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851B1 - 변기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851B1
KR101205851B1 KR1020127021097A KR20127021097A KR101205851B1 KR 101205851 B1 KR101205851 B1 KR 101205851B1 KR 1020127021097 A KR1020127021097 A KR 1020127021097A KR 20127021097 A KR20127021097 A KR 20127021097A KR 101205851 B1 KR101205851 B1 KR 10120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waterproof
intermediate opening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419A (ko
Inventor
모토야스 기무라
도모에이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기무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무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무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1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tube siphons and with tube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2Twin or multiple flushing ciste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량이 정확하게 정량화될 수 있는 변기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저수 탱크가 소형화될 수 있는 변기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변기 세정용 방수관(101)에 저수 탱크(1) 내의 세정수를 방수하기 위한 변기 세정 장치(100)는 저수 탱크(1) 내에 취수구(32)를 가지는 취수관(30)과, 방수 개시용 마중물을 취수관(30)에 유입시키기 위한 방수 개시 밸브(20)와, 취수구(32)에서 방수 개시 밸브(20)에 이르는 취수관(30)의 경로 도중에 공기 정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트랩(31)을 구비하고, 공기 정체 부분이 형성되는 위치는 취수구(32)에 대해서 더 높은 위치가 된다.

Description

변기 세정 장치{TOILET BOWL FLUSH DEVICE}
본 발명은 변기 세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펀(syphon) 현상의 발생을 이용한 세정수의 방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변기 세정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2001-32353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 절수 장치가 알려져 있다.
세정수 절수 장치는 주 방수관, 주 방수관에 설치된 주 플로트 밸브(대(大) 세정용 플로트 밸브), 주 방수관과 연통하는 부 방수관, 부 방수관에 설치된 부 플로트(소(小) 세정용 플로트 밸프)를 구비하고, 소 세정용 방수시에는 부 플로트 밸브가 개방되어 적당량의 세정수가 부 방수관를 통해 주 방수관에 방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작 레버의 조작을 받아서 부 플로트 밸브가 부 방수관의 개구단에서 이격되어 부상하여 방수가 시작된다. 또한 방수에 의해 저수 탱크의 수위가 저하하면 부 방수관의 흡입력이 부 플로트 밸브의 부력을 초과하여 부 플로트 밸브가 부 방수관의 개구단을 닫아서 방수를 정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가들에 의한 집중적인 연구에 따르면, 종래의 변기 세정 장치에 대해서 개선되어야 할 여러 가지 점이 발견되었다.
우선, 착안해야 할 점은, 종래의 변기 세정 장치가 플로트 밸브를 사용하여 방수량을 조절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플로트 밸브의 움직임은 저수 탱크 내에 발생하는 유수(water flow)와 방수관에 대한 플로트 밸브의 부상 위치 변화와 같은 우발적 요소에 의존한다. 따라서, 방수량이 차질없이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변기 세정 장치에 있어, 대 세정용과 소 세정용 플로트 밸브를 저수 탱크 내에 수용하기 때문에, 저수 탱크 내에 세정수의 필요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저수 탱크의 크기 증가가 불가피하다. 또한, 세정에 필요한 강한 유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만수 수위가 부 방수관에 대해서 충분히 더 높은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점 역시, 저수 탱크가 높이 방향으로 더 커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 배경을 고려하여 행하여 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량을 정확하게 정량화할 수 있는 변기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수 탱크를 소형화할 수 있는 변기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수 탱크 내의 세정수를 변기 세정용 방수 경로에 방수하는 변기 세정 장치로서, 저수 탱크 내에 개구단(開口端)을 구비한 취수관, 방수 개시용 마중물(priming water)을 취수관 내로 유입하기 위한 방수 개시 밸브, 및 개구단으로부터 취수관의 방수 개시 밸브에 이르는 취수관의 경로 도중에 공기 정체부를 형성하기 위한 트랩을 구비하고, 상기 트랩의 위치는 개구단에 대해서 더 높은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에 따르면, 사이펀 현상은 방수 개시 밸브의 개방에 수반된 마중물의 유입 때문에 취수관 내에 일어난다. 그래서, 저수 탱크의 세정수는 취수관 내에 강제적으로 흡입되어 방수된다. 또한 취수관의 개구단은 방수에 수반된 수위의 저하 때문에 저수 탱크 내의 물에서 표출되고 지수(stopping water)용 공기가 표출된 개구단을 통해 취수관 내로 흡입된다. 따라서 공기 유입 때문에 사이펀 현상은 종료된다. 그 후, 취수관를 통한 방수는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즉, 본 발명에서, 취수관 내에서 일어나는 사이펀 현상을 이용하여 방수를 수행하고, 방수의 정지 시기는 저수 탱크 내의 수위 변화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방수 경로에 세정수의 정량을 정확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에 따르면, 플로트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정량의 세정수를 방수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저수 탱크의 용량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이펀 현상의 발생과 함께 취수관의 흡입력이 수반되므로, 방수를 수행하기 위해서 수위의 고저차를 이용하는 종래의 방수 방식과 비교하여 방수의 개시에서 방수의 정지시까지 안정한 유수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만수 수위를 높게 설정하지 않고 더 높은 세정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는 그 높이 방향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는 취수관이 트랩에서 취수관의 개구단에 이르는 경로 도중에 중간 개방 밸브를 구비하며, 중간 개방 밸브는 저수 탱크의 수위가 저하됨에 따라 저수 탱크 내에서 표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런 구조에서, 중간 개방 밸브는 트랩에서 취수관의 개구단에 이르는 경로도중에 설치된다. 그래서 중간 개방 밸브의 개방시, 저수 탱크의 수위가 중간 개방 밸브에 도달한 때에, 지수용 공기가 중간 개방 밸브를 통해 안으로 들어온다. 따라서 중간 개방 밸브의 개방시, 방수는 저수 탱크의 수위가 취수관의 개구단에 도달하기 전에 정지한다. 따라서, 취수관의 개구단을 통해 소량의 방수가 가능하게 된다. 즉, 중간 개방 밸브의 개방시, 방수를 위한 한계 수위는 취수관의 개구단을 통해서 방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승한다. 따라서 소량의 방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방수량은 저수 탱크의 만수 수위에 대해서 중간 개방 밸브의 심도 설정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방수 개시 밸브는 저수 탱크 내의 취수관에 설치된 중간 개방 밸브에 대해 하부 위치에 설치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방수 개시 밸브는 저수 탱크 내에 설치되고, 그 위치는 취수관에 설치된 중간 개방 밸브에 대해서 하부 위치이다. 