 수단은 해당 개폐 밸브가 해당 수동 핸들에 의해 개방된 초기 상태에서 해당 모드를 실행한 후, 해당 개폐 밸브를 해당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 발명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변기 세정 장치의 전기 구동 수단이 개폐 밸브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고, 변기 세정 장치의 수동 핸들이 개폐 밸브를 수동에 의해 개방 가능하다. 이 때, 변기 세정 장치의 검지 수단은 개폐 밸브의 상태를 검지하고, 변기 세정 장치의 제어 수단은 검지 수단의 검지 신호에 의해 전기 구동 수단을 소망하는 모드로 제어한다.
이 때문에, 제 13 발명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관리자가 동계의 동결 방지를 위해 수동 핸들을 조작하여 개폐 밸브를 반개방 상태로 함과 함께, 땅속에 있는 지수전을 폐쇄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 지수전을 개방하여 세정 스위치를 조작한 경우, 제어 수단은 개폐 밸브가 수동 핸들에 의해 개방된 초기 상태인 모드를 실행한 후, 개폐 밸브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후, 그 지수전이 폐쇄되기만 하면, 개폐 밸브 내의 체류수가 서양식 변기 본체로 배출되는 물기 제거가 유지되고, 개폐 밸브의 동결 방지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 13 발명의 수세식 변기가 광센서 등의 광학적 검출기에 의해 사용자의 유무를 검출하고, 백조적으로 변기의 세정을 행하게 할 수 있는 것인 경우, 수동 핸들에 의해 개폐 밸브를 물기 제거 위치에 설정한 후, 광학적 검출기가 그 관리자를 검지하여, 자동 세정 동작이 시작되어 버리지만, 그 자동 세정 동작 후, 개폐 밸브가 폐쇄되지 않고 물기 제거 상태로 되기 때문에, 유효하다.
제 13 발명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전기 구동 수단으로서 스테핑 모터를 채용하면, 검지 수단으로서, 스테핑 모터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과, 스테핑 모터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위치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펄스 신호와 위치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스테핑 모터를 소망하는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제 1 발명)
이하, 제 1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의 개폐 밸브(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 내에 유체인 세정수를 받아들이는 인렛 포트로서의 입수 포트(21)와, 세정수를 토출하는 아웃렛 포트로서의 출수 포트(23)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에는, 입수 포트(21) 및 출수 포트(23)에 연통하는 피스톤실(25)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실(25)에는 피스톤(3)이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입수 포트(21)는 피스톤(3)의 주면측으로 개구되고, 출수 포트(23)는 피스 톤(3) 축방향의 한쪽측의 단면측에서 하우징(2)의 측면측으로 굴곡하여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3)의 외주부의 링 홈에는 O링(31)이 지지되어 있고, 피스톤(3)의 외주부와 하우징(2)의 내벽면과의 경계영역을 밀폐 하고 있다.
또한, 피스톤실(25) 내에는 하우징(2)과 피스톤(3)의 타단면(3b)에 의해 압력 상쇄실(4)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 상쇄실(4)은 피스톤(3)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로로서의 통공(4a)을 통하여 출수 포트(23)측으로 연통하고 있다. 각 통공(4a)은 피스톤(3)의 일단면(3a)측과 타단면(3b)을 축방향으로 연통하고 있다. 이들 압력 상쇄실(4) 및 각 통공(4a)이 압력 상쇄 수단이다.
압력 상쇄실(4)에는, 가세 수단으로서의 가압 코일 스프링(5)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압 코일 스프링(5)은 하우징(2)과 피스톤(3)의 타단면(3b)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피스톤(3)을 항상 한쪽측, 즉 화살표 Y1 방향으로 가세하고, 입수 포트(21)와 출수 포트(23)와의 연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세력을 갖고 있다.
피스톤(3)의 일단면(3a)에는 피스톤(3)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외부 조작 수단으로서의 샤프트(6)가 동축적으로 고정되고, 하우징(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6)의 선단부는 하우징(2)으로부터 축방향의 한쪽측, 즉 화살표 Y1 방향으로 돌출되고, 캠(70)(도 3 등의 제 1 캠(91) 또는 제 2 캠(92))에 의해 축방향의 다른쪽 측, 즉 화살표 Y2a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캠(70)에 의해 샤프트(6)가 화살표 Y2a 방향으로 가압되면, 피스톤(3)이 연동하여 같은 방향으로 활주한다. 또한, 샤프트(6)와 하우징(2)과의 경계영역은 O링(62)에 의해 밀폐 되어 있다.
상기 개폐 밸브(1)와 마찬가지의 개폐 밸브(1B, 1C)를 준비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림용 개폐 밸브(1B)로 하고, 다른 하나를를 제트용 개폐 밸브(1C)로 하여, 변기 세정 급수 장치(유로 전환 장치(이하, 급수 장치라고 한다.))(7)를 조립한다. 이 급수 장치(7)는, 이들 개폐 밸브(1B, 1C)와, 연결 부재(14B, 14C)와, 한 쌍의 배큠 브레이커(15B, 15C)와, 캠 장치(90)와, 구동 장치(94)와, 수동 조작용의 핸들(95)과,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급수 장치(7)는, 도 5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자기제의 서양식 변기 본체(8)의 후단에 베이스 플레이트(9)를 사이에 두고 조립되고, 커버(81)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위생 기기로서의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가 구성되어 있다. 서양식 변기 본체(8)의 변기보울(80)은, 배설물을 받는 보울부(82)와, 보울부(82)의 상부 주연에 둘러진 림 통수로(83)를 갖는 림(84)과, 보울부(82)의 바닥에 연통하고, 배설물을 흘리는 트랩부(85)와, 트랩부(85)의 입구에 부착된 제트 노즐(8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변기 시트 및 변기 뚜껑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1C)의 입수 포트(21C)에는 측면측으로 돌출하여 플랜지(7a)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7a)에는, 도 5 내지 8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관(101)의 일단이 접속된다. 도관(101)의 타단은 분기 장치(102)에 접속되어 있고, 분기 장치(102)는 플렉시블 호스(103)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지수전을 통하여 수도관 등의 급수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개폐 밸브(1C)의 입수 포트(21C)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개폐 밸브(1)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과 피스톤(3)의 외주면(3f)과의 사이에 형성된 연락로(22)를 통하여 개폐 밸브(1B)의 입수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1C)에는 연결 부재(14C)가 접속되고, 연결 부재(14C)의 상단에는 배큠 브레이커(15C)가 접속되어 있다. 개폐 밸브(1C)의 출수 포트(23c)는 연결 부재(14C)의 출수 포트(24C) 및 배큠 브레이커(15C)의 대기 구멍과 접속되어 있다. 연결 부재(14C)의 출수 포트(24C)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플랜지(7b)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7b)는, 도 5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용 도관(97)에 의해 제트 노즐(87)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1B)에도 연결 부재(14B)가 접속되고, 연결 부재(14B)의 상단에는 배큠 브레이커(15B)가 접속되어 있다. 개폐 밸브(1C)와 마찬가지로 개폐 밸브(1B)의 출수 포트는 연결 부재(14B)의 출수 포트(24B) 및 배큠 브레이커(15B)의 대기 구멍과 접속되어 있다. 연결 부재(14B)의 출수 포트(24B)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플랜지(7c)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7c)는, 도 5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도관(98)에 의해 림 통수로(83)에 연통되어 있다. 림용 도관(98)에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으로 열리고 세정수를 우회전으로 토출 가능한 개구(98a)와, 측면측으로 열리고 세정수를 좌회전으로 토출 가능한 개구(98b)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캠 장치(90)는, 양 개폐 밸브(1B, 1C)에 고정되고, 앞쪽을 향하여 양단이 돌출되여 있는 브래킷(90b)과, 이 브래킷(90b)에 수평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캠 샤프트(90a)와, 이 캠 샤프트(90a)에 고정되고, 각 개폐 밸브(1B, 1C)의 샤프트(6B, 6C)와 외주의 캠 면에 의해 당접 가능한 제 1, 2 캠(91, 92)으로 이루어진다.
구동 장치(94)는, 변속 기어 및 모터를 내장하고 있고,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캠 장치(90)의 캠 샤프트(90a)를 회전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핸들(95)은 구동 장치(94)에 부착되어 있고, 캠 장치(90)의 캠 샤프트(90a)를 수동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급수원, 지수전, 플렉시블 호스(103), 분기 장치(102) 및 도관(101)을 경유하여 세정수가 급수 장치(7)에 공급된다. 급수 장치(7)에서는, 변기보울(80)의 세정을 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이 없는 한, 양 개폐 밸브(1B, 1C)가 폐쇄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개폐 밸브(1)로 설명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5)의 가세력에 의해, 피스톤(3)이 축방향의 한쪽측, 즉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3)은 하우징(2)의 좌면(2a)에 착좌하고, 피스톤(3)의 외주면(3f)이 입수 포트(21)를 폐쇄함과 함께, 피스톤(3)의 일단면(3a)이 출수 포트(23)를 폐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입수 포트(21)와 출수 포트(23)와의 연통이 폐쇄되어 있고, 세정수는 서양식 변기 본체(8)로는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변기보울(80)의 세정을 행할 때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하여,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구동 장치(94)의 모터가 구동하고, 캠 샤프트(90a)가 회전 구동된다. 이로써, 제 1 캠(91)의 캠 면이 개폐 밸브(1B)의 샤프트(6B)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개폐 밸브(1B)를 개방시킨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개폐 밸브(1)로 설명하면, 제 1 캠(91)에 의해 샤프트(6)를 축방향의 다른쪽, 즉 화살표 Y2a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가압 코일 스프링(5)이 탄성 수축하고, 피스톤(3)은 축방향의 다른 방향, 즉 화살표 Y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3)은 하우징(2)의 좌면(2a)으로부터 이좌하고. 입수 포트(21)와 출수 포트(23)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이로써, 급수 장치(7)가 세정수를 림용 도관(98)을 통하여 림 통수로(83)에 급수하고, 보울부(82)의 내벽면을 세정한다.
제 1 캠(91)의 캠 면이 개폐 밸브(1B)의 샤프트(6B)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상기 개폐 밸브(1)의 폐쇄와 마찬가지로 개폐 밸브(1B)가 폐쇄한 후, 제 2 캠(92)의 캠 면이 개폐 밸브(1C)의 샤프트(6C)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개폐 밸브(1)와 마찬가지로 개폐 밸브(1C)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급수 장치(7)가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97)을 통하여 제트 노즐(87)에 급수하고, 트랩부(85)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뒤이어, 제 2 캠(92)의 캠 면이 개폐 밸브(1C)의 샤프트(6C)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상기 개폐 밸브(1)의 폐쇄와 마찬가지로 개폐 밸브(1C)가 폐쇄한 후, 제 1 캠(91)의 캠 면이 개폐 밸브(1B)의 샤프트(6B)를 재차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개폐 밸브(1)와 마찬가지로 개폐 밸브(1B)를 재차 개방시킨다. 이로써, 급수 장치(7)가 세정수를 림용 도관(98)을 통하여 림 통수로(83)에 급수하고, 보울부(82)를 봉수한다.
이렇게 하여, 실시 형태의 양 개폐 밸브(1B, 1C)에서는, 샤프트(6B, 6C)의 외부 조작에 의해 입수 포트와 출수 포트와의 연통의 개방도가 조정 가능하다. 이하,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개폐 밸브(1)로 설명하면, 피스톤(3)에 의해 입수 포트(21)와 출수 포트(23)와의 연통의 개폐를 행하기 때문에, 피스톤(3)은 출수 포트(23) 내의 세정수에 의해 다른쪽 측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이 때, 가요성을 갖지 않는 피스톤(3)은 이 다른쪽 측으로의 압력에 의해 개방측으로 휘는 일은 없다. 그러나, 피스톤(3)의 활주를 위한 공간을 마련한 것만으로는, 이러한 다른쪽 측으로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3)은 축방향의 활주성이 저해되어 버린다. 이 점, 개폐 밸브(1)에서는, 피스톤(3)외 다른쪽 측에 압력 상쇄실(4)을 형성하고, 피스톤(3)의 한쪽측과 이 압력 상쇄실(4)을 복수개의 통공(4a)에 의해 연통하였기 때문에, 출수 포트(23)로부터 피스톤(3)의 한쪽측에 존재하는 세정수가 통공(4a)을 통하여 압력 상쇄실(4)로 이동하여, 압력 상쇄실(4) 내의 세정수의 압력과, 피스톤(3)의 한쪽측의 세정수 압력과의 균형이 도모되어, 양자의 차이압이 해소 또는 감소된다. 이로써 피스톤(3) 축방향의 활주성이 확보된다. 이 때문에, 이 개폐 밸브(1)에서는, 작동 응답성이 안정되고,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세정성 등에 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개폐 밸브(1)에서는, 피스톤(3)에 통공(4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 통공(4a)을 간이하게 축방향으로 뚫을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3)에 통공(4a)을 축방향으로 뚫고 있기 때문에, 통공(4a) 내를 이동하는 세정수가 피스톤(3)의 활주시에 저항을 받지 않아, 피스톤(3)의 활주성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개폐 밸브(1)에서는, 하우징(2)의 입수 포트(21)가 피스 톤(3)의 주면측으로 개구되고, 하우징(2)의 출수 포트(23)가 피스톤(3) 축방향의 한쪽측의 단면측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3)은 입수 포트(21) 내의 세정수에 의해 다른쪽 측으로 압력을 받지 않고, 개폐 밸브(1)가 사용되는 환경 등에 의해 입수 포트(21) 내의 세정수의 압력이 과잉하게 높거나, 또는 낮거나 하여도, 그것에 의해 피스톤(3)의 활주성이 변화 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 조작 수단으로서, 피스톤(3)에 고정되고 하우징(2)으로부터 돌출되고, 가압 코일 스프링(5)과 대항하면서 피스톤(3)을 축방향으로 활주시키는 샤프트(6)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개폐 밸브와 같은 전자 밸브를 채용할 필요가 없고, 개폐 밸브(1)의 제조 비용을 저렴화 할 수 있다. 특히, 실시 형태에 도시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한 쌍의 개폐 밸브(1B, 1C)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효과가 크다. 또한, 이들 개폐 밸브(1B, 1C)를 1개의 캠 샤프트(90a)에 고정한 제 1, 2 캠(91, 92)으로 개폐할 수 있어서, 더욱 효과가 크다.
또한, 실시 형태의 개폐 밸브(1)에서는, 가압 코일 스프링(5)이 피스톤(3)을 축방향의 한쪽측으로 가세하고, 샤프트(6)가 한쪽측으로 돌출되여 있기 때문에, 비교적 염가의 가압 코일 스프링(5)를 채용하고, 이 가압 코일 스프링(5)의 가세력에 의해 피스톤(3)이 입수 포트(21)와 출수 포트(23)와의 연통을 폐쇄할 수 있는 한편, 입수 포트(21)와 출수 포트(23)와의 연통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압 코일 스프링(5)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샤프트(6)를 다른쪽 측으로 누르기 위한 캠(70)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캠(70)은, 입수 포트(21)와 출수 포트(23)와의 연통을 개방하기 위해, 샤프트(6)를 다른쪽 측으로 누르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구조가 비교 적 간이하게 되고, 개폐 밸브(1)의 제조 비용을 저렴화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개폐 밸브(1)에서는, 캠(70) 및 샤프트(6)를 통한 피스톤(3)의 동작에 의해 폐쇄·개방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수를 대유량으로 흘려도, 급한 폐쇄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워터해머의 발생을 방지하고, 소음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개폐 밸브(1)에서는, 소형의 피스톤(3)이라도 그 동작에 의해 세정수의 저압시에 있어서 충분히 개방을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반드시 대형화 하지 않고,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의 우수한 탑재성을 발휘하고 있다.
(제 2 발명)
이하, 제 2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 1 내지 6을 도 10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 관해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변기 세정 급수 장치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1)에 탑재되고,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서양식 수세식 변기인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를 구성하고 있다.
서양식 변기 본체(1)는, 배설물을 받는 보울부(10)를 갖는 변기보울(11)과, 보울부(10)의 상부 주연에 둘러진 림 통수로(12)를 갖는 림(13)과, 보울부(10)의 바닥에 연통하고 배설물을 흘리는 트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트랩부(14)의 입구 에는 제트 노즐(1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서양식 변기 본체(1)에는, 제트 노즐(15)에 급수하는 제트용 도관(18)과, 림 통수로(12)에 급수하는 림용 도관(19)이 마련되어 있다. 림용 도관(19)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으로 열리고 세정수를 우회전으로 토출 가능한 개구(19a)와, 측면측으로 열리고 세정수를 좌회전으로 토출 가능한 개구(19b)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의 폭방향의 편측에는, 변기 세정천의 세정수와 다른 용도의 세정수로 분수(分水)하기 위한 분기 장치(2)가 마련되어 있다. 분기 장치(2)는, 플렉시블 호스(21)에 의해 도시 생략의 지수전을 통하여 수도관 등의 급수원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 장치(2)와 본 실시 형태의 변기 세정 급수 장치(이하, 급수 장치라고 한다.)(3)는 급수 도관(23)으로 연통하고 있고, 분기 장치(2)에서 분기된 세정수는, 급수 도관(23)을 통하여 급수 장치(3)에 공급되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3에서는 변기 뚜껑 및 변기 시트는 생략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급수 장치(3)에 관해 더욱 설명을 가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장치(3)는,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에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분기 장치(2)와 반대측에 위치하여 조립되어 있고, 커버(32)에 의해 덮여져 은폐되어 있다. 급수 장치(3)는, 림용 도관(19a)에 의해 림 통수로(12)에 급수하는 림용 개폐 밸브(4R)와, 제트용 도관(18)에 의해 제트 노즐(15)에 급수하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와, 개폐 밸브(4R, 4J)를 개폐하기 위한 공통 구동원으로서 기능하는 캠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 와 같이, 2개의 개폐 밸브(4R, 4J)는 서로 인접하여 세로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내부 구조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도시 좌측이 하측으로 되고, 도시 우측이 상측으로 된다. 제트용 개폐 밸브(4J)는, 세정수를 받아들이는 입수 포트(42)와 세정수를 토출하는 출수 포트(43)를 갖는 밸브 하우징(41)과, 밸브 하우징(41)에 마련된 밸브 기구(45)를 갖는다. 밸브 하우징(41)의 내부에는, 입수 포트(42) 및 출수 포트(43)에 연통하는 피스톤실(44)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기구(45)는, 피스톤실(44)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 피스톤(46)과, 밸브 하우징(41)의 상단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도록 피스톤(46)의 일단면(상단면)에 동축적으로 고정된 샤프트(47)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41)에 있어서, 입수 포트(42)는 피스톤(46)의 주면측으로 개구되고, 출수 포트(43)는 피스톤(46) 축방향의 한쪽측의 단면 측으로부터 밸브 하우징(41)의 측면측으로 굴곡하여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46)의 외주부의 링 홈에는 O링(48)이 지지되어 있고, O링(48)에 의해 피스톤(46)의 외주부와 밸브 하우징(41)의 내벽면과의 경계영역은 밀폐 되어 있다. 샤프트(47)와 밸브 하우징(41)과의 경계영역은 O링(49)에 의해 밀폐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실(44) 내에는, 밸브 하우징(41)과 피스톤(46)의 타단면에 의해 압력 상쇄실(50)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 상쇄실(50)은 피스톤(46)에 형성된 통로로서의 복수개의 통공(51)을 통하여 출수 포트(43)측으로 연통되어 있다. 각 통공(51)은 피스톤(46)의 일단면(46a)측과 타단면(46b)측을 축방향으로 연통하고 있다. 압력 상쇄실(50)에는, 가세 수단으로서의 가압 코일 스프링(52)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압 코일 스프링(52)은 밸브 하우징(41)과 피스톤(46)의 타단면(46b)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피스톤(46)을 항상 화살표 Y1 방향 즉 윗쪽으로 가세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폐쇄하게 되어 있다.
샤프트(47)의 선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41)으로부터 화살표 Y1 방향 즉 윗쪽으로 돌출되고, 캠 장치(8)에 의해 화살표 Y2a 방향 즉 아래쪽으로 가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캠 장치(8)에 의해 샤프트(47)가 화살표 Y2a 방향으로 가압되면, 피스톤(46)이 연동하여 같은 방향으로 활주하고, 피스톤(46)이 좌면(41x)으로부터 이좌하여.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를 연통시킨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내부 구조도 제트용 개폐 밸브(4J) 내부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밸브 하우징(41)과 피스톤(46)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링 형상의 연통로(54)를 통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입수 포트(42)와 림용 개폐 밸브(4R)의 입수 포트(42)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47)의 선단(상단)에는, 캠과의 활주 원활성을 확보하는 구면부(47x)가 마련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입수 포트(42)에는 측면측으로 돌출되어 플랜지(42a)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42a)에는 급수 도관(2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급수 장치(3)에 있어서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에 연결 부재(6J)가 화살표 F1 방향 즉 변기보울(11)의 앞부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연결 부재(6J)의 상단부에는 대기로 개방하는 배큠 브레이커(61J)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출수 포트(43)는, 연결 부 재(6J)의 출수 포트(6c)와 배큠 브레이커(61J)의 대기 구멍에 연통되어 있다. 연결 부재(6J)의 출수 포트(6c)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플랜지(6e)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6e)는 제트용 도관(18)에 의해 제트 노즐(15)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한편,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4R)에도 연결 부재(6R)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연결 부재(6R)의 상단부에는 대기로 개방하는 배큠 브레이커(61R)가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출수 포트(43)는, 연결 부재(6R)의 출수 포트(6c) 및 배큠 브레이커(61R)의 대기 구멍과 접속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연결 부재(6R)의 출수 포트(6c)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플랜지(6e)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6e)는, 림용 도관(19)에 의해 림 통수로(12)에 연통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장치(3)의 주 요소인 캠 장치(8)는, 개폐 밸브(4R, 4J)의 윗쪽에 배치되고, 앞쪽 즉 변기보울(11)의 앞부분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부착편(81)을 갖는 브래킷(82)으로 지지되어 있다. 즉, 캠 장치(8)는, 부착편(81)에 수평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로서의 회전축(83)과, 회전축(83)에 이것의 축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을 구비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83)은 변기보울(11)의 폭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회전축(83)이 회전하면,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은 변기보울(11)의 높이 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이로써, 제 1 캠(85)의 외주의 캠 면은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종동자에 상당)에 맞닿고, 이것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제 2 캠(86)의 외주의 캠 면은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종동자에 상당)에 맞닿고, 이것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도 11 내지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장치(3)에는, 캠 장치(8)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7)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치(7)는 브래킷(82)의 한쪽 부착편(81)에 고정되어 있고, 모터(71)와, 모터(71)의 회전력을 회전축(83)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를 내장하고 있고,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회전축(83)을 회전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 장치(7)에는, 캠 장치(8)의 회전축(83)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수동축(74)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수동축(74)은 조작 핸들(75)을 갖고, 조작 핸들(75)과 함께 급수 장치(3)에 대해 탈착 가능 또는 접어 적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동축(74)을 탈착 또는 접어개여 두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개폐 밸브(4R, 4J), 모터(71) 및 캠 장치(8)는, 단일의 공통의 베이스 플레이트(31)에 의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급수원, 지수전, 플렉시블 호스(21), 분기 장치(2) 및 급수 도관(23)을 경유하여 세정수가 급수 장치(3)에 공급된다. 급수 장치(3)에서는,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이 없는 한, 양 개폐 밸브(4J, 4R)가 폐쇄되어 있다. 즉, 도 14 및 도 15로 설명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52)의 가세력에 의해, 피스톤(46)이 축방향의 한쪽측, 즉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46)은 밸브 하우징(41)의 좌면(41x)에 착좌하고, 피스톤(46)의 외주면이 입수 포트(42)를 폐쇄함과 함께, 피스톤(46)의 일단면(46a)이 출수 포트(43)를 폐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이 폐쇄되어 있고, 세정수는 서양식 변기 본체(1)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할 때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하여,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구동 장치(7)의 모터(71)가 구동하고, 회전축(83)이 회전 구동된다. 이로써,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방시킨다. 도 14 및 도 15로 설명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52)이 탄성 수축하고, 피스톤(46)은 축방향의 다른 방향, 즉 화살표 Y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46)은 밸브 하우징(41)의 좌면(41x)으로부터 이좌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는 연통을 개방한다. 이로써, 급수 장치(3)가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의 내벽면을 세정한다.
캠 장치(8)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림용 개폐 밸브(4R)가 폐쇄된다. 그 후, 제 2 캠(86)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급수 장치(3)가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8)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급수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 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뒤이어, 캠 장치(8)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2 캠(86)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폐쇄된다. 그 후,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재차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를 재차 개방시킨다. 이로써, 급수 장치(3)가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를 봉수한다.
이하, 도 14 및 도 15로 설명하면, 피스톤(46)에 의해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의 개폐를 행하기 때문에, 피스톤(46)은 출수 포트(43) 내의 세정수에 의해 다른쪽 측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이 때, 가요성을 갖지 않는 피스톤(46)은 이 다른쪽 측으로의 압력에 의해 개방측으로 휘는 일은 없다. 그러나, 피스톤(46)의 활주를 위한 공간을 마련한 것만으로는, 이러한 다른쪽 측으로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46)은 축방향의 활주성이 저해되어 버린다. 이 점, 개폐 밸브(4J, 4R)에서는, 피스톤(46)의 다른쪽 측에 압력 상쇄실(50)을 형성하고, 피스톤(46)의 한쪽측과 이 압력 상쇄실(50)을 복수개의 통공(51)에 의해 연통하였기 때문에, 출수 포트(43)로부터 피스톤(46)의 한쪽측에 존재하는 세정수가 통공(51)을 통하여 압력 상쇄실(50)로 이동하고, 압력 상쇄실(50) 내의 세정수의 압력과, 피스톤(46)의 한쪽측의 세정수 압력과의 균형이 도모되고, 양자의 차이압이 해소 또는 감소된다. 이로써 피스톤(46) 축방향의 활주성이 확보된다.
