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727B1 -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 Google Patents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727B1
KR101359727B1 KR1020110066914A KR20110066914A KR101359727B1 KR 101359727 B1 KR101359727 B1 KR 101359727B1 KR 1020110066914 A KR1020110066914 A KR 1020110066914A KR 20110066914 A KR20110066914 A KR 20110066914A KR 101359727 B1 KR101359727 B1 KR 10135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mote control
controller
mode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490A (ko
Inventor
조은한
Original Assignee
조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한 filed Critical 조은한
Priority to KR102011006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7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와 수조(12)를 구비하고 급수관(14)으로 공급된 물이 수압식 및 수동식레버(25)의 누름에 의해 설정된 경로로 배출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14)에 복수의 분기관(31)(32)으로 연결되고, 상호 다른 배출경로 상에 각각의 플래퍼(16)(36)를 지니는 수조(12); 상기 분기관(31)(32)에 연결되는 각각의 작동실린더(41)(42)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플래퍼(16)(36)를 개폐하는 작동수단(40); 상기 작동수단(40)의 작동실린더(41)(42)를 설정된 입력 조건에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연결되는 제어기(50); 및 상기 제어기(50)로 선택된 작동모드를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리모콘(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수단(40)의 작동실린더(41)(42) 중 하나는 수압식 및 수동식레버(25) 상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노약자들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사용하기 편리한 동시에 용도에 따른 배수량 조절이 가능하여 절수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Toilet flushing device with water saving and remote control features}
본 발명은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약자들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사용하기 편리한 동시에 용도에 따른 배수량 조절이 가능하여 절수에 기여하는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실버산업이 부각되고 있는 바, 주거와 관련되어 욕실이나 화장실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화장실의 경우 노약자나 유아들이 물내림을 조작하기 편리한 것은 물론 여성들의 잦은 소변 물내림 등의 생활습관에도 절수 기능을 기반으로 하는 경제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특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78267호의 "양변기의 수위 자동 조절장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0025호의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등이 알려져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78267호는 배수버튼(또는 레버)의 작동으로 배수시켜 대소변을 처리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수위에 따라 급수관을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자석플로트와; 상기 자석플로트에 따라 자력으로 스위칭하는 소변리드스위치 및 대변리드스위치와; 사용자의 착석으로 스위칭하는 시트스위치와; 저수조의 수위를 대변에 맞게 조절하도록 물 공급시간을 설정하는 착석타이머와; 대소변에 따라 저수조의 물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개폐동작하는 전동밸브와; 상기 전동밸브의 개폐동작으로 부터 스위칭동작을 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스위칭동작으로 부터 정역회전 구동하여 전동밸브를 개폐시키는 모터; 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물의 낭비를 줄이는 한편 저수조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고, 저수조를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0025호는 물탱크, 시트커버, 상부커버로 이루어지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에는 시트감지센서와 열선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버의 저면에는 상부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시트감지센서는 시트누름감지스위치 및 시트적외선감지스위치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상부감지센서는 상부누름감지스위치 및 상부적외선감지스위치가 포함되어 구비되며, 상기 시트감지센서와 상기 상부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이 상기 좌변부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주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물내림장치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양변기로부터 