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241B1 -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241B1
KR100912241B1 KR1020020075434A KR20020075434A KR100912241B1 KR 100912241 B1 KR100912241 B1 KR 100912241B1 KR 1020020075434 A KR1020020075434 A KR 1020020075434A KR 20020075434 A KR20020075434 A KR 20020075434A KR 100912241 B1 KR100912241 B1 KR 100912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ston
pressing
emergenc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281A (ko
Inventor
근 기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승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to KR102002007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2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ing after a predetermined quantity of fluid has been deli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부의 누름에 의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될수 있도록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를 사용도중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되기 전에 물의 사용이 완료될 경우 누름부만을 잡아당겨 주더라도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실린더내로 많은량의 물이 유입될수 있도록 하여 피스톤의 빠른 이동에 의하여 물의 급수를 순간적으로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한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이는 물이 유입공(111)을 통해 몸체(110)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배출공(112)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100)와; 상기의 몸체부 내부에 유입공과 배출공을 통한 물의 흐름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200)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관에 결합시켜 인위적인 누름력에 의해 물이 급수되도록 하고, 누름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단수시켜 줌과 아울러, 물의 급수도중 인위적으로 단수시켜 주고자할때 누름부(330)만을 잡아당겨 주면 보조누름부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스톤공(221)을 개방한 상태에서 피스톤을 빠른속도로 잡아당겨 순간적으로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급,단수부재(3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a auto-shutting }
도 1 은 종래 자폐식 수전금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다른 자폐식 수전금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a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폐식 수전금구의 구성을 보인 전체단면도로서, 물의 단수상태도.
도 3b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폐식 수전금구의 구성을 보인 전체단면도로서, 물의 급수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인 자폐식 수전금구의 급수상태에서 순간적인 단수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제1실시예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몸체부 110:몸체 200:개폐부재
210:실린더 220:피스톤 230:실린더캡
231:개방공 240:피스톤관 300:급,단수부재
310:승강부 320:누름부 330:탄성부
340:보조누름부 350:긴급단수부
본 발명은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름부의 누름에 의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될수 있도록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를 사용도중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되기 전에 물의 사용이 완료될 경우 누름부만을 잡아당겨 주더라도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실린더내로 많은량의 물이 유입될수 있도록 하여 피스톤의 빠른 이동에 의하여 물의 급수를 순간적으로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한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폐식 수전금구는 사용자가 승강부을 눌러주게 되면 단수되어 있던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승강부의 누름력을 해제시켜 주게되면 피스톤이 탄성부와 급수되는 물의 수압에 비례하여 서서히 이동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물의 급수가 차단될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수전금구의 개폐밸브를 잠그어주지 않도록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단수가 이루어져 필요이상으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줄일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대중사우나, 숙박업소, 가정의 욕실에 설치된 수전금구는 사용자가 수전금구의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물의 급수및 단수를 수행할수 있도록 되어있어 사용자가 물을 급수시켜 주기 위해 개폐밸브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잠그어주지 않았을 경우 물의 급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필요이상으로 버려지게 되는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고, 대중사우나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므로서, 상기와 같이 사용후 필요이상으로 많은량의 물이 버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숙박업소나 가정의 욕실에서 배수밸브가 막혀있는 상태에서 개폐밸브를 잠그어주지 않았을 경우 욕조나 욕실의 바닥면에 고이는 물이 거실로 넘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줄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개폐밸브를 