결과적으로, 중간 개방 밸브를 개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 큰 방수량이 필요로 할 때, 방수 개시 밸브가 개방되어서 저수 탱크 내의 세정수를 방수 경로에 공급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는 개구단이 대 세정용 방수를 위한 취수구로 설정되고, 중간 개방 밸브가 소 세정용 방수를 위한 취수구로 설정되고, 중간 개방 밸브에는 소 세정용 방수시 밸브 개방 위치에 중간 개방 밸브를 유지시면서 대 세정용 방수시 밸브 폐쇄 위치로 중간 개방 밸브를 복귀시키는 밸브 본체 유지 기구(개폐 조작 기구)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에서 취수관의 개구단은 대 세정용 방수를 위한 취수구로 설정되고, 취수관의 경로 도중에 설치된 중간 개방 밸브는 소 세정용 방수를 위한 취수구로 설정된다. 또한 소 세정용 방수와 대 세정용 방수 사이에서 선택하기 위해서 변기 세정 장치는 중간 개방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본체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대 세정용 방수시와 소 세정용 방수시에서 방수를 위한 한계 수위가 변한다. 결과적으로, 대 세정용 방수량과 소 세정용 방수량 중 하나가 임의적으로 선택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는 저수 탱크 내에 만수 수위 대하여 중간 개방 밸브의 심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심도 변경 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구조에 따르면, 심도 변경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개방 밸브의 위치는 저수 탱크의 수직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개방 밸브의 위치 변경으로 중간 개방 밸브의 개방시 방수를 위한 한계 수위가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원하는 방수량의 방수가 가능하게 된다.
심도 변경 기구의 구조는 저수 탱크의 수위에 대해서 중간 개방 밸브의 심도를 저수 탱크의 높이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변경 가능하다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는, 저수 탱크에 세워 설치된 가동식 오버플로우관(over flow pipe)과, 중간 개방 밸브가 설치되고 취수관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한 슬리브(sleeve)를 구비하고, 심도 조정 기구는 오버플로우관에 대한 조작을 취수관에 대한 슬리브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리브에 상하 운동을 전달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오버플로우관은 저수 탱크 내에 설치된다. 또한 취수관은 중간 개방 밸브가 설치된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오버플로우관은 가동식이고, 오버플로우관에 대한 조작은 심도 조정 기구를 통해 슬리브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시켜 슬리브에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슬리브의 상하 운동에 의해 어떠한 심도에서든 중간 개방 밸브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오버플로우관의 조작은 오버플로우관의 상하 운동과 오버플로우관의 회전 운동과 같은 오버플로우관의 상태 변화에 관련된 동작에 상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는, 오버플로우관이 그 외주상에 오버플로우관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 홈을 가지며, 나선 홈의 회전 방향을 추종하여 오버플로우관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라킷(bracket)이 설치되고, 슬리브는 브라킷에 연결되고 오버플로우관을 회전시키는 조작에 대응하여 오버플로우관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나선홈은 오버플로우관의 외주에 형성된다. 또한, 나선 홈과 맞물리는 브라킷이 설치된다. 브라킷은 오버플로우관의 조작에 수반된 나선 홈의 회전을 추종하여 오버플로우관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중간 개방 밸브가 형성된 슬리브는 브라킷에 연결되고, 슬리브는 브라킷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이러한 구조에서, 오버플로우관을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슬리브가 상하로 움직인다. 따라서, 오버플로우관의 조작에 의해 중간 개방 밸브의 심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는 방수 개시 밸브와 중간 개방 밸브 중 적어도 한쪽에 밸브 본체 구동용 실린더가 설치되고, 실린더는 밸브 본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매체를 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에 연결된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방수 개시 밸브, 중간 개방 밸브 등을 조작할 때, 개폐 조작은 밸브 본체 구동용 실린더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저수 탱크 내에 개폐 조작에 필요한 복잡한 연결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저수 탱크의 간단한 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는 실린더가 각각의 방수 개시 밸브와 중간 개방 밸브에 설치되고, 공급 장치에는 각각의 실리더에 대한 구동 매체의 공급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가 설치되고, 제어 장치는 변기의 이용 시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사용 시간에 의거하여 구동 매체를 공급해야 할 실린더를 선택하고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실린더는 각각의 방수 개시 밸브와 중간 개방 밸브 양쪽에 설치된다. 각각의 실린더에 대한 구동 매체의 공급 동작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어 장치는 변기의 사용 시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사용 시간에 따라 구동 매체를 공급해야할 실린더를 선택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용도에 따른 방수가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실린더가 저수 탱크 내에 만수 수위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실린더는 저수 탱크 내의 만수 수위에 대해서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실린더는 수압에 영향을 받지 않아서 작은 힘으로 작동된다. 즉, 구동 매체의 공급 압력이 낮은 간단한 공급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에 연결된 밸브 본체가 플로트 밸브이고 실린더에 공급할 구동 매체가 공기이며, 공급 장치는 실린더 내압이 1.08atm 이상이고 1.35atm 이하로 유지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공기가 밸브 본체 구동용 실린더에 공급되어, 방수 개시 밸브나 중간 개방 밸브 등의 밸브 본체를 조작한다. 또한, 공기를 공급할 때, 실린더 내의 압력(공기압)은 1.08atm 이상 1.35atm 이하로 유지된다. 따라서 플로트 밸브가 각각의 방수 개시 밸브와 중간 개방 밸브에 채용될 경우 역시, 수위 저하와 연관된 플로트 밸브의 폐쇄 동작은 방해받지 않는다. 즉, 상술한 범위 내에 공기압을 유지함으로써 플로트 밸브는 플로트 밸브의 밸브 폐쇄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량을 정확하게 정량화할 수 있는 변기 세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를 소형화할 수 있는 변기 세정 장치를 역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 개방 밸브의 밸브 본체 유지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소 세정용 방수시의 초기에 중간 개방 밸브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소 세정용 방수시의 종기(終期)에 세정수와 지수용 공기(water stopping air)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대 세정용 방수시의 초기에 중간 개방 밸브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대 세정용 방수시의 종기에 세정수와 지수용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 기구의 비동작 상태(비조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대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 조작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소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 조작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 개방 밸브의 밸브 본체 유지 기구에 플로트를 채용한 도면.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밸브에 플로트 밸브를 채용한 도면.