악취가 발생되지 않아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며, 소변 또는 대변을 분별하여 물내림 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을 절약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배출 작동을 위한 레버나 스위치를 편리한 위치에 두기 곤란하고 거의 모든 작동을 전기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전이나 부품고장시 큰 불편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약자들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사용하기 편리한 동시에 용도에 따른 배수량 조절이 가능하여 절수에 기여하는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수조를 구비하고 급수관으로 공급된 물이 수압식 및 수동식레버의 누름에 의해 설정된 경로로 배출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에 복수의 분기관으로 연결되고, 상호 다른 배출경로 상에 각각의 플래퍼를 지니는 수조;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는 각각의 작동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플래퍼를 개폐하는 작동수단;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실린더를 설정된 입력 조건에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연결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로 선택된 작동모드를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리모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실린더 중 하나는 수압식 및 수동식레버 상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조의 2차배출용 플래퍼는 배출관을 이용하여 1차배출용 플래퍼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실린더 중 하나는 수압식및수동식레버 상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기는 적외선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착석 후 기립을 감지하여 작동수단을 통하여 자동 배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모콘은 사용자에 의해 1차배출용 플래퍼의 개방을 입력하는 대변모드와, 사용자에 의해 2차배출용 플래퍼의 개방을 입력하는 소변모드와, 기설정된 조건으로 상기 대변모드와 소변모드 중 하나를 수행하는 자동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에 의하면, 노약자들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사용하기 편리한 동시에 용도에 따른 배수량 조절이 가능하여 절수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기구를 측면에서 투시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기구를 정면에서 투시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급수관(14)으로 공급된 물이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의 누름에 의해 설정된 경로로 배출되는 변기에 관련된다. 본체(10)와 수조(12)로 이루어지는 변기에서 급수관(14)은 수조(12)에 물을 공급하는 관로이다. 수조(12)의 바닥면에는 본체(10)로 물을 내려 보내기 위한 배출구 및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 기능의 플래퍼(16)를 지닌다.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는 통상적으로 수조(12)의 전면에 설치되고 누름에 의하여 링크(23)가 회동하면서 플래퍼(16)를 개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다른 배출경로 상에 각각의 플래퍼(16)(36)를 지니는 수조(12)가 상기 급수관(14)에 복수의 분기관(31)(32)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플래퍼(16)(36)는 대변과 소변의 물량을 차등화하기 위한 요소로서 급수관(14)의 수압을 각각의 분기관(31)(32)으로 보내어 부력 개폐에 따른 작동력을 얻는다. 이는 플래퍼(16)(36)가 수압식의 작동실린더(41)(42)에 의하여 구동됨을 의미한다. 수압식의 작동실린더(41)(42)는 스프링을 지닌 단동식을 택한다. 분기관(31)(32)관은 급수관(14)에 T형관이음 등의 유니온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수조(12)의 2차배출용 플래퍼(36)는 배출관(35)을 이용하여 1차배출용 플래퍼(16)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전술한 일측의 플래퍼(16)는 대변의 배출을 위한 1차배출용이고, 타측의 플래퍼(36)는 소변의 배출을 위한 2차배출용이다. 2차배출용 플래퍼(16)는 배출관(35)은 별도의 배출구에 연통되는 배출관(35)을 개재하여 수조(12)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로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수단(40)이 상기 분기관(31)(32)에 연결되는 각각의 작동실린더(41)(42)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플래퍼(16)(36)를 개폐한다. 제1작동실린더(41)는 제1분기관(31)에 제1전자밸브(44)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작동력을 1차배출용 플래퍼(16)에 전달하여 대변용 배출구를 개폐한다. 제2작동실린더(42)는 제2분기관(32)에 제2전자밸브(45)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작동력을 2차배출용 플래퍼(36)에 전달하여 소변용 배출구를 개폐한다.