또한, 피스톤(46)에 통공(51)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 통공(51)을 간이 하게 축방향으로 뚫을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46)에 통공(51)을 축방향으로 뚫고 있기 때문에, 통공(51) 내를 이동하는 세정수가 피스톤(46)의 활주시에 저항을 받지 않고, 피스톤(46)의 활주성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41)의 입수 포트(42)가 피스톤(46)의 주면측으로 개구되고, 밸브 하우징(41)의 출수 포트(43)가 피스톤(46) 축방향의 한쪽측의 단면측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46)은 입수 포트(42) 내의 세정수에 의해 다른쪽 측으로 압력을 받지 않고, 개폐 밸브가 사용되는 환경 등에 의해 입수 포트(42) 내의 세정수의 압력이 과잉하게 높거나, 또는 낮거나 하여도, 그것에 의해 피스톤(46)의 활주성이 변화 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기구(45)인 피스톤(46)을 개방시킴에 있어서, 캠 장치(8)를 이용하고 있다. 캠 장치(8)의 제 1 캠(85)은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와 기계적으로 결합한 것이고, 제 2 캠(86)은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와 기계적으로 결합한 것이다. 이 때문에, 제 1, 2 캠(85, 86)에 의한 구동력은 샤프트(47)에 기계적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 밸브(4J, 4R)를 개폐시키는 캠 장치(8)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은 솔레노이드를 가지며, 고비용의 전자 밸브를 채용할 필요가 없어서, 급수 장치(3)의 제조 비용을 저렴화 할 수 있다.
특히, 실시 형태에 도시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제트 노즐(15) 및 림 통수로(12)에의 급수에 한 쌍의 개폐 밸브(4J, 4R)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효과가 크다. 또한, 이들 개폐 밸브(4J, 4R)를 1개의 회전축(83)에 고정한 제 1, 2 캠(85, 86)으로 개폐할 수 있어서, 더욱 효과가 크다.
또한, 제 1, 2 캠(85, 86)의 프로필 선택에 의해, 밸브 기구(45)의 개방 속도·폐쇄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급격한 개방 및 급격한 폐쇄를 억제할 수 있고, 소음, 워터해머 현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방이나 폐쇄할 때, 모터(71)로 캠 장치(8)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수동축(74)에 의해 캠 장치(8)를 구동한 경우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캠 장치(8)의 구동을 도중에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밸브 기구(45)의 개방량이나 폐쇄량을 도중의 단계에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때문에, 세정수를 소량씩 변기(1)에 계속 흘릴 수 있고, 이렇게 하면 한냉시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동결 방지에도 유리하게 된다.
또한, 개폐 밸브(4R, 4J)에서는, 가압 코일 스프링(52)이 피스톤(46)을 축방향의 한쪽측으로 가세하고, 샤프트(47)가 한쪽으로 돌출되여 있기 때문에, 비교적 염가의 가압 코일 스프링(52)을 채용하고, 이 가압 코일 스프링(52)의 가세력에 의해 피스톤(46)이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폐쇄할 수 있는 한편,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압 코일 스프링(52)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샤프트(47)를 다른쪽 측으로 누르기 위한 캠 장치(8)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캠 장치(8)는,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개방하기 위해, 샤프트(47)를 누르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구조가 비교적 간이하게 되고, 제조 비용을 저렴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급수 장치(3), 밸브 기구(45)의 작동의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음과 함께, 한냉시 등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동결 방지가 가능하고, 또한 비교적 저비 용이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도 18 내지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2는 실시 형태 1과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이고,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의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인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다른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연결 부재(6J)와 림용 개폐 밸브(4R)의 연결 부재(6R)는, 서로 소정 거리 떨어지도록,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밸브 하우징(41)과 림용 개폐 밸브(4R)의 밸브 하우징(41)의 측방, 즉 변기보울(11)의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6J, 6R) 사이에 제 1, 2 캠(85, 86) 및 개폐 밸브(4J, 4R)가 위치하고 있다. 설치 공간, 배관 사정 등을 고려한 것이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3에 관해 도 20 내지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3은 실시 형태 1과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이고,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의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인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다른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연결 부재(6J)와 림용 개폐 밸브(4R)의 연결 부재(6R)는 서로 독립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와 림용 개폐 밸브(4R)와의 사이에는, 양자에 공통화 된 연결 부재(6C) 가 마련되어 있다.
공통화 된 연결 부재(6C)는, 대기로 연통하는 공통 배큠 브레이커(61C)에 연통하는 출수 포트(6m, 6n)를 갖는다. 출수 포트(6m)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출수 포트(43)에 연통함과 함께, 출수 포트(6n)는 림용 개폐 밸브(4R)의 출수 포트(43)에 연통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화 된 연결 부재(6C)는, 회전축(83)의 축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 1 캠(85)과 제 2 캠(86)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축(83)의 축길이가 길어지고, 제 1 캠(85)과 제 2 캠(86)과의 간격이 증가하고 있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4에 관새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4는 실시 형태 1과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이고,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의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인다. 이도, 실시 형태 1과 다른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에는, 림용 개폐 밸브(4R) 및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서로 대향하도록 또한 상하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1)에는, 구동 장치(7)가 개폐 밸브(4R)의 측방에 부착되어 있다.
캠 장치(8D)는, 베이스 플레이트(31)에 지지된 회전축(83D)과, 회전축(83D)에 일체로 마련되고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로서의 기어(87)와, 기어(87)의 상면부에 돌출된 제 1 캠(85D)과, 기어(87)의 하면부에 돌출된 제 2 캠(86D)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캠(85D) 및 제 2 캠(86D)은, 기어(87)의 둘레 방향에 따라 경사 된 캠 면을 갖는다.
회전축(83D)은 세로형이고, 베이스 플레이트(31)에 고정된 축받이(90a, 90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캠(85D)은,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에 피착된 활주 캡(47s)에 결합된다. 제 2 캠(86D)은,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에 피착된 활주 캡(47s)에 결합된다. 활주 캡(47s)은 내마모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마찰 저항을 저감하고자 구면 형상의 외면을 갖는다.
구동 장치(7D)는,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부착되는 하향의 모터축(72)을 갖는 모터(71)와,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마련된 축받이(90e, 90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모터축(72)에 결합되는 구동축(77)과, 구동축(77)에 지지되고 수평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78)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78) 및 기어(87)는 서로 맞물린다.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하여 구동 장치(7D)의 모터(71)가 구동한다. 그러면, 모터축(72), 구동축(77) 및 구동 기어(78)가 회전하고, 이로써 구동 기어(78)와 역방향으로 기어(87)가 이것의 축심(P4)의 주변을 수평 방향에 따라 회전하고, 제 1 캠(85D)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3 방향 즉 윗쪽으로 가압하고, 이 결과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방시킨다. 도 14 및 도 15로 설명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52)이 탄성 수축하고, 피스톤(46)은 좌면(41x)으로부터 이좌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수가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공급되고, 보울부(10)의 내면을 세정한다.
제 1 캠(85D)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3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면, 림용 개폐 밸브(4R)가 폐쇄된다. 그 후, 제 2 캠(86D)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4 방향 즉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8)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급수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뒤이어, 제 2 캠(86D)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4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폐쇄한 후, 제 1 캠(85D)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재차 화살표 Y3 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를 재차 개방시킨다. 이로써 재차,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를 봉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측을 하측으로 림용 개폐 밸브(4R)를 상측으로 배치하고 있지만, 역으로, 제트용 개폐 밸브(4J)측을 상측으로, 림용 개폐 밸브(4R)를 하측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공간 등의 사정을 고려하여, 세로형의 림용 개폐 밸브(4R)와 세로형의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서로 맞닿도록 대면하고 있고, 회전축(83D), 구동축(77) 및 샤프트(47)는 함께 세로형으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개폐 밸브(4J, 4R)의 폭방향으로 있어서의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5에 관해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5는 실시 형태 4와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이고,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의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인다. 이하, 실시 형태 4와 다른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의 하면부에는, 제트용 개폐 밸브(4J), 림용 개폐 밸브(4R) 및 구동 장치(7E)의 모터(71)가 병설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캠 장치(8E)는,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축받이(90s)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세로형의 제 1 회전축(91)과,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축받이(90t)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세로형의 제 2 회전축(92)과, 제 1 회전축(91)에 일체로 마련되고 수평 방향에 따라 축심의 주변을 회전하는 회전체로서의 제 1 기어(93)와, 제 1 기어(93)의 하면부에 돌출된 제 1 캠(85E) , 제 2 회전축(92)에 일체로 마련되고 수평 방향으로 축심의 주변을 회전함과 함께 제 1 기어(93)와 맞물린 회전체로서의 제 2 기어(94)와, 제 2 기어(94)의 하면부에 돌출된 제 2 캠(86E)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캠(85E) 및 제 2 캠(86E)은 경사면을 갖는다.
구동 장치(7E)는, 베이스 플레이트(31)의 하면부에 부착되고 윗로 향하는 모터축(72)을 갖는 모터(71)와,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마련된 축받이(90u)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모터축(72)에 결합되는 세로형의 구동축(77)과, 구동축(77)으로 지지되는 제 1 기어(93)와 맞물리고 수평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78)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하여 구동 장치(7E)의 모터(71)가 구동한다. 그러면, 모터축(72) 및 구동축(77)이 일체로 회전하고, 구동 기어(78)가 회전하고, 이로써 구동 기어(78)와 역방향으로 제 1 기어(93)가 이것의 축심(P6)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 1 기어(93)와 역방향으로 제 2 기어(94)가 이것의 축심(P7)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기어(93)의 회전에 의해, 제 1 캠(85E)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5 방향 즉 아래쪽으로 가압하고,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방시키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52)이 탄성 수축하고, 피스톤(46)은 좌면(41x)으로부터 이좌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개방시킨.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수가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공급되고, 보울부(10)의 내면를 세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캠 장치(8E)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5 방향 즉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림용 개폐 밸브(4R)가 폐쇄한 후, 제 2 기어(94)의 제 2 캠(86E)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6 방향 즉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8)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급수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뒤이어, 본 실시 형태의 캠 장치(8E)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2 캠(86E)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6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 어,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폐쇄한 후, 제 1 캠(85E)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재차 화살표 Y5 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를 재차 개방시킨다. 이로써,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를 봉수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캠 장치(8E)에서는, 제 1 캠(85E)는 제 1 기어(93)의 하면부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캠(86E)은 제 2 기어(94)의 하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치는 사용에 있어서도, 제 1 캠(85E) 및 제 2 캠(86E)에 먼지, 물 등의 이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캠(85E) 및 제 2 캠(86E)의 원활한 작동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공간 등의 사정을 고려하여, 세로형의 림용 개폐 밸브(4R)와 세로형의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서로 인접상태로 병설되어 있다.
(실시 형태 6)
실시 형태 6에 관해 도 24 내지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6은 실시 형태 5와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이고,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의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인다. 이하, 실시 형태 5와 다른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캠 장치(8F)는, 서로 대향하는 부착편(81)을 갖는 브래킷(82)에 부착되어 있고, 부착편(81)에 수평 방향에 따라 가설된 회전축(83)과, 회전축(83)에 일체적으로 동축적으로 지지되는 제 1 캠(85F) 및 제 2 캠(86F)을 구비하고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캠(85F)은, 둘레 방향으로 1주하는 링 벽부(97)와, 링 벽 부(97)의 내주면에 안쪽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개의 캠 부(98)를 갖는다. 캠 부(98)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배향하는 경사면(98a, 98b), 경사면(98a, 98b)끼리를 연결하는 연접면(98c)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개폐 밸브(4R, 4J)는 샤프트(47)를 당겨서 개방하는 형태이다. 개폐 밸브(4R, 4J)에 마련되어 있는 샤프트(47)의 상단부에는, 횡단면 원형 모양을 한 핀 형상의 걸림자(99)가 마련되어 있다.
캠 장치(8F)의 회전축(83)이 회전하여 제 1 캠(85F)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부(98)의 경사면(98a)에 의해 걸림자(99) 및 샤프트(47)가 화살표 Y7 방향 즉 윗쪽으로 당겨지고, 더욱 캠 부(98)의 연접면(98c)이 걸림자(99) 및 샤프트(47)의 윗쪽으로 계속 당긴다. 또한 제 1 캠(85F)이 회전하면, 샤프트(47)를 가압하고 있는 스프링 또는 중력에 의해, 걸림자(99)는 경사면(98b)에 따라 내려간다. 그 후는 링 벽부(97)의 내주면(97k)에 따라 걸림자(99)는 상대 이동한다. 연접면(98c)의 둘레 길이는, 걸림자(99) 및 샤프트(47)를 들어올려서 개폐 밸브(4R)를 개방시키고 있는 영역이고,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개폐 밸브(4R)를 개폐시키는 제 1 캠(85F)의 캠 작용에 관한 것이지만, 다른쪽의 제 2 캠(86F)도 마찬가지 캠 작용을 이루어서, 개폐 밸브(4J)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83)의 축 단부에 동축적으로 구동 장치(7F)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치(7F), 회전축(73)의 축 단부에 결합되는 모터축(72)을 갖는 모터(71)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7F)의 모터(71)가 구동한다. 그러면, 모터축(72) 및 회전축(83)이 일체로 회전하고, 제 1 캠(85F) 및 제 2 캠(86F)이 회전한다. 제 1 캠(85F)의 회전에 의해, 제 1 캠(85F)의 캠 부(98)가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7 방향 즉 윗방향으로 당기고,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수가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공급하고, 보울부(10)의 내면을 세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캠 장치(8F)의 거듭된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캠(85F)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7 방향으로 당기지 않게 되고, 림용 개폐 밸브(4R)가 폐쇄된다. 그 후 제 2 캠(86F)의 캠 부(98)가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8 방향으로 당겨서,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8)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급수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뒤이어, 제 2 캠(86F)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7 방향으로 당기지 않게 되고,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폐쇄된다. 그 후, 제 1 캠(85F)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재차 화살표 Y7 방향으로 당겨서, 림용 개폐 밸브(4R)를 재차 개방시킨다. 이로써 세정수를 림용의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를 봉수한다.
(제 3 발명)
이하, 제 3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 1 내지 6을 도 26 내지 40 참조하면 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 관해 도 26 내지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1)는, 배설물을 받는 보울부(10)를 갖는 변기보울(11)과, 보울부(10)의 상부 주연에 둘러진 림 통수로(12)를 갖는 림(13)과, 보울부(10)의 바닥에 연통하고 배설물을 흘리는 트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트랩부(14)의 입구에는 제트 노즐(15)이 구비되어 있다,
서양식 변기 본체(1)에는, 제트 노즐(15)에 급수하는 유로로서의 제트용 도관(18)과, 림 통수로(12)에 급수하는 유로로서의 림용 도관(19)이 마련되어 있다. 림용 도관(19)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으로 열리고 세정수를 우회전으로 토출 가능한 개구(19a)와, 측면측으로 열리고 세정수를 좌회전으로 토출 가능한 개구(19b)를 구비하고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의 폭방향의 편측에는, 변기 세정용의 세정수와 다른 용도의 세정수로 분수하기 위한 분기 장치(2)가 마련되어 있다. 분기 장치(2)는, 플렉시블 호스(21)에 의해 도시 생략된 지수전을 통하여 수도관 등의 급수원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 장치(2)와 변기 세정 장치(3)는 도관(23)으로 연통하고 있고, 분기 장치(2)에서 분기된 세정수는, 도관(23)을 통하여 변기 세정 장치(3)에 공급되다. 또한, 도 26 내지 도 29에서는 변기 뚜껑 및 변기 시트는 생략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인 변기 세정 장치(3)에 관해 더욱 설명을 가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3)는,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에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분기 장치(2)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조립되어 있고, 커버(32)에 의해 덮여져 은폐되어 있다.
변기 세정 장치(3)는, 림 통수로(12)에 급수하는 림용 개폐 밸브(4R), 제트 노즐(15)에 급수하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와, 개폐 밸브(4R, 4J)를 개폐하기 위한 공통 구동원으로서 기능하는 캠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7 내지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개폐 밸브(4R, 4J)는 세로가 긴 형상이고, 서로 인접하여 병설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4J) 내부 구조는 도 30(A) 및 (B)에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4J), 세정수를 받아들이는 입수 포트(42)와 세정수를 토출하는 출수 포트(43)를 갖는 세로가 긴 형상의 밸브 하우징(41)과, 밸브 하우징(41)에 마련된 밸브 기구(45)를 갖는다. 밸브 하우징(41)의 내부에는, 입수 포트(42) 및 출수 포트(43)에 연통하는 피스톤실(44)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기구(45)는, 피스톤실(44)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 피스톤(46)과, 밸브 하우징(41)의 상단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도록 피스톤(46)의 일단면(상단면)에 동축적으로 고정된 샤프트(47)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47)는 횡단면 원형 모양을 하고 있고, 금속 또는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종방향에 따라, 즉 높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샤프트(47)와 밸브 하우징(41)과의 경계영역은 O링(49)에 의해 밀폐 되어 있 다.
밸브 하우징(41)에 있어서, 입수 포트(42)는 피스톤(46)의 주면측으로 개구되고 수도관 등의 급수원에 연통하고 있고, 출수 포트(43)는 피스톤(46) 축방향의 일단면(46a) 측으로부터 밸브 하우징(41)의 측면측으로 굴곡하여 개구되어 있다. 도 30 (A) 및 (B)에서는, 출수 포트(43)는 본래적으로는 단면으로서 나타내여지지 않지만, 이해 용이화를 위해 단면으로서 도시한다. 피스톤(46)의 외주부의 링 홈에는 O링(48)이 지지되어 있고, O링(48)에 의해 피스톤(46)의 외주부와 밸브 하우징(41)의 내벽면과의 경계영역은 밀폐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실(44) 내에는, 밸브 하우징(41)과 피스톤(46)의 타단면에 의해 압력 상쇄실(50)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 상쇄실(50)은 피스톤(46)에 형성된 통로로서의 복수개의 통공(51)을 통하여 출수 포트(43)측으로 연통하고 있다. 각 통공(51)은 피스톤(46)의 일단면(46a)측과 타단면(46b)측을 축방향으로 연통하고 있다. 압력 상쇄실(50)에는, 가세 수단으로서의 가압 코일 스프링(52)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압 코일 스프링(52)은 밸브 하우징(41)과 피스톤(46)의 타단면(46b)와의 사이에 개장되고, 피스톤(46)을 항상 화살표 Y1 방향 즉 윗쪽으로 가세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폐쇄하게 되어 있다. 샤프트(47)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41)로부터 화살표 Y1 방향 즉 윗쪽으로 돌출되고, 캠 장치(8)에 의해 화살표 Y2a 방향 즉 아래쪽으로 가압되게 되어 있다. 캠 장치(8)에 의해 샤프트(47)의 선단이 화살표 Y2a 방향으로 가압되면, 피스톤(46)이 연동하여 같은 방향으로 활주하고, 피스톤(46)이 좌면(41x)으로부터 이좌 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가 연통한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내부 구조에 관해서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내부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밸브 하우징(41)과 피스톤(46)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링 형상의 연통로(54)를 통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입수 포트(42)와 림용 개폐 밸브(4R)의 입수 포트(42)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47)의 상단에는, 캠 장치(8)의 제 1 캠(85)과의 활주 원활성을 확보하는 구면부(47x)가 마련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입수 포트(42)에는 측면측으로 돌출되어 플랜지(42a)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42a)에는 도관(2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변기 세정 장치(3)에 있어서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에는 연결 부재(6J)가 화살표 F1 방향 즉 변기보울(11)의 앞부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연결 부재(6J)의 상단부에는 대기로 개방하는 배큠 브레이커(61J)가 마련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출수 포트(43)는, 연결 부재(6J)의 출수 포트(6c)와 배큠 브레이커(61J)의 대기 구멍에 연통되어 있다. 연결 부재(6J)의 출수 포트(6c)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플랜지(6e)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6e)는 제트용 도관(18)에 의해 제트 노즐(15)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한편,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4R)에도 연결 부재(6R)가 마련되어 있고, 연결 부재(6R)의 상단부에는 대기로 개방하는 배큠 브레이커(61R)가 접속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출수 포트(43)는, 연결 부 재(6R)의 출수 포트(6c) 및 배큠 브레이커(61R)의 대기 구멍과 접속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연결 부재(6R)의 출수 포트(6c)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플랜지(6e)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6e)는, 림용 도관(19)에 의해 림 통수로(12)에 연통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3)의 주 요소인 캠 장치(8)는, 개폐 밸브(4R, 4J) 축방향 상단에 마련되어 있고, 앞쪽 즉 변기보울(11)의 앞부분측으로 돌출된 2개의 부착편(81)을 갖는 브래킷(82)에 고정되어 있다. 즉, 캠 장치(8)는, 부착편(81)에 수평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로서의 회전축(83)과, 회전축(83)에 이것의 축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을 구비하고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83)은 변기보울(11)의 폭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회전축(83)이 회전하면,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은 변기보울(11)의 높이 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이로써, 제 1 캠(85)의 외주의 캠 면은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종동자에 상당)에 맞닿아 이것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제 2 캠(86)의 외주의 캠 면은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종동자에 상당)에 맞닿아 이것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도 27 내지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3)에서는, 캠 장치(8)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7)가 캠 장치(8)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치(7)는 브래킷(82)의 한쪽 부착편(81)에 고정되어 있고, 모터(71)와, 모터(71)의 회전력을 회전축(83)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를 내장하고 있고,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의 제 어에 의해 회전축(83)을 회전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 장치(7)에는, 캠 장치(8)의 회전축(83)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수동축(74)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수동축(74)은 조작 핸들(75)을 갖고, 조작 핸들(75)과 함께 변기 세정 장치(3)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동축(74)을 탈착하여 두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개폐 밸브(4R, 4J), 모터(71) 및 캠 장치(8)는, 단일의 공통의 베이스 플레이트(31)에 의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급수원, 지수전, 플렉시블 호스(21), 분기 장치(2) 및 도관(23)을 경유하여 세정수가 변기 세정 장치(3)에 공급된다. 변기 세정 장치(3)에서는,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이 없는 한, 양 개폐 밸브(4J, 4R)가 폐쇄되어 있다. 즉, 도 30 (A) 및 (B)로 설명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52)의 가세력에 의해, 피스톤(46)이 축방향의 한쪽측, 즉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3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46)은 밸브 하우징(41)의 좌면(41x)에 착좌하고, 피스톤(46)의 외주면이 입수 포트(42)를 폐쇄함과 함께, 피스톤(46)의 일단면(46a)이 출수 포트(43)를 폐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이 폐쇄되어 있고, 세정수는 서양식 변기 본체(1)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할 때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 하여,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구동 장치(7)의 모터(71)가 구동하고, 회전축(83)이 회전 구동된다. 이로써,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방시킨다. 도 30(A) 및 (B)로 설명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52)이 탄성 수축하고, 피스톤(46)은 축방향의 다른방향, 즉 화살표 Y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도 3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46)은 밸브 하우징(41)의 좌면(41x)으로부터 이좌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이로써, 변기 세정 장치(3)가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의 내벽면을 세정한다.
캠 장치(8)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림용 개폐 밸브(4R)가 폐쇄하게 된다. 그 후, 제 2 캠(86)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변기 세정 장치(3)가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8)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급수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뒤이어, 캠 장치(8)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2 캠(86)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폐쇄하게 된다. 그 후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재차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를 재차 개방시킨다. 이로써, 변기 세정 장치(3)가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를 봉수한다.
이하, 도 30(A) 및 (B)로 설명하면, 피스톤(46)에 의해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개폐를 행하기 때문에, 피스톤(46)은 출수 포트(43) 내의 세정수에 의해 다른쪽 측에 즉 화살표 Y2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다른쪽 측으로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46)은 축방향의 활주성이 저해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점, 개폐 밸브(4J, 4R)에서는, 피스톤(46)의 다른쪽 측에 압력 상쇄실(50)을 형성하고, 피스톤(46)의 한쪽측과 이 압력 상쇄실(50)을 복수개의 통공(51)에 의해 연통하였기 때문에, 출수 포트(43)로부터 피스톤(46)의 단면(46a)측에 존재하는 세정수가 통공(51)을 통하여 압력 상쇄실(50)로 이동하고, 압력 상쇄실(50) 내의 세정수의 압력과, 피스톤(46)의 일단면(46a)측의 세정수 압력과의 균형이 도모되고, 양자의 차이압이 해소 또는 감소된다. 이로써, 피스톤(46) 축방향의 활주성이 확보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도록,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47)를 캠 장치(8)의 캠(85, 86)으로 가압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폐 밸브(4J, 4R)의 개폐 조작을 행하는 신규 방식의 변기 세정 장치(3)을 채용하고 있다. 여기서, 개폐 밸브(4J, 4R)의 샤프트(47)는, 서양식 변기 본체(1)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47)의 선단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측방이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에 장착된 변기 세정 장치(3)의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4J, 4R)의 축방향 상단에 캠 장치(8)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 에, 개폐 밸브(4J, 4R)를 설치한 공간의 위에 캠 장치(8)를 겹쳐서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 공간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터(71)를 갖는 구동 장치(7)는 캠 장치(8)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의미에 있어서도 설치 공간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47)는,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개방하기 위해 캠 장치(8)에 의해 눌려지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구조가 비교적 간이하게 되어, 제조 비용을 저렴화 할 수 있다.