도 12는 도 1에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취수관과 오버플로우관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 기구에 전기 구동형 조작 기구를 채용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의 조작 기구에 따른 공기 공급 장치를 상부에서 본 투시도.
도 16은 도 14의 조작 기구에 따른 공기 공급 장치를 전방에서 본 투시도.
도 17은 전기 구동형 조작 기구에 설치된 공기 실린더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18은 전기 구동형 조작 기구에 설치된 제어 장치에서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흐름도.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심도 조절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100)는 저수 탱크(1)에 바닥부에 설치된 밸브 하우징(10)(valve housing), 밸브 하우징(10)에 조립된 방수 개시 밸브(20), 저수 탱크(1)의 바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취수관(30), 취수관(30)의 경로 도중에 설치된 중간 개방 밸브(40), 밸브 하우징(10)에 의해 지지되는 오버 플로우관(70), 중간 개방 밸브(40)와 방수 개시 밸브(20)의 개폐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 기구(50), 및 저수 탱크(1)에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저수 탱크(1)에 공급된 세정수는 조작 기구(50)가 조작될 때 밸브 하우징(10)을 통해 방수관(101)(방수 경로)으로 방수된다.
밸브 하우징(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 방향에 개구부(11, 12, 13, 14)를 갖는 다(多) 분기형의 밸브 하우징(10)이다. 저수 탱크(1)의 바닥부를 향하는 주 개구부(11)는 저수 탱크(1)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밸브 하우징(10)에 이르는 방수관(101)에 연결된다. 또한, 밸브 하우징(10)에서 도 1의 안쪽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4)는 저수 탱크(1)의 상부로 연장되는 오버플로우관(70)에 연결된다. 또한, 저수 탱크(1)에 위치한 두 개의 나머지 개구부(12, 13)는 그 한쪽 개구부(12)에 방수 개시 밸브(20)가 조립되고, 다른 개구부(13)에는 저수 탱크(1)의 상부로 연장되는 취수관(30)이 연결되어 있다.
방수 개시 밸브(20)는 조작 기구(50)에서 연장된 방수 개시 밸브 조작용 체인(51)에 연결된 밸브 본체(21)와 밸브 하우징(10)의 밸브 시트(valve seat) 방향으로 본체(21)를 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스프링 훅(22)을 구비한다. 방수 개시 밸브(20)는 상시 상태에 있어 폐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시 상태는 조작 기구(50)의 비동작 상태(비조작 상태)에 상당한다.
취수관(30)은 경로 도중에 역 U자형의 굴곡부(31)를 가지는 사이펀(syphon) 경로를 구성하고, 굴곡부(31)는 전환점으로써 저수 탱크(1)의 상부에 위치하며, 취수측 상에 취수관(30)의 개구단(이하, 취수구(32)라 함)은 저수 탱크(1)의 바닥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취수관(30)은 밸브 하우징(10)과의 연결부를 시작점으로하여 저수 탱크(1)의 상부로 연장되고 저수 탱크(1)의 상부에 위치한 역 U자형 굴곡부(31)를 통해 저수 탱크(1)로 복귀한다. 개구단(32)은 저수 탱크(1)의 바닥부에 개방되어 있다.
역 U자형 굴곡부(31)는 지수용 공기가 정체되는 역할을 하는 트랩(trap)을 취수관(30)에 구성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굴곡부(31)가 형성된 부분은 간단히 트랩이라 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중간 개방 밸브(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중간 개방 밸브(40)는 방수 개시 밸브(20)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 그리고 취수구(32)에서 트랩(31)에 이르는 경로 도중에 설치되는 슬리브형 밸브 하우징(41)과, 조작 기구에서 연장되는 중간 개방 밸브 조작용 체인(52)에 연결된 밸브 본체(42)를 구비한다.
밸브 하우징(41)은 취수관(30)의 외경과 거의 같은 내경을 가지는 슬리브(41a)와, 슬리브(41a)를 관통하여 취수관(30)의 벽면에 도달하는 관상부재(41b)를 구비한다. 밸브 본체(42)는 관상부재(41b)의 가장자리가 밸브 시트로서 밸브 하우징(41)에 설치된다.
또한, 취수관(30)측에 긴 개구부(33)(중간 개방 밸브)가 취수관(3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취수관(30)의 상하 방향으로 밸브 하우징(41)을 구성하고 있는 슬리브(41a)를 이동시켜, 취수관(30)에 대해서 중간 개방 밸브(40)의 실질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슬리브(41a)를 상하 이동시켜서 중간 개방 밸브(40)의 심도를 저수 탱크(1)의 만수 수위에 대해서 변경시킬 수 있다.
밸브 하우징(41)을 형성하는 슬리브(41a)의 외경과 내경은 임의로 변경될 수 있고, 슬리브(41a)는 상술한 외부 슬리브의 형태뿐만 아니라 내부 슬리브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중간 개방 밸브(40)의 심도를 설정하기 위해서 저수 탱크(1)에 설치된 오버플로우관(70)을 조작하여 중간 개방 밸브(40)의 심도 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우선, 도 12, 13에 나타낸 오버플로우관(70)의 외주 상에는 오버플로우관(7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형의 홈(71)(볼트)이 형성된다. 홈에 맞물리는 이(tooth)를 내주면에 가지는 원통 브라킷(72)이 오버플로우관(70)에 설치된다. 중간 개방 밸브(40)를 구성하는 브라킷(72)과 슬리브(41a)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브라킷(72)은 저수 탱크(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70)과 취수관(30)을 따라 지지된다.
