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890Y1 - 자폐식 수도전 - Google Patents

자폐식 수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890Y1
KR200298890Y1 KR20-2002-0027213U KR20020027213U KR200298890Y1 KR 200298890 Y1 KR200298890 Y1 KR 200298890Y1 KR 20020027213 U KR20020027213 U KR 20020027213U KR 200298890 Y1 KR200298890 Y1 KR 200298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pplied
autism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황
Original Assignee
김막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막동 filed Critical 김막동
Priority to KR20-2002-0027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8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 heating or cooling apparatus in the supply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조에 설치되는 욕조용 자폐식 수도전을 사용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만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욕조내에 물을 저장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자폐식 수도전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냉,온수관(12)(12a)을 통해 각각의 물이 유입되는 몸체(11)의 일측에 장착된 온도조절부(13)에 의해 조절된 물이 공급관(14)을 통해 공급될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10)와; 상기의 공급관(14)에 결합시켜 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자폐에 의한 일정량과 지속적인 급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급수량선택부재(20)와; 상기의 급수량선택부재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수방향조절레버(30)에 의해 각각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토수부(40)와 샤워부(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폐식 수도전{a auto-shutting}
본 고안은 자폐식 수도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욕조에 설치되는 욕조용 자폐식 수도전을 사용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만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욕조내에 물을 저장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자폐식 수도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폐식수도전은 물이 토수될수 있는 량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시간동안만 밸브가 열려 있다가 서서히 닫혀 설정된 시간에 완전히 차단되어 물의 사용량을 줄일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사우나실이나 대중목욕탕에서 많은 사람들이 샤워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온,오프에 의해 물의 급수및 차단을 수행시켜 주는 샤워기는 사용자가 샤워가 끝나게되면 수도전의 밸브를 직접 잠그어 주어야만 물의 급수가 차단되도록 되어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샤워도중 몸에 비누칠을 하고자 할 경우, 또는 몸을 타올등을 이용하여 깨끗이 닦아주고자 할때 무의식중에 물이 급수되도록 한 상태에서 닦아주고 있어 필요이상으로 물의 사용량이 늘어나게 되는 낭비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줄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폐식수도전 즉, 누름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밸브가 열려 물이 토수되고, 상기의 누름버튼이 서서히 닫혀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물의 토수가 차단될수 있도록 하여 물의 사용량을 줄여줄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물의 낭비를 줄여줄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도전 몸체 전면에 설치된 누름보턴을 인위적인 힘으로 눌러주면 밀려들어가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눌러주던 누름보턴을 놓아주게 되면 압축된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급수되는 물의 급수를 자동으로 차단시켜 주도록 하므로서, 물의 낭비를 줄여주도록 하고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페식 수도전은 샤워기 전용의 수도전이나 샤워기를 겸용으로 사용할수 있는 세면용 수도전에는 사용이 아무런 불편함이 없으나, 욕조에 설치되는 욕조용 수도전에는 사용에 불편점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즉, 욕조에 설치된 자폐식 수도전은 냉,온수가 각각 공급될수 있도록 냉,온수관이 설치된 몸체의 일측면에 냉,온수의 공급량을 조절시켜 물의 온도를 맞추어줄수 있도록 하는 온도조절레버가 형성되고, 몸체의 전면 상단측이나 상면에 위치시켜 온도조절레버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물을 급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자폐식급수부가 형성되며, 상기의 자폐식급수부 상단측에 샤워기와 토수관으로 선택적으로 물을 급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선택레버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샤워기나 토수관중 사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선택레버를 조작시켜 준 상태에서 자폐식급수부를 눌러 선택된 방향으로 물이 급수되도록 한 상태에서 온도조절레버의 조절로 물의 온도를 조절시켜 주면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욕조용 자폐식수도전은 샤워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수 있으나, 욕조내에 일정량의 물을 담수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자폐식급수부를 일정량의 물이 담수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눌러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즉, 욕조내에 일정량의 물을 담수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수도전을 틀어 물이 급수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른 일을 하다가 욕조내에 일정량의 물이 담수되었을 시간에 담수되는 물의 량을 확인하게 되는데, 자폐식급수부는 물의 낭비를 줄여주기 위하여 설정된 소정시간동안만 물이 급수되다가 자동으로 급수가 차단되도록 되어있는 것으로서, 급수되는 물이 소정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물의 급수가 차단됨에 따라 욕조내에 물을 담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동으로 차단되는 자폐식급수부를 수시로 눌러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거싱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욕조에 설치되는 욕조용 자폐식수도전을 이용하여 토수관과 샤워기를 사용시 사용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의 급수량을 조절시켜 설정된 시간동안만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욕조내에 물을 담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전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요부확대 정단면도.
도 3 은 도2중 A-A선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중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전체사시도로서, 냉,온수관(12)(12a)을 통해 각각의 물이 유입되는 몸체(11)의 일측에 장착된 온도조절부(13)에 의해 조절된 물이 공급관(14)을 통해 공급될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10)와; 상기의 공급관(14)에 결합시켜 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일정량및 지속적인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급수량선택부재(20)와; 상기의 급수량선택부재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수방향조절레버(30)에 의해 각각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토수부(40)와 샤워부(50)로 이루어진다.
이때, 급수량선택부재(20)는 몸체의 공급관(14)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을 양측으로 분기시켜 줌과 아울러, 분기 방향을 거친 물이 배출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분기조절몸체부(210)와; 상기 분기조절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장착시켜 공급관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분기되는 물을 조절에 따라 일정량의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하는 자폐부(220)및 지속적인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급수부(230)로 이루어진다.
또한, 분기조절몸체부(210)는 내부에 중공실(212)을 형성한 몸체(211)와; 상기의 몸체 내부 중공실 중간지점에 수평상태로 중공실을 상,하로 분리시켜 주는 분리벽(213)과; 몸체의 양측에 전면으로부터 개방시켜 자폐부(220)와 급수부(230)가 각각 삽입될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214)(215)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물이 급수되지 않을때에는 분기조절몸체부(210)의 자폐부(220)와 급수부(230)가 차단된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물의 사용량및 용도에 따라 방향조절레버(30)의 조작으로 인해 토수부(40)및 샤워부(50)측으로 물이 흐를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자폐부(220) 또는 급수부(230)를 이용하여 물을 급수시켜 주게 된다.
즉, 샤워부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또는 토수부를 사용하더라도 적은량의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폐부(220)를 이용하여 물을 급수 즉, 자폐부의 누름보턴(221)을 눌러주게 되면 탄성부(222)가 압축되면서 누름보턴이 밀려들어가 중공실(223)과 삽입부(214)가 서로 연통됨에 따라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눌러주었던 누름보턴을 놓아주게 되면 압축된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보턴이 서서히 밀려나오다가 일정시간이 경고하게 되면 자폐부가 차단되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것이며, 게속해서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자와 동일한 누름동작으로 인해 물을 급수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욕조내에 일정량의 물을 담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급수부(230)의 레버(231)를 일측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삽입부(215)내에 삽입되어 있는 회전체(232)의 연통공(233)이 중공실(212)과 연통되어 지속적으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물의 급수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직접 레버(231)를 반대의 방향으로 돌려 중공실(212)과 연통공(233)을 차단시켜 주게 되면 급수되던 물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욕조에 설치되는 욕조용 자폐식수도전에 일정량의 물이 급수되면 자동으로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는 자폐부와 지속적으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급수부를 겸용으로 장착시켜 사용자의 사용용도 즉, 샤워및 일정량의 물만을 급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 자폐부를 눌러 일정량의 물만이 급수되도록 하므로서, 물의 낭비를 줄여줄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욕조내에 일정량의 물을 담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급수부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하여 사용용도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냉,온수관(12)(12a)을 통해 각각의 물이 유입되는 몸체(11)의 일측에 장착된 온도조절부(13)에 의해 조절된 물이 공급관(14)을 통해 공급될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10)와; 상기의 공급관(14)에 결합시켜 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자폐에 의한 일정량과 지속적인 급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급수량선택부재(20)와; 상기의 급수량선택부재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수방향조절레버(30)에 의해 각각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토수부(40)와 샤워부(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전.
  2.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량선택부재(20)는 몸체의 공급관(14)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을 양측으로 분기시켜 줌과 아울러, 분기 방향을 거친 물이 배출될수 있도록 하는 분기조절몸체부(210)와; 상기 분기조절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장착시켜 공급관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분기되는 물을 조절에 따라 일정량의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하는 자폐부(220)및 지속적인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급수부(2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전.
  3. 제 2 항에 있어서, 분기조절몸체부(210)는 내부에 중공실(212)을 갖는 몸체(211)와; 상기의 몸체 내부 중공실 중간지점에 수평상태로 중공실을 상,하로 분리시켜 주는 분리벽(213)과; 몸체의 양측에 전면으로부터 개방시켜 자폐부(220)와 급수부(230)가 각각 삽입될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214)(21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전.
KR20-2002-0027213U 2002-09-11 2002-09-11 자폐식 수도전 KR200298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13U KR200298890Y1 (ko) 2002-09-11 2002-09-11 자폐식 수도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13U KR200298890Y1 (ko) 2002-09-11 2002-09-11 자폐식 수도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890Y1 true KR200298890Y1 (ko) 2003-01-03

