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204Y1 -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 Google Patents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204Y1
KR200344204Y1 KR20-2003-0036574U KR20030036574U KR200344204Y1 KR 200344204 Y1 KR200344204 Y1 KR 200344204Y1 KR 20030036574 U KR20030036574 U KR 20030036574U KR 200344204 Y1 KR200344204 Y1 KR 200344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washing liquid
supply
cleaning liqu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석
Original Assignee
신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석 filed Critical 신동석
Priority to KR20-2003-0036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나 싱크대 등에 설치되어 기존의 수전금구에 세척액 자동공급장치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수전금구의 상부측에 마련된 원터치누름스위치를 이용하여 적정량의 세척액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전몸체(80)와 세수량조절레버(81), 착탈식샤워꼭지(82)로 구성되면서 세면대(1) 등에 설치되어 세수를 공급하는 통상적인 수전금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전몸체(80)의 상단에 구비된 원터치누름스위치(70)의 누름상태에서 세척액공급펌프(40)가 작동되면서 세척액공급용기(20)의 세척액이 제1,2세척액공급관(30,50)을 통해 세척액배출꼭지(60)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FAUCET STRUCTURE FOR SUPPLING AUTOMATICALLY WASHING LIQUID}
본 고안은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나 싱크대 등에 설치되면서 수전금구의 상부측에 마련된 원터치누름스위치를 이용하여 적정량의 세척액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금구는 급수전과 연결되어 급수전의 세수를 욕실이나 세면대, 싱크대 등에 공급하게 되며, 세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조에 따라 투핸들식과 싱글레버식, 그리고 자폐식, 자동센서식 등으로 분류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투핸들식은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냉수핸들과 온수핸들로 구성된 구조이며, 싱글레버식은 내부에 냉·온수를 혼합하는 카트리지가 설치되어 하나의 레버를 조작하여 냉·온수를 공급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자폐식은 조작버튼을 한번 누르면 일정시간 물이 나오는 구조이며, 자동센서식은 인체감지센서가 부착되어 인체가 감지되는 동안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이다.
한편, 기존의 세척액 공급장치는 욕실이나 세면대, 싱크대 등에 수전금구와는 별개로 고정 설치되어 물비누나 합성세제 등의 세척액을 펌핑에 의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수전금구(2)와 세척액 공급장치(5)는 서로 별개로 마련되지만, 그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하여 서로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수동식 세척액공급장치(5)를 조작하여 세척액을 공급받은 후, 즉시 수전금구(2)의 레버를 조작하여 배출되는 세수로 손이나 얼굴을 세척할 수 있다.
물론, 수전금구(2)는 미도시된 급수전으로부터 세수를 공급받으며, 세척액 공급기(5)는 세면대(1)의 내부에 내장된 세척액용기(3)로부터 튜브를 통하여 세척액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수전금구(2)와 세척액 공급장치(5)는 서로 별개로 형성됨에 따라, 설치 역시 별개로 하여야 하므로 이중의 설치비가 소요되고, 세척액용기(3)의 고정상태가 외부로 드러나 있어 외관상 미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수동식 세척액 공급장치(5)는 누름버튼을 상당한 힘으로 눌러 세척액용기(3)내의 세척액을 공급받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세면대나 싱크대 등에 설치되어 기존의 수전금구에 세척액 자동공급장치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수전금구의 상부측에 마련된 원터치누름스위치를 이용하여 적정량의 세척액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수전금구 구조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용상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세면대 2: 수전금구 3: 세척액용기 5: 세척액공급장치 20: 세척액공급용기 30: 제1세척액공급관 40: 세척액공급펌프 50: 제2세척액공급관 60: 세척액배출꼭지 70: 원터치누름스위치 80: 수전몸체 81: 세수량조절레버 82: 착탈식샤워꼭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전몸체와 세수량조절레버, 착탈식샤워꼭지로 구성되면서 세면대 등에 설치되어 세수를 공급하는 통상적인 수전금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전몸체의 상단에 구비된 원터치누름스위치의 누름상태에서 세척액공급펌프가 작동되면서 세척액공급용기의 세척액이 제1,2세척액공급관을 통해 세척액배출꼭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몸체(80)의 상단부에 원터치누름스위치(7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원터치누름스위치(70)에 의해 세척액공급펌프(40)의 전원이 