잠그어주지 않더라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물의 급수가 차단될수 있도록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가 소개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대중사우나, 숙박업소에 자폐식 수전금구를 의무적으로 장착시켜 사용하도록 하므로서, 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줄수 있도록 하고있어 물의 사용량을보다 절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를 개발중에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폐식 수전금구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이 유입되고 배출될수 있도록 유입공(11)및 배출공(12)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유입공및 배출공을 차단시켜 준 상태에서 승,하강 작동에 의해 물의 급수및 차단을 수행하는 급수개폐부(20) 즉, 유입공및 배출공을 차단시켜 준 상태에서 상단 양측에 몸체내로 공급된 물이 유입될수 있도록 상단측에 유입구(21a)가 형성되고,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요입홈(21b)이 형성된 실린더(21)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연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에서 승,하강하는 피스톤(22)과, 상기의 실린더 상면에 긴밀히 밀폐시켜 준 상태에서 피스톤(22)의 위치에 따라 실린더내의 물이 배출공으 로 배출및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개방공(23a)이 형성된 밀폐캡(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의 상면 외부에는 피스톤 상면 중앙에 연장시켜 밀폐캡의 개방공과 몸체를 관통시켜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축(24) 선단에 결합시켜 피스톤을 작동시켜 줄수 있는 누름부(30) 즉, 피스톤의 선단에 결합되는 승강부(31)과, 피스톤에 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몸체의 상면과 승강부 저면에 탄지시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을 원상복귀시켜 주는 탄성부(32)와, 상기 누름보터 외주연에 나선체결된 상태에서 승강부의 작동거리를 조절시켜 줄수 있는 간격조절관(33)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폐식 수도전은 몸체의 상면과 승강부 사이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이 몸체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피스톤축에 의해 승강부과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22)이 밀폐캡(23)의 개방공(23a)을 밀폐시켜 주고있어 실린더내로 유입된 물의 흐름이 차단되어 단수된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기 위해 승강부(31)을 눌러주게 되면 이의 누름력에 의해 탄성부(32)를 강제로 압축하면서 피스톤(22)이 실린더(21) 하부로 밀려내려감에 따라 피스톤에 의해 밀폐되어 있던 개방공(23a)이 열리므로서, 개방공을 통과한 물이 이와 연통되어있는 배출공(12)을 거쳐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부(31)에 가해지던 누름력을 해제시켜 주게 되면 강제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31)이 원상복귀 되는데, 이 때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피스톤(22)이 일시적으로 원상복귀 되지 못하고, 서서히 원상복귀 되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피스톤(22)이 밀폐캡의 개방공(23a)을 밀폐시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게 되므로서, 사용자가 개폐밸브를 잠그어주지 않아도 일정량의 물이 급수되면 자동을 단수가 이루어져 필요이상으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사전에 예방할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폐식 수전금구는 승강부의 이동거리에 따라 일정량의 물이 급수되면 자동으로 단수되어 물의 낭비를 방지할수는 있으나, 항상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물의 단수가 이루어지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들어 승강부을 눌러 급수가 이루어지는 물을 사용하는도중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물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에는 물의 단수를 사용자가 작동시켜 주지 못해 급수되는 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때 까지 물이 급수될수밖에 없어 사용되지 않는 물이 버려지게 되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안시켜 주기 위해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스톤(22)의 저면 중간지점으로 부터 피스톤(22) 내부가 관통되도록 관통공(22a)이 형성되고, 상기의 관통공을 관통시켜 피스톤의 저면을 개폐시켜 주는 차단편(25a)이 형성된 작동축(25)을 형성하고, 피스톤축을 관통한 작동축의 선단에 승강부과 탄성부(26)로 탄지된 보조승강부(27)을 형성시켜 설정된 시간내에 물의 사용이 완료될 경우 보조승강부(27)을 눌러주게 되면 탄성부(26)를 압축하면서 이동하는 작동축(25)의 차단편(25a)이 관통공(22a)을 개방시켜 주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부(31)를 강제로 잡아당겨 주게되면 당겨지는 압력에 의해 실린더(21)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피스톤 일측에 형성된 통공(22a)을 통해 관통공(24a)을 거쳐 실린더(21) 하부로 밀려 들어가므로서, 피스톤(22)이 빠른 작동에 의해 개방공을 밀폐시켜 주도록 되어 물의 낭비를 줄일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페식 수전금구는 물의 사용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설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아 물의 급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인위적인 작동에 의해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줄수 있는 보조승강부이 승강부의 전면 중앙에 눌러주도록 위치하고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어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보조승강부이 승강부의 전면 중앙에 매몰된 상태에 있어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손가락으로 승강부의 후면을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보조승강부을 