또한, 오버플로우관(70)은 밸브 하우징(1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오버플로우관(70)의 회전을 추종하는 브라킷(72)의 상하 이동 때문에, 슬리브(41a)는 취수관(3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오버플로우관(70)을 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 슬리브(41a)가 이동된다. 따라서 오버플로우관(70)의 조작에 수반하여, 중간 개방 밸브(40)의 심도가 만수 수위에 대해서 변경될 수 있다.
중간 개방 밸브(40)의 심도의 설정은 소 세정용 방수시(변기의 소변 등을 세정하기 위한 비교적 소량을 방수시) 적당한 방수량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되는 조작이다. 중간 개방 밸브(40)의 심도를 설정하여 각종 사용에 적합한 방수량을 얻을 수 있다. 중간 개방 밸브(40)의 심도 설정과 방수량은 구체적으로 후술될 것이다. 오버플로우관(70), 브라킷(72) 등은 심도 변경 기구를 구성한다. 대 세정용 방수는 변기의 대변 등을 세정하기 위한 비교적 대량의 방수를 말한다.
계속해서, 중간 개방 밸브(40)에 설치된 밸브 본체 유지 기구(60)에 대해서 설명한다.
중간 개방 밸브(40)는 선택에 따라 중간 개방 밸브(40)에 설치된 밸브 본체(42)를 유지하는 기능 및 밸브 개방 위치에 있는 밸브 본체(42)를 밸브 폐쇄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밸브 본체 유지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본체 유지 기구(60)는 밸브 본체(42)의 윗면에 형성된 록킹 클로우(61)와, 록킹 클로우(61)와 맞물려서 밸브 개방 위치에 밸브 본체(42)를 유지하는 스프링 훅(62)과, 조작 기구(50)와 스프링 훅(62)을 서로 결합하는 스프링 훅 조작용 체인(63)을 구비하고, 조작 기구(50)에서 연장되는 중간 개방 밸브 조작용 체인(52)과 스프링 훅 조작용 체인(63)의 조작을 받아, 밸브 본체(42)의 개폐 조작을 수행한다. 또한, 도 3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기구(50)에서 연장되는 중간 개방 밸브 조작용 체인(52)을 들어올림으로써, 밸브 본체(42)는 상방으로 이동한다(도 3 참조).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록킹 클로우(61)는 스프링 훅(62)의 선단부와 결합하여 개방 위치에 중간 개방 밸브(40)를 유지한다(도 4 참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 클로우(61)와 스프링 훅(62) 사이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스프링 훅 조작용 체인(63)을 들어올림으로써 록킹 클로우(61)와 스프링 훅(62) 사이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그 후, 밸브 본체(42)는 자연적으로 밸브 폐쇄 위치로 복귀한다(도 6 참조).
계속해서,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조작 기구(50)를 설명한다.
조작 기구(50)는 저수 탱크(1)의 상부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레버(55)와, 조작 레버(55)와 함께 요동하는 중립 부재(56)와, 조작 레버(55)용 지지 샤프트(51a)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중립 부재(56)의 일측(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에 요동 가능한 대 세정용 조작판(57)과, 중립 부재(56)의 타측(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측) 상에 요동 가능한 소 세정용 조작판(54)을 구비한다. 이들 부재들은 각각 조작될 대상인 밸브 본체(21, 42)와 중간 개방 밸브(40)의 스프링 훅(62)에 체인 및 연결 기구(도시 생략)를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중립 부재(56)는 방수 개시 밸브(20)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수 개시 밸브용 체인(51)에 연결된다. 대 세정용 조작판(57)은 중간 개방 밸브(40)를 폐쇄하는데 사용되는 스프링 훅용 체인(63)에 연결된다. 소 세정용 조작판(58)은 중간 개방 밸브(40)를 개방하는데 사용되는 중간 개방 밸브 조작용 체인(52)에 연결된다.
도 7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조작 레버(55)의 조작이 대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 정의되고 도 7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조작 레버(55)의 조작이 소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 정의된 각각의 부재에 대한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중립 부재(56)는 대 세정용 조작 방향과 소 세정용 조작 방향 양쪽에서 방수 개시 밸브용 체인(51)을 들어 올려, 방수 개시 밸브(20)를 개방한다.
대 세정용 조작판(57)은 대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 조작시에 스프링 훅용 체인(63)을 사용하여 중간 개방 밸브(40)용 스프링 훅(62)을 들어 올린다(도 8 참조). 대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 조작시에 중립 부재(56)와 대 세정용 조작판(57)의 이동에 의해서 방수 개시 밸브(20)가 개방되고, 중간 개방 밸브(40)용 스프링 훅(62)이 상승되어 밸브 본체(42)를 중간 개방 밸브(40)의 밸브 개방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이 해제되고 따라서 중간 개방 밸브(40)가 폐쇄된다(도 5 참조).
한편, 소 세정용 조작판(54)은 소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 조작시 중간 개방 밸브 조작용 체인(52)을 사용하여 중간 개방 밸브(40)의 밸브 본체(42)를 들어 올린다(도 9 참조). 소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 조작시, 중립 부재(56)와 소 세정용 조작판(58)을 이동시켜서 방수 개시 밸브(20)를 개방하고 중간 개방 밸브(40)의 밸브 본체(42)를 들어올려 중간 개방 밸브(40)가 밸브 개방 위치에 유지되게 한다(도 3 참조).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100)에 의한 방수 원리를 저수 탱크(1)에 수위 변화를 고려하여 설명한다.
(대 세정용 방수시)
우선, 조작 레버(55)를 대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 조작하면, 방수 개시 밸브(20)가 개방되고, 세정수는 방수 개시 밸브(20)를 통해 취수관(30) 내로 흐른다. 세정수는 취수관(30) 내에 사이펀 현상을 일으키는 마중물의 역활을 한다. 사이펀 현상의 발생으로 수반된 관 내에 압력 저하로 인해, 세정수는 저수 탱크의 바닥부에 취수구(32)를 통해 취수관(30) 내로 흐른다. 세정수는 취수관(30)을 통해 방수관(101)에 방수된다.