단속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세면대(1)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세척액공급용기(20)는 제1세척액공급관(30)을 통해 세척액공급펌프(40)로 세척액을 공급하게 되고, 세척액공급펌프(40)는 제1세척액공급관(30)을 통해 세척액공급용기(20)로부터 흡입된 세척액을 제2세척액공급관(50)을 통해 펌핑하게 되며, 제2세척액공급관(50)과 연결된 세척액배출꼭지(60)를 통해 세척액이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통상적인 구조의 원터치누름스위치(70)는 누름상태에서만 전원이 연결되면서 세척액공급펌프(4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지만,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순간적으로 전원연결이 차단되면서 세척액공급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터치누름스위치(70)의 누름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세척액공급펌프(40)로부터 펌핑되는 세척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세척액공급용기(20)와 세척액공급펌프(40)는 세면대(1)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함으로써 외관상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고, 서로 근접하도록 설치하여 제1세척액공급관(30)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외관상의 미관을 전혀 해치지 않으면서 필요한 양의 세척액을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수전몸체(80)와 세수량조절레버(81), 착탈식샤워꼭지(82)로 구성되면서 세면대(1) 등에 설치되어 세수를 공급하는 통상적인 수전금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전몸체(80)의 상단에 구비된 원터치누름스위치(70)의 누름상태에서 세척액공급펌프(40)가 작동되면서 세척액공급용기(20)의 세척액이 제1,2세척액공급관(30,50)을 통해 세척액배출꼭지(60)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KR20-2003-0036574U 2003-11-24 2003-11-24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KR200344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574U KR200344204Y1 (ko) 2003-11-24 2003-11-24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574U KR200344204Y1 (ko) 2003-11-24 2003-11-24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204Y1 true KR200344204Y1 (ko) 2004-03-10

Family

ID=4934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574U KR200344204Y1 (ko) 2003-11-24 2003-11-24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2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224A (ko) 2020-08-25 2022-03-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싱크대용 세제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224A (ko) 2020-08-25 2022-03-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싱크대용 세제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85644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nd/or regulating the supply of a medium, devices of this type comprising washing or drying units and a corresponding method
JP2008520871A (ja) 注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その射出器。
WO2009131399A3 (ko)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KR200450265Y1 (ko) 저수 장치를 구비한 순간 온수기용 샤워기
KR200344204Y1 (ko)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KR20110057617A (ko) 분수형 세면장치
CN209789680U (zh) 折叠洗手柜
KR100407505B1 (ko) 비눗물이 분사되는 샤워기
KR200483305Y1 (ko) 유로전환 기능을 갖는 접이식 세면대
RU209133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подачи воды
CN220540404U (zh) 一种挂壁式水龙头
KR200250136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307819Y1 (ko) 절수 및 사용이 편리한 샤워기
KR101460445B1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대 겸용 소변기
CN208563471U (zh) 一种具有片状水出水方式的台盆及出水装置
JP2003113631A (ja) 水道栓のペダル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0191135Y1 (ko) 구강세척 기능이 있는 수도꼭지
KR100474091B1 (ko) 절수 및 사용이 편리한 샤워기
KR200273553Y1 (ko) 샤워기 조립체
KR200320991Y1 (ko)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KR200298890Y1 (ko) 자폐식 수도전
TWM523797U (zh) 紅外線給皂水龍頭結構
JP2591018Y2 (ja) シンク装置
KR200321051Y1 (ko) 보조세척장치가 구비된 수도꼭지
KR20000016435U (ko) 세면대용 수전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