또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장치(8)를 구성하는 회전축(83)의 축길이 방향에 따라 개폐 밸브(4J, 4R)를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설치 공간 억제의 효과가 크다. 또한, 회전축(83)의 제 1 캠(85) 및 제 2 캠(86)에 의해 복수개 나열한 개폐 밸브(4J, 4R)를 각각 개폐함에 있어서, 개폐 밸브(4J, 4R)의 공통 구동원으로서 캠 장치(8)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캠(85, 86)의 프로필 선택에 의해, 개폐 밸브(4J, 4R)의 밸브 기구(45)의 개방 속도·폐쇄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급격한 개방, 급격한 폐쇄를 억제할 수 있고, 소음, 워터해머 현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방이나 폐쇄할 때, 모터(71)로 캠 장치(8)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수동축(74)로 캠 장치(8)를 구동한 경우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캠 장치(8)의 구동을 도중에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밸브 기구(45)의 개방량이나 폐쇄량을 도중의 단계에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세정수를 소량씩 서양식 변기 본체(1)에 계속 흘릴 수 있어서, 한냉시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동결 방지에도 유리하게 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관해 도 33 내지 3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2는 실시 형태 1과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이고, 기본적으로는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의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인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다른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연결 부재(6J)와 림용 개폐 밸브(4R)의 연결 부재(6R)는, 서로 소정 거리 떨어지도록,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밸브 하우징(41)과 림용 개폐 밸브(4R)의 밸브 하우징(41)의 측방, 즉 변기보울(11)의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설치 공간, 배관 사정 등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6J, 6R) 사이에 제 1 캠(85) 및 제 2 캠(86), 개폐 밸브(4J, 4R)가 위치하고 있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개폐 밸브(4J, 4R)의 샤프트(47)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즉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로써 샤프트(47)의 선단이 측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고,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캠 장치(8)는 개폐 밸브(4J, 4R)의 축방향 상단에 마련되어 있고, 개폐 밸브(4J, 4R)의 설치 공간의 위에 캠 장치(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의미에 있어서도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3에 관해 도 35 내지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3은 실 시 형태 1과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이고, 기본적으로는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의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인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다른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연결 부재(6J)와 림용 개폐 밸브(4R)의 연결 부재(6R)는 서로 독립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와 림용 개폐 밸브(4R)와의 사이에, 양자에 공통화 된 연결 부재(6C)가 마련되어 있다.
공통화 된 연결 부재(6C)는, 대기로 연통하는 공통 배큠 브레이커(61C)에 연통하는 출수 포트(6m, 6n)를 갖는다. 출수 포트(6m)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출수 포트(43)에 연통함과 함께, 출수 포트(6n)는 림용 개폐 밸브(4R)의 출수 포트(43)에 연통한다.
실시 형태 3에서는, 공통화 된 연결 부재(6C)는, 회전축(83)의 축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 1 캠(85)과 제 2 캠(86)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회전축(83)의 축길이가 길게 되어, 제 1 캠(85)과 제 2 캠(86)과의 간격이 증가하고 있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도,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4J, 4R)의 샤프트(47)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샤프트(47)가 측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어서,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캠 장치(8)는 개폐 밸브(4J, 4R)의 축방향 상단에 마련되고, 캠 장치(8)가 개폐 밸브(4J, 4R)의 설치 공간의 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의미에 있어서도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4에 관해 도 3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4는 실시 형태 1과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이고, 기본적으로는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의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인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다른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4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림용 개폐 밸브(4R) 및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서로 대향하도록 또한 상하로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1)에는, 구동 장치(7)가 개폐 밸브(4R)의 측방에 부착되어 있다.
캠 장치(8D), 베이스 플레이트(31)에 지지된 회전축(83D)도 , 회전축(83D)에 일체로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로서의 기어(87)와, 기어(87)의 상면부로 돌출된 제 1 캠(85D), 기어(87)의 하면부로 돌출된 제 2 캠(86D)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캠(85D) 및 제 2 캠(86D)은, 기어(87)의 둘레 방향에 따라 경사된 캠 면을 갖는다.
회전축(83D)은 세로형이고, 베이스 플레이트(31)에 고정된 축받이(90a, 90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캠(85D)은,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에 피착된 활주 캡(47s)에 결합된다. 제 2 캠(86D)은,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에 피착된 활주 캡(47s)에 결합된다. 활주 캡(47s)은 내마모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마찰 저항을 저감하도록 구면 형상의 외면을 갖는다.
구동 장치(7D)는,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부착되고 아래를 향하는 모터축(72)을 갖는 모터(71)와,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마련된 축받이(90e, 90f)에 회 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모터축(72)에 결합되는 구동축(77)과, 구동축(77)에 지지되고 수평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78)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78) 및 기어(87)는 서로 맞물린다.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하여 구동 장치(7D)의 모터(71)가 구동한다. 그러면, 모터축(72), 구동축(77) 및 구동 기어(78)가 회전하고, 이로써 구동 기어(78)와 역방향으로 기어(87)가 이것의 축심(P4)의 주변을 수평 방향에 따라 회전하고, 제 1 캠(85D)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3 방향 즉 윗쪽으로 가압하고, 이 결과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세정수가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공급되고, 보울부(10)의 내면을 세정한다.
제 1 캠(85D)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3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면, 림용 개폐 밸브(4R)가 폐쇄된다. 그 후, 제 2 캠(86D)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4 방향 즉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8)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급수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뒤이어, 제 2 캠(86D)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4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폐쇄한 후, 제 1 캠(85D)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재차 화살표 Y3 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를 재차 개방시킨다. 이로써, 재차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를 봉수한다.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도,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4J, 4R)의 샤프트(47)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샤프트(47)의 선단이 측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고, 설치 공간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캠 장치(8)는 개폐 밸브(4J)와 개폐 밸브(4R)와의 사이에 개재하여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의미에 있어서도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3에서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의 세로가 긴 형상의 개폐 밸브(4R)와 제트용의 세로가 긴 형상의 개폐 밸브(4J)가 서로 맞닿도록 대면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개폐 밸브(4J, 4R)를 설치하는 공간으로서는, 1개 분의 공간으로 끝난다. 또한 샤프트(47)와 함께, 회전축(83D), 구동축(77)은 종방향에 따라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의미에 있어서도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측을 하측에, 림용 개폐 밸브(4R)를 상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역으로, 제트용 개폐 밸브(4J)측을 상측에, 림용 개폐 밸브(4R)를 하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5에 관해 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5는 실시 형태 4와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이고, 기본적으로는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의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인다. 이하, 실시 형태 4와 다른 부 위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5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31)의 하면부에 제트용 개폐 밸브(4J), 림용 개폐 밸브(4R) 및 구동 장치(7E)의 모터(71)가 병설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캠 장치(8E)는,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축받이(90s)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세로형의 제 1 회전축(91)과,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축받이(90t)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세로형의 제 2 회전축(92)과, 제 1 회전축(91)에 일체로 마련되고 수평 방향에 따라 축심(P6)의 주변을 회전하는 회전체로서의 제 1 기어(93)와, 제 1 기어(93)의 하면부에 돌출된 제 1 캠(85E)과, 제 2 회전축(92)에 일체로 마련되고 수평 방향으로 축심(P7)의 주변을 회전함과 함께 제 1 기어(93)와 맞물린 회전체로서의 제 2 기어(94)와, 제 2 기어(94)의 하면부에 돌출된 제 2 캠(86E)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캠(85E) 및 제 2 캠(86E)은 경사면을 갖는다.
구동 장치(7E)는, 베이스 플레이트(31)의 하면부에 부착되고 위를 향하는 모터축(72)을 갖는 모터(71)와,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마련된 축받이(90u)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모터축(72)에 결합되는 세로형의 구동축(77)과, 구동축(77)에 지지되어 제 1 기어(93)와 맞물리고 수평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78)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하여 구동 장치(7E)의 모터(71)가 구동한다. 그러면, 모터축(72) 및 구동축(77)이 일체로 회전하고, 구동 기어(78)가 회전하고, 이로써, 구동 기어(78)와 역방향으로 제 1 기어(93)가 이것의 축심(P6)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 1 기어(93)와 역방향으로 제 2 기어(94)가 이것의 축심(P7)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기어(93)의 회전에 의해, 제 1 캠(85E)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5 방향 즉 아래쪽으로 가압하고,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방시킨다. 도 30 (A) 및 (B)를 참조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52)이 탄성 수축하고, 피스톤(46)은 좌면(41x)으로부터 이좌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수가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공급하고, 보울부(10)의 내면을 세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캠 장치(8E)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5 방향 즉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림용 개폐 밸브(4R)가 폐쇄한 후, 제 2 기어(94)의 제 2 캠(86E)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 샤프트(47)를 화살표 Y6 방향 즉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로써,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8)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급수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뒤이어, 실시 형태의 캠 장치(8E)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2 캠(86E)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6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폐쇄한 후, 제 1 캠(85E)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재차 화살표 Y5 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를 재차 개방시킨다. 이로써,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를 봉수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캠 장치(8E)에서는, 제 1 캠(85E)은 제 1 기어(93)의 하면부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캠(86E)은 제 2 기어(94)의 하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에 걸치는 사용에 있어서도, 제 1 캠(85E) 및 제 2 캠(86E)에 먼지, 물 등의 이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캠(85E) 및 제 2 캠(86E)의 원활한 작동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에 있어서도, 개폐 밸브(4J, 4R)의 샤프트(47)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샤프트(47)의 선단이 측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고,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캠 장치(8)는 개폐 밸브(4J, 4R)의 축방향 상단에 위치하여 마련되고, 캠 장치(8)가 개폐 밸브(4J, 4R)의 설치 공간의 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의미에 있어서도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실시 형태 6에 관해 도 39 내지 4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6은 실시 형태 5와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이고, 기본적으로는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의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인다. 이하, 실시 형태 5와 다른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6에서는, 캠 장치(8F)는, 서로 대향하는 부착편(81)을 갖는 브래 킷(82)에 부착되어 있고, 부착편(81)에 수평 방향에 따라 가설된 회전축(83)과, 회전축(83)에 일체적으로 동축적으로 지지된 제 1 캠(85F) 및 제 2 캠(86F)을 구비하고 있다.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캠(85F)은, 둘레 방향으로 1주하는 링 벽부(97)와, 링 벽부(97)의 내주면에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된 복수개의 캠 부(98)를 갖는다. 캠 부(98)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배향하는 경사면(98a, 98b)과, 경사면(98a, 98b) 사이를 연결하는 연접면(98c)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개폐 밸브(4R, 4J)는, 샤프트(47)가 당겨지면 개방하는 형태이다. 개폐 밸브(4R, 4J)에 마련되어 있는 샤프트(47)의 상단부에는, 횡단면 원형 모양을 한 핀 형상의 걸림자(99)가 마련되어 있다.
캠 장치(8F)의 회전축(83)이 회전하여 제 1 캠(85F)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부(98)의 경사면(98a)에 의해 걸림자(99) 및 샤프트(47)가 화살표 Y7 방향 즉 윗쪽으로 당겨지고, 또한 캠 부(98)의 연접면(98c)이 걸림자(99) 및 샤프트(47)의 윗쪽으로의 당김을 계속한다. 더욱 제 1 캠(85F)이 회전하면, 샤프트(47)를 가압하고 있는 스프링 또는 중력에 의해, 걸림자(99)는 경사면(98b)에 따라 내려간다. 그 후는 링 벽부(97)의 내주면(97k)에 따라 걸림자(99)는 상대 이동한다. 연접면(98c)의 둘레 길이는, 걸림자(99) 및 샤프트(47)를 들어올려서 개폐 밸브(4R)를 개방시키고 있는 영역이고,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개폐 밸브(4R)를 개폐시키는 제 1 캠(85F)의 캠 작용에 관한 것이지만, 다른쪽의 제 2 캠(86F)도 마찬가지의 캠 작용을 이루어서, 개폐 밸브(4J)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83)의 축 단부에 인접하여 동축적으로 구동 장치(7F)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치(7F)는, 회전축(73)의 축 단부에 결합되는 모터축(72)을 갖는 모터(71)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7F)의 모터(71)가 구동한다. 그러면, 모터축(72) 및 회전축(83)이 일체로 회전하고, 제 1 캠(85F) 및 제 2 캠(86F)이 회전한다. 제 1 캠(85F)의 회전에 의해, 제 1 캠(85F)의 캠 부(98)가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7 방향 즉 윗방향으로 당겨서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수가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공급되고, 보울부(10)의 내면을 세정한다.
실시 형태의 캠 장치(8F)의 거듭된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캠(85F)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7 방향으로 당기지 않게 되고, 림용 개폐 밸브(4R)가 폐쇄된다. 그 후, 제 2 캠(86F)의 캠 부(98)가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8 방향으로 당겨서,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8)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급수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뒤이어, 제 2 캠(86F)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화살표 Y7 방향으로 당기지 않게 되고,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폐쇄된다. 그 후, 제 1 캠(85F)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재차 화살표 Y7 방향으로 당겨서, 림용 개폐 밸브(4R)를 재차 개방시키게 된다. 이로써,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를 봉수한다.
실시 형태 6에 있어서도, 개폐 밸브(4J, 4R)의 샤프트(47)는 서양식 변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샤프트(47)의 선단이 측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고,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캠 장치(8F) 개폐 밸브(4J, 4R)의 축방향 상단에 위치하여 마련되고, 캠 장치(8F)가 개폐 밸브(4J, 4R)의 설치 공간의 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의미에 있어서도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제 4 발명)
이하, 제 4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 1, 2를 도 41 내지 5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41 내지 4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서양식 수세식 변기로서,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제 4 발명을 구체화 하고 있다.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관(9)에 접속된 유량 전환 밸브로서의 지수전(22)에서는 100%의 유량으로 세정수를 흘리고, 개폐 밸브(4R, 4J)의 개방도로 유동 모드를 실행하고자 하고 있다.
서양식 변기 본체(1)는, 배설물을 받는 보울부(10)를 갖는 변기보울(11)과, 보울부(10)의 상부 주연에 둘러진 림 통수로(12)를 갖는 림(13)과, 보울부(10)의 바닥에 연통하고 배설물을 흘리는 트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트랩부(14)의 입구 에는 제트 노즐(15)이 부착되어 있다.
서양식 변기 본체(1)에는, 제트 노즐(15)에 급수하는 유로로서의 제트용 도관(18)과, 림 통수로(12)에 급수하는 유로로서의 림용 도관(19)이 마련되어 있다. 림용 도관(19)은,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으로 개방되고 세정수를 우회전으로 토출 가능한 개구(19a)와, 측면측으로 개방되고 세정수를 좌회전으로 토출 가능한 개구(19b)를 구비하고 있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의 폭방향의 편측에는, 변기 세정용의 세정수와 다른 용도의 세정수로 분수하기 위한 분기 장치(2)가 마련되어 있다. 분기 장치(2)는, 급수 계통의 일부인 플렉시블 호스(21)에 의해, 지수전(22)을 통하여 수도관(9)에 접속되어 있다. 지수전(22)은 회전 코마식의 공지의 것이다. 분기 장치(2)와 변기 세정 장치(3)는 급수 계통의 일부인 도관(23)으로 연통하고 있고, 분기 장치(2)에서 분기된 세정수는, 도관(23)을 통하여 급수 계통의 잔부인 변기 세정 장치(3)에 공급된다. 여기서, 플렉시블 호스(21)가 접속되어 있는 지수전(22)과, 개폐 밸브(4J, 4R)가 유량 전환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41 내지 도 44에서는 변기 뚜껑 및 변기 시트는 생략되어 있다.
변기 세정 장치(3)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에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분기 장치(2)와 반대측에 위치하여 조립되어 있고, 커버(32)에 의해 덮여져 은폐되어 있다. 이 변기 세정 장치(3)는, 림용 개폐 밸브(4R)와, 제트 용 개폐 밸브(4J)와, 개폐 밸브(4R, 4J)를 개폐하기 위한 공통 구동원으로서 기능하는 캠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개폐 밸브(4R, 4J)는 세로가 긴 형상을 하고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컴팩트화가 도모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4J)는, 도 45(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를 받아들이는 입수 포트(42)와 세정수를 토출하는 출수 포트(43)를 갖는 세로가 긴 형상의 밸브 하우징(41)과, 밸브 하우징(41)에 마련된 밸브 기구(45)를 갖는다. 밸브 하우징(41)의 내부에는, 입수 포트(42) 및 출수 포트(43)에 연통하는 피스톤실(44)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기구(45)는, 피스톤실(44)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 가동체인 피스톤(46)과, 밸브 하우징(41)의 상단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도록 피스톤(46)의 일단면(46a)(상단면)에 동축적으로 고정된 샤프트(47)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47)는 피스톤(46)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고, 횡단면 원형 모양을 이루고 금속 또는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체인과 달리 강성을 갖는다. 샤프트(47)는,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종방향을 따라, 즉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47)를 종방향으로 연장시키면, 샤프트(47)의 선단부가 서양식 변기 본체(1)의 후방으로 크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공간의 저감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47)와 밸브 하우징(41)과의 경계영역은 O링(49)에 의해 밀폐 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41)에 있어서, 입수 포트(42)는 피스톤(46)의 주면측으로 개구되어 도관(23)에 연통하고 있고, 출수 포트(43)는 피스톤(46) 축방향의 일단면(46a)측으로부터 밸브 하우징(41)의 측면측으로 굴곡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도 45(A) 및 (B)에서는, 출수 포트(43)는 본래적으로는 단면으로서 나타내여지지 않지만, 이해 용이화를 위해 단면으로서 도시한다. 피스톤(46)의 외주부의 링 홈에는 O링(48)이 지지되어 있고, O링(48)에 의해 피스톤(46)의 외주부와 밸브 하우징(41)의 내벽면과의 경계영역이 밀폐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실(44) 내에는, 밸브 하우징(41)과 피스톤(46)의 타단면(46b)에 의해, 압력 상쇄실(50)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 상쇄실(50)은 피스톤(46)에 형성된 통로로서의 복수개의 통공(51)을 통하여 출수 포트(43)측으로 연통하고 있다. 각 통공(51)은 피스톤(46)의 일단면(46a)측과 타단면(46b)측을 축방향으로 연통하고 있다. 압력 상쇄실(50)에는, 가세 수단인 가압 코일 스프링(52)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압 코일 스프링(52)은 밸브 하우징(41)과 피스톤(46)의 타단면(46b)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피스톤(46)을 항상 화살표 Y1 방향 즉 윗쪽으로 가세하고, 피스톤(46)의 경사면(46x)을 밸브 하우징(41k)의 경사 상태의 좌면(41x)에 착좌시켜서,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폐쇄하게 되어 있다.
더욱 설명을 가하면, 피스톤(46)에 의해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의 개폐를 행하기 때문에, 피스톤(46)은 출수 포트(43) 내의 세정수에 의해 다른쪽 측에 즉 화살표 Y2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다른쪽 측으로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46)은 축방향의 원활한 활주성이 저해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 형태 1의 개폐 밸브(4J, 4R)에서는, 피스톤(46)의 다른쪽 측에 압력 상쇄실(50)을 형성하고, 피스톤(46)의 일단면(46a)측과 이 압력 상쇄실(50)을 복수개의 통공(51)에 의해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46)의 일단면(46a)측에 존재하는 세정수가 통공(51)을 통하여 압력 상쇄실(50)로 이동하고, 압력 상쇄실(50) 내의 세정수의 압력과, 피스톤(46)의 일단면(46a)측의 세정수 압력과의 균형이 도모되고, 양자의 차이압이 해소 또는 감소된다. 이로써 피스톤(46) 축방향의 활주성이 확보된다.
샤프트(47)는, 밸브 하우징(41)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고, 캠 장치(8)에 의해 화살표 Y5 방향 즉 아래쪽으로 가압되게 되어 있다. 캠 장치(8)에 의해 샤프트(47)의 선단이 화살표 Y5 방향으로 가압되면, 피스톤(46)이 연동하여 같은 방향으로 활주하고, 피스톤(46)이 좌면(41x)으로부터 이좌하여 개방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가 연통한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내부 구조에 관해서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내부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밸브 하우징(41)과 피스톤(46)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링 형상의 연통로(54)를 통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입수 포트(42)와 림용 개폐 밸브(4R)의 입수 포트(42)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변기 세정 장치(3)에 있어서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에는 연결 부재(6J)가 변기보울(11)의 앞부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연결 부재(6J)의 상단부에는 배큠 브레이커(61J)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배큠 브레이커(61J)는 , 개폐 밸브(4J)의 출수 포트(43)에 연통함과 함께 대기로 연통하고 있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4R)에는 연결 부재(6R)가 변기보울(11)의 앞부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연결 부재(6R)의 상단부에는 배큠 브레이커(61R)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배큠 브레이커(61R)는, 개폐 밸브(4R)의 출수 포트(43)에 연통함과 함께 대기로 연통하고 있다.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수 포트(42)에는 플랜지(42a)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42a)에 도관(23)의 선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6J, 6R)에는 각각 플랜지(6e)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플랜지(6e)의 출수 포트(6c)에 제트용 도관(18)과 림용 도관(19)이 접속되어 있다.
변기 세정 장치(3)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용 개폐 밸브(4J) 및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폐 작동시키는 캠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캠 장치(8)는, 개폐 밸브(4R, 4J)의 축방향 상단에 마련되어 있고, 앞방향 변기보울(11)의 앞부분측으로 돌출된 2개의 부착편(81)을 갖는 브래킷(82)에 고정되어 있다. 즉, 캠 장치(8)는, 부착편(81)에 수평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로서의 회전축(83)과, 회전축(83)에 이것의 축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병설된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83)은 변기보울(11)의 폭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회전축(83)이 회전하면,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은 변기보울(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이로써,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캠(85)의 외주의 캠 면은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의 상단의 활주자(47x)에 맞닿아 이것을 아래쪽(화살표 Y5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제 2 캠(86)의 외주의 캠 면은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의 상단의 활주자(47x)에 맞닿아 이것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변기 세정 장치(3)에서는, 캠 장치(8)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7)가 캠 장치(8)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치(7)는 브래킷(82)의 한쪽 부착편(81)에 고정되어 있고, 모터(71)와, 모터(71)의 회전력을 회전축(83)에 전달한 감속 기어를 내장하고 있고,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회전축(83)을 회전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 장치(7)에는, 캠 장치(8)의 회전축(83)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수동축(74)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수동축(74)은 조작 핸들(75)을 갖고, 조작 핸들(75)과 함께 변기 세정 장치(3)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동축(74)을 탈착하여 두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개폐 밸브(4R, 4J), 모터(71) 및 캠 장치(8)는, 단일의 공통의 베이스 플레이트(31)에 의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수도관(9), 지수전(22), 플렉시블 호스(21), 분기 장치(2) 및 도관(23)을 경유하여 세정수가 변기 세정 장치(3)에 공급된다. 변기 세정 장치(3)에서는,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이 없는 한, 양 개폐 밸브(4J, 4R)가 폐쇄되어 있다. 즉, 도 45(A) 및 (B)로 설명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52)의 가세력에 의해, 피스톤(46)이 축방향의 한쪽측, 즉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4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46)의 경사면(46x)은 밸브 하우징(41)의 좌면(41x)에 착좌하고, 피스톤(46)의 외주면이 입수 포트(42)를 폐쇄함과 함께, 피스톤(46)의 일단면(46a)이 출수 포트(43)를 폐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이 폐쇄되어 있고, 세정수는 서양식 변기 본체(1)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할 때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하여,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구동 장치(7)의 모터(71)가 구동하고, 회전축(83)이 회전 구동된다. 이로써,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화살표 Y5 방향)으로 가압하고,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방시킨다. 도 45(A) 및 (B)로 설명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52)이 탄성 수축하고, 피스톤(46)은 축방향의 다른 방향, 즉 화살표 Y2 방향으로 하강 이동한다. 이 때문에, 도 4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46)은 밸브 하우징(41)의 좌면(41x)으로부터 이좌하여 개방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이로써, 변기 세정 장치(3)가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의 내벽면을 세정한다.
캠 장치(8)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림용 개폐 밸브(4R)가 폐쇄하게 된다. 그 후, 제 2 캠(86)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변기 세정 장치(3)가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8)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급수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뒤이어, 캠 장치(8)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2 캠(86)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폐쇄하게 된다. 그 후,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재차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를 재차 개방시킨다. 이 로써, 변기 세정 장치(3)가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를 봉수한다.
그런데, 한냉시에 있어서는, 수도관(9), 지수전(22), 플렉시블 호스(21), 분기 장치(2) 및 도관(23)이 동결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동결이 예상되는 때, 개폐 밸브(4J, 4R)의 유동 모드를 미리 실행한다. 즉, 실시 형태 1에 관한 유동 모드에 있어서는, 100%의 유량으로 흘리도록 지수전(22)의 개구도를 유지함과 함께, 개폐 밸브(4J, 4R)로 유동 모드를 실행하고자, 도 4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4J, 4R)의 개도를 작게 한다. 이 유동 모드에서는, 개폐 밸브(4J, 4R)에 있어서의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가 완전하게 연통하는 개방도를 100%로 하였을 때, 캠 장치(8)의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의 캠 면의 프로필의 설정에 의해, 2 내지 5% 정도의 개방도로 하고 있다.
이러한 유동 모드에서는, 가압 코일 스프링(52)에 의한 위를 향하는 가세력과 캠 장치(8)로부터의 아래를 향하는 힘이 균형되고, 밸브 하우징(41)의 좌면(41x)으로부터 피스톤(46)이 약간 이좌하여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가 미소량 개구하고 있고, 소량씩의 세정수를 연속하여 토출시켜서 서양식 변기 본체(1)에 흘릴 수 있어서, 한냉시에 있어서의 수도관(9), 지수전(22), 플렉시블 호스(21), 분기 장치(2) 및 도관(23)이 동결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동결이 방지되기 때문에, 한냉시에 서양식 변기 본체(1)을 사용한 때에는, 사용물은 스위치 조작에 의해 캠 장치(8)를 구동시키면, 서양식 변기 본체(1) 내에 세정수를 흘려서 배설물을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러 한 급수 방법을 채용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사용의 제약이 없어지고, 또한 위생적으로 된다.