중간 개방 밸브(40)는 대 세정용 방수시 밸브 폐쇄 상태에 있다. 따라서 방수는 수위가 저수 탱크의 바닥부에 취수구(32)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수위가 취수구(32)에 도달할 때, 지수용 공기가 취수구(32)를 통해 취수관(30) 내로 유입되어 사이펀 현상을 정지한다. 따라서, 사이펀 현상이 정지하는 순간 방수는 종료된다.
(소 세정용 방수시)
소 세정용 방수시, 조작 레버(55)는 소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 조작되어 방수 개시 밸브(20)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사이펀 현상이 일어나면 방수는 시작된다.
또한, 소 세정용 방수시, 중간 개방 밸브(40)는 밸브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저수 탱크(1)에 수위가 중간 개방 밸브(40)에 도달할 때, 지수용 외부 공기가 중간 개방 밸브(40)를 통해 취수관(30) 내로 흘러들어서 방수가 종료된다.
또한 소 세정용 방수시, 중간 개방 밸브(40)는 스프링 훅(62)에 의해 밸브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계속되는 다음 조작에서, 밸브 개방을 해제하는 조작이 대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의 조작을 통해 수행될 때까지, 중간 개방 밸브(40)는 밸브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소 세정용 조작에 계속되는 다음 조작이 다시 소 세정용 조작일 경우, 중간 개방 밸브(40)의 밸브 개방 상태가 계속 되어도, 중간 개방 밸브(40)에 대응하는 수위는 소 세정용 방수시 필요한 방수량을 보장하기 충분하여 중간 개방 밸브(40)를 특별히 폐쇄할 필요가 없다. 대 세정용 방수 조작을 받는 순간 중간 개방 밸브(40)는 폐쇄된다. 그 후, 취수구(32)를 통해 방수가 가능하게 된다.
대 세정용과 소 세정용 방수에 필요한 조작 레버(55)의 조작 시간은 취수관(30) 내에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키는 시간 정도이면 충분하다. 조작 레버(55)는 방수가 끝날 때까지 조작될 필요가 없다. 즉, 방수 개시 밸브(20)의 개방을 위해 짧은 시간이면 충분하다. 사이펀 현상이 발생 후에, 방수 개시 밸브(20)의 개방 유무에 관계없이 방수는 저수 탱크(1)의 수위가 방수를 위한 한계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중간 개방 밸브(40)의 심도와 방수량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 세정용 방수시, 저수 탱크(1)의 수위가 중간 개방 밸브(40)에 도달할 때 방수는 종료한다. 따라서, 저수 탱크(1)의 만수 수위에 대한 중간 개방 밸브(40)의 심도가 깊어지면, 소 세정용 방수시, 방수를 위한 한계 수위는 낮은 위치에 설정된다. 따라서, 더 많은 세정수가 이전 경우와 비교하여 방수될 수 있다. 중간 개방 밸브(40)의 심도가 얕을 때, 소량의 방수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설명된 변기 세정 장치(100)에 따르면, 조작 레버(55)가 대 세정용 방수 방향이나 소 세정용 방수 방향으로 전환될 때마다 방수를 위한 한계 수위가 바뀐다. 따라서 대 세정용 방수시와 소 세정용 방수시 양쪽에서 적당량의 세정수가 조작 레버(55)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정확하고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플로트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저수 탱크(1) 내의 세정수가 방수될 수 있어서 저수 탱크(1)의 용량의 최대 활용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사이펀 현상의 발생의 결과로써 취수관(30)의 흡입력을 사용하여 방수가 수행되기 때문에, 수위의 고저차를 이용하여 방수를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저수 탱크(1)가 그 높이 방향으로 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 세정용 방수시 방수량은 오버플로우관(70)의 조작을 통해 중간 개방 밸브(40)의 심도 변화에 추종하여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량을 조절할 경우에, 저수 탱크(1)에 손이나 손가락을 집어넣지 않고 방수량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세정수의 수면을 향하는 오버플로우관(70)의 선단부를 잡고 오버플로우관(70)을 회전시킴으로써, 세정수에 의해서 손과 손가락을 젖지 않게 방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된 본 실시예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그 구체적 예는 변기 세정 장치(100)의 명세서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된 실시예에서 개방 위치에 유지되고 있는 중간 개방 밸브(40)를 밸브 폐쇄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대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지만,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L형의 훅(68)이 플로트(65)에 연결되어 밸브 개방 위치의 밸브 본체(42)의 유지는 수위의 변화에 따른 플로트(65)의 수직 움직임에 의하여 해제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로트(65)와 훅(68)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수위가 만수 수위보다 낮아질 때, 훅(68)이 중간 개방 밸브(40)를 밸브 개방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위치로 하강하고, 수위가 만수 수위 일 때, 훅(68)이 밸브 개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위치로 상승하는 각도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만수 수위에서 중간 개방 밸브(40)는 항상 밸브 폐쇄 위치에 있으나 플로트(65)가 소 세정용 방수에 의해 하강하면, 소 세정용 방수에 의해 개방된 중간 개방 밸브(40)(밸브 본체(42))가 훅(68)에 의해 록킹되어 밸브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방수의 종료에 응하여 저수 탱크(1)의 수위는 만수 수위로 복귀한다. 그 후, 중간 개방 밸브(40)의 구속은 해제되어 다시 밸브 폐쇄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대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의 조작시, 수위의 저하에 따라, 훅(68)이 중간 개방 밸브(40)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로 하강한다. 그러나, 대 세정용 조작 방향으로의 조작시, 중간 개방 밸브(40)의 개폐 조작은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중간 개방 밸브(40)는 훅(68)에 의해 록킹되지 않고 밸브 폐쇄 위치에 놓이게 된다.
