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505Y1 -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 Google Patents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505Y1
KR200294505Y1 KR2020020023684U KR20020023684U KR200294505Y1 KR 200294505 Y1 KR200294505 Y1 KR 200294505Y1 KR 2020020023684 U KR2020020023684 U KR 2020020023684U KR 20020023684 U KR20020023684 U KR 20020023684U KR 200294505 Y1 KR200294505 Y1 KR 200294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sh button
water supply
groov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막동
Original Assignee
김막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막동 filed Critical 김막동
Priority to KR2020020023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505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토수량을 선택적으로 조절시켜 준 상태에서 누름밸브를 눌려 물이 토수될수 있도록 하므로서 물의 낭비를 최한으로 줄여줄수 있도록 한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수도전에 관한 것으로, 이는 탄성부(40)에 탄지된 누름보턴(50)을 눌러 피스톤(30)을 이동시켜 입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토수관을 통해 토수가 이루어지고, 물이 토수되는 상태에서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서서히 밀려 실린더에 형성된 입수공및 토수공을 차단시켜 물이 급수되지 않도록 하는 자폐식 수도전을 사용시 사용자가 직접 누름보턴(50)을 좌,우로 회동시켜 상기 누름보턴의 이동거리가 조절되어 물의 급수량을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급수량조절부(6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auto-shutting type faucet}
본 고안은 토수량조절이 가능한 자폐식수도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토수량을 선택적으로 조절시켜 준 상태에서 누름밸브를 눌려 물이 토수될수 있도록 하므로서 물의 낭비를 최한으로 줄여줄수 있도록 한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수도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폐식수도전은 물이 토수될수 있는 량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시간동안만 밸브가 열려 있다가 서서히 닫혀 설정된 시간에 완전히 차단되어 물의 사용량을 줄일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사우나실이나 대중목욕탕에서 많은 사람들이 샤워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온,오프에 의해 물의 급수및 차단을 수행시켜 주는 샤워기는 사용자가 샤워가 끝나게되면 수도전의 밸브를 직접 잠그어 주어야만 물의 급수가 차단되도록 되어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샤워도중 몸에 비누칠을 하고자 할 경우, 또는 몸을 타올등을 이용하여 깨끗이 닦아주고자 할때 무의식중에 물이 급수되도록 한 상태에서 닦아주고 있어 필요이상으로 물의 사용량이 늘어나게 되는 낭비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줄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폐식수도전 즉, 누름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밸브가 열려 물이 토수되고, 상기의 누름버튼이 서서히 닫혀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물의 토수가 차단될수 있도록 하여 물의 사용량을 줄여줄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폐식수도전은 전면을 기점으로 하여 내부에 수용실을 갖고 상기 수용실 상,하단측 양측의 대각선상에 입수관으로 통해 입수되는 입수공및 토수관을 거쳐 토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토수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실내에 끼워져 입수공과 토수공 사이를 차단편에 의해 차단시켜 준 상태에서 상기의 차단편 상,하로 각각 유입,배출공이 형성되도록 삽입된 실린더와, 상기의 실린더내에 끼워져 작동되는 피스톤과, 상기의 피스톤봉 선단에 탄성부가 탄지된 누름보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자폐식 수도전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보턴이 몸체의 전방으로 밀려남에 의해 피스톤이 실린더의 걸림턱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유입공을 통해 실린더내로 유입된 물이 배출공으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물의 급수가 차단된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보턴을 눌러주면 탄성부를 압축하면서 피스톤이 밀려나감에 따라 걸림턱이 개방되어 유입공을 통해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물이 연통되어 있는 배출공을 거쳐 토수공으로 흘러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누름보턴에 가해지던 힘을 해제시켜 주게되면 압축된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누름보턴이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에 의하여 이와 연결된 피스톤이 이동하여 개방된 걸림턱을 밀폐시켜 물의 급수를 차단하게 되느데, 이때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원상복귀되는 피스톤이 실린더내로 급수되는 물의 급수수압에 의해 일시에 이동하지 못하고 서서히 이동하여 일정량의 물을 급수시켜 준 상태에서 차단시켜 주므로 물의 급수를 자동으로 차단시켜 주게되는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사용자가 누름보턴을 눌러주어 급수되는 물을 사용하다가 인위적으로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물의 급수가 차단되어 물의 낭비를 줄일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폐식 수도전은 물의 급수량은 누름보턴의 이동거리에 의해 조절되는데, 상기 누름보턴의 이동거리 조절은 몸체의 선단측 외주연에 나선에 의해 체결된 거리조절관체의 조절로 인하여 이와 누름보턴 사이의 간격에 따라 물의 급수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즉, 몸체의 외주연에 나선체결 되어있는 거리조절관체를 풀어 이와 누름보터과의 간격을 좁혀줄 경우 상기 누름보턴의 이동 거리가 짧아 피스톤의 행정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물의 급수시간을 줄여주게 되는 것이고, 거리조절관체를 조여주어 이와 누름보터과의 간격을 멀리할 경우 피스톤의 이동거리가 그만큼 길어져 물의 급수량이 많아지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물의 급수량을 조절시켜 주는 거리조절관체는 수도전을 제작시 일정량의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맞추어준 상태에서 상기의 거리조절관체가 임의로 조절되지 않도록 고정나사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고있어 사용자가 금수량을 자유롭게 조절시켜 주지 못한 상태에서 사용을 하도록 되어있어 많은량의 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설정된 급수량이 급수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필요이상으로 버려지게되는 등의 물의 낭비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또한, 몸에 뭍어있는 비누거품을 완전히 제거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설정된 급수량만으로는 비누거품을 제거시켜 주지못해 사용자가 재차 누름보턴을 눌러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러한 경우에는 일정량의 물이 급수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샤워가 끝나더라도 설정된 급수량만큼 물이 급수되어야만 차단이 됨에 따라 이때에도 물이 필요이상으로 낭비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폐식수도전을 사용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물의 량을 누름보턴의 좌,우 회전에 의해 직접 급수량을 조절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필요이상으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줄여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샤워도중 누름보턴을 재차 눌러주어야 하는 등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a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단면도로서, 물이 토수되기 전 상태도.