또한, 정전시나 모터 고장시라도, 조작 핸들(75)을 조작하여, 수동축(74)에 의해 캠 장치(8)의 회전축(83)을 수동으로 구동하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세정뿐만 아니라, 유동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유동 모드에서는, 캠 장치(8)의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을 미소각 회전시키면, 서양식 변기 본체(1)에 세정수를 연속적으로 토출하여 세정수의 동결을 방지하면서, 개폐 밸브(4J, 4R)의 개방도를 소정의 시간마다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토출하는 세정수량을 간헐적으로 저감시켜서 절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샤프트(47)는,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개방하기 위해 캠 장치(8)에 의해 눌려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비교적 간이하게 되고, 제조 비용을 저렴화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관해 도 48 내지 5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관(9')에 접속된 단계 지수전(1')으로 유동 모드를 실행하고, 실시 형태 1의 것과 마찬가지의 개폐 밸브에서는 100%의 유량으로 세정수를 흘리고 있다.
단계 지수전(1')은, 입수 포트(20')와 이것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출수 포트(21')를 갖는 하우징(2')과, 입수 포트(20')와 출수 포트(21')와의 사이에 서 지수(止水) 가능한 밸브 기구(4')를 주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입수 포트(20')의 내주부에는 암나사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수도관(9')(도 47 참조)의 외주부의 수나사부에 이 암나사부(20a')를 나사결합 람으로써, 단계 지수전(1')이 수도관(9')에 부착된다(도 57 참조).
하우징(2') 내에 있어서, 입수 포트(20')와 출수 포트(21')와의 사이에는, 양자에 연통하는 밸브실(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중 입수 포트(20')의 반대측에는, 통공(23')을 갖는 통부(筒部)(24')가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기구(4')는, 밸브실(25')에 내장되고, 중공실(中空室)(40a')을 갖는 구 형상을 한 전동 가능한 밸브체(40')를 갖는다. 밸브체(40')는, 입수 포트(20')의 축심(P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밸브실(25')의 밸브 홀더(26')에 지지되어 있다. 밸브체(40')는, 입수 포트(20')에 대면하는 개구 면적이 큰 제 1 주개구(41')와, 제 1 주개구(41')와 같은 정도의 개구 면적을 갖는 제 2 주개구(42')와, 제 1 주개구(41') 및 제 2 주개구(42')보다도 작은 개구 면적을 갖는 부개구(43')를 갖는다. 제 1 주개구(41'), 제 2 주개구(42') 및 부개구(43')는, 밸브체(40')의 지름 방향에 따라 또한 서로 교차하도록 관통하고, 중공실(40a')에 연통하고 있다. 밸브체(40')가 축심(P1')의 주위를 회전하여도, 제 1 주개구(41')는 항상, 입수 포트(20)에 대면한다.
하우징(2')에는, 밸브체(40')를 개폐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5')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5')는, 입수 포트(20')의 축심(P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2')의 통공(23') 내에 지지된 회전축(50')과,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 작되는 조작 손잡이(52')와, 가세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가세 스프링(54')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50')과 통공(23')의 내벽면과의 사이에는 O링(51')이 개재되어 있어서, 회전축(50')과 하우징(2')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누수가 방지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52')는, 하우징(2')과 거의 동축적으로 마련된 링 부(52a')와, 링 부(52a')의 안쪽으로 돌출됨과 함께 하우징(2)의 통부(24')의 축 단면에 맞닿는 접합 벽부(52c')를 갖는다. 또한,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52')의 링 부(52a')에는, 조작성을 고려하여 핸들부(52d')가 돌출되어 있다. 핸들 부(52d')는, 조작 손잡이(52')의 반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52')의 표면(52e')에는, 단계 지수전(1')의 개방 모드에서의 사용을 의미하는 「개」의 문자, 단계 지수전(1')의 폐쇄 모드에서의 사용을 의미하는 「폐」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음과 함께, 단계 지수전(1')의 유동 모드에서의 사용을 의미하는 「유동」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개방 모드란, 단계 지수전(1')의 출수 포트(21')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10O%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폐쇄 모드란, 출수 포트(21')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0%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동 모드란, 출수 포트(21')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 100%중의 중간의 유량(예를 들면, 2 내지 5%)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50')의 선단의 부착부(50k')는 밸브체(40')의 구멍에 끼워맞추어 부착되어 있고, 양자는 일체로 회전한다. 회전축(50')의 축 단면에는 나사구멍(50r')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52')의 접합 벽부(52c')의 투공(透孔)에 부착나사(56')를 삽입하고, 그 부착나사(56')의 선단의 수나사부를 나사 구멍(50r')에 장착함으로써, 조작 손잡이(52')는 지수전(1')의 하우징(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세 스프링(54')은, 부착나사(56')의 좌판(座板)(57')과 조작 손잡이(52')의 접합 벽부(52c')와의 사이에 개장되어 있다. 이로써 가세 스프링(54')은 조작 손잡이(52')를 하우징(2')을 향하여, 즉 화살표 X1'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조작 손잡이(52')에 화살표 X2'방향의 힘이 작용한 때, 가세 스프링(54')은 탄성 수축하고, 조작 손잡이(52')는 하우징(2')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즉 화살표 X2' 방향으로 퇴피할 수 있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중, 조작 손잡이(52')의 배면(52f')에 대면하는 부위에는, 피결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52')의 배면(52f')에는, 제 1 결합부(61'), 제 2 결합부(62') 및 제 3 결합부(63')가 조작 손잡이(52')의 둘레 방향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패여져 있다. 제 1 결합부(61')는 단계 지수전(1')의 개방 모드에서 사용된다. 제 2 결합부(62')는 단계 지수전(1')의 폐쇄 모드에서 사용된다. 제 3 결합부(63')는 단계 지수전(1')의 유동 모드에서 사용된다.
도 51 및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에 형성된 피결합부(58')는 볼록 형상을 하고 있고, 만한 원호 볼록형상면(58c')을 구비하고 있다. 다른 한편, 제 1 결합부(61')는 오목 형상을 하고 있고, 완만한 원호 오목형상면(61c')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 손잡이(52')를 둘레 방향, 즉 화살표 S1'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 1 결합부(61')는 피결합부(58')와 이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세 스프링(54)이 화살표 X1'방향으로 조작 손잡이(52')를 가세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결합부(61')와 피결합부(58')와의 결합 상태는 양호하게 유지된다.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 손잡이(52')를 더욱 회전 조작하면, 제 1 결합부(61')는 피결합부(58')로부터 이탈하고 결합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세 스프링(54')이 탄성 수축하고, 조작 손잡이(52')는 하우징(2')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즉 화살표 X2' 방향으로 퇴피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결합부(61')와 피결합부(58')와의 결합 해제는 양호하게 행하여진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 2 결합부(62') 및 제 3 결합부(63')도 제 1 결합부(61')와 마찬가지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손잡이(52')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폐쇄 모드시에는,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결합부(62')가 피결합부(58')와 이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유동 모드시에는,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결합부(63')가 피결합부(58')와 이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관(9')과 단계 지수전(1')을 통하여 접속되는 서양식 변기 본체(7')는, 변기보울(70')과, 변기보울(70')의 상부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변기 시트(71') 및 변기 뚜껑(7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서양식 변기 본체(7')는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를 구성하고 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서양식 변기 본체(7')에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림용 개폐 밸브 및 제트용 개폐 밸브가 장비되어 있다.
이러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한냉시, 수도관(9') 등의 동결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단계 지수전(1')의 조작부(5')를 회전 조작하고, 조작 손잡이(52')를 유동 모드로 전환하여 둔다. 이 유동 모드에서는, 단계 지수전(1')에 있어서,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결합부(63')가 피결합부(58')에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40')가 축심(P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부개구(43')가 출수 포트(21')에 대면한다. 또한, 제 2 주개구(42')는 도 55의 지면의 바로앞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도 55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이 유동 모드에서는, 입수 포트(20'), 부개구(43') 및 출수 포트(21')는 서로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수도관(9')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는 입수 포트(20'), 밸브체(40')의 부개구(43')를 경유하여 출수 포트(21')로부터 토출된다. 따라서 수도관(9')으로부터 송급된 소량의 세정수가 연속하여 항상 토출된다. 이 때, 서양식 변기 본체(7')에 탑재되어 있는 개폐 밸브의 개방도는 10O%로 유지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 유동 모드에서는, 서양식 변기 본체(7')의 상류측에서의 세정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2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유동 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한창때에 서양식 변기 본체(7')를 사용할 때에는, 서양식 변기 본체(7')에 다량의 세정수를 흘릴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계 지수전(1')의 조작 손잡이(52')를 회전 조작하여 유동 모드를 해제하고, 개방 모드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개방 모드로 되돌리면,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서양식 변기 본체(7')로 세정수를 흘릴 수가 있어서, 서양식 변기 본체(7') 내의 배설물을 세정수로 흘려서 제거할 수 있다.
(제 5 발명)
이하, 제 5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 1 내지 6을 도 58 내지 7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 관해 도 58 내지 6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8은, 예를 들면, 도 122에 도시한 강제 사이펀 변기(1)의 종래의 유로 전환 장치 대신에, 림 통수로(2)와 제트 구멍(5)에의 급수를 시간적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사이펀 작용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유로 전환 장치(10)에 제 5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강제 사이펀 변기(1)의 다른 구성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유로 전환 장치(10)는 밸브 장치에 부착되어 있다. 이 밸브 장치는, 급수원으로부터 밸브(11) 및 1차 급수관(12)을 통하여 송급되는 세정수를 림 통수로(2)와 제트 구멍(5)에 공급한다. 이 밸브 장치는, 림 통수로(2)용의 개폐밸브(15)와 제트 구멍(5)용의 개폐밸브(16)로 이루어져 있다. 개폐밸브(15, 16)는 정유량(定流量) 기구를 내장한 것으로 하지만, 또는 개폐밸브(15, 16)를 정유량 기구를 내장한 것으로 하지 않고 밸브(11)를 정유량 밸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 전환 장치(10)는, 모터(20)의 출력축(20a)에 출력 기어(21)가 고정되고, 출력 기어(21)에 클러치(22)를 통하여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23)에 캠(24, 25)이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개폐밸브(15, 16)의 각각의 밸브축(17, 18)의 말단에 부착한 받이구로서의 캠 받이 상자(26, 27)의 내면에 캠(24, 25)이 맞닿도록 구성되 어 있다.
클러치(22)는 원웨이 클러치이고, 모터(20)에 고정된 출력 기어(21)는, 클러치(22)에 있어서의 스프링(22c)으로 가세된 입력 기어(22a)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한편, 클러치(22)의 출력 기어(22b)에는, 회전축(23)이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후술하는 수동 조작 수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병설한 개폐밸브(15, 16) 각각으로부터 평행하게 밸브축(17, 18)을 돌출시키고, 이들 밸브축(17, 18)에 대해 회전축(23)을 직각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유로 전환 장치(10)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 통수로(2)용의 캠(24)은 회전축(23)에 대해 대칭으로 쌍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동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 구멍(5)용의 캠(25)은 회전축(23)에 대해 일방향으로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트 구멍(5)용의 캠(24)과 림 통수로(2)용의 캠(25)은 돌출 방향이 서로 90도 어긋나도록 회전축(23)에 마련되어 있다.
도 58에 도시한 모터(20)로 회전축(23)과 함께 캠(24, 25)을 회전시키면, 캠 받이 상자(26, 27)와 함께 밸브축(17, 18)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개폐밸브(15, 16)의 개폐 조작이 행하여진다. 상기 모터(20)에는 회전 각도를 소정 각도로 제어 가능한 것, 예를 들면, 기어드 모터, 스테핑 모터 등이 사용된다. 또한, 회전축(23)의 회전량을 감시하기 위한 로터리 인코더(E)나, 모터(20)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C)가 알맞은 곳에 구비된다. 또한, 로터리 인코더(E)에 창부(f)를 형성하고, 회전 각도 즉 캠(24, 25)의 회전 위치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도 58에 도시한 캠(24)의 회전에 수반하는 개폐밸브(15)의 개폐에 의해, 1차 급수관(12)으로부터 림 통수로(2)에 공급되는 세정수는, 도 5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3)를 통하여 개폐밸브(15) 내로 유입하고, 배큠 브레이커(19)를 경유하여, 림 통수로(2)용의 분기 급수관(Q)으로 송급된다. 다른 한편, 도 58에 도시한 캠(25)의 회전에 수반하는 개폐밸브(16)의 개폐에 의해, 제트 구멍(5)에 공급되는 세정수는, 도 5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4)에서 다시 한쪽의 개폐밸브(16)로 유입하고, 배큠 브레이커(19)를 경유하여, 제트 구멍(5)용의 분기 급수관(R)에 송급된다.
개폐밸브(15, 16)의 개폐를 수동 조작하기 위한 수동 조작 기구는,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40)에 연결한 회전축(41)에 기어(50)를 연결하고, 이 기어(50)에 기어비(比)가 다른 기어(51)에 맞물리게 하고, 클러치(22)의 출력 기어(22b)에 접속하고 있다. 클러치(22)를 원웨이 클러치로 함으로서, 수동 조작 기구에 의한 회전축(23)의 회전 조작을 모터(20)에 대해 자유롭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어드 모터 등의 모터(20)에 수동 조작이 부하를 미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유로 전환 장치(10)의 동작을 도 59 내지 6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어느 도면에 있어서도, 도 (A)가 도 58의 Ⅱ-Ⅱ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림 통수로(2)용의 개폐밸브(15)를 도시하고, 도 (B)가 도 58의 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제트 구멍(5) 통수용의 개폐밸브(16)를 도시하고 있다. 도 59는, 초기 상태 즉 개폐밸브(15, 16)가 모두 폐지된 비통수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 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개폐밸브(15, 16) 내의 밸브(V)는, 스프링(S)에 의해 착좌 방향으로 가세되고, 유로를 폐지하고 있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변기 세정을 지시하면, 도 58에 도시한 제어 장치(C)가 모터(20)를 구동시켜서, 캠(24, 25)을 도 59의 상태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시켜, 도 60의 상태로 한다. 그러면, 도 6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 통수로(2)측의 캠 받이 상자(26)만이 캠(24)의 회전에 의해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밸브축(17)을 통하여 밸브(V)를 이좌시킨다. 이로써, 세정수가 1차 급수관(12)으로부터 유입구(13)를 통과하여 개폐밸브(15) 내로 유입하고, 배큠 브레이커(19)를 경유하여 림 통수로(2)에 공급되고, 그 결과, 세정수가 변기보울(4)로 방출되어 최초의 변기보울(4)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변기보울(4)의 세정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7초간)만 실행되도록 설정된다. 즉, 변기보울(4)의 세정 시작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58에 도시한 제어 장치(C)가 모터(20)를 기동시켜서, 캠(24, 25)을 도 60의 상태로부터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서, 도 61의 상태로 한다. 이로써, 도 6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25)이 제트 구멍(5)측의 캠 받이 상자(27)를 가압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밸브봉(18)을 통하여 밸브(V)가 이좌하고. 개폐밸브(16)가 통수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세정수가 제트 구멍(5)에 공급되고, 배출관(3)에의 분출이 시작된다. 동시에, 도 6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24)의 돌기부가 림 통수로(2)측의 캠 받이 상자(26)를 가압한 것을 그치기 때문에, 개폐밸브(15)의 밸브(V)가 스프링(S)으로 가세되어 착좌하고, 림 통수로(2)에의 급수가 정지된다.
제트 구멍(5)에의 세정수의 공급은, 사이펀 작용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예를 들면, 7초 정도)만 유지되면 좋다. 따라서 제트 구멍(5)에의 급수를 시작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하면, 재차, 도 58에 도시한 모터(20)를 구동하여 캠(24, 25)을 90도 회전시켜서, 도 62의 상태로 한다. 이 때, 도 6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밸브(16)의 밸브(V)는 착좌하고 제트 구멍(5)에의 급수는 정지하고, 도 6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밸브(15)의 밸브(V)가 이좌하여 림 통수로(2)로부터 변기보울(4)로 세정수가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사이펀 작용의 발생에 의해 세정수가 배출된 후, 림 통수로(2)로부터 변기보울(4)에 세정수가 보급됨으로써, 변기보울(4) 내에 수봉을 형성할 수 있다.
림 통수로(2)를 통하여 변기보울(4)에 세정수를 보급하는 공정에 대해서도, 일정 시간(예를 들면, 7초) 유지되면 좋다. 림 통수로(2)로부터 변기보울(4)에의 세정수 보급 시작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58에 도시한 모터(20)로 캠(24, 25)을 회전시켜서, 도 59의 초기 상태로 되돌린다.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로 전환 장치(10)는, 개폐밸브(15, 16)의 개폐 조작을 수동으로 행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정전시나 모터(20)의 고장시 등에도, 사이펀 작용을 동반하는 변기 세정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동으로 변기 세정을 행하는 경우의 핸들(40)의 조작은, 모터(20)에 의한 캠(24, 25)의 구동 상태에 준하여 행하면 좋다. 즉, 일정 시간(예를 들면, 7초)마다, 핸들(40)를 90도씩 회전시는 조작을 행하면, 모터(20)의 구동에 의한 것과 동 등한 변기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캠(24, 25)의 위치의 확인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 들면, 회전축(23)의 주면을 4등분하여 색 분류하여 두고, 로터리 인코더(E)의 창부(f)로부터 이 회전축(23)의 색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회전축(23)의 회전 각도 즉 캠(24, 25)의 회전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로 전환 장치(10)의 동작중에 정전이 일어난 경우, 회전축(23)이 정지하기 때문에, 캠(24, 25)의 위치에 따라서는, 개폐밸브(15, 16)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개방 상태로 되고, 제트 구멍(5) 및/또는 림 통수로(2)에의 급수가 멈추지 않게 된다. 그래서, 배터리 등의 백업 전원(20b)를 마련하고, 모터(20)를 구동하여 회전축(23)을 소정 위치까지 회전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정전 발생시, 로터리 인코더(E) 등으로 캠(24, 25)의 위치를 확인하고, 백업 전원(20b)에 의해 모터(20)를 구동하고 1사이클의 변기 세정을 실행하도록 하면, 변기 세정을 완료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개폐밸브(15, 16)를 확실하게 폐지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수동 주작 기구에 의한 조작을 중도에 멈춘 때에도, 제트 구멍(5) 및/또는 림 통수로(2)에의 급수가 멈추지 않게 된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개폐밸브(15, 16)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유통 시간 또는 유통량을 검지하는 센서를 마련하고, 세정수의 유통 시간 또는 유통량이 이상인 때에는, 알람을 발하거나, 캠(24, 25)을 개폐 밸브(15, 16)가 폐지로 되는 위치까지, 회전축(23)을 강제 회전시키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관해 도 6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8에 도시한 실시 형태 1의 유로 전환 장치(10)에 있어서는, 수동 조작시에 모터(20)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클러치(22)를 조립하고 있고, 그런 이유로, 캠(24, 25)을 부착한 회전축(23)은, 모터(2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림 통수로(2)측의 캠(24)이 개폐 밸브(15)를 폐지 상태로 하는 때에 회전축(23)이 급회전 하여, 개폐 밸브(15)를 급폐지시켜서 워터해머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의 유로 전환 장치(10)에 있어서는, 클러치(22)의 출력축(22d)에 웜 기어(52)를 부착하고, 이것과 회전축(23)에 연결한 웜휠을 접속하여 회전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회전축(23)의 급회전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3)
도 64 내지 67에, 캠 받이 상자(26, 27)에 맞닿는 캠(28, 29)의 형상을 변경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64 내지 6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 통수로(2)측의 캠(28)이 대칭의 2개소를 원판으로부터 돌출시킨 개략 레몬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64 내지 6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 구멍(5)측의 캠(29)이 원판의 1개소를 돌출시킨 개략 물방울형의 형상을 갖는다. 각 캠(28, 29)은, 돌출부(28a, 29a)가 서로 90도 어긋나도록 회전축(23)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캠(28, 29)이면, 회전축(23)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에 의해, 유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즉, 도 64에 도시한 초기 상태로부터, 회전축(23)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회전 각도가 90도에 달하면, 도 6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 통수로(2)측의 캠(28)의 돌출부(28a)가 캠 받이 상자(26)를 오른쪽 방향으로 누르기 시작하고, 도 6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15)의 밸브(V)를 이좌시켜서 림 통수로(2)에의 세정수 공급을 시작시킨다. 이 림 통수로(2)에의 세정수 공급은, 캠(28)이 캠 받이 상자(26)를 누르기 시작하고 나서, 더욱 90도 회전할 때까지 계속한다. 도 6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15)의 밸브(V)가 착좌하여 변기보울(4)의 세정이 종료된 후, 더욱 회전축(23)의 회전을 계속시킨다.
그러면, 도 6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번에는 제트 구멍(5)측의 캠(29)이 돌출부(29a)로 눌러서 캠 받이 상자(27)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개폐 밸브(16)의 밸브(V)를 이좌시켜서, 제트 구멍(5)에의 통수를 시작시킨다. 이로써 제트 구멍(5)으로부터 배출관(3) 내로 세정수가 분출하고, 사이펀 작용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킨다. 이 제트 구멍(5)에의 통수도, 도 6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29)이 캠 받이 상자(27)를 누르기 시작하고 나서 90도 회전할 때까지 계속한다. 제트 구멍(5)에의 통수가 종료됐으면, 도 6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차 림 통수로(2)측의 캠(28)이 캠 받이 상자(26)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개폐 밸브(15)의 밸브(V)를 이좌시켜서 림 통수로(2)에의 급수를 실행한다. 이 림 통수로(2)에의 급수 도, 도 6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28)이 90도 회전하는 동안 계속한다. 림 통수로(2)에 급수됨으로써, 사이펀 작용 종료 후의 변기보울(4)에의 세정수 보급이 행하여져서, 변기보울(4) 내에 수봉이 형성된다. 캠(28)이 회전하여, 초기 상태로 되돌아오면, 림 통수로(2)에의 통수가 종료된다.
실시 형태의 유로 전환 장치(10)는, 캠(28, 29)의 형상을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하였기 때문에, 모터(20)의 제어를 실시 형태 1과 같은 간헐적인 회전 구동이 아니라, 연속적인 회전 구동으로 할 수 있다. 즉, 일정한 회전 속도로 캠(28, 29)을 회전시킬 뿐으로 소망하는 변기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15, 16)의 급폐지가 없기 때문에, 워터해머가 생기기 어렵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다른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4에 관하여 도 68 내지 7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주로 한냉지용 변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동결 방지를 도모하기 위해, 소량의 세정수를 항상 유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 구멍(5)용의 캠(30)에 볼록부(31)를 형성하고 있다.
캠(30)을 도 68의 상태로부터 45도 회전시킨 도 69의 상태로 하였을 때, 캠(30)의 볼록부(31)가 캠 받이 상자(27)를 눌러서, 개폐 밸브(16)의 밸브(V)를 약간 개방한다. 이 때, 림 통수로(2)용의 캠(24)도 마찬가지로 45도 회전하여, 개폐 밸브(15)를 약간의 개방한. 따라서 이와 같이 캠(24, 30)을 45도의 회전 위치로 유 지함으로써, 림 통수로(2) 및 제트 구멍(15)에 소량의 세정수가 항상 공급되고, 유동 상태를 유지하여 동결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그 후, 도 70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실시 형태 1의 도 60에 도시한 상태와 마찬가지로 된다. 이하, 다른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축(23)의 회전량을 감시하여 제어하기 위한 도 58에 도시한 로터리 인코더(E)에 회전축(23)을 45도만 회전시키는 유동 모드를 설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차 급수관(12)에 마련하는 밸브(11)를 보통시와 유동 모드에서 유량 변경 가능하게 하고, 유동 모드에서는 보통때보다 유량을 저감시키도록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5)
도 71에 유량 전환 장치(10)의 조작을 수동 조작 기구만으로 행하도록 구성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24, 25)이 부착된 회전축(23)을 클러치(22)의 출력부(22e)에 연결하고, 조작 레버(43)를 부착한 입력축(44)과 일체로 마련된 조작 기어(45)를 클러치(22)의 입력 기어(22a)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 기어(45)에는, 회전 방향의 복귀 스프링(46)이 마련됨과 함께, 파워 스프링 등이 내장되어,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제한하는 조속기(48)의 조속 기어(47)가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기어(45)와 회전축(23)과의 사이에 클러치(22)를 조립하였기 때문에, 조작 기어(45)를 회전축(23)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수동 조작 수단은, 조작 레버(43)를 소정 각도만큼 회 전시킨 후에 손을 놓면, 복귀 스프링(46)에 주어진 회전 방향의 가세력에 의해, 조작 기어(45)가 회전 조작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귀 회전하고자 한다. 그런데, 조작 기어(45)에는 조속기(48)의 조속 기어(47)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기어(45)의 회전 속도는 소정 속도로 제한된다. 이 때문에, 클러치(22)를 통하여 회전축(23)을 회전시키는 속도를 소정 속도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소망하는 시간 간격으로 개폐 밸브(15, 16)의 개폐 조작을 행하여, 필요한 변기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 기어(45)와 클러치(22)의 입력 기어(22a)와의 기어비를 예를 들면, 4:1로 설정하면, 조작 레버(43)를 90도만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23)은 1회전(=360도 회전)하는 것으로 된다.