또한, 방수 개시 밸브(20)와 중간 개방 밸브(40)의 구조 및 형태는 경우에 따라서 개폐 상태에 대응하여 개폐 조작 가능하는 한 충분하다. 예를 들면, 피스톤 등을 사용하는 슬라이드 가능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취수관(30)은 취수구의 높이를 변할 수 있는 구조이거나 신장할 수 있는 구조 등의 각종 구조를 가진다. 각종 명세서에 따라 본 구조는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1)의 바닥부와 상부를 연결하는 수위 관측 게이지(80)는 저수 탱크(1)의 외측에 설치되어, 저수 탱크(1)의 수위는 저수 탱크(1)의 외측에서 관측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지수용 밸브(81)를 저수 탱크(1)에서 수위 관측 게이지(80)까지 연장되는 유로에 설치하여, 지수용 밸브가 수위 관측시 개방되어 세정수가 수위 관측 게이지(80)로 흘러 들어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방수 개시 밸브(21)로서 밸브 시트에 바이어스된 밸브 본체(21)를 이용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90)(볼 탭(ball tap))가 방수 개시 밸브(20)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수 개시 밸브(20)는 대 세정에 사용하는 방수 밸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플로트 밸브(90)가 방수 개시 밸브(20)로 사용된 경우에도 플로트 밸브(90)는 마중물을 취수관(30)에 유입하는 기능을 상실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 세정용 방수시, 플로트 밸브(90)가 약간 개방되어 이후 조작 레버(55)의 조작 없이 수위가 소 세정수용 방수를 위한 한계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방수가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 방수 개시 밸브(20)는 대 세정용 방수 밸브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취수관(30)을 저수 탱크(1)의 바닥부에 연장할 필요가 없고 또한 중간 개방 밸브(40)를 통해 소 세정용 세정수를 직접 취수할 수 있다. 즉, 중간 개방 밸브(40)도 불필요하게 되어 간단한 구조로 소 세정용 방수를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본 실시예에서, 심도 조절 기구로서 슬리브(41a)는 취수관(30)에 대해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밸브 본체(21)(플로트 밸브(90))가 내려 앉는 밸브 시트(23)를 밸브 하우징(10)에 대해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중간 개방 밸브(40)와 방수 개시 밸브(20)의 개폐 조작에 대해서, 개폐 조작은 전기 등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수행된다.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전기 모터,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전기 조작 기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밸브 본체의 개폐를 역시 제어할 수도 있다.
전기 조작 기구로써, 예를 들면, 도 14 내지 17에 나타낸 조작 기구(110)는 일례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중간 개방 밸브(40)는 플로트 밸브(40a)로 형성되고 방수 개시 밸브(20)와 중간 개방 밸브(40)를 각각 상승시키기 위한 공기 실린더(111, 112)가 저수 탱크(1)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적당한 타이밍에 공기 실린더(111, 112)에 공기 공급(구동 매체)을 위한 공기 공급 장치(120)가 저수 탱크(1)의 측면에 설치된다(도 15 참조).
공기 공급 장치(120)는 공기 실린더(111, 112)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펌프(121)와 공기 펌프(121)에서 공기 실린더(111, 112)에 이르는 공기 호스(111a, 112a)를 각각 전환하기 위한 전환 밸브(122), 변기의 사용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 센서(123), 방수를 재촉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방수 개시 센서(124), 및 각종 센서의 출력에 따라 공기를 공급해야할 공기 실린더(111, 112)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장치(125)를 구비하고 있다.
방수 개시 밸브(20)와 중간 개방 밸브(40)를 개방하기 위한 공기 실린더(111, 112)는 각각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관(70)의 상부에 고정된다. 공기 실린더(111, 112)에는 대응하는 방수 개시 밸브(20)와 중간 개방 밸브(40)의 밸브 본체(21, 40a)가 각각 매어 달려져 있다.
각각의 공기 실린더(111, 112)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주 본체(130)에 조립된 피스톤(131)의 상승 운동을 각각의 밸브 본체(21, 40a)의 들어올림 동작으로 각각 바꾼다. 또한, 연결 기구(132)에서, 연결 기구(132)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134) 이외에도 수동 조작용 와이어(133)도 설치된다. 와이어(133)를 당김으로써, 심지어 공기 펌프(121)가 조작상에 있지 않을 때도, 밸브 본체(21, 40a)가 개방될 수 있다. 수동 조작용 와이어(133)는 공기 공급 장치(120)에 설치된 수동 조작 레버(126)에 연결된다. 수동 조작 레버(126)를 당김으로써, 와이어(133)가 조작될 수 있다.
공기 펌프(121)는 전환 밸브(122)와 공기 호스(111a, 112a)를 통해 각각 공기 실린더(111, 112)에 연결된다. 공기 펌프(121)의 토출압은 공기 실린더(111, 112)의 공기 압력이 1.05atm 이상 1.5atm이하, 바람직하게는 1.08atm 이상 1.35atm 이하로 조절된다. 또한, 수압에 의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서 공기 실린더(111, 112)는 세정수의 만수 수위 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심지어 저압 공기로 조작될 수 있다.
중간 개방 밸브(40)용 공기 실린더(112)에서 그 내압은 약 1.1atm으로 세트 되어 플로트 밸브(40a)의 폐쇄 동작을 저해하지 않고 바람직하게 플로트 밸브(40a)를 개방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공기 실린더(112)의 내압이 너무 높을 때, 플로트 밸브(40a)는 심지어 수위가 저하될 때도 폐쇄되지 않는다. 공기 실리더(112)의 내압이 너무 낮을 때 플로트 밸브(40a)가 개방될 수 없는 문제를 일으킨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 공기 범프(121)의 토출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regulator)등으로 적정한 값으로 유지되어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전환 밸브(122)는 제어 장치(125)에서 출력된 전환 신호를 받는 솔레노이드 밸브(122a, 122b)를 내장하여 공기 실린더(111, 112)에 이르는 경로를 차단 및 개통한다.
제어 장치(125)는 공기를 공급해야 할 공기 실린더(111, 112)를 선택하는 장치이며, 상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센서(123, 124)의 출력에 따라 전환 밸브(122)를 조작하고 있다.
인체 감지 센서(123)는 공기 공급 장치(120)에 내장된 적외선 센서와 변기 시트에 설치된 압력 센서(착석 센서) 등을 갖춘다. 적외선 센서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압력 센서는 대변 사용인지 소변 사용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방수 개시 센서(124)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방수 개시 센서(124) 위에 손을 유지시키면 방수 개시 센서(124)는 제어 장치(125)에 그 상태를 출력한다. 제어 장치(125)는 인체 감지 센서(123)의 출력에 따라 공기 펌프(121)를 구동시키고 전환 밸브(122)를 조작한다.