Family

ID=4939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213U KR200298890Y1 (ko) 2002-09-11 2002-09-11 자폐식 수도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8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758A (ko) * 2020-08-07 2022-02-15 차윤도 절수형 수전금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758A (ko) * 2020-08-07 2022-02-15 차윤도 절수형 수전금구
KR102524717B1 (ko) * 2020-08-07 2023-04-21 차윤도 절수형 수전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435B1 (ko) 에너지 절약형 수전금구
KR200298890Y1 (ko) 자폐식 수도전
KR102085963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102085962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960006607Y1 (ko) 절수형 자동급수 밸브
KR20070067339A (ko) 에어 및 제트 분사기능을 구비한 샤워기
KR100232376B1 (ko) 자동 개폐되는 다용도 수도전
CN215227076U (zh) 一种带导流槽的瀑布式按摩浴缸
KR200344204Y1 (ko)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RU275694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комфортной температуры гигиенического душа
KR200294505Y1 (ko)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JP2629840B2 (ja) 衛生洗浄装置
JP4193209B2 (ja) シャワー装置
KR20220018758A (ko) 절수형 수전금구
JP2591018Y2 (ja) シンク装置
KR960003319Y1 (ko) 절수형 자동급수 밸브
KR940003055Y1 (ko) 샤워기
BG107479A (en) Sanitary faucet unit
KR200307063Y1 (ko)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
WO2001008538A1 (en) A multi-purpose shower device
KR100474091B1 (ko) 절수 및 사용이 편리한 샤워기
KR200397787Y1 (ko) 좌변기용 비데
JPH03122326A (ja) 水洗トイレの給水設備
JPS59170627A (ja) 給湯システム
KR200441315Y1 (ko)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