(실시 형태 6)
도 72 및 도 73에 수동 조작 기구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40)에 연결한 회전축(41)에 캠 받이 상자(26, 27)의 외면에 맞닿는 캠(62, 63)을 마련하고 있다. 이들 캠(62, 63)의 형상은, 모터(20)로 회전 구동되는 실시 형태 1의 캠(24, 25)과 각각 같은 형상으로 된다.
다른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실시 형태 1 내지 6은, 제 5 발명을 강제 사이펀 변기(1)의 유로 전환 장치(10)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 말한 것이지만, 제 5 발명은 다른 유로 전환 장치에 통용하는 것을 막지 않는다. 또한, 제 5 발명은 3개 이상의 유로에 개폐 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6 발명)
이하, 제 6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를 도 74 내지 7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 관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는, 로우 탱크 등의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탱크레스 방식의 것이고, 배설물을 받는 보울부(10)를 갖는 서양식 변기 본체(11)와, 서양식 변기 본체(11)의 상부 주연에 둘러진 림 통수로(12)를 갖는 림(13)과, 서양식 변기 본체(11)의 바닥에 연통하고 볼부(10) 내의 배설물을 흘리는 트랩부(14)와, 트랩부(14)의 입구에 부착된 제토 구멍(15)과, 제트 구멍(15)에 마련된 제트 노즐(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를 설치한 방의 벽에는, 급수원인 수도관에 연결된 급수관(30)과, 급수관(30)에 부착된 지수전(31)과, 지수전(31)으로부터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에 도출된 가요성을 갖는 플렉시블 호스(32)가 마련되어 있다.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에는, 제트 노즐(16)에 급수하는 제트용 도관(47)과, 림 통수로(12)에 급수하는 림용 도관(43)이 마련되어 있다. 도 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도관(43)은, 선단에서 개구되고, 세정수를 우회전으로 토출 가능한 토수구(43a)와, 측면측으로 개구되고, 세정수를 좌회전으로 토출 가능한 토수구(43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의 뒷부분에는, 플렉시블 호스(32)의 선단부가 접속된 분기 장치(34)가 마련되어 있다. 분기 장치(34)는, 변기 세정용의 세정수와 다른 용도의 세정수로 분기시키는 것이다.
또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의 뒷부분에는 분기 장치(34)와 반대측에 위치하여 밸브 수단(4)이 마련되어 있다. 밸브 수단(4)은, 림용 개폐 밸브(4R)와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개폐 밸브(4R, 4J)는 서로 인접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입수 포트(41)는, 분기 장치(34)로부터 도출된 주도관(35)에 접속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도시 생략된 입수 포트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입수 포트(41)에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개폐 밸브(4R, 4J)는 주도관(35)으로부터 급수된다.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의 뒷부분에 구동 장치(5)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치(5)는, 림용 개폐 밸브(4R)의 개방 및 폐쇄와, 제트용 개폐 밸브(4J) 개방 및 폐쇄를 행하기 위한 것으로, 캠 장치(50)와, 캠 장치(50)를 구동시키는 모터 장치(57)를 구비하고 있다. 캠 장치(50)는 밸브 수단(4)의 윗쪽에 마련되어 있고, 부착편(51)에 수평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52)과, 회전축(52)에 이것의 축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 1 캠(53) 및 제 2 캠(54)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52)은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의 폭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모터 장치(57)는 부착편(51)에 고정되어 있고, 모터장치(57)와, 모터 장치(57)의 회전력을 회전축(52)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를 내장하고 있고,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회전축(52)을 회전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동 장 치(5), 밸브 수단(4) 등은 바깥 케이스(9)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한, 바깥 케이스(9)의 내부는 도시 생략된 개구나 간극을 통하여 대기로 연통하고 있다.
모터 장치(57)에 의해 회전축(52)이 회전하면, 제 1 캠(53) 및 제 2 캠(54)은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의 높이 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이로써, 도 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캠(53)의 외주의 캠 면은 림용 개폐 밸브(4R)의 밸브 기구의 샤프트(40)에 맞닿아 이것을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림용 개폐 밸브(4R)의 밸브 기구를 개방시킨다. 제 1 캠(53)이 더욱 회전하면, 림용 개폐 밸브(4R)에 내장된 도시 생략된 리턴 스프링에 의해, 림용 개폐 밸브(4R)의 밸브 기구는 폐쇄한다.
제 2 캠(54)의 외주의 캠 면은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밸브 기구의 샤프트(40)에 맞닿아 이것을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킨다. 제 2 캠(54)이 더욱 회전하면, 제트용 개폐 밸브(4J)에 내장된 도시 생략된 리턴 스프링에 의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밸브 기구는 폐쇄한다.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하우징의 내부에는, 출수 포트(41r)에 연통하는 림용 유로(42)가 형성되어 있다. 림용 유로(42)의 포트(42p)는 림용 도관(43)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연통하고 있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도시를 생략한 밸브 기구가 개방하면, 림용 유로(42) 및 림용 도관(43)에 의해, 세정수는 림 통수로(12)에 공급된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밸브 기구가 폐쇄하면, 림 통수로(12)에의 세정수의 공급은 정지된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림용 유로(42)는, 림용 개폐 밸브(4R)의 출수 포트(41r)로부터 연장되고 유로 단면적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동일한 제 1 통로(42a)와, 제 1 통로(42a)로 연장되고 하류를 향함에 따라 유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원추 형상을 한 축경 통로(42b)와, 제 1 통로(42a)로 연장되고 하류를 향함에 따라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원추 형상을 한 확경 통로(42c)와, 축경 통로(42b)와 확경 통로(42c)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유로 단면적이 제 1 통로(42a)보다도 조여진 스로틀 통로(42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하우징의 내부에는, 출수 포트(41j)에 연통하는 제트용 유로(46)가 형성되어 있다. 제트용 유로(46)의 포트(46p)는 제트용 도관(47)을 통하여 제트 구멍(15)에 연통하고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도시를 생략한 밸브 기구가 개방하면, 제트용 유로(46) 및 제트용 도관(47)을 통하여 세정수는 제트 구멍(15)에 공급된다.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밸브 기구가 폐쇄하면, 제트 구멍(15)에의 세정수의 공급은 정지된다.
또한, 밸브 수단(4)의 하우징의 내부에는 연통로(6)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로(6)는 림용 유로(42)의 연장 방향 및 제트용 유로(46)의 연장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나고 있다. 연통로(6)에 의해, 림용 유로(42)의 스로틀 통로(42d)와 제트용 유로(46)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도 78 및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로(6)는, 림용 개폐 밸브(4R)의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통로 구멍(61)과,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하우징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63)에 실 부재(64)를 사이에 두고 끼워맞추어진 통부(65)의 제 2 통로 구멍(62)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로틀 통로(42d) 및 연통로(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트용 유로(46)에 잔류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수단(4)중의 림용 개폐 밸브(4R)의 상부에는 배큠 브레이커(7)가 마련되어 있다. 배큠 브레이커(7)는, 림용 유로(42) 및 대기(100)에 연통한다. 즉, 배큠 브레이커(7)는, 림용 개폐 밸브(4R)의 상부에 지지되고, 대기 연통실(70)을 갖는 케이스(71)와, 케이스(71)의 대기 연통실(70) 내에 부상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식의 뚜껑부(72)와, 케이스(71)에 마련된 흡기구(73)를 구비하고 있다. 대기 연통실(70)과 림용 유로(42)는, 림용 개폐 밸브(4R)의 상부에 형성된 접속 통로(77)로 접속되고, 서로 연통되어 있다.
배큠 브레이커(7)의 흡기 로(73)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의 림 통수로(12)의 최상면보다 윗쪽에서, 대기 연통실(70)과 대기(100)를 연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흡기구(73)가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의 림 통수로(12)의 최상면보다 윗쪽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구(73)로부터의 세정수의 유출이 억제된다.
뚜껑부(72)는, 본체부(72a)와, 본체부(72a)의 하부로부터 횡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72b)와,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된 다리(74)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74)는, 대기 연통실(70)과 림용 유로(42)를 연통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림용 유로(42)로부터의 세정수의 영향으로 뚜껑부(72)가 부상하였다고 하여도, 플랜지부(72b)가 케이스(71)의 부위(71m)에 접촉하기 때문에, 림용 유로(42)로부터의 세정수가 흡기구(73)측으로 진입하는 것은 억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에서는, 수도관에 연결된 급수관(30), 지수전(31), 플렉시블 호스(32), 분기 장치(34) 및 주도관(35)을 경유하여 세정수가 밸브 수단(4)에 공급된다. 보울부(10)의 세정을 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이 없는 한, 양 개폐 밸브(4J, 4R)가 폐쇄되어 있고, 세정수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보울부(10)의 세정을 행할 때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하여,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구동 장치(5)의 모터가 구동하고, 회전축(52)이 회전 구동된다. 이로써 제 1회째의 림 련수 조작이 행하여진다. 즉, 제 1 캠(53)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0)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의 밸브 기구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세정수는 림용 개폐 밸브(4R)의 출수 포트(41r)을 경유하여 림용 유로(42)에 흐르고, 다시 림용 도관(43)을 경유하여 림 통수로(12)에 공급되고, 세정수가 림 통수로(12)로부터 보울부(10)의 내벽면에 따라 흘러 내려서 보울부(10)의 내벽면이 세정된다.
캠 장치(50)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캠(53)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0)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림용 개폐 밸브(4R)의 밸브 기구가 폐쇄한다. 그 후, 제 2 캠(54)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0)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밸브 기구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제트 통수 조작이 행하여진다. 즉, 세정수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출수 포트(41j)를 경유하여 제트용 유로(46)에 흐르고, 다시 제트용 도관(47)을 경유하여 제트 구멍(15)에 공급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뒤이어, 캠 장치(50)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2 캠(54)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0)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밸브 기구가 폐쇄한다. 그 후, 제 1 캠(53)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0)를 재차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의 밸브 기구를 재차 개방시킨다. 이로써 제 2회째의 림 통수 조작이 행하여진다. 즉, 세정수는 림용 개폐 밸브(4R)의 출수 포트(41r)을 경유하여 림용 유로(42)에 흐르고, 다시 림용 도관(43)을 경유하여 림 통수로(12)에 공급되고, 세정수는 보울부(10) 내벽면에 따라 흘러 내린다. 이로써, 보울부(10)는 봉수되고, 서양식 변기 본체(11)의 세정을 종료한다. 또한, 보울부(10)의 봉수면의 수위는 도 74에 있어서 W로 도시하고 있다. 도 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큠 브레이커(7)의 흡기구(73)는, 림 통수로(12) 및 제트 구멍(15)에 급수하는 급수 계통에 있어서 최고부에 마련되어 있고, 따라서 배큠 브레이커(7)의 흡기구(73)는, 봉수면(W), 림(13), 림용 도관(43), 제트용 도관(47) 및 개폐 밸브(4R, 4J)보다도 윗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에서는, 세정수를 공급하고 있는 개방 상태의 개폐 밸브(4R, 4J)가 폐쇄하고, 림 통수로(12)나 제트 구멍(15)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된 후, 림용 유로(42) 및 제트용 유로(46)의 상류측에 부압이 발생하고, 오수의 역류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에서는, 연통로(6)에 의해 림용 유로(42)와 제트용 유로(46)가 연통되고, 또한 림용 유로(42)에 마련된 배큠 브레이커(7)가 림 통수로(12)의 최상면보다 윗쪽에서 대기(100)와 연통하는 흡기구(73)를 갖기 때문에, 림용 유로(42), 제트용 유로(46) 및 연통로(6)는 대기(100)에 연통하고, 림용 유로(42) 및 제트용 유로(46)를 경유한 오수의 역류는 방지된다. 즉,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림용 유로(42)와 제트용 유로(46)는 서로 독립된 별도 경로이기는 하지만, 양자는 연통로(6)에 의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배큠 브레이커(7)는 림용 유로(42)의 상류측의 부압을 해소함과 함께 제트용 유로(46)의 상류측의 부압도 해소할 수 있다. 환언하면, 배큠 브레이커(7)는 림용 유로(42)와 제트용 유로(46)에 공통된 것으로 되고, 따라서 림용 유로(42) 전용의 배큠 부레이커 및 제트용 유로(46) 전용의 배큠 브레이커를 마련하지 않고도 해경되고, 부품 개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비용 저감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에서는, 도 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울부(10)의 봉수면(W)보다도 개폐 밸브(4J, 4R)가 윗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울부(10)의 세정 조작을 행한 후, 제트용 유로(46)에 있어서의 제트용 도관(47)의 봉수면(W)의 수위보다도 윗쪽의 부분에 공기가 잔류하기 쉽다. 제트용 도관(47)에 잔류한 공기는 보울부(10)의 바닥의 제트 노즐(16)로부터 방출되기 때문에, 보울부(10)의 바닥 부근에 고여있던 세정수에 있어서 거품으로서 공급되고, 이상음인 거품 부상음을 생성하기 쉽다. 이 점,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에 있어서는, 제트용 도관(47)에 공기가 잔류하고 있다고 하여도, 림용 개폐 밸브(4R)에 의해 제 1회째의 림 통수 조작을 행하면, 유로 면적이 큰 제 1 통로(42a)로부터, 유로 면적이 작은 스로틀 통로(42d)로 세정수가 흐르고, 스로틀 통로(42d)에 있어서의 유체인 세정수의 유속이 증가하여,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해 스로틀 통 로(42d)에 감압 작용이 생긴다. 이 때문에, 제트용 도관(47)에 잔류하고 있던 공기는, 제 1 림 통수 조작이 실행된 때에, 연통로(6)를 경유하여 림용 유로(42) 내로 흡인된다. 흡인된 공기는, 림용 유로(42)를 흐르는 세정수와 함께 림용 도관(43)을 경유하여 림 통수로(12)로 방출된다. 공기가 림 통수로(12)로 방출됐다고 하여도, 이상음인 거품 부상음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림용 유로(42)에 배큠 브레이커(7)를 마련하고 있지만, 제 6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에서는, 도 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유로(42)가 아니라, 림용 유로(42)와 제트용 유로(46)를 연통하는 연통로(6)에 배큠 브레이커(7)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큠 브레이커(7)의 대기 연통실(70)과 연통로(6)는, 연통로(6)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는 접속 통로(78)로 접속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연통로(6) 내에 세정수가 충만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림용 유로(42)의 상류측 부압의 해소와 제트용 유로(46)의 상류측 부압의 해소를 확실하게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제 6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1)에서는, 림용 유로(42)가 아니라, 제트용 유로(46)에 배큠 브레이커를 마련하여도 좋다.
(제 7 발명)
이하, 제 7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를 도 80 내지 8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수세식 변기로서,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제 7 발명을 구체화 하고 있다.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도 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관 등의 급수관(1)에 지수전(2)을 통하여 플렉시블 호스(3)가 접속되고, 플렉시블 호스(3)는 서양식 변기 본체(4)에 구비된 변기 세정 장치(5)에 접속되어 있다.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5)는, 플렉시블 호스(3)와 접속된 제트용 개폐 밸브(6)와, 개폐 밸브(6)와 일체로 고정된 림용 개폐 밸브(7)와, 개폐 밸브(7)와 일체(1)로 고정된 유동용 개폐 밸브(21)와, 개폐 밸브(6, 7)의 상단에 고정된 캠 장치(8)와, 캠 장치(8)에 인접하여 캠 장치(8)를 구동하는 모터 장치(9)를 갖고 있다. 모터 장치(9)는 컨트롤러(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6)는,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긴 하우징(6a)의 측면에 입수 포트(6B)가 개구되고, 입수 포트(6B)에는 플렉시블 호스(3)가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6a) 내에는 입수 포트(6B)와 접속하고, 폭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중앙에서 윗쪽으로 연장하는 주수로(6c)가 형성되어 있다. 주수로(6c)의 상단은, 도 8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6a)의 측면에 개구하는 출수 포트(6d)로 되어 있다. 출수 포트(6d)는 제트용 도관(15)에 접속되고, 제트용 도관(15)은, 도 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4)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제트 노즐에 접속되어 있다.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용 개폐 밸브(6)의 하우징(6a) 내에는 주밸브로서의 피스톤(11)이 상하로 활주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피스톤(11)의 아래쪽에는 압력 상쇄실(12)이 형성되어 있다. 주수로(6c)에는 피스톤(11)의 상단이 착좌 가능한 좌면(6e)이 형성되고, 피스톤(11)은 압력 상쇄실(12) 내에 마련한 가세 수단으로서의 스프링(13)에 의해 좌면(6e)측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11)에는 상하로 연장되고, 주수로(6c)와 압력 상쇄실(12)을 연통하는 통로로서의 복수개의 통공(11a)이 뚤려 있다. 이 피스톤(11)의 상단에는 윗쪽으로 연장되는 샤프트(14)가 고정되어 있고, 이 샤프트(14)는 도 81에 도시한 캠 장치(8)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6a)의 하단에는 압력 상쇄실(12)에 연통하고, 주수로(6c)보다 소경의 소 구멍(6f)이 형성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7)도,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긴 하우징(7a)의 측면에 입수 포트(7b)가 개구되고, 입수 포트(7b)는 제트용 개폐 밸브(6)의 주수로(6c)에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7a) 내에는 입수 포트(7b)와 접속하고, 폭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중앙에서 윗쪽으로 연장되는 주수로(7c)가 형성되어 있다. 주수로(7c)의 상단은,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7a)의 측면으로 개구하는 출수 포트(7d)로 되어 있다. 출수 포트(7d)는 림용 도관(16)에 접속되고, 림용 도관(16)은, 도 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4)의 도시하지 않은 림 통수로에 접속되어 있다.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7)의 하우징(7a) 내에도 주밸브로서의 피스톤(17)이 상하로 활주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피스톤(17)의 아래쪽에도 압력 상쇄실(18)이 형성되어 있다. 주수로(7c)에는 피스톤(17)의 상단이 착좌 가능한 좌면(7e)이 형성되고, 피스톤(17)은 압력 상쇄실(18) 내에 마련한 가세 수단으로서의 스프링(19)에 의해 좌면(7e)측으로 가세되어 있다. 주수로(7c)는 하우 징(7a)을 가로지르는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후술하는 부수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입수구(22)로 되어 있다. 즉, 부수로의 입수구(22)는 주수로(6c, 7c)의 1차측의 종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17)에도 상하로 연장되고, 주수로(7c)와 압력 상쇄실(18)을 연통하는 통로로서의 복수개의 통공(17a)이 뚫려 있다. 이 피스톤(17)의 상단에도 윗쪽으로 연장되는 샤프트(20)가 고정되어 있고, 이 샤프트(20)도 도 81에 도시한 캠 장치(8)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게 되어 있다. 캠 장치(8)는 모터 장치(9)에 의해 구동되게 되어 있고, 모터 장치(9)는 컨트롤러(10)에 의해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7a)의 하단에는 압력 상쇄실(18)에 연통하고, 주수로(7c)보다 소경의 작은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유동용 개폐 밸브(21)는,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가로길이의 하우징(21a)을 갖고 있고, 하우징(21a)에는 부수로(22)의 입수구에 연통하고, 주수로(7c)보다 소경의 작은 구멍(21b)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작은 구멍(6f, 7f)과 배관(23, 24)을 통하여 연통하는 같은 작은 구멍(21c, 21d)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작은 구멍(21b, 21c, 21d)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밸브실(21e)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밸브실(21e) 내에는 부밸브체(25)가 수동 조작 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부밸브체(25)의 나사체결 위치에 의해 작은 구멍(21c, 21d)의 개방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관(23, 24)에는 정류량 밸브 기구(26, 27)가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들 개폐 밸브(6, 7, 21)에서는, 림용의 주수로(6c) 및 피스톤(11) 및 제트용의 주수로(7c) 및 피스톤(17)이 입수 포트(6B)를 공통화 하여 조립되어 있다. 이로써, 림용 개폐 밸브(7)와, 제트용 개폐 밸브(6)가 일체로 되고,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의 탑재성에 우수함과 함께, 배관이 불필요하게 되어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부수로의 단일의 입수구(22)가 주수로(7c)에 접속되고, 부수로의 2개의 출수구를 이루는 통공(11a, 17a)이 림용의 출수 포트(6d)와 제트용의 출수 포트(7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개폐 밸브(6, 7, 21)에서는, 입수구(22), 작은 구멍(21b), 밸브실(21e), 작은 구멍(21c), 배관(23), 작은 구멍(6f), 압력 상쇄실(12) 및 통공(11a)이 하나의 부수로를 구성하고, 입수구(22), 작은 구멍(21b), 밸브실(21e), 작은 구멍(21d), 배관(24), 작은 구멍(7f), 압력 상쇄실(18) 및 통공(17a)이 다른 하나의 부수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부수로는, 부밸브체(25)의 나사체결 위치를 조정하는 것과, 정유량 밸브 기구(26, 27)의 기능에 의해, 서양식 변기 본체(4)의 상류측에서의 동결 또는 서양식 변기 본체(4)의 도시하지 않은 트랩의 동결을 방지 가능한 유량의 세정수를 토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개폐 밸브(6, 7, 21)에서는, 하우징(6a, 7a, 21a)이 서로 접합되어 단일의 하우징을 구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개폐 밸브(6, 7, 21)에서는, 주수로(6c, 7c) 및 피스톤(11, 17)으로 이루어지는 주밸브 기구와, 부수로(22) 등 및 부밸브체(25)로 이루어지는 부밸브 기구가 일체로 되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의 탑재성에 우수함과 함께, 배관이 불필요하게 되고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개폐 밸브(6, 7, 21)를 구비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스위치의 입력에 의해, 먼저 피스톤(17)에 의해 주수로(7c)가 개방되 고, 대유량의 세정수가 서양식 변기 본체(4)의 림 통수로에 유동하고, 변기보울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뒤이어, 피스톤(11)에 의해 주수로(6c)가 개방되고, 대유량의 세정수가 서양식 변기 본체(4)에 구비한 제트 노즐에 유동하고, 강제적으로 사이펀 효과가 생긴다. 이 후, 재차 피스톤(17)에 의해 주수로(7c)가 개방되고, 대유량의 세정수가 서양식 변기 본체(4)의 림 통수로에 유동하고, 변기보울의 봉수가 행하여진다.
또한, 한냉시에 있어서는, 피스톤(11, 17)이 주수로(6c, 7c)를 장기간 폐쇄하고 있는 때, 부밸브체(25)에 의해 부수로를 개방함으로써, 소유량의 세정수를 림 통수로 또는/및 제트 노즐에 유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한냉시에 있어서의 급수관(1)이나 서양식 변기 본체(4)에 이르는 급수 계통의 동결 또는 서양식 변기 본체(4)의 트랩 및 그 하류측에서의 동결의 방지와, 염가의 유지료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개폐 밸브(6, 7, 21)에서는, 부수로가 피스톤(11, 17)을 관통하는 통공(11a, 17a)을 포함하기 때문에, 소유량의 세정수를 유동시키고 있는 한 압력 상쇄실(12, 18) 및 피스톤(11, 17) 부근에 사수가 생기기 어렵다. 특히, 부수로의 입수구(22)가 주수로(6c, 7c)의 1차측 종단부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부수로의 입수구(22) 부근과 주수로(6c, 7c)의 1차측의 종단부와의 사이에 사수가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사수의 오염, 동결이 생길 우려가 없다.
또한, 이들 개폐 밸브(6, 7, 21)에서는, 피스톤(11, 17) 축방향의 활주성이 확보되고, 작동 응답성이 안정되고,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의 세정 성 등에 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입수 포트(6B) 또는 출수 포트(6d, 7d)로부터 피스톤(11, 17)의 한쪽측에 존재하는 세정수가 통공(11a, 17a)을 통하여 압력 상쇄실(12, 18)로 이동하여, 압력 상쇄실(12, 18) 내의 세정수의 압력과, 피스톤(11, 17)의 한쪽측의 세정수 압력과의 균형이 도모되어, 양자의 차이압이 해소 또는 감소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수로의 일부를 배관(23, 24)에 의해 구성하였지만, 이들을 하우징(6a, 7a) 내에 형성한 유로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유량 밸브 기구도 하우징(6a, 7a) 내에 내장시킬 수 있다.
(제 8 발명)
이하, 제 8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 1, 2를 도 83 내지 9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83 내지 8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수세식 변기로서의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제 8 발명을 구체화 하고 있다.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도 83 및 도 8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1)와, 서양식 변기 본체(1)의 후단부에 배치된 변기 세정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서양식 변기 본체(1)는, 배설물을 받는 보울부(10)를 갖는 변기보울(11)과, 보울부(10)의 상부 주연에 둘러진 림 통수로(12)를 갖는 림(13)과, 보울부(10)의 바닥에 연통하고, 배설물을 흘리는 트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트랩부(14)의 입구에는 통수로로서 기능하는 제트 노 즐(15)이 마련되어 있고, 변기보울(11)의 뒷부분의 측면에는 수로부(1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변기 시트 및 변기 뚜껑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변기 세정 장치(4)는, 서양식 변기 본체(1)의 후단에 부착구(40)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41)로 지지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41)의 편측에 지지된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을 구성하는 개폐 밸브(5)와, 개폐 밸브(5)를 개폐시키는 구동 장치(9)와,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변기 세정 장치(4) 등의 장비품은 커버(142)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도 8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5)는, 제트용 개폐 밸브(51)와 림용 개폐 밸브(52)를 병설하여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개폐 밸브(5)의 내부 구조를 도 8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52)는, 피스톤실(60)을 갖는 하우징(61)과, 하우징(61)의 좌우의 한쪽(도시 우측)에 마련된 제 1 포트(62)와, 피스톤실(60)의 세정수를 토출하는 출수 포트(63)와, 피스톤실(60)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강성을 갖는 밸브 기구로서 기능하는 피스톤(64)을 갖고 있다. 제 1 포트(62) 및 출수 포트(63)는 피스톤실(60)에 연통하고 있다. 피스톤(64)의 외주부의 링 홈에는 O링(64a)이 지지되어 있고, 피스톤(64)의 외주부와 하우징(61)의 내벽면과의 경계영역을 실하고 있다. 또한, 피스톤실(60) 내에는 하우징(61)과 피스톤(64)의 타단면에 의해 압력 상쇄실(65)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 상쇄실(65)은 피스톤(64)에 형성된 통로로서의 복수개의 통공(66)을 통하여 출수 포트(63)측으로 연통하고 있다. 압력 상쇄실(65)에는, 가세 수단으로서의 가압 코일 스프링(67)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압 코일 스프링(67)은 하우 징(61)과 피스톤(64)의 타단면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피스톤(64)을 항상 한쪽측 즉 화살표 Y1 방향으로 가세하고, 제 1 포트(62)와 출수 포트(63)와의 연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세력을 갖고 있다. 림용 개폐 밸브(52)의 출수 포트(63)는, 림용 도관(16)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접속되어 있다.