눌러준 다음 승강부을 전방으로 잡아 당겨주거나, 한쪽손으로 승강부을 잡고, 다른 손으로 보조승강부을 눌러준 상태에서 승강부을 잡아당겨 주도록 되어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어 설정된 시간내에 물의 사용이 안료되었더라도 보조승강부을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전에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지 않아 물의 차단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하지 않아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어 물의 낭비를 방치할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부의 누름에 의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단수시켜 필요이상으로 버려지 는 물의 낭비를 예방하도록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를 사용시 설정된 시간내에 물의 사용이 완료되었을 경우 승강부만을 잡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잡아당겨 주게되면 이의 당김력에 의해 차단편을 밀어 피스톤공이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피스톤이 잡아당겨 지도록 하여 피스톤공과 물흐름로를 통해 실린더내로 물이 밀려들어 갈수 있도록 하므로서, 피스톤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개방공을 밀폐시켜 물의 급수를 일시에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폐식 수전금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물이 유입공(111)을 통해 몸체(110)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배출공(112)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시켜 유입공과 배출공을 통한 물의 흐름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200)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관 선단에 결합시켜 인위적인 누름력에 의해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준 상태에서 피스톤을 이동시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누름력을 해제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물의 급수를 자동으로 단수시켜 주는 급,단수부재(300)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의 급,단수부재(300)는 설정된 시간내에 물의 사용이 완료되어 순간적으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고자 할때 승강부만을 잡아당겨 줄 경우 이의 당김력으로 인해 피스톤공을 밀폐시켜 주고있던 차단편을 당김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내어 피스톤공이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피스톤을 빠른속도로 잡아당겨 개방공 을 밀폐시켜 주므로서, 순간적으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몸체부(100)는 일면이 개방된 수용실(120)을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수용실 내주연 중간지점에 급수개폐부의 실린더(210)가 긴밀히 끼워져 고정될수 있도록 삽입구를 갖는 구획벽(130)과; 상기의 구획벽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의 양측에 수용실과 연통되도록 위치시켜 물의 유입및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111)및 배출공(112)과; 상기 몸체의 개방면을 나선체결에 의해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덮개(140)로 형성한다.
또한, 개폐부재(200)는 몸체(110)의 구획벽(130)에 형성된 삽입구에 긴밀하게 끼워져 유입공과 배출공을 차단시켜 준 상태에서 유입공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내부로 유입될수 있도록 상단측에 유입구(211)가 형성된 실린더(210)와; 상기의 실린더 내주연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피스톤(220)과; 상기 실린더의 개방면을 밀폐시켜 준 상태에서 피스톤의 이동 위치에 따라 물의 급수및 단수를 수행시켜 줄수 있도록 개방공(231)이 형성된 실린더캡(230)과; 상기 피스톤 상면 중앙에 피스톤공(221)과 연통될수 있도록 연장시켜 승강부과 결합될수 있도록 하는 피스톤관(2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의 피스톤 일측에는 피스톤공과 연통시켜 실린더 내,외부로 물이 자유롭게 이동할수 있는 이동로(222)를 형성한다.
또한, 급,단수부재(300)는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관 선단과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탄성부(320)의 탄지력에 의해 피스톤(220)이 개방공을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승강부(310)와; 상기의 승강부 외주연에 씌워진 상태에서 누름력과 당김력에 의해 승강부를 작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누름부(330)와; 상기 누름부의 전면 중앙으로 부터 수평되게 관통시켜 물의 급수를 위해 누름부를 눌러줄때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피스톤의 이동압력에 의해 실린더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외부로 빠져나올수 있도록 하는 보조누름부(340)와; 상기 승강부의 상단측 외주연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양측 끝단부가 각각 누름부(330)와 보조누름부(340)에 걸쳐져 누름부의 당김력을 줄때 이의 반대방향으로 보조누름부를 눌러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당김력이 전달되는 피스톤의 이동압력에 의해 피스톤공과 물흐름로를 통해 실린더내로 물이 밀려들어가 피스톤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켜 긴급단수를 수행할수 있도록 하는 긴급단수부(350)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부(31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내부 중간지점에 피스톤관의 선단부가 끼움 결합될수 있도록 결합편(311)을 형성하고, 상기의 승강부 상단측 외주연에 긴급단수부가 끼워질수 있도록 하는 끼움구(312)로 형성한다.
또한, 누름부(330)는 승강부가 씌워질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도록 하고, 상단측 내주면에 승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의 외측으로 돌출된 긴급단수부의 끝단부 하단면이 걸릴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331)을 형성한다.