도 2b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 결합단면도로서, 물이 토수되는 상태도.
도 3a - c 는 본 고안중 누름보턴의 회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a - c 는 본 고안중 누름보턴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몸체 20:실린더
30:피스톤 40:탄성부
50:누름보턴 60:급수량조절부
61a,61b:요입홈 62:고정핀
70,70a,70b:걸림홈 80:스프링
90:걸림볼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결합 단면도로서, 전면을 기점으로 하여 내부에 수용실(11)을 갖고 상기 수용실 상,하단측 양측의 대각선상에 입수관(12)으로 통해 입수되는 입수공(13)및 토수관(12a)으로 토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토수공(13a)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수용실내에 끼워져 입수공과 토수공 사이를 차단편(22)에 의해 차단시켜 준 상태에서 상기의 차단편 상,하로 각각 유입,배출공(21)(21a)이 형성되도록 삽입된 실린더(20)와, 상기의 실린더내에 끼워져 작동되는 피스톤(30)과, 상기의 피스톤봉 선단에 탄성부(40)가 탄지된 누름보턴(50)과; 상기의 탄성부(40)에 탄지된 누름보턴(50)을 눌러 피스톤(30)을 이동시켜 입수관을 통해유입되는 물이 토수관을 통해 토수가 이루어지고, 물이 토수되는 상태에서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서서히 밀려 실린더에 형성된 입수공및 토수공을 차단시켜 물이 급수되지 않도록 하는 자폐식 수도전을 사용시 사용자가 직접 누름보턴(50)을 좌,우로 회동시켜 상기 누름보턴의 이동거리가 조절되어 물의 급수량을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급수량조절부(60)를 형성시켜 준 구성이다.
이때, 상기의 급수량조절부(60)는 누름보턴(50)의 내면 외주연측에 깊이가 다른 다단의 요입홈(61a)(61b)과; 몸체(10)의 전면 외주연 일측에 결합시켜 선단면이 상기의 요입홈에 접지될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6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누름보턴(50)을 회동시 깊이가 다른 요입홈에 고정핀(62)이 정확히 위치할수 있도록 요입홈의 반대편인 누름보턴(50)의 내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걸림홈(70)(70a)(70b)을 형성하고, 몸체의 선단측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4)내에 스프링(80)으로 탄지시켜 상기의 걸림홈내에 걸릴수 있도록 하는 걸림볼(90)을 형성하여 주므로서, 누름보턴을 회동시 깊이가 서로 다른 요입홈내에 고정핀이 정확히 위치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요입홈 위치인 누름보턴(50)의 전면에 물의 급수량을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대,중소의 문구를 표시하여 주면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물의량에 맞는 문구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누름보턴을 돌려준 상태에서 눌러주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도 2a 에 도시된 바와같이 탄성부(40)의 탄성압력에 의해 누름보턴(50)이 전방으로 밀려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와 연결된 피스톤(30)이 실린더(20)내의 차단편(22)을 긴밀히 차단시켜 주고있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고자 할때 누름보턴(50)을 눌러주게 되는데, 상기의 누름보턴(50)을 눌러주기전에 누름보턴(50)을 돌려주어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물의량을 설정한 다음 누름보턴을 눌러주면 되는 것이다.