피스톤(64)의 일단면에는 피스톤(64)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샤프트(68)가 동축적으로 고정되고, 하우징(61)으로부터 일방향을 향해 즉 화살표 Y1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68)와 하우징(61)과의 경계영역은 O링(69)에 의해 밀폐 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51)는 림용 개폐 밸브(52)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이다. 즉, 제트용 개폐 밸브(51)는, 피스톤실(60)을 갖는 하우징(61)과, 하우징(61)의 좌우의 다른 방향(도시 좌측)에 마련된 제 2 포트(72)와, 피스톤실(60)의 세정수를 토출하는 출수 포트(73)와, 피스톤실(60)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강성을 갖는 밸브 기구로서 기능하는 피스톤(64)을 갖고 있다. 제 2 포트(72)의 면적은 제 1 포트(62)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제 2 포트(7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국부 세정 장치(100)에 급수하는 것이으로 보울부(10)의 세정만큼의 세정 수량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 2 포트(72) 및 출수 포트(73)는 피스톤실(60)에 연통하고 있다.
피스톤실(60) 내의 하부에는 압력 상쇄실(65)이 형성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51)에 관한 압력 상쇄실(65)은, 피스톤(64)에 형성된 통로로서의 복수개의 통공(66)을 통하여 출수 포트(73)측으로 연통하고 있다. 압력 상쇄실(65)에는, 가세 수단으로서의 가압 코일 스프링(67)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압 코일 스프링(67)은, 하우징(61)과 피스톤(64)의 타단면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피스톤(64)을 항상 한쪽측 즉 화살표 Y1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도 86은 도 87의 Ⅳ- Ⅳ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5)의 내부에는, 각 피스톤실(60)의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동축적으로 각 피스톤실(60)의 주위 방향에 따라 링 형상의 중간 연통로(75)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중간 연통로(75)끼리를 연결하는 연통로(76)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통로(75) 및 연통로(76)를 통하여,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 및 제 2 포트(72)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이 결과, 림용 개폐 밸브(52)의 개폐 작용과 무관하게, 환언하면 림 통수로(12)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제 1 포트(62) 및 제 2 포트(72)는 항상 연통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개폐 작용과 무관하게, 환언하면 제토용 노즐(15)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제 1 포트(62) 및 제 2 포트(72)는 항상 연통하고 있다.
도 8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9)는 제 1, 2 개폐 밸브(51, 52)를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제 1, 2 개폐 밸브(51, 52)의 윗쪽에 배치된 캠 장치(90)와, 캠 장치(90)을 작동시키는 모터 장치(95)로 형성되어 있다. 캠 장치(90)는, 제 1, 제 2 개폐 밸브(51, 52)에 고정된 도시 생략된 브래킷에 수평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92)과, 회전축(92)에 고정된 제 1, 제 2 캠(93, 94)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 장치(95)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변속 기어를 내장하고 있고,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회전축(92)을 회전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동 장치(9)에는 수동 조작용의 핸들(96)이 부착되어 있고, 정전시 등에 있어서 캠 장치(90)의 회전축(92)을 수동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8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실에 있어서는, 벽(34)에 급수관(32)이 부착되고, 급수부(32)의 선단에 지수전(31)이 부착되어 있다. 급수관(32)은, 접속관으로서의 플렉시블 호스(30)를 통하여 수로부(18)에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8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관(32)의 세정수는, 지수전(31), 플렉시블 호스(30) 및 수로부(18)를 통하여,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 1 포트(62)는, 급수관(32)과 접속된 입수 포트로서 기능한다.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기능을 갖는 국부 세정 장치(100)가 부속 기기로서 변기 본체(1)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국부 세정 장치(100)는, 개폐 밸브(5)의 제 2 포트(72)에 통로(102c)를 통하여 연결되는 급수 밸브(102)와, 급수 밸브(102)에 연결됨과 함께 세정수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를 내장한 온수 탱크(104)와, 변기 시트에 앉아 있는 인체의 국부를 향해 온수 탱크(104)의 세정수를 분출하는 신장 가능한 샤워 노즐(106)을 갖는다. 이와 같이 개폐 밸브(5)의 제 2 포트(72)는 국부 세정 장치(100)측의 급수 밸브(102)와 접속되어 있고, 국부 세정 장닉(100)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포트로서 기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보울부(10)의 세정을 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이 없는 한, 변기 세정 장치(4)의 양 개폐 밸브(51, 52)사 폐쇄되어 있고, 급수관(32)의 세정수는 림 통수로(12) 및 제트 노즐(15)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즉, 도 87에 있어서, 제 1, 2 개폐 밸브(51, 52)의 피스톤(64)은 하우징(61)의 좌면(61c)에 착좌하여 폐쇄하고 있고, 제 1 포트(62)와 출수 포트(63)와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음과 함께, 제 1 포트(62)와 출수 포트(73)와의 연통도 차단되어 있다.
또한,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림 통수로(12)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즉 림용 개폐 밸브(52)의 개폐 작용과 무관하게,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와 제 2 포트(72)는 서로 항상 연통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트 노즐(15)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즉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개폐 작용과 무관하게,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와 제 2 포트(72)는 서로 항상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급수관(32)의 세정수가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에 급수되면, 제트용 개폐 밸브(51) 및 림용 개폐 밸브(52)의 쌍방에 각각 자동적으로 급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 밸브(5)의 제 2 포트(72)에도 자동적으로 급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포트(72)에 연결되는 국부 세정 장치(100)의 온수 탱크(104)에도 급수 밸브(102)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급수할 수 있다.
국부 세정 장치(100)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한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변기 시트에 위 앉아 있는 사용자의 국부에 샤워 노즐(106)의 선단의 노즐부가 접근하고, 인체의 국부에 온수 탱크(104)의 온수를 분출하여 국부를 세정한다. 국부의 세정이 끝나면, 샤워 노즐(106)의 선단의 노즐부는 퇴피한다.
국부 세정 장치(100)의 사용에 수반하여 온수 탱크(104)의 세정수가 감소한 때에는, 이것을 수위 센서에 의해 검지한 컨트롤러가 급수 밸브(102)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림용 개폐 밸브(52) 및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개폐에 관계없이, 급수부(32)로부터의 세정수가 수로부(18),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 연통로(76), 중간 연통로(75), 제 2 포트(72) 및 급수 밸브(102)를 경유하여, 국부 세정 장치(100)의 온수 탱크(104)에 공급된다.
그리고, 국부를 세정한 후에는 보울부(10)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이 경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한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모터 장치(95)가 구동하고, 캠 장치(90)의 회전축(92)이 회전 구동된다. 이로써, 캠(94)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52)의 샤프트(68)를 다른 방향, 즉 화살표 Y2 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67)이 탄성 수축하고, 피스톤(64)은 화살표 Y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림용 개폐 밸브(52)의 피스톤(64)은 하우징(61)의 좌면(61c)으로부터 이좌하고. 제 1 포트(62)와 출수 포트(63)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이로써, 림용 개폐 밸브(52)는 세정수를 림용 도관(16)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의 내벽면을 세정한다.
뒤이어, 캠(94)이 림용 개폐 밸브(52)의 샤프트(68)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림용 개폐 밸브(52)가 폐쇄한 후, 캠(93)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샤프트(68)를 다른 방향, 즉 화살표 Y2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51)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피스톤(64)은 하우징(61)의 좌면(61c)로부터 이좌하고. 제트용 개폐 밸브(51)가 개방하고, 제 1 포트(62)와 출수 포트(73)가 중간 연통로(75)를 통하여 연통한다. 이로써, 제트용 개폐 밸 브(51)는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7)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급수하여,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이 후, 캠(93)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샤프트(68)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트용 개폐 밸브(51)가 폐쇄한 후, 캠(94)이 림용 개폐 밸브(52)의 샤프트(68)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림용 개폐 밸브(52)를 다시 개방시킨다. 이로써, 세정수가 림용 도관(16)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되고, 보울부(10)를 봉수한다. 그리고, 보울부(10)의 세정이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5)의 제 2 포트(72)는, 림 통수로(12)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 및, 제트 노즐(15)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제 1 포트(62)와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도 8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와 급수관(32)을 지수전(31) 및 플렉시블 호스(30)를 통하여 접속해하여두면, 제 2 포트(72)에는, 림 통수로(12)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 및 제트 노즐(15)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세정수가 공급되게 된다. 이 때문에, 개폐 밸브(5)를 통하여 국부 세정 장치(100)의 온수 탱크(104)에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국부 세정 장치(100)와 급수관(32)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관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달리, 복수개의 접속관이 병렬하여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속관에 요하는 배관 공간이 작아도 해결될 뿐만 아니라,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은, 국부 세정 장치(100)가 서양식 변기 본체(1)에 마련되어 있 는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국부 세정 장호(100)가 서양식 변기 본체(1)에 마련되지 않느 경우에는, 도 87에 도시한 뚜껑 부재(57)를 개폐 밸브(5)의 제 2 포트(72)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하고 제 2 포트(72)를 밀봉하여 두면 좋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도 88 내지 9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2는 실시 형태 1과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이고, 기본적으로는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이 때문에 공통된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일가 있다.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수세식 변기로서, 도 88 및 도 8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1)와, 서양식 변기 본체(1)의 후단부에 배치된 변기 세정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서양식 변기 본체(1)는, 배설물을 받는 보울부(10)를 갖는 변기보울(11)과, 보울부(10)의 상부 주연에 둘러진 림 통수로(12)를 갖는 림(13)과, 보울부(10)의 바닥에 연통하여, 배설물을 흘리는 트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트랩부(14)의 입구에는 제트 노즐(15)이 부착되어 있다.
도 8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4)는, 서양식 변기 본체(1)의 후단에 부착구(40)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41)로 지지되어 있고, 도 8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1)의 편측에 지지된 분기 장치(2)와, 베이스 플레이트(41)의 다른 편측에 지지된 개폐 밸브(5)와, 개폐 밸브(5)를 개폐시키는 구동 장치(9)와,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변기 세정 장문(4) 의 주요부는 커버(142)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분기 장치(2)는, 변기 세정 장치(4)의 급수로와, 국부 세정 장치(100)의 온수 탱크의 급수로로 분기시키는 것이다. 이 분기 장치(2)는, 외측으로 개구하는 분기용 포트(20)를 형성하는 플랜지부(22)와, 내측으로 개구하는 토출 포트(25)를 형성하는 플랜지부(27)를 갖는다.
도 90은 개폐 밸브(5)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90에서는, 도 87과 달리, 제트용 개폐 밸브(51)가 도시 우측에 도시되고, 림용 개폐 밸브(52)가 도시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도 9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5)는, 제트용 개폐 밸브(51)와, 림용 개폐 밸브(52)를 일체적으로 병설하고 조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51)는, 피스톤실(60)을 갖는 하우징(61)과, 피스톤실(60)에 연통하는 제 2 포트(72k)와, 피스톤실(60)에 연통함과 함께 피스톤실(60)의 세정수를 토출하는 출수 포트(73)와, 피스톤실(60)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강성을 갖는 밸브 기구로서 기능하는 피스톤(64)을 갖고 있다. 피스톤(64)의 외주부의 링 홈에는 O링(64a)이 지지되어 있고, 피스톤(64)의 외주부와 하우징(61)의 내벽면과의 경계영역을 밀폐 하고 있다. 또한, 피스톤실(60) 내에는 하우징(61)과 피스톤(64)의 타단면에 의해 압력 상쇄실(65)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 상쇄실(65)은 피스톤(64)에 형성된 통로로서의 복수개의 통공(166)을 통하여 출수 포트(73)측으로 연통하고 있다. 압력 상쇄실(65)에는 가압 코일 스프링(67)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압 코일 스프링(67)은 하우징(61)과 피스톤(64)의 타단면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피스톤(64)을 항상 한쪽측, 즉 화살표 Y1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피스 톤(64)의 단면에는 피스톤(64)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샤프트(68)가 동축적으로 고정되고, 하우징(61)으로부터 일방향을 향해 즉 화살표 Y1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68)와 하우징(61)과의 경계영역은 O링(69)에 의해 밀폐 되어 있다.
림용개폐 밸브(52)는 제트용 개폐 밸브(51)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이다. 즉, 림용 개폐 밸브(52)는, 피스톤실(60)을 갖는 하우징(61)과, 피스톤실(60)에 연통하여 하우징(61) 내에 세정수를 받아들이는 제 1 포트(62k)와, 피스톤실(60)에 연통하여 피스톤실(60)의 세정수를 토출하는 출수 포트(63)와, 피스톤실(60)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 강성을 갖는 밸브 기구로서 기능하는 피스톤(64)을 갖고 있다. 제 1 포트(62k) 및 출수 포트(63)는 피스톤실(60)에 연통하고 있다. 피스톤실(60) 내에는 압력 상쇄실(65)이 형성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52)에 관한 압력 상쇄실(65)은, 피스톤(64)에 형성된 통로로서의 복수개의 통공(166)을 통하여 출수 포트(63)측으로 연통하고 있다. 압력 상쇄실(65)에는 가압 코일 스프링(67)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압 코일 스프링(67)은 하우징(61)과 피스톤(64)의 타단면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피스톤(64)을 항상 한쪽측, 즉 화살표 Y1 방향으로 가세하고, 출수 포트(63)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세력을 갖고 있다.
상기한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제 2 포트(72k)와 림용 개폐 밸브(52)의 제 1 포트(62k)는, 개폐 밸브(5)의 중심선(PA)를 통하여 서로 좌우 대칭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포트(62k) 및 제 2 포트(72k)는,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61)에 형성된 피스톤실(60)의 둘레 방향에 따라 링 형상의 중간 연통 로(75)와, 중간 연통로(75)끼리를 연결하는 연통로(76)를 통하여 항상 연통하고 있다. 즉, 제 1 포토(62k) 및 제 2 포트(72k)는, 림 통수로(12)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관계없이, 또한 제트 노즐(15)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관계없이 항상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제 2 포트(72k)에는, 측면측으로 돌출되어 플랜지부(77)가 형성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52)의 제 1 포트(62k)에도 측면측으로 돌출되어 플랜지부(78)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77) 및 플랜지부(78)는, 개폐 밸브(5)의 중심선(PA)를 통하여 서로 좌우 대칭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개폐 밸브(5)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볼트 삽입 구멍을 갖는 복수의 부착편(54)이 좌우 대칭 위치에 고정 나사(55)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개폐 밸브(5)는, 각 부착편(54)의 볼트 삽입 구멍에 삽통한 부착 볼트(56)를 베이스 플레이트(41)의 구멍에 삽통한 상태로 하여, 부착 볼트(56)를 체결함으로써 변기 세정 장치(4)의 베이스 플레이트(41)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90 이외의 다른 도면에서는, 부착편(54) 및 부착 볼트(56)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91 및 도 9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용 개폐 밸브(51)에는 연결 부재(80)가 접속되고, 연결 부재(80)의 상단에는 배큠 브레이커(82)가 접속되어 있다. 다른 한편, 림용의 림용 개폐 밸브(52)에도 연결 부재(80)가 접속되고, 연결 부재(80)의 상단에는 배큠 브레이커(82)가 접속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밸브(5)의 출수 포트(73)는, 연결 부재(80)의 토출 포트(81) 및 배큠 브레이커(82)의 대기 구멍(83)과 접속되어 있다. 연결 부재(80)의 토출 포트(81)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중간 플랜지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5)의 중간 플랜지부(84)는 제트용 도관(17)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접속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52)의 출수 포트(63)는, 연결 부재(80)의 토출 포트(81) 및 배큠 브레이커(82)의 대기 구멍(83)과 접속되어 있다. 연결 부재(80)의 토출 포트(81)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중간 플랜지부(84)가 형성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52)의 중간 플랜지부(84)는 림용 도관(16)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접속되어 있다.
도 8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9)는 제 1, 2 개폐 밸브(51, 52)를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제 1, 2 개폐 밸브(51, 52)의 윗쪽에 배치된 캠 장치(90)와, 캠 장치(90)를 작동시키는 모터 장치(95)로 형성되어 있다. 캠 장치(90)는, 제 1, 2 개폐 밸브(51, 52)에 고정되고, 앞쪽을 향해 양단이 돌출되어 있는 브래킷(91)과, 이 브래킷(91)에 수평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92)과, 회전축(92)에 고정된 제 1, 제 2 캠(93, 94)을 구비하고 있다.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도 93 및 도 9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밀(水密) 폐쇄용의 뚜껑 부재(57)가 마련되어 있다. 뚜껑 부재(57)는, 개폐 밸브(5)의 플랜지부(77) 및 플랜지부(78)와, 분기 장치(2)의 플랜지부(22)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 9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 부재(57)가 분기 장치(2)의 플랜지부(22)에 부착되면, 변기 세정 장치(4)의 분기용 포트(20)는 폐쇄되고, 수밀로 밀봉된다. 다른 한편, 도 9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 부재(57)가 플랜지부(78)에 부착되면, 변기 세정 장치(4)의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k)는 폐쇄되고, 수밀로 밀봉된다.
도 9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실에 있어서는, 벽(34)에 부착된 급수관(32)과, 급수관(32)에 부착된 지수전(31)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분기 장치(2)와 반대측(도시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일가 있다. 이 경우에는, 급수관(32)은, 개폐 밸브(5)의 제1 포트(62k)에 가깝기 때문에, 지수전(31) 및 접속관인 플렉시블 호스(30)를 통하여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k)의 플랜지부(78)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 1 포트(62k)는 개폐 밸브(5)의 입수 포트로서 기능한다. 다른 한편, 개폐 밸브(5)의 제 2 포트(72k)는 도관(21), 분기 장치(2)를 통하여 국부 세정 장치(100)의 온수 탱크(104)에 연결되어 있고, 국부 세정 장치(100)에 급수하는 급수 포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변기 세정 장치(4)의 분기용 포트(20)는, 도 9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2)에 뚜껑 부재(57)가 부착됨으로써 폐쇄되고, 수밀로 밀봉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급수관(32)으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는, 지수전(31), 플렉시블 호스(30) 및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k)를 경유하여 개폐 밸브(5)의 내부를 통과하고, 개폐 밸브(5)의 제 2 포트(62k) 및 도관(21)을 경유하여 분기 장치(2)까지 도달하고, 또한 국부 세정 장치(100)의 온수 탱크(104)에 도달한다. 즉, 개폐 밸브(5)에 의한 보울부(10)의 세정 처리에 관계없이, 급수관(32)의 세정수를 개폐 밸브(5)의 제 2 포트(72k)를 경유하여 국부 세정 장치(100)의 온수 탱크(104)에 급수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포트(72k)는, 국부 세정 장치(100)와 접속되고, 이것에 급수하는 급수 포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국부 세정 장치(100)가 서양식 변기 본체(1)에 탑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관(21)을 제외한 상태에서, 변기 세정 장치(4)의 제 2 포트(72k)의 플랜지부(77)에 뚜껑 부재(57)를 부착한다. 이로써 제 2 포트(72k)를 폐쇄하고, 수밀로 밀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대해, 도 9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화장실에 있어서는, 벽(34)에 부착된 급수관(32)과, 급수관(32)에 부착된 지수전(31)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분기 장치(2)측(도시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일이 있다. 이 경우, 급수관(32)은, 분기용 포트(20)에 가깝기 때문에, 지수전(31) 및 접속관인 플렉시블 호스(30)를 통하여 변기 세정 장치(4)의 분기용 포트(20)의 플랜지부(22)에 접속된다. 또한, 분기 장치(2)로부터 도출된 도관(21)의 단부는,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제 2 포트(72k)의 플랜지부(77)에 접속된다. 다른 한편,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k)는, 플랜지부(78)에 뚜껑 부재(57)가 부착됨으로써 폐쇄되고, 수밀로 밀봉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급수관(32)의 세정수는, 지수전(31), 플렉시블 호스(30) 및 분기 용 포트(20)에 공급되고, 분기 장치(2) 및 도관(21)을 경유하여 개폐 밸브(5)의 제 2 포트(72k)에 공급되고, 다시 림용 개폐 밸브(52) 및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쌍방에 각각 급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변기 세정 장치(4)에서는, 보울부(10)의 세정을 행 하고자 하는 경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즉,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이 없는 한, 양 개폐 밸브(51, 52)가 폐쇄되어 있고, 급수관(32)의 세정수는 림 통수로(12) 및 제트 노즐(15)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즉, 제 1, 2 개폐 밸브(51, 52)의 피스톤(64)은 하우징(61)의 좌면(61c)에 착좌하고 있다,
보울부(10)의 세정을 행할 때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거하여,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모터 장치(95)가 구동하고, 캠 장치(90)의 회전축(92)이 회전 구동된다. 이로써, 제 2 캠(94)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52)의 샤프트(68)를 다른 방향, 즉 화살표 Y2 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 코일 스프링(67)이 탄성 수축하고, 피스톤(64)은 화살표 Y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림용 개폐 밸브(52)의 피스톤(64)은 하우징(61)의 좌면(61c)로부터 이좌하고. 중간 연통로(75)와 출수 포트(63)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이로써, 림용 개폐 밸브(52)는 세정수를 림용 도관(16)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하고, 보울부(10)의 내벽면을 세정한다.
뒤이어, 제 2 캠(94)이 림용 개폐 밸브(52)의 샤프트(68)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림용 개폐 밸브(52)가 폐쇄한 후, 제 1 캠(93)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샤프트(68)를 다른 방향, 즉 화살표 Y2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51)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피스톤(64)은 하우징 6t의 좌면(61c)로부터 이좌하고.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연통로(76)와 출수 포트(73)가 연통한다. 이로써, 제트용 개폐 밸브(51)는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7)를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급수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생기게 한다.
이 후, 제 1 캠(93)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51)의 샤프트(68)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트용 개폐 밸브(51)가 폐쇄한 후, 제 2 캠(94)이 림용 개폐 밸브(52)의 샤프트(68)를 재차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52)를 재차 개방시킨다. 이로써, 세정수가 림용 도관(16)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급수되고, 보울부(10)를 봉수한다. 그리고 보울부(10)의 세정이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밸브(5)의 제 2 포트(72k)는, 림 통수로(12)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또한 제트 노즐(15)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제 1 포트(62k)와 항상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도 9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5)의 제 1 포트(62k)를 벽(34)의 급수관(32)에 지수전(31)을 통하여 접속하여 두면, 제 2 포트(72k)는 림 통수로(12)에의 세정수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마찬가지로 제트 노즐(15)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세정수가 공급되게 된다. 이 때문에, 개폐 밸브(5)의 제 2 포트(72k), 도관(21) 및 분기 장치(2)를 통하여 국부 세정 장치(100)의 온수 탱크(104)에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국부 세정 장치(100)와 급수관(32)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관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접속관이 병렬하여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속관에 요하는 배관 공간이 작아도 될 뿐만 아니라,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부기)
상기한 기재로부터 다음 기술적 사상도 파악할 수 있다.
적어도 림 통수로를 갖는 서양식 변기 본체와,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고, 급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적어도 그 림 통수로에 인도하여 해당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을 행하는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세정 장치는, 세정수를 적어도 상기 림 통수로에 공급·정지 가능한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해당 개폐 밸브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를 갖고, 또한 해당 림 통수로에 연통하는 출수 포트를 갖는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에 마련되고, 해당 출수 포트를 통하여 통수로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를 행하는 밸브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포트는, 통수로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제 1 포트와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상기한 기재로 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 2 포트는, 림 통수로 등의 통수로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제 1 포트와 연통하기 때문에, 개폐 밸브의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어느 한쪽 한쪽을 급수관에 접속하여 세정수를 공급하여 두면, 개폐 밸브의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다른 쪽은, 통수로에의 세정수의 공급·정지와 무관하게, 세정수가 공급되게 된다. 이 때문에,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다른쪽과 급수관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관이 불필요하게 되어, 복수개의 접속관이 병렬하여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접속관에 요하는 배관 공간이 작아도 될 뿐만 아니라,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 9 발명)
이하, 제 9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를 도 95 내지 9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수세식 변기용 개폐 밸브(이하, 단지「개폐 밸브」라고 한다)를 도 95에 도시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이용하고 있다.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도자기제의 서양식 변기 본체(1)에 변기 세정 장치(2)가 구비되어 있다. 변기 세정 장치(2)에는 플렉시블 호스(3)가 접속되고, 플렉시블 호스(3)는 지수전(4)를 통하여 급수원으로서의 수도관(5)에 접속되어 있다.