도 18은 세정수의 방수시 제어 장치(125)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 장치(125)는 인체 감지 센서(123)의 출력을 읽고 인체 감지 센서(123)에 의해 인체의 감지를 수신하여(단계 S101) 사용 시간 카운트를 시작한다(단계 S102).
계속해서, 압력 센서의 출력에 변화가 없는 동안 사용 시간이 제 1 경과시간을 초과한 경우, 남성의 소변용 사용이라 추정하고 방수 처리 플래그는 소 세정 목적을 위해 설정 된다(단계 S104).
제 1 경과 시간은 여성이 변기에 착석하는 평균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시간이다. 심지어 제 1 경과 시간 후에도 압력 센서에 변화가 관측되지 않을 때, 변기 시트에 착석하지 않는 남성의 소변용 사용이라고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가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고 변기 시트의 단순한 상하 이동을 감지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어 장치(125)는 방수 개시 센서(124)의 출력에 변화가 있는지 받아들여 소 세정용 방수 처리 플래그를 처리한다(단계 S105, S106). 구체적으로, 경로는 방수 개시 밸브(20)와 중간 개방 밸브(40) 양쪽에 대하여 개방되고, 공기가 공기 실린더(111, 112)에 공급된다.
제 1 경과 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압력 센서의 출력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여성에 의해 사용되거나 남성에 의한 대변용 사용이라고 판단하여 방수 처리 플래그가 대 세정 목적으로 설정된다(단계 S107).
계속해서, 제어 장치(125)는 다시 이용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단계 S108). 또한 이용 시간이 제 2 이용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단계 S109) 방수 개시 센서(124)에 입력이 있는 경우(단계 S110), 여성에 의한 소변용 사용이라 추정하고 제어 장지(125)는 대 세정의 목적을 가지는 방수 처리 플래그를 소 세정의 목적을 가지는 방수 처리 플래그로 교체하고(단계 S111), 소 세정용 방수 처리 플래그를 처리한다(단계 S112). 제 2 이용 시간은 여성이 소변 등을 위해 변기 시트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가장 짧은 시간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어 장치(125)는, 제 2 이용 시간이 지난 후에 방수 개시 센서(124)의 출력에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단계 S113), 대 세정용 방수라 추정하고, 대 세정용 방수 처리 플래그를 처리한다(단계 S114). 구체적으로, 방수 개시 밸브(20)에 이르는 경로를 개방하고 중간 개방 밸브(40)에 이르는 경로를 폐쇄하여 공기를 방수 개시 밸브(20)용 공기 실린더(111)에만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25)에서 각종 센서의 출력에 따라 방수 처리 플래그가 선택적으로 설정되고, 방수 처리 플래그에 따라 전환 밸브(122)와 공기 펌프(121)가 제어된다. 상술한 처리 내용은 단지 일례이고 내용의 다양한 변경은 각종 사양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세정 장치에 따르면, 공기를 공급해야할 실린더, 즉 개방해야할 밸브 본체가 변기의 사용 시간에 의거하여 선택된다. 그래서, 사용자의 용도에 따른 방수가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Claims (11)

  1. 저수 탱크 내의 세정수를 변기 세정용 방수 경로에 방수하는 변기 세정 장치로서,
    상기 저수 탱크 내에 개구단(開口端)을 구비한 취수관,
    방수 개시용 마중물(priming water)을 상기 취수관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방수 개시 밸브,
    상기 개구단으로부터 상기 취수관의 상기 방수 개시 밸브에 이르는 취수관의 경로 도중에 공기 정체 부분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개구단에 대해서 더 높은 위치에 있는 트랩(trap), 및
    소 세정용 방수와 대 세정용 방수 중에서 방수량을 선택하여 조작하는 조작 기구를 포함하는 변기 세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은, 상기 트랩으로부터 상기 취수관의 상기 개구단에 이르는 경로 도중에 상기 저수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됨에 따라 상기 저수 탱크 내의 물에서 표출하는 중간 개방 밸브를 가지는 변기 세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개시 밸브는 상기 저수 탱크 내부이면서 상기 취수관에 설치되는 상기 중간 개방 밸브에 대해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변기 세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단은 대 세정용 방수를 위한 취수구로 설정되고, 상기 중간 개방 밸브는 소 세정용 방수를 위한 취수구로 설정되고,
    상기 중간 개방 밸브에는 소 세정용 방수시 밸브 개방 위치에 상기 중간 개방 밸브를 유지하고, 대 세정용 방수시 밸브 폐쇄 위치로 상기 중간 개방 밸브를 복귀시키는 밸브 본체 유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변기 세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 내의 만수 수위에 대해서 상기 중간 개방 밸브의 심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심도 변경 기구를 더 포함하는 변기 세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 내에 세워 설치된 가동식(可動式) 오버플로우관(over flow pipe)과,
    상기 중간 개방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취수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심도 변경 기구는 상기 오버플로우관에 대한 조작을 상기 취수관에 대한 상기 슬리브의 상하 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상하 운동을 상기 슬리브에 전달하는 변기 세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그 외주에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 홈을 가지고, 상기 나선 홈의 회전에 추종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라킷(brocket)이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브라킷에 연결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회전시키는 조작에 응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변기 세정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개시 밸브와 상기 중간 개방 밸브 중 적어도 한쪽에는 밸브 본체 구동용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밸브 본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매체를 상기 실린더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에 연결되는 변기 세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방수 개시 밸브와 상기 중간 개방 밸브 양쪽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공급 장치에는 각각의 실린더에 구동 매체의 공급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변기의 사용 시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그 사용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 매체를 공급해야 할 실린더를 선택하는 변기 세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저수 탱크 내의 만수 수위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변기 세정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상기 밸브 본체는 플로트 밸브이고,
    상기 실린더에 공급되는 상기 구동 매체는 공기이고,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내압이 1.08atm 이상 1.35atm 이하로 유지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장치.