이때, 상기 작동수단(40)의 작동실린더(41)(42) 중 하나는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 상에 내장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도시에는 제1작동실린더(41)가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는 브라켓(47)을 개재하여 수조(12)에 설치되며, 브라켓(47)의 내측단에서 링크(23)를 지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를 누르면 제1작동실린더(41)의 로드가 링크(23)를 가압하여 플래퍼(16)를 개방하기도 하지만, 후술하는 리모콘(60)에 의해 제1전자밸브(44)에 신호가 입력되면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제1작동실린더(41)가 작동하여 플래퍼(16)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제1작동실린더(41)를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에 내장하면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면서 전체적인 외형을 축소하는데 유리하다. 물론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의 수동 기능상 제1작동실린더(41)를 내장하는 것이 좋으나 제1작동실린더(41) 대신에 제2작동실린더(42)를 내장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분기관(31)(32), 작동실린더(41)(42), 전자밸브(44)(45), 플래퍼(16)(36) 외에 별도의 분기관, 작동실린더, 전자밸브를 사용하여 또 다른 배출구에 또 다른 높이로 설치된 플래퍼를 개폐하면 절수 기능이 더욱 향상된다. 예컨대, 대변용, 소변용, 세척용으로 용도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50)가 상기 작동수단(40)의 작동실린더(41)(42)를 설정된 입력 조건에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연결되는 구조이다. 제어기(50)는 후술하는 리모콘(60)의 원격신호를 수신하여 전자밸브(44)(45)에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작동실린더(41)(42)를 통한 일측 배출구를 개폐를 수행한다. 제어기(50)의 설치 위치는 수조(12)의 전면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체(10) 또는 벽체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기(50)의 전원은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전자밸브(44)(45)도 DC로 구동되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기(50)는 적외선센서(55)를 통하여 사용자의 착석 후 기립을 감지하여 작동수단(40)을 통하여 자동 배출을 수행한다. 적외선센서(55)는 수조(1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석과 기립을 검출한다. 제어기(50)는 설정된 시간의 착석 후 기립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전자밸브(44)를 가동하여 제1작동실린더(41)로 플래퍼(16)를 개방한다. 즉, 사용자가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를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배출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대략 반으로 접히는 구조의 접철커버(68)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접철커버(68)를 펼치면 본체(10)의 상면을 덮게 되지만 접철커버(68)를 세우면 반으로 접혀서 적외선센서(55)의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물론 접철커버(68)의 개폐에 연동하는 전원스위치(53)를 두면 절전 기능에 유리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기(50)로 선택된 작동모드를 입력하도록 리모콘(60)이 구비되는 구조이다. 리모콘(60)은 거동이 불편하여 수조(12)에 있는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를 누르기 곤란한 노약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수단이다. 별도의 거치대(65)를 본체(10)의 전면에 두면 리모콘(60)의 작동이 편리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체(10)에 인접한 벽체에 거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리모콘(60)은 사용자에 의해 1차배출용 플래퍼(16)의 개방을 입력하는 대변모드(61)와, 사용자에 의해 2차배출용 플래퍼(36)의 개방을 입력하는 소변모드(62)와, 기설정된 조건으로 상기 대변모드(61)와 소변모드(62) 중 하나를 수행하는 자동모드(63)를 구비한다. 대변모드(61), 소변모드(62), 자동모드(63)는 방수에 유리한 터치식 입력버튼으로 구성한다. 대변모드(61)를 누르면 제1전자밸브(44)가 가동되어 제1작동실린더(41)에 의하여 1차배출용 플래퍼(16)가 개방되고, 소변모드(62)를 누르면 제2전자밸브(45)가 가동되어 제2작동실린더(42)에 의하여 2차배출용 플래퍼(36)가 개방된다. 자동모드(63)를 누르면 전술한 적외선센서(55)에 의한 자동 물내림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평상시 리모콘(60)을 이용하여 원하는 물내림 모드를 사용할 수 있고, 아무런 누름이 없이 자동으로 물내림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전원 배터리의 방전시에는 1차로 경보를 발생하고 2차로 수압식및수동식레버(25)를 직접 눌러 물내림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수조
14: 급수관 16, 36: 플래퍼
25: 수압식및수동식레버 31, 32: 분기관
35: 배출관 40: 작동수단
41, 42: 작동실린더 44, 45: 전자밸브
50: 제어기 55: 적외선센서
60: 리모콘 61: 대변모드
62: 소변모드 63: 자동모드
65: 거치대 68: 접철커버

Claims (6)