즉, 샤워기를 이용하여 이빨을 닦아주거나 간단한 샤워정도를 하고자할 경우에는 물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누름보턴(50)의 전면에 표시되어 있는 대,중소의 문구중 소자의 문구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돌려주게 되면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보턴(50)의 내면 부분에 고정핀(62)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보턴(50)을 눌러주게 되면 탄성부(40)를 압축하면서 피스톤(30)이 이동하여 입수공(21)과 토수공(21a)이 서로 연통됨에 따라 물이 급수되게 되는데, 눌려주는 힘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 누름보턴이 도 4a 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10)의 전면으로 돌출된 고정핀(62)과 일치하고 있는 누름보턴(50)의 내면에 접하게 됨에 따라 누름보턴의 이동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복귀되는 시간이 짧아 물의 급수량을 줄여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의 급수량을 조금 늘려주고자 할 경우 도 3a 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름보턴(50)을 돌려 이의 내면으로 부터 요입된 요입홈(61a)에 고정핀(62)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자와 같이 누름보턴(50)을 눌러주게 되면 도 4b 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핀(62)이 요입홈(61a)내에 요입될때까지 이동함에 따라 이동거리가 길어져 길어진 만큼의 이동거리동안 물의 급수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누거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와 같이 물의 사용량이 많아야 할 경우 도 3c 와 같이 누름보턴(50)을 돌려 내면에 형성된 요입홈중 깊이가 가장 깊은 요입홈(61b)에 고정핀(62)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누름보턴을 눌러주면 도 4c 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입홈(61b)의 깊이만큼 물의 급수량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누름보턴을 눌러줌에 따라 피스톤을 이동시켜 서로 연통된 입수공과 토수공을 거쳐 물이 급수되고, 압축된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이동한 피스톤이 서서히 원상복귀되는 시간동안만 물이 급수되고, 원상복귀되던 피스톤이 입수공과 토수공을 차단시켜 주므로서, 물이 급수되지 않도록 하는 자폐식 수도전을 사용시 상기의 누름보턴을 눌러주기 전에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물의 사용량에 따라 누름보턴의 이동거리를 자유롭게 맞추어주면서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필요이상으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줄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누름보턴을 여러번 눌러주면서 사용해야하는 등의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탄성부(40)에 탄지된 누름보턴(50)을 눌러 피스톤(30)을 이동시켜 입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토수관을 통해 토수가 이루어지고, 물이 토수되는 상태에서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서서히 밀려 실린더에 형성된 입수공및 토수공을 차단시켜 물이 급수되지 않도록 하는 자폐식 수도전을 사용시 사용자가 직접 누름보턴(50)을 좌,우로 회동시켜 상기 누름보턴의 이동거리가 조절되어 물의 급수량을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급수량조절부(6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2.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량조절부(60)는 누름보턴(50)의 내면 외주연측에 깊이가 다른 다단의 요입홈(61a)(61b)과; 몸체(10)의 전면 외주연 일측에 결합시켜 선단면이 상기의 요입홈에 접지될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62)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3. 제 2 항에 있어서, 누름보턴(50)을 회동시 깊이가 다른 요입홈(61a)(61b)에 고정핀(62)이 정확히 위치할수 있도록 요입홈의 반대편인 누름보턴(50)의 내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걸림홈(70)(70a)(70b)을 형성하고, 몸체의 선단측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4)내에 스프링(80)으로 탄지시켜 상기의 걸림홈내에 걸릴수 있도록 하는 걸림볼(90)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KR2020020023684U 2002-08-08 2002-08-08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KR200294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684U KR200294505Y1 (ko) 2002-08-08 2002-08-08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684U KR200294505Y1 (ko) 2002-08-08 2002-08-08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505Y1 true KR200294505Y1 (ko) 2002-11-08

Family

ID=7312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684U KR200294505Y1 (ko) 2002-08-08 2002-08-08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5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6351A (zh) * 2022-02-14 2022-05-24 台州芮迪阀门股份有限公司 一种多段阻隔式水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6351A (zh) * 2022-02-14 2022-05-24 台州芮迪阀门股份有限公司 一种多段阻隔式水嘴
CN114526351B (zh) * 2022-02-14 2023-11-21 台州芮迪阀门股份有限公司 一种多段阻隔式水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0164B2 (en) Touch to open/close mechanism for a showerhead
KR200294505Y1 (ko)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US20070061956A1 (en) Handheld bidet
AU2008202160A1 (en) Water-saving oxygenic spa structure
US5960484A (en) Toilet device for cleaning oneself after evacuation of bowels
KR200229553Y1 (ko) 공압 발판을 갖춘 절수형 급수장치
KR100912241B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298304Y1 (ko) 샤워기 헤드
KR20040012385A (ko) 샤워기 헤드
KR200192378Y1 (ko) 휴대용 비데
KR200298890Y1 (ko) 자폐식 수도전
KR200305878Y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급수개폐장치
KR100912239B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급수개폐장치
KR102524717B1 (ko) 절수형 수전금구
KR200307819Y1 (ko) 절수 및 사용이 편리한 샤워기
KR930003648Y1 (ko) 일시 차단장치를 갖는 샤위기
KR200168423Y1 (ko) 다용도 샤워기
KR102192883B1 (ko) 절수형 샤워헤드
KR200305879Y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40047275A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360905Y1 (ko) 샤워기 헤드
KR200375463Y1 (ko) 하나의 핸들로 수온조절과 자폐 및 즉시지수가 가능한욕실·주방용 샤워기
KR960006607Y1 (ko) 절수형 자동급수 밸브
KR200277504Y1 (ko) 절수식 샤워헤드
KR100474091B1 (ko) 절수 및 사용이 편리한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