KR1020127021097A 2004-08-27 2005-08-29 변기 세정 장치 KR101205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248950 2004-08-27
JP2004248950 2004-08-27
PCT/JP2005/015688 WO2006022412A1 (ja) 2004-08-27 2005-08-29 便器洗浄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704A Division KR101218612B1 (ko) 2004-08-27 2005-08-29 변기 세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419A KR20120097419A (ko) 2012-09-03
KR101205851B1 true KR101205851B1 (ko) 2012-11-29

Family

ID=359676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097A KR101205851B1 (ko) 2004-08-27 2005-08-29 변기 세정 장치
KR1020077006704A KR101218612B1 (ko) 2004-08-27 2005-08-29 변기 세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704A KR101218612B1 (ko) 2004-08-27 2005-08-29 변기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21481B2 (ko)
EP (1) EP1793053B1 (ko)
JP (2) JP5242054B2 (ko)
KR (2) KR101205851B1 (ko)
CN (1) CN101048554B (ko)
WO (1) WO2006022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090014A1 (it) * 2009-01-16 2010-07-17 Francesco Falco Batteria di scarico per wc a volume defluente differenziato.
US20100314328A1 (en) * 2009-06-14 2010-12-16 John Joseph Biz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Pool Water Levels Utilizing Fluid Controllers and Skimmer Baskets
KR101427304B1 (ko) * 2012-12-03 2014-08-06 고관평 좌변기의 공기압식 자동물내림장치
JP6004363B2 (ja) * 2013-08-12 2016-10-05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装置
JP6288600B2 (ja) * 2013-09-30 2018-03-07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装置
JP6358556B2 (ja) * 2014-04-16 2018-07-1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装置
WO2016040957A1 (en) * 2014-09-12 2016-03-17 As Ip Holdco, Llc Primed jet toilet
JP6210438B2 (ja) * 2015-09-29 2017-10-11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装置
CN105908815B (zh) * 2016-06-23 2018-07-06 苏林东 节水座便器
JP6578627B2 (ja) * 2018-02-15 2019-09-25 Toto株式会社 排水弁操作装置、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水洗大便器
CN109098236A (zh) * 2018-09-10 2018-12-28 郑福永 一种排水控制装置
CN111794309A (zh) * 2019-04-08 2020-10-20 金昌中枨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集成生活污水处理及循环利用技术
GB2601108A (en) * 2020-10-16 2022-05-25 Alan Hart Keith Conversion of 'dual' flush syphon toilet to 'single' flush syphon toil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578B1 (ko) 2006-04-14 2006-11-10 이수인 (주) 사이펀관과 분사노즐을 이용한 양변기 세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2330A (en) 1919-12-05 1921-04-05 James Holt Improvements in silencing mechanism for waste water preventers, cisterns or the like
US1563948A (en) 1925-04-29 1925-12-01 Azone George Siphon flush box
JPS5112298Y2 (ko) 1973-09-11 1976-04-02
JPS5053943A (ko) * 1973-09-12 1975-05-13
JPS5156041U (ko) * 1974-10-28 1976-05-01
JPS55161130A (en) 1979-05-31 1980-12-15 Kimura Shoten Kk Automatic washing valve
KR820001896Y1 (ko) * 1981-03-28 1982-09-09 홍종훈 수세변기용 급수장치
KR910001734Y1 (ko) * 1987-07-24 1991-03-22 로얄동도 금속 주식회사 수세식 변기탱크용 사이폰
KR940021849A (ko) * 1993-03-24 1994-10-19 이만희 수세식 변기의 물 절약 급수장치
JPH09228442A (ja) * 1996-02-22 1997-09-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ロータンク
JP2001323530A (ja) 2000-05-16 2001-11-22 Seikichi Hata 水洗トイレにおける洗浄水節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578B1 (ko) 2006-04-14 2006-11-10 이수인 (주) 사이펀관과 분사노즐을 이용한 양변기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3053A4 (en) 2012-04-18
JPWO2006022412A1 (ja) 2008-05-08
KR20070053299A (ko) 2007-05-23
CN101048554B (zh) 2015-02-25
JP5509244B2 (ja) 2014-06-04
CN101048554A (zh) 2007-10-03
KR101218612B1 (ko) 2013-01-04
JP5242054B2 (ja) 2013-07-24
US7921481B2 (en) 2011-04-12
KR20120097419A (ko) 2012-09-03
JP2012127192A (ja) 2012-07-05
WO2006022412A1 (ja) 2006-03-02
EP1793053A1 (en) 2007-06-06
US20070261158A1 (en) 2007-11-15
EP1793053B1 (en)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851B1 (ko) 변기 세정 장치
CA2416605C (en) Automatic tank-type flushers
KR100705193B1 (ko) 수세식 변기
KR100756652B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20120086335A (ko) 변기 세척 조립체 및 시퀀스
KR20060049402A (ko) 양변기의 자동 물 내림 장치
WO2009002062A2 (en) Toilet stool having supporting water tank for preventing overflowing
TWI683946B (zh) 沖水閥配件和倂入該配件的馬桶沖水系統
KR100804307B1 (ko) 변기 커버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물 내림 시스템 및 물내림 방법
CN109098243B (zh) 一种带有简易冲刷装置的马桶及马桶冲洗方法
JP4986460B2 (ja) 洗浄タンク装置
JP6663559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US11421409B2 (en) Flush water tank apparatus and flush toilet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KR101221835B1 (ko)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2009084779A (ja) 便器装置
JP2004225494A (ja) 給水装置における発電機能付給電装置
KR20100007498U (ko) 양변기탱크 자동급수장치.
US20240151021A1 (en) Vortex flush toilet
KR101359727B1 (ko)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KR100705202B1 (ko) 탱크레스 서양식 수세식 변기
JP2004162508A (ja) 圧送部付き便器
JP3104018U (ja) トイレタンクの検出式注水装置
CN116892239A (zh) 冲水大便器装置
JP4114475B2 (ja) 洗浄給水装置
KR200243326Y1 (ko) 재활용수를 이용하기 위한 변기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