  1. 본체(10)와 수조(12)를 구비하고 급수관(14)으로 공급된 물이 수압식 및 수동식레버(25)의 누름에 의해 설정된 경로로 배출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14)에 복수의 분기관(31)(32)으로 연결되고, 상호 다른 배출경로 상에 각각의 플래퍼(16)(36)를 지니는 수조(12);
    상기 분기관(31)(32)에 연결되는 각각의 작동실린더(41)(42)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플래퍼(16)(36)를 개폐하는 작동수단(40);
    상기 작동수단(40)의 작동실린더(41)(42)를 설정된 입력 조건에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연결되는 제어기(50); 및
    상기 제어기(50)로 선택된 작동모드를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리모콘(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수단(40)의 작동실린더(41)(42) 중 하나는 수압식 및 수동식레버(25) 상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2)의 2차배출용 플래퍼(36)는 배출관(35)을 이용하여 1차배출용 플래퍼(16)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50)는 적외선센서(55)를 통하여 사용자의 착석 후 기립을 감지하여 작동수단(40)을 통하여 자동 배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접철커버(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60)은 사용자에 의해 1차배출용 플래퍼(16)의 개방을 입력하는 대변모드(61)와, 사용자에 의해 2차배출용 플래퍼(36)의 개방을 입력하는 소변모드(62)와, 기설정된 조건으로 상기 대변모드(61)와 소변모드(62) 중 하나를 수행하는 자동모드(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KR1020110066914A 2011-07-06 2011-07-06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KR101359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14A KR101359727B1 (ko) 2011-07-06 2011-07-06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14A KR101359727B1 (ko) 2011-07-06 2011-07-06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90A KR20130005490A (ko) 2013-01-16
KR101359727B1 true KR101359727B1 (ko) 2014-02-07

Family

ID=4783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914A KR101359727B1 (ko) 2011-07-06 2011-07-06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7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172Y1 (ko) * 1994-09-23 1997-05-06 상일전자 주식회사 절수형 좌변기 자동세척장치
JP2003147832A (ja) 2001-11-13 2003-05-21 Inax Corp 便座装置
KR20050019611A (ko) * 2003-08-20 2005-03-03 (주)비앤이티 로탱크용 절수 사이펀
KR20100010707U (ko) * 2009-04-22 2010-11-01 한국공조공업(주) 물 절약형 수세식 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172Y1 (ko) * 1994-09-23 1997-05-06 상일전자 주식회사 절수형 좌변기 자동세척장치
JP2003147832A (ja) 2001-11-13 2003-05-21 Inax Corp 便座装置
KR20050019611A (ko) * 2003-08-20 2005-03-03 (주)비앤이티 로탱크용 절수 사이펀
KR20100010707U (ko) * 2009-04-22 2010-11-01 한국공조공업(주) 물 절약형 수세식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90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193B1 (ko) 수세식 변기
KR101205851B1 (ko) 변기 세정 장치
JP2011511189A (ja) 水圧および人体荷重を用いた便器の無電源自動水洗装置付き便座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804307B1 (ko) 변기 커버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물 내림 시스템 및 물내림 방법
JP2005054567A (ja) ビデと連係された便器節水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便器節水装置
US8430118B2 (en) Automatic flush device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KR101359727B1 (ko)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KR100499662B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102148622B1 (ko) 좌변기 악취제거 수봉 장치
CN211080455U (zh) 智能型全自动冲水马桶
JP6483045B2 (ja) 水洗便器
CN106638850A (zh) 一种智能冲水马桶
CN211006914U (zh) 无水箱智慧型全自动冲水马桶
KR101221835B1 (ko)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401106Y1 (ko) 양변기 세척수 절수 시스템
KR20130056994A (ko)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CN103343567B (zh) 一种小便斗冲水装置及其小便斗
KR200455687Y1 (ko) 여성용 수세식 변기
CN112196037B (zh) 智能型全自动冲水马桶构造
TWI704271B (zh) 智慧型全自動沖水馬桶
TWM595142U (zh) 智慧型全自動沖水馬桶
CN112196038B (zh) 无水箱智慧型全自动冲水马桶
KR200354382Y1 (ko) 절수형 대변기의 자동세척장치
KR20100007498U (ko) 양변기탱크 자동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