변기 세정 장치(2)는, 도 9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3)와 접속된 제트용 개폐 밸브(6)와, 개폐 밸브(6)와 일체로 고정된 림용 개폐 밸브(7)와, 개폐 밸브(6, 7)의 상단에 고정된 캠 장치(8)와, 캠 장치(8)에 인접하여 캠 장치(8)를 구동하는 모터 장치(9)를 갖고 있다. 모터 장치(9)는 컨트롤러(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6)에서는, 도 9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긴 하우징(11)의 측면에 플렉시블 호스(3)와 연통하는 입수 포트(11a)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 내에는 입수 포트(11a)와 연통하는 주연통로(11b)가 폭방향으로 뚫리여 있고, 주연통로(11b)의 중앙에는 윗쪽으로 연장된 후에 바로 앞쪽으로 굴곡되는 부연통로(11c)가 연통되어 있다. 부연통로(11c)는 하우징(11)의 앞면에 개구된 출수 포트(11d)와 연통되어 있다. 이들 주연통로(11b) 및 부연통로(11c)가 연통로이다.
또한, 주연통로(11b)의 중앙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피스톤실(11e)이 연통되 고, 주연통로(11b) 및 피스톤실(11e) 내에는 가압 스프링(12)에 의해 주연통로(11b)와 부연통로(11c)와의 연통을 개폐 가능한 피스톤(13)이 활주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13) 및 가압 스프링(12)이 밸브 기구이다.
피스톤(13)에는 윗쪽으로 연장된 샤프트(21)가 고정되어 있고, 이 샤프트(21)는 하우징(11)과의 사이에 O링(22)을 개재하여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21)는, 도 2에 도시한 캠 장치(8)의 캠과 미끄럼 접촉하록 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7)에서는, 도 9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긴 하우징(14)의 측면에 제트용 개폐 밸브(6)의 주연통로(11b)와 연통하는 입수 포트(14a)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4) 내에는 입수 포트(14a)와 연통하는 주연통로(14b)가 폭방향으로 패여저 있고, 주연통로(14b)의 중앙에는 윗쪽으로 연장된 후에 바로앞쪽으로 굴곡되는 부연통로(14c)가 연통되어 있다. 부연통로(14c)는 하우징(14)의 앞면에 개구된 출수 포트(14d)와 연통되어 있다. 이들 주연통로(14b) 및 부연통로(14c)가 연통로이다.
또한, 주연통로(14b)의 중앙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피스톤실(14e)이 연통되고, 주연통로(14b) 및 피스톤실(14e) 내에는 가압 스프링(15)에 의해 주연통로(14b)와 부연통로(14c)와의 연통을 개폐 가능한 피스톤(16)이 활주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16) 및 가압 스프링(15)이 밸브 기구이다.
피스톤(16)에도 윗쪽으로 연장되는 샤프트(23)가 고정되어 있고, 이 샤프트(23)는,하우징(14)과의 사이에 O링(24)을 개재하여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23)도, 도 96에 도시한 캠 장치(8)의 다른 캠과 미끄럼 접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7에 도시한 제트용 개폐 밸브(6)의 출수 포트(11d)는, 도 9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용 도관(17)에 접속되고, 제트용 도관(17)는, 도 9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1)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제트 노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97에 도시한 림용 개폐 밸브(7)의 출수 포트(14d)는, 도 9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도관(18)에 접속되고, 림용 도관(18)은, 도 9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도시하지 않은 림 통수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9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용 개폐 밸브(6) 및 림용 개폐 밸브(7)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이들의 주연통로(11b, 14b)의 저면은, 수평면에 대해, 제트용 개폐 밸브(6)의 입수 포트(11a)를 향해 미소한 각도 θ로 내려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스위치의 입력에 의해 캠 장초(8)가 작동된다. 이로써, 먼저 림용 개폐 밸브(7)의 샤프트(23)가 피스톤(16)을 하강시켜서, 주연통로(14b)와 부연통로(14c)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이로서, 대유량의 세정수가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림 통수로에 유동하고, 변기보울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뒤이어, 가압 스프링(15)의 가세력에 굽혀져 피스톤(16)이 상승하여 주연통로(14b)와 부연통로(14c)와의 연통을 폐쇄한다.
그리고, 제트용 개폐 밸브(6)의 샤프트(21)가 피스톤(13)을 하강시켜서, 주연통로(11b)와 부연통로(11c)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이로써, 대유량의 세정수가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제트 노즐에 유동하고, 강제적으로 사이펀 효과를 생기게 한다. 뒤이어, 가압 스프링(12)의 가세력에 굽히여서 피스톤(13)이 상승하여, 주연통 로(11b)와 부연통로(11c)와의 연통을 폐쇄한다.
이 후, 재차, 림용 개폐 밸브(7)의 샤프트(23)가 피스톤(16)을 하강시켜서, 주연통로(14b)와 부연통로(14c)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이로써, 대유량의 세정수가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림 통수로에 유동하고, 봉수가 행하여진다. 뒤이어, 가압 스프링(15)의 가세력에 굽히여서 피스톤(16)이 상승하여, 주연통로(14b)와 부연통로(14c)와의 연통을 폐쇄한다. 이렇게 하여,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일련의 세정이 종료된다.
한냉지 등의 저온 조건하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 수도관의 원전(元栓)을 폐쇄한 후, 도시하지 않은 물기 제거용의 배관을 개방한다. 이 후, 수동 또는 스위치의 입력에 의해 캠 장치(8)를 작동시켜서, 제트용 개폐 밸브(6) 및 림용 개폐 밸브(7)의 샤프트(21, 23)에 의해 피스톤(13, 16)을 하강시키고, 주연통로(11b, 14b)와 부연통로(11c, 14c)와의 연통을 개방한다. 이로써 주연통로(11b, 14b) 및 부연통로(11c, 14c) 내 및 이들보다 하류측의 세정수의 물기 제거를 행하다.
이 때, 주토용 개폐 밸브(6) 및 림용 개폐 밸브(7)는, 주연통로(11b, 14b)의 저면이 입수 포트(11a)를 향해 아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세정수는 입수 포트(11a)를 향해 유출되고, 내부에 세정수가 잔류하지 않는다. 또한, 입수 포트(11a)로 인도된 세정수는, 플렉시블 호스(3) 및 지수전(4)을 역류하여, 물기 제거용 배관을 경유하여 땅속으로 폐기된다. 이 때문에, 그러한 경우, 주연통로(11b, 14b) 및 부연통로(11c, 14c) 내에는 세정수가 잔류하지 않고, 그곳에서의 세정수의 동결이 방지된다.
다음회에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를 사용하고자 하는경우, 물기 제거용의 배관을 폐쇄하고, 수도관의 원전을 개방한다. 이로써, 수도관(5) 내의 세정수가 지수전(4) 및 플렉시블 호스(3)을 경유하여 변기 세정 장치(2)에 공급되고, 보통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 형태의 제트용 개폐 밸브(6) 및 림용 개폐 밸브(7)에 의하면, 물기 제거 후, 세정수의 동결에 의한 파손이 생기지 않고, 신속하게 다음회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음회의 알맞는 사용에 부적합함이 생기지 않는다.
(제 1O 발명)
이하, 제 10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 1, 2를 도 98 내지 10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98 내지 10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도 98 및 도 9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세정 탱크를 갖지 않는 것이다.
서양식 변기 본체(1)는, 배설물을 받는 보울부(10)를 갖는 변기보울(11)과, 보울부(10)의 상부 주연에 둘러진 림 통수로(12)를 갖는 림(13)과, 보울부(10)의 바닥에 연통하여, 배설물을 흘리는 트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트랩부(14)의 입구에는 제트 노즐(15)이 부착되어 있다.
서양식 변기 본체(1)에는, 제트 노즐(15)에 급수하는 제트용 도관(18)과, 림 통수로(12)에 급수하는 림용 도관(19)이 마련되어 있다. 화장실 벽에는 수도관 등의 급수관(100)이 배관되어 있고, 급수관(100)에 지수전(10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98 및 도 99에서는 변기 뚜껑 및 변기 시트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9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의 폭방향의 편측에는, 변기 세정용의 세정수와 다른 용도의 세정수로 분수하기 위한 분기 장치(2)가 마련되어 있다. 분기 장치(2)는, 플렉시블 호스(21)에 의해 지수전(102)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 장치(2)와 변기 세정 장거(3)는 급수 도관(23)으로 연통되어 있고, 지수전(102)으로부터 공급되고, 분기 장치(2)에서 분기된 세정수는, 급수 도관(23)을 통하여 변기 세정 장치(3)에 공급된다.
변기 세정 장치(3)는,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뒷부분에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31)에 조립되어 있고, 커버(32)에 의해 덮여서 은폐되어 있다. 변기 세정 장치(3)는, 림 통수로(12)에 급수하는 림용 개폐 밸브(4R)와, 제트 노즐(15)에 급수하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와, 개폐 밸브(4R, 4J)를 개폐하기 위한 캠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개폐 밸브(4R, 4J)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 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내부 구조를 도 100에 도시한다. 제트용 개폐 밸브(4J)는, 세정수를 받아들이는 입수 포트(42)와 세정수를 토출하는 출수 포트(43)를 갖는 밸브 하우징(41)과, 밸브 하우징(41)에 마련된 밸브 기구(45)를 갖는다. 밸브 하우징(41)의 내부에는, 입수 포트(42) 및 출수 포트(43)에 연통하는 피스톤실(44)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 밸브(4J)의 밸브 기구(45)는, 피스톤실(44)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 피스톤(46)과, 밸브 하우징(41)의 상단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 도록 피스톤(46)의 일단면(상단면)에 동축적으로 고정된 샤프트(47)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실(44) 내에는 압력 상쇄실(50)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 상쇄실(50)은 피스톤(46)에 형성된 통로로서의 복수개의 통공(51)을 통하여 출수 포트(43)측으로 연통하고 있다. 압력 상쇄실(50)에는 가세 수단으로서의 스프링(52)이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52)은 밸브 하우징(41)과 피스톤(46)의 타단면(46b)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피스톤(46)을 항상 화살표 Y1 방향 즉 윗쪽으로 가세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을 폐쇄하게 되어 있다. 샤프트(47)의 선단부는 밸브 하우징(41)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고, 캠 장치(8)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4R)의 내부 구조는,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내부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밸브 하우징(41)에 형성된 링 형상의 중간 연통로(54)를 통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입수 포트(42)와 림용 개폐 밸브(4R)의 입수 포트(42)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캠 장치(8)는, 개폐 밸브(4R, 4J)의 윗쪽에 배치된 브래킷(82)에 지지되어 있다. 캠 장치(8)는, 브래킷(82)에 수평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로서의 회전축(83)과, 회전축(83)에 이것의 축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83)이 회전하면,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은 회전하고, 제 1 캠(85)의 외주의 캠 면은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에 맞닿아 이것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제 2 캠(86)의 외주의 캠 면은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에 맞닿아 이것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장치(7)는 브래킷(82)에 고정되어 있고, 전동 모터(71)와, 전동 모터(71)의 회전력을 회전축(83)에 전달하는 도시 생략된 감속 기어를 내장하고 있다. 구동 장치(7)는, 수동 핸들(75)을 요동시키거나, 캠 장치(8)를 작동시키거나 하여 개폐 밸브(4R, 4J)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회전축(83)의 축 단에는, 사용자가 수동 조작으로 회전시키는 수동 핸들(75)이 마련되어 있다. 수동 핸들(75)은, 정전시 등과 같이 비상시에 캠 장치(8)를 수동으로 작동시켜서 개폐 밸브(4R, 4J)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수동 핸들(75)에는,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핸들 센서(77)가 마련되어 있다. 핸들 센서(77)는, 사용자가 수동 핸들(75)에 접촉하거나, 수동 핸들(75)에 미소한 각도 변위가 생기거나 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으로, 감압식의 터치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도 98 및 도 99에 도시한 커버(132)와 일체적인 하우징에는, 도 101에 도시한 변기 세정용 스위치(96)가 마련되어 있다. 변기 세정용 스위치(96)는, 변기 시트에 앉아 있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고, 전동 모터(71)를 구동시켜서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변기보울(11)의 세정을 보통 모드로서 행하는 것이다.
컨트롤러(9)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입력 처리 회로(90)와, 입력 처리 회로(90)로부터의 신로에 의거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CPU를 내장하는 제어 처리 회로(91)와, 제어 처리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처리 회로(92)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93)를 갖는다. 컨트롤러(9)의 인력 처리 회로(90)에는, 변기 세정용 스위치(96)로부터의 세정 시작 신호(S1) 와, 핸들 센서(77)로부터의 터치 신호(S2)가 입력된다. 사용자가 변기 세정용 스위치(96)를 가압 조작하면, 변기 세정용 스위치(96)로부터 세정 시작 신호(S1)가 컨트롤러(9)에 입력된다. 세정 시작 신호(S1)에 의거하여, 컨트롤러(9)의 출력 처리 회로(92)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S10)가 모터 구동 회로(71c)에 입력되고, 전동 모터(71)가 제어된다.
또한, 사용자의 손끝이 수동 핸들(75)에 접촉하면, 핸들 센서(77)로부터 터치 신호(S2)가 컨트롤러(9)에 입력된다. 터치 신호(S2)에 의거하여, 컨트롤러(9)의 출력 처리 회로(92)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S10)와 단속음 발생 신호(S20)가 발생한다. 모터 제어 신호(S10)는 모터 구동 회로(71c)에 입력되고, 전동 모터(71)가 제어된다. 단속음 발생 신호(S20)는 전자음 발생 회로(72c)에 입력되고, 전자음 발생장치(72)가 작동하고, 단속한 전자음이 발생한다.
상기란 바와 같이 구성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서양식 변기 본체(1)에서는, 급수관(100), 지수전(102), 플렉시블 호스(21), 분기 장치(2) 및 급수 도관(23)을 경유하여 세정수가 변기 세정 장치(3)에 공급된다. 변기 세정 장치(3)에서는,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변기 세정용 스위치(96)의 조작이 없는 한, 양 개폐 밸브(4J, 4R)가 폐쇄되어 있다. 즉, 도 100으로 설명하면, 스프링(52)의 가세력에 의해, 피스톤(46)이 축방향의 한쪽측, 즉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스톤(46)은 밸브 하우징(41)의 좌면(41x)에 착좌하고, 피스톤(46)의 외주면이 입수 포트(42)를 폐쇄한다. 이 때문에,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와의 연통이 폐쇄되어 있고, 세정수는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변기보 울(11)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변기보울(11)을 보통 모드에서 세정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변기 세정용 스위치(96)의 조작에 의거하여, 컨트롤러(9)가 모터 제어 신호(S10)를 모터 구동 회로(71c)에 출력하고, 구동 장치(7)의 전동 모터(71)를 구동하고, 회전축(83)을 회전시킨다. 이로써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방시켜서, 『림 급수』를 행한다. 도 100으로 설명하면, 스프링(52)이 탄성 수축하고, 피스톤(46)은 축방향의 다른방향 즉 화살표 Y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피스톤(46)은 밸브 하우징(41)의 좌면(41x)으로부터 이좌하고. 입수 포트(42)와 출수 포트(43)가 연통한다. 이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4R)가 개방하면, 세정수가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공급되고, 변기보울(11)의 보울부(10)의 내벽면이 세정된다.
캠 장치(8)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림용 개폐 밸브(4R)가 폐쇄된다. 그 후, 제 2 캠(86)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켜서 『제트 급수』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개방되면, 세정수가 제트용 도관(18)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공급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이 생긴다.
뒤이어, 캠 장치(8)의 구동에 수반하여, 제 2 캠(86)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트용 개폐 밸브(4J) 가 폐쇄된다. 그 후,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재차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을 재차 개방시켜서 『림 급수』를 행한다. 이로써 세정수가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공급되고, 변기보울(11)의 보울부(10)가 봉수 된다.
그런데, 도 9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모터(71)의 고장이나 정전 등으로 구동 장치(7)의 구동 모터(71)가 작동하지 않는 때에는, 커버(32)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수동 핸들(75)을 사용자는 조작한다. 즉, 사용자가 수동 핸들(75)을 수동으로 요동시키면, 캠 장치(8)의 회전축(83)이 수동으로 회전하고, 제 1 캠(85), 제 2 캠(86)이 회전한다. 이로써 전동 모터(71)가 구동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림용 개폐 밸브(4R)를 개방시켜서 『림 급수』를 행하여, 세정수를 림용 도관(19)을 통하여 림 통수로(12)에 공급하고, 변기보울(11)의 보울부(10)의 내벽면을 세정한다. 또한, 수동 조작에 수반하여, 제 2 캠(86)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를 개방시켜서 『제트 급수』를 행하여, 세정수를 제트용 도관(18)을 통하여 제트 노즐(15)에 공급하고, 트랩부(14)에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뒤이어, 림용 개폐 밸브(4R)를 재차 개방시켜서 『림 급수』를 행하여, 변기보울(11)의 보울부(10)를 봉수할 수 있다.
이와같이 수동 핸들(75)이 커버(32)로부터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시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익숙치 않은 사용자가 용변 후에 비상용의 수동 핸들(75)을 잘못 조작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이 점,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익숙치 않고, 가령 다른데 있는 변기 세정용 스위치(96)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수동 핸들(77)을 가볍게 조작하면, 사용자가 수동 핸들(77)에 접촉한 것을 핸들 센서(77)가 검출한다. 이로써, 컨트롤러(9)가 모터 구동 회로(71c)를 통하 전동 모터(71)를 구동시켜서 요동 핸들(75)을 요동시키고,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변기보울(11)의 세정을 행한다. 또한, 컨트롤러(9)가 전자음 발생 회로(72c)를 통하여 전자음 발생장치(72)를 작동시키고, 단속적인 전자음을 발생시킨다.
즉, 도 1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9)가 모터 제어 신호(S10)를 모터 구동 회로(71c)에 출력하고, 전동 모터(71)를 구동하여 회전축(83)을 회전 구동시키다, 또한, 컨트롤러(9)가 단속음 발생 신호(20)를 전자음 발생 회로(72c)에 출력하여, 전자음 발생 장치(71)를 작동시키고, 단속적인 전자음을 발생시킨다. 즉, 사용자가 손끝으로 수동 핸들(75)을 가볍게 대면, 캠 장치(8)의 작동이 전동 모터(71)에 의해 어시스트 됨과 함께, 단속적인 전자음이 발생한다.
이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캠(85)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가 개방되어 『림 급수』가 행하여진다. 다음에,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림용 개폐 밸브(4R)가 폐쇄된다. 그 후, 제 2 캠(86)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개방하고, 상기한『제트 급수』가 행하여진다. 다음에, 제 2 캠(86)의 캠 면이 제트용 개폐 밸브(4J)의 샤프트(47)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제트용 개폐 밸브(4J)가 폐쇄된다. 그 후, 제 1 캠(85)의 캠 면이 림용 개폐 밸브(4R)의 샤프트(47)를 재차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림용 개폐 밸브(4R)가 재차 개방되어 『림 급수』가 행하여진다.
이 때, 컨트롤러(9)에 내장되어 있는 CPU는 도 102에 도시한 제어 플로우 차트를 실행한다. 즉, 스탭 S102에서는 초기 설정을 행한다. 스탭 S104에서는 변기 세정용 스위치(96)가 온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가 변기 세정용 스위치(96)를 온 조작하고 있으면, 사용자가 보통 세정 모드로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변기보울(11)을 세정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스탭 S106에서 캠 장치(8)의 회전축(83)이 원점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 즉 물기 제거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물기 제거 모드가 아니면, 스탭 S108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71)를 구동시켜서 캠 장치(8)의 회전축(83),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을 회전시킨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림 급수』→『제트 급수』→『림 급수』의 순서로 급수가 실행되고,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변기보울(11)의 보울부(10)가 세정된다. 그 후, 스탭 S104로 되돌아온다.
물기 제거 모드는 한냉시에 있어서 세정수의 동결을 방지하고 싶는 경우에 채용된다. 이 때문에, 물기 제거 모드에서는, 지수전(102)을 폐쇄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면서 개폐 밸브(4R, 4J)를 미소량 개방함으로써, 개폐 밸브(4R, 4J) 등 내에 잔류할 수 있는 세정수를 배출한다. 또한, 물기 제거 모드로서, 개폐 밸브(4R, 4J)를 항상 미소량 개방하여 두고, 단위 시간당 소량의 세정수를 서양식 변기 본체(1)에 연속적으로 흐르게 한 유동 모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탭 S106에서의 판정의 결과, 물기 제거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스탭 S106으로부터 스탭 S120으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71)를 약간 구동시켜서 회전축(83)을 이것의 원점 위치까지 복귀시킨다. 이 때, 되돌아오는 양을 메모리(93)에 기억해 둔다. 그 후, 스탭 S122에서 전동 모터(71)를 더욱 구동시켜서 회전축(83),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을 회전시킨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림 급수』→『제트 급수』→『림 급수』의 순서로 급수가 실행되고,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변기보울(11)이 세정된다. 그 후, 스탭 S124로 진행하여, 기억한 되돌아오는 양 분맘큼, 전동 모터(71)를 역회전시켜서 물기 제거 모드로 복귀시켜서, 개폐 밸브(4R, 4J)를 미소량 개방하여 두고, 스탭 S104에 되돌아온다.
스탭 S104에서의 판정의 결과, 변기 세정용 스위치(96)가 오프이면, 보통 세정 모드로서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변기보울(11)을 세정하는 것은 요청되지 않는. 그래서, 스텝 S104로부터 스탭 S130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동 핸들(75)이 접촉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수동 핸들(75)의 핸들 센서(77)로부터의 터치 신호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사용자에 의해 수동 핸들(75)이 접촉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 스탭 S130으로부터 스탭 S1041로 되돌아온다.
사용자에 의해 수동 핸들(75)이 접촉 조작되어 있으면, 스탭 S132로 진행하여, 스탭 S130의 시점부터 소정 시간(△T1)(예를 들면 0.O2 내지 1초의 범위), 수동 핸들(75)의 접촉 조작이 계속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동 핸들(75)의 조작이 계속하고 있으면, 사용자가 수동 핸들(75)을 실제로 접촉 조작하고 있다는 뜻의 판정 정밀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스탭 S132는, 수동 핸들(75)의 접촉 조 작의 유무를 확인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에 의한 수동 핸들(75)의 접촉 조작이 계속하고 있으면, 스탭 S134로 진행하여, 전자음을 발생시킴과 함게 소정 시간(△T2) 대기한다. 그 후, 스텝 S136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71)를 구동시켜서 제 1 캠(85) 및 제 2 캠(86)을 회전시킨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림 급수』→『제트 급수』→「림 급수』의 순서로 급수가 실행되고,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변기보울(11)의 보울부(10)가 세정된다.
이렇게 하여,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수동 핸들(75)의 요동이 어시스트 되어,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이 대문에,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익숙치 않은 사용자라도 우수한 조작성으로 서양식 변기본체(1)의 세정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음의 발생에 의해 수동 핸들(75)이 어시스트 되는 것을 알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수동 핸들(75)를 돌릴려고 하는 일도 없고, 오동작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03은 실시 형태 2를 도시한다. 실시 형태 2는 변기 세정 탱크를 구비한 탱크식 수세 변기이다. 실시 형태 1과 공통의 기능을 이루는 부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인다.
서양식 변기 본체(1)는, 보울부를 갖는 변기보울(11)과, 변기보울(11)의 상부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된 변기 시트(11a) 및 변기 뚜껑(11cb) , 변기보울(11)의 뒷부분에 설치된 변기 세정 탱크(19)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 세정 탱크(19)에는, 변기 세정 탱크(19)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수를 개방시에 서양식 변기 본체(1)에 공급하는 밸브 기구가 장비되어 있다.
변기 세정 탱크(19)의 측면에는, 변기 세정 탱크(19)의 밸브 기구에 기계적으로 접속된 수동 핸들(75)이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수동 핸들(75)이 요동되면, 변기 세정 탱크(19)의 밸브 기구가 개방하고, 변기 세정 탱크(19)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수가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변기보울(10)의 보울부에 공급된다.
수동 핸들(75)에는, 수동 핸들(75)의 요동을 행하는 구동 장치(7)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 장치(7)는 변기 세정 탱크(19)에 지지되어 있고,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 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수동 핸들(75)에는, 수동 핸들(75)에의 접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의 핸들 센서(77)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전(7)의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변기 세정용 스위치(96)를 구비한 제어 패널(97)에 내장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수동 핸들(75)을 가볍게 대면, 핸들 센서(77)가 이것을 검출하고, 컨트롤러가 구동 장치(7)의 전동 모터를 구동시킴과 함께, 단속적인 전자음이 발생한다. 이로써, 수동 핸들(75)이 개방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요동하고,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변기보울(11)의 보울부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실시 형태 2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도, 전동 모터에 의해 수동 핸들(75)의 요동 조작이 어시스트 되어 간단화 된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고, 힘이 상당히 약한 노인이나 중병인은 물론이고, 보통 사람에 있어서도 조작성이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동 모터에 의해 수동 핸들(75)의 요동 조작이 어시스트 된 것은, 단속적인 전자음의 발생에 의해 사용자에 알려지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 이상으로 수동 핸들(75)을 돌릴려고 하는 일도 없게 되어, 오동작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1 발명)
이하, 제 11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를 도 104 내지 10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모식도를 도 104에 도시한다.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서양식 변기 본체(1)와 변기 세정 장치(2)와 도시하지 않은 난방 변기 시트와 도시하지 않은 변기 뚜껑을 갖는다.
변기 세정 장치(2)는, 수도관(3)에 지수전(4)를 통하여 플렉시블 호스(5)에 의해 직결되어 있다. 변기 세정 장치(2)의 내부에는, 도 1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6a)와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구비되어 있고,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윗쪽으로 캠 장치(6c)가 마련되고, 캠 장치(6c)의 측방에 전동 모터(6d)가 마련되어 있다. 캠 장치(6c)는 전동 모터(6d)에 의해 구동되게 되어 있고, 캠 장강(6c)가 구동됨으로써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개폐된다.
전동 모터(6d)는 컨트롤러(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7)는 리모콘(8)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컨트롤러(7)에는 도 106에 도시한 전환 수단으로서의 슬라이드식의 전환 스위치(7a)가 마련되어 있고, 전환 스위치(7a)는 고압용과 저압용으로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7)에는, 도110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0)의 개방 시간을 고압용으로 짧은 시간으로 하는 고압용 회로(7b)와,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개방 시간을 저압용으로 긴 시간으로 하는 저압용 회로(7c)로 이루어진 제어부(7d)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7d)에는 전환 스위치(7a)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설치할 때, 도 106 및 도 10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자가 수도관(3)의 수도압에 따라 전환 스위치(7a)를 점환함으로써,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개방 시간이 선택되는 것으로 된다.
즉, 수도관(3)의 수도압이 고압이면, 설치자는 전환 스위치(7a)를 고압용으로 전환한다. 이로써,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개방 시간은, 사용자가 리모콘(8)에 의해 대변용과 소변용으로 세정 스위치를 조작한 경우, 도 108(A)에 도시한 것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처음에 림용 개폐 밸브(6a)가 개방됨으로써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림 통수로에 세정수(a)가 토출되고,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보울부에 부착된 오물을 씻어낸다. 이 후,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개방됨으로써 서양식 변기 본체(1)의 트랩에 세정수(b)가 토출되고, 강제적으로 사이펀 효과가 생기고, 오물이 배출된다. 그리고, 재차 림용 개폐 밸브(6a)가 개방됨으로써 서양식 변기본체(1)의 림 통수로에 세정수(a)가 토출되고, 서양식 변기 본체(1)의 트랩에 봉수를 형성한 다.
이 때, 대변용의 세정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최초의 림용 개폐 밸브(6a)의 개방 시간이 길고, 소변용의 세정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최초의 림용 개폐 밸브(6a)의 개방 시간이 짧다. 이 점에 있어서, 대변용과 소변용에서는, 최초의 림용 개폐 밸브(6a)의 개방 시간이 상위하고, 후의 제트 용개폐 밸브(6b) 및 재차의 림용 개폐 밸브(6a)의 폐방 시간에는 상위함을 갖지 않는다. 특히, 대변용과 소변용과의 구별에 의하지 않고,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개방 시간은 동등하다.
또한, 수도관(3)의 수도압이 저압이면, 설치자는 전환 스위치(7a)를 저압용으로 전환한다. 이로써,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개방 시간은, 사용자가 리모콘(8)에 의해 대변용과 소변용으로 세정 스위치를 조작한 경우, 도 108(B)에 도시한 반 바와 같이 된다.
이 때, 최초의 림용 개폐 밸브(6a), 다음의 제트용 개폐 밸브(6b) 및 최후의 림용개폐 밸브(6a)의 개방 시간이 고압시에 비하여 길어진다. 또한, 대변용과 소변용에서는, 마찬가지로, 최초의 림용 개폐 밸브(6a)의 개방 시간이 상위하고, 후의 제트용 개폐 밸브(6b) 및 재차의 림용 개폐 밸브(6a)의 개방 시간에는 상위함을 갖지 않는다. 특히, 대변용과 소변용과의 구별에 의하지 않고,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개방 시간은 동등하다.
이 때문에,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수도관(3)의 수도압에 응한 적절한 개방 시간으로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개방되게 된다. 즉, 수도압이 낮고, 세정수의 토출의 세력이 약한 경우에 있어서도,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개방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서양식 변기 본체(1)의 트랩에 고여 있는 오물을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불쾌한 냄새의 원인 등이 없어지고, 위생적으로 된다.
다른 한편, 수도압이 높고, 세정수의 세력이 강한 경우에 있어서는,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개방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세정수를 소비하지 않는다.
또한,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대변용과 소변용과의 구별에 의하지 않고,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개방 시간을 동등하게 하고 있다. 대변도 소변도, 이미 트랩에는 오물과 함께 동일한 용량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 공급량의 세정수로 거의 같은 정도의 사이펀 효과가 생긴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개방 시간을 동등하게 하여도 오물을 배출하는 것은 가능하고, 비위생과 세정수의 쓸데없는 소비의 양자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d)의 구조를 간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비위생과 세정수의 쓸데없는 소비의 양자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제 12 발명)
이하, 제 12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를 도 109 내지 1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의 모식도를 도 109에 도시한다.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탱크가 존재하지 않고, 서양식 변기 본체(1)와 변기 세정 장치(2)와 도시하지 않은 난방 변기 시트와 도시하지 않은 변기 뚜껑을 갖는다.
서양식 변기 본체(1)는 도자기제의 것이다. 변기 세정 장치(2)는, 수도관(3)에 지수전(4)을 통하여 플렉시블 호스(5)에 의해 직결되어 있고, 세정수(a) 및 세정수(b)를 토출함으로써 서양식 변기 본체(1)를 세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변기 세정 장치(2)의 내부에는, 도 1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6a)와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구비되어 있고,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윗쪽에 캠 장치(6c)가 마련되고, 캠 장치(6c)의 측방에 스테핑 모터(6d)가 마련되어 있다. 캠 장치(6c)는 스테핑 모터(6d)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캠 장치(6c)가 구동됨으로써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개폐된다.
스테핑 모터(6d)에는 컨트롤러(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7)는 리모콘(8)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컨트롤러(7)는, 도 1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핑 모터(6d)와 접속된 모터 구동 회로(7a) 및 위치 센서(7b)와, 모터 구동 회로(7a)에 접속되고, 펄스 신호를 발하는 펄스 발진 회로(7c)와, 위치 센서(7b)와 접속되고,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이상 상태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회로(7d)를 갖고 있다. 여기서, 위치 센서(7b)는, 스테핑 모터(6d)에 전하여진 펄스 신호로부터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개폐 상태를 검지한다. 복귀 회로(7d)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마련된 고지 수단으로서의 경고 장치(9)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컨트롤러(7)가 복귀 회로(7d) 및 도시하지 않은 기억 수단에 의해, 도 112 및 도 113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에 따라 세정 처리를 행한다.
사용자가 리모콘(8)의 세정 시작 버튼을 느른 경우, 우선, 도 112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에 따라 보통의 세정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스탭 S102에서,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모두 폐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단이 이루어진다. 이 때, 스테핑 모터(6d)에 전하여지는 펄스 수의 기준을 정할 필요성 때문에,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함께 폐쇄 상태이면 「원점」이라고 한다.
여기서, 「원점」이면, 스탭 S104로 진행한다. 이로써, 스테핑 모터(6d)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정지하고, 림용 개폐 밸브(6a)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일정 시간, 세정수(a)가 토출되고, 오물이 트랩에 집합한다.
다음에, 스텝 S106로 진행하여, 림용 개폐 밸브(6a)가 개방 상태에 있고,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폐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 이면, 스탭 S108로 진행한다. 이로써, 스테핑 모터(6d)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정지하고, 림용 개폐 밸브(6a)가 폐쇄됨과 함께,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세정수(a)는 정지되고, 일정 시간, 세정수(b)가 토출되고 강제적으로 사이펀 효과가 생기고, 오물이 배출된다.
그리고, 스탭 S110으로 진행하여, 림용 개폐 밸브(6a)가 폐쇄 상태에 있고,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개방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 이면, 스탭 S112로 진행한다. 이로써, 스테핑 모터(6d)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정지하고,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폐쇄됨과 함께, 림용 개폐 밸브(6a)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세정수(b)는 정지되고, 일정 시간, 세정수(a)가 토출되고, 트랩의 봉수 처리가 행하여진다.
다음에, 스탭 S114로 진행하여, 림용 개폐 밸브(6a)가 개방 상태에 있고,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폐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 이면, 스탭 S116으로 진행한다. 이로써, 스테핑 모터(6d)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정지하고, 스탭 S118로 진행한다. 이로써,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모두 폐쇄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 이면, 그대로 대기 상태가 되고, 세정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스탭 S102, 스탭 S106, 스탭 S110, 스탭 S114 및 스탭 S118에 있어서, 아니오 이면, 이상 상태이고, 도 113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에 따라 이상 처리된다.
즉, 먼저 스탭 S202에 있어서, 이상 상태인 것을 고지하는 전자음이 경고 장치(9)에 의해 발생시킴과 함께, 「원점」으로의 복귀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후, 스텝 S 204로 진행하여, 「원점」에 정상적으로 복귀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예 이면, 스탭 S206으로 진행하여, 재실행이 몇회 반복되었는지 판단된다. 재실행 수가 n회 미만이면, 아니오로 되고, 스탭 S208에서 재실행 중인 것을 경고 장치(9)에 의해 표시한다. 이 후, 도 112에 도시한 스탭 S102로 되돌아오고, 보통의 세정 처리가 이루어진다. 복귀 회로(7d) 및 기억 장치 내의 스탭 S202, 스탭 S204, 스탭 S206 및 스탭 S208이 복귀 수단이다.
한편, 스탭 S206에 있어서, 재실행 수가 n회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예로 되고, 스탭 S210으로 진행한다. 이로써, 재실행이 무한으로 반복되어, 에너지가 필요없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탭 S210에 있어서, 재실행 수가 n회 이상이라고 판단된 회수가 몇회인지 판단된다. 그 회수가 i회 이하이라면, 예로 되고, 그대로 대기 상태로 된다. 또한, 재실행 수가 n회 이상이라고 판단된 회수가 i회 이상 많으면, 아니오로 되고, 스탭 S212로 진행하여, 「세정 금지」의 표시가 경고 장치(9)에 의해 이루어진 후, 대기 상태가 된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고장중이라는 취지를 전할 수 있다.
또한, 스탭 S204에 있어서, 「원점」으로 정상적으로 복귀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는, 아니오로 되고, 스탭 S214로 진행한다. 여기서, 「원점」으로의 복귀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회수가 비교된다. 이 회수가 m회 미만인 경우는, 아니오로 되고, 스텝 S202로 되돌아온다. 한편, 이 회수가 m회 이상인 경우는, 예로 되고, 스탭 S216으로 진행하여, 「세정 금지」의 표시가 경고 장치(9)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후, 스텝 S218로 진행하여, 「강제 지수」의 표시가 경고 장치(9)에 의해 이루어진 후, 대기 상태로 된다. 이로써, 「원점」으로것 복귀 처리가 무한으로 반복되어, 에너지가 필요없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예를 들어 림용 개폐 밸브(6a) 또는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이상 상태가 되더라도, 위치 센서(7b)에 의해 그 것이 검지되고, 복귀 회로(7d) 등에 의해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는 자동적으로 폐쇄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따라서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자동적으로 급수가 정지되고, 세정수를 필요없이 소비하지 않는다.
또한, 복귀 회로(7d) 등에 있어서,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봉수 처리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림용 개폐 밸브(6a) 또는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이상 상태로 되더라도, 배수관을 통하여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귀 회로(7d) 등은,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보통의 세정 처리를 행한 후, 림용 개폐 밸브(6a) 또는 제트용 개폐 밸브(6b)를 폐쇄 상태로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림용 개폐 밸브(6a) 또는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이상 상태로 되더라도,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보통의 세정 처리가 적어도 1회 이루어지게 되어, 거의 확실하게 서양식 변기 본체(1)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오물이 잔류하는 일은 없고,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위생적으로 된다.
또한, 복귀 회로(7d) 등은, 일정 회수의 재실행을 초과하면, 림용 개폐 밸브(6a) 또는 제트용 개폐 밸브(6b)를 폐쇄 상태로 정지시키기 때문에, 재실행을 무한으로 반복하는 일은 없고, 최종적으로 세정수가 흘으는 채로 되는 이도 없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방지함과 함께, 필요없는 세정수의 소비도 방지할 수 있다.
(제 13 발명)
이하, 제 13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 형태를 도 114 내지 1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도 1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세정 탱크가 존재하지 않고, 도자기제의 서양식 변기 본체(1)과, 변기 세정 장치(2)와, 도시하지 않은 난방 변기 시트와, 도시하지 않은 변기 뚜껑을 갖는다.
변기 세정 장치(2)는, 수도관(3)에 지수전(4)을 통하여 플렉시블 호스(5)에 의해 직결되어 있고, 세정수(a) 및 세정수(b)를 토출함으로써 서양식 변기 본체(1)를 세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변기 세정 장치(2)의 내부에는, 도 1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6a)와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구비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윗쪽에는 캠 장치(6c)이 마련되고, 캠 장치(6c)의 측방에는 전기 구동 수단으로서의 스테핑 모터(6d)가 마련되어 있다. 캠 장치(6c)는 스테핑 모터(6d)에 의해 구동되게 되어 있고, 캠 장치(6c)가 구동됨으로써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개폐된다. 또한, 스테핑 모터(6d)의 측방에는, 수동 핸들(6e)이 부착되어 있고,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테핑 모터(6d)에는 컨트롤러(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7)는 리모콘(8)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컨트롤러(7)는, 도 1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핑 모터(6d)와 접속된 모터 구동 회로(7a)와, 스테핑 모터(6d)의 회전각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고, L신호와 H신호를 발하는 위치 센서(7b)와, 스테핑 모터(6d)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으로서의 펄스 카운트 장치(7c)와, 모터 구동 회로(7a), 위치 센서(7b) 및 펄스 카운트 장치(7c)에 접속되고, 펄스 신 호를 발하는 펄스 발진 회로(7d)를 갖고 있다. 위치 센서(7b) 및 펄스 카운트 장치(7c)는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다. 또한, 펄스 발진 회로(7d), 도시하지 않은 기억 장치 및 도시하지 않은 CPU가 제어 수단이다.
도 1117(B) 내지 1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6a)는, 밸브 하우징(61)과, 밸브 하우징(61) 내에 마련된 밸브 기구(62)를 갖고 있다.
밸브 하우징(61)에는, 플렉시블 호스(5)에 접속되고, 세정수를 받아들이는 입수 포트(61a)와, 서양식 변기 본체(1)의 도시하지 않은 림 통수로에 접속되고, 세정수(a)를 토출하는 출수 포트(6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61) 내에는, 입수 포트(61a) 및 출수 포트(61b)에 연통하는 피스톤실(61c)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기구(62)는, 피스톤실(61c) 내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측에서 착좌함으로써 입수 포트(61a)와 출수 포트(61b)와의 연통을 폐쇄하는 피스톤(62a)과, 피스톤(62a)의 일단측에 동축적으로 고정되고, 밸브 하우징(61)으로부터 돌출된 샤프트(62b)와, 피스톤실(62a)의 하단과 밸브 하우징(61)과의 사이에 마련되고, 피스톤(62a)을 일단측으로 가세하는 스프링(62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내부 구조는 림용 개폐 밸브(6a)와 동일하다. 캠 장치(6c)는 림용 캠(63)과 제트용 캠(64)을 갖고 있고, 이들 림용 캠(63) 및 제트용 캠(64)은 회전축(65)에 동축 고정되어 있다. 림용 개폐 밸브(6a)의 샤프트(62b)의 선단은 캠 장치(6c)의 림용 캠(63)에 맞닿아지고,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샤프 트(62b)의 선단은 캠 장치(6c)의 제트용 캠(64)와 맞닿아 있다. 캠 장치(6c)의 회전축(65)의 일단은 감속 기어를 통하여 도 115 및 도 116에 도시한 스테핑 모터(6d)에 접속되어 있고, 회전축(65)의 타단은, 도 117(A) 내지 12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핸들(6e)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는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즉, 도 117에 도시한 「물기 제거 위치」에서는, 수동 핸들(6e)이 도 (A)의 상태이다. 또한, 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는, 모두 반개방 상태이기 때문에, 땅속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지수전을 폐쇄함으로써 물기 제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18에 도시한 「원점 위치」에서는, 수동 핸들(6e)ㄷ이 도 (A)의 상태이다. 또한, 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는, 모두 폐쇄 상태이기 때문에, 세정수(a) 및 세정수(b)는 토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19에 도시한 「림 세정 위치」에서는, 수동 핸들(6e)이 도 (A)의 상태이다. 또한, 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6a)는 개방 상태여서 세정수(a)가 토출되고, 제트용 개폐 밸브(6b)는 폐쇄 상태여서 세정수(b)는 토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20에 도시한 「제트 세정 위치」에서는, 수동 핸들(6e)이 도 (A)의 상태이다. 또한, 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용 개폐 밸브(6a)는 폐쇄 상태여서, 세정수(a)는 토출되지 않고, 제트용 개폐 밸브(6b)는 개방 상태여서, 세정 수(b)는 토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사용자가 도 115에 도시한 리모콘(8)의 세정용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한 경우, 림 개폐 밸브(6a) 및 제트 개폐 밸브(6b)는, 컨트롤러(7)에 의해 이하와 같은 모드로 제어된다.
초기 상태가 도 118에 도시한「원점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8)의 세정용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면, 도 1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핑 모터(6d)가 정회전을 시작하고,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스테핑 모터(6d)의 펄스 수를 카운트한다.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477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 위치 센서(7b)의 신호가 L신호로부터 H신호로 변하면, 초기 상태가 「원점 위치」인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림용 개폐 밸브(6)가 개방되고, 도 119에 도시한 「림 세정 위치」로 되고,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더욱 874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 위치 센서(7b)의 신호가 H신호로부터 L신호로 변한 후, 잠시 유지된다. 또한,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또한 합계 158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 위치 센서(7b)의 신호가 L신호로부터 H신호로 변한 후, 림용 개폐 밸브(6a)가 폐쇄되고, 「림 세정 위치」가 종료된다.
그 후, 스테핑 모터(6d)가 더욱 정회전하여,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개방되고, 도 120에 도시한 「제트 세정 위치」로 되고,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다시 1272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 위치 센서(7b)의 신호가 H신호로부터 L신호로 변한 후, 185°의 도에 닿기 전에 스테핑 모터(6d)가 반전하고, 잠시 유지된다. 또한,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179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 위치 센서(7b)의 신호가 L신호로부터 H신호로 변한 후,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폐쇄되고, 「제트 세정 위치」가 종료된다.
또한, 스테핑 모터(6d)는 반전을 계속하여 림용 개폐 밸브(6a)가 개방되고, 재차 도 119에 도시한 「림 세정 위치」로 되고,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다시 -1272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 위치 센서(7b)의 신호가 H신호로부터 L신호로 변한 후, 잠시 유지된다. 또한,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또한 합계 -158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 위치 센서(7b)의 신호가 L신호로부터 H신호로 변한 후, 림용 개폐 밸브(6a)가 폐쇄되고, 「림 세정 위치」가 종료된다. 이로써, 트랩의 봉수 처리가 행하여진다.
최후에 스테핑 모터(6d)는 반전을 계속하여,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다시 -874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 위치 센서(7b)의 신호가 H신호로부터 L신호로 변하고, 그곳부터 다시 -477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 「원점 위치」가 되어 정지한다. 이렇게 하여, 세정 공정아 종료된다.
이렇게 하여,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스테핑 모터(6d)가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를 전기적으로 구동한다. 이 동안에, 위치 센서(7b) 및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상태를 검지하고, 펄스 발진 회로(7d) 등이 스테핑 모터(6d)를 소망하는 모드로 제어한다.
또한, 이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수동 핸들(6e)을 수동으로 조 작함으로써,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를 반개방 상태로 개방할 수 있다. 가령, 도 1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동계의 동결 방지를 위해 수동 핸들(6e)을 조작하여,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를 반개방 상태러 함과 함께, 지수전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그 지수전을 개방하고 세정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였다고 한다. 이 경우도, 도 1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핑 모터(6d)가 정회전을 시작하고,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스테핑 모터(6d)의 펄스 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238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 위치 센서(7b)의 신호가 H신호로부터 L신호로 변하고, 477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는 위치 센서(7b)의 신호가 L신호로부터 H신호로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초기 상태가 「물기 제거 위치」인 것이 확인된다.
이후, 상기 모드에서 「림 세정 위치」, 「제트 세정 위치」 및 「림 세정 위치」가 되어 「원점 위치」로 되돌아온 후, 스테핑 모터(6d)는 반전을 계속하여, 펄스 카운트 장치(7c)가 다시 -1192 펄스를 카운트한 곳에서 위치 센서(7b)의 신호가 L신호로부터 H신호로 변하고,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반개방 상태로 되고, 「물기 제거 위치」로 되어 정지한다. 이렇게 하여, 세정 공정이 종료된다.
이렇게 하여, 펄스 발진 회로(7d) 등은,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가 수동 핸들(6e)에 의해 개방된 초기 상태에서 모드를 실행한 후라도,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폐쇄되기만 하면,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 내 의 체류수가 서양식 변기 본체(1)로 배출되는 물기 제거가 유지되고, 림용 개폐 밸브(6a) 및 제트용 개폐 밸브(6b)의 동결 방지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동절기에 있어서의 관리자의 의사와 사용자의 사용을 양립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는 예시이고, 제 1 내지 13 발명은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한 양태에서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발명의 개폐 밸브는 작동 응답성의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다. 제 2 발명의 변기 세정 급수 장치는, 밸브 기구의 작동의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음과 함께, 한냉시 등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동결 방지가 가능하고, 또한 비교적 저비용이다. 제 3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장치의 설치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제 4 발명의 서양식 수세식 변기로의 급수 방법은, 서양식 변기 본체의 상류측에서의 세정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 발명의 유로 전환 장치는, 고비용을 초래하는 일 없이 개폐 밸브의 개폐를 자동 제어 가능하다. 제 6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는, 부품 개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어서, 비용 저감의 면에서 유리한 것이다. 제 7 발명의 개폐 밸브는, 세정수를 대유량 및 소유량으로 유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사수가 생기는 일이 없다. 제 8 발명의 개폐 밸브는, 배관 공간의 저감 및 외관의 확보에 유리하다. 제 9 발명의 수세식 변기용 개폐 밸브에 의하면, 물기 제거 후, 세정수의 동결에 의한 파손이 생기지 않고, 신속하게 다음회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음회의 알맞은 사용에 부적합함이 생 기지 않는다. 제 10 발명의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익숙치 않은 사용자라도 우수한 조작성으로 서양식 변기 본체의 세정이 가능하다. 제 11 발명의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비위생과 세정수의 쓸데없는 소비와의 양자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제 12 발명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자동적으로 급수가 정지되어, 세정수를 필요없이 소비하지 않는다. 제 13 발명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동절기에 있어서의 관리자의 의사와 사용자의 사용을 양립할 수 있다.

Claims (2)

  1. 림 통수로 및 제트 구멍을 갖는 서양식 변기 본체와,
    세정수를 공급 가능한 급수원에 접속되고, 해당 림 통수로에 해당 세정수를 공급하는 림용 도관과, 해당 제트 구멍에 해당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트용 도관이 접속되고, 해당 세정수를 해당 림 통수로 와 해당 제트 구멍의 어느 하나에, 또는 해당 림 통수로 및 해당 제트 구멍에 선택적으로 공급·정지 가능한 밸브 수단을 구비한 탱크레스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림용 도관에 접속되는 림용 유로와 상기 제트용 도관에 접속되는 제트용 유로가 연통로에 의해 연통되고, 해당 림용 유로, 해당 제트용 유로 및 해당 연통로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림 통수로의 최상면보다 윗쪽에서 대기와 연통하는 흡기구를 갖는 배큠 브레이커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2. 서양식 변기 본체와, 세정수에 의해 해당 서양식 변기 본체를 세정 가능한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해당 변기 세정 장치는, 외부로부터 세정수를 공급하는 수도관에 직결되고, 전기적으로 개폐되어 세정수를 토출 가능한 개폐 밸브를 갖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세정 장치는, 상기 개폐 밸브의 개방 시간을 복수로 확보하는 제어부와, 설치자가 상기 수도관의 수도압에 따라 해당 제어부를 전환 가능한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KR1020067027128A 2000-06-23 2001-02-08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KR100705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7128A KR100705202B1 (ko) 2000-06-23 2001-02-08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90024 2000-06-23
JPJP-P-2000-00198235 2000-06-30
JPJP-P-2000-00209677 2000-07-11
JPJP-P-2000-00218499 2000-07-19
JPJP-P-2000-00237381 2000-08-04
KR1020067027128A KR100705202B1 (ko) 2000-06-23 2001-02-08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270A Division KR100705193B1 (ko) 2000-06-23 2001-02-08 수세식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211A KR20070017211A (ko) 2007-02-08
KR100705202B1 true KR100705202B1 (ko) 2007-04-09

Family

ID=4162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128A KR100705202B1 (ko) 2000-06-23 2001-02-08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5730B1 (en) * 2015-07-20 2022-01-19 Joseph Feldman Sanitary-wa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434A (ja) * 1999-08-31 2001-03-21 Inax Corp タンクレス便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434A (ja) * 1999-08-31 2001-03-21 Inax Corp タンクレス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211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193B1 (ko) 수세식 변기
CN109356251A (zh) 一种水位控制及排水装置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JP2009007845A (ja) 水洗大便器
CN109098243B (zh) 一种带有简易冲刷装置的马桶及马桶冲洗方法
KR100705202B1 (ko)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CN211341011U (zh) 一种用于水槽出水和排水控制的集成控制开关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JP2006233583A (ja) トイレ装置
KR20130056994A (ko)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KR102085963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JP4331093B2 (ja) 便器洗浄装置及び便器洗浄システム
JP3611747B2 (ja) 便器洗浄給水装置
CN110886348A (zh) 一种用于水槽出水和排水控制的集成控制开关
CN220888855U (zh) 多功能马桶
JPH0634453Y2 (ja) 便器の自動洗浄装置
JP7432113B2 (ja) 水洗大便器
KR101460445B1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대 겸용 소변기
JP2009084779A (ja) 便器装置
JP2741932B2 (ja) 便器水洗装置
CN209891323U (zh) 一种防溅水座便器
KR101359727B1 (ko)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JP4193564B2 (ja) 流動弁付きタンク
JP2004225494A (ja) 給水装置における発電機能付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