또한, 보조누름부(340)는 피스톤의 피스톤공(221)으로 부터 피스톤관(240)을 관통하여 자유롭게 승,하강하는 이동축(341)과; 승강부의 요입홈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축 부분에 일체로 하여 긴급단수부의 선단부의 하단면에 눌릴수 있도록 하 는 눌림편(342)과; 승강부의 전면에 형성된 요입홈에 끼워지도록 이동축의 선단측에 결합시켜 탄성스프링(344)에 의해 탄지된 보조누름부(343)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긴급단수부(350)는 승강부 상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끼움구에 끼워져 양측 끝단면이 누름부의 걸림턱과 보조누름부의 눌림편에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회동중심부를 기점으로 하여 회동할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때, 회동중심부는 힌지축(351)에 의해 긴급단수부가 끼움구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할수도 있고,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끼움구(312)의 내측 상,하면에 "V"자 모양으로 돌출되는 지지점(352)을 형성하고, 끼움구내에 끼워지는 긴급단수부의 중간지점 상,하면에 상기의 지지점에 끼워져 걸릴수 있도록 하는 지지홈(353)으로 형성시켜 줄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긴급단수부(350)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시켜 주어 긴급단수를 수행하기 위해 누름부을 당겨줄때 걸림턱과 눌림편에 동일한 힘이 전달되어 일측으로 편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물이 급수되지 않는 단수상태를 보면, 도 3a 에서 보는 바와같이 승강부(310)를 탄지시켜 주고있는 탄성부(3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승강부와 피스톤관(24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220)이 실린더캡(230)의 개방공(231)을 긴밀히 밀폐시켜 줌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 중앙에 형성된 피스톤공(221)은 탄성스프링(344)으로 탄지되어 있는 이동축(341)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차단편(345)이 긴밀히 밀폐시켜 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유입공(111)을 거쳐 몸체(110)내로 유입되는 물은 실린더(210)의 상단측에 형성된 유입구(211)를 통해 실린더내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실린더내로 유입된 물은 배출공과 연통되는 개방공(231)및 피스톤공이 긴밀히 밀폐된 상태에 있으므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의 급수를 수행시켜 주고자 할 경우 도 3b 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으로 누름부(330)의 전면을 누르는 상태로 하여 밀어주게 되는데, 이때 누름부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보조누름부(343)가 먼저 눌려 이와 이동축(341)에 연결되어 피스톤공(221)을 밀폐시켜 주고 있던 차단편(345)이 밀어 피스톤공(221)을 개방시켜 주게됨과 아울러, 누름부(330)를 눌러주게 되면 이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승강부(310)를 눌러주게 되어 누름력에 의해 실린더(210) 내주연에 긴밀히 밀착되어 있는 피스톤(220)이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피스톤의 이동압력에 의해 실린더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물흐름로와 피스톤 중앙에 형성된 피스톤공(221)을 통해 실린더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므로서, 피스톤(220)이 이동하게 되므로 인해 상기의 피스톤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 개방공(231)이 개방되어 유입공(111)을 통해 실린더내로 유입된 물이 개방된 개방공(231)을 거쳐 배출공(112)을 통해 빠져나가므로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누름부(330)에 가해지던 누름력을 해제시켜 주게 되면 강제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스프링(344)의 탄성압력에 의해 차단편(345)이 피스톤공(221)을 차단시켜 주게되고, 탄성부(320)의 자 체 탄성압력에 의해 승강부(310)를 이동시켜 주므로서, 이와 연결된 피스톤(220)을 개방된 개방공(231)을 차단시켜 주게 되는데, 상기의 피스톤(220)은 실린더내에 유입되어 피스톤(220)과 실린더캡(230) 사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일시적으로 이동하여 개방공을 차단시켜 주지 못하고, 탄성부와 물의 수압에 비례하여 서서히 이동을 하게되는 것이다.
즉, 누름부(330)에 가해지던 누름력을 해제시켜 주게 되면 이의 누름력에 의해 강제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320)의 탄성력에 의해 실린더(210) 하부에 위치하고 있던 피스톤(220)이 원상복귀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피스톤은 실린더(210) 내주연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와 실린더와 유입구(2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피스톤과 실린더캡(230) 사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일시에 이동을 하지 못하고, 물의 수압이 걸린 상태에서 탄성부(320)의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당겨질때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물흐름로 사이를 통해 실린더(210)내로 빠져나가는 물의 이동량에 비례하여 서서히 이동을 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피스톤(220)이 개방공(231)을 차단시켜 물의 급수를 자동을 단수시켜 주게되어 물의 낭비를 줄일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단수되므로서, 물의 사용이 끝나지 않아 계속해서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누름부(330)를 재차 눌러주게 되면 전자와 같은 작동 상태에 의해 물의 급수를 제게시켜 주는 것이며,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단수시켜 줌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물의 급수를 수행하는 도중 물의 사용이 완료될 경 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자동으로 단수가 이루어지므로서, 단수전까지 물이 급수되는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누름부(330)만을 인위적으로 잡아 당겨 주기만 하면 이의 당김력에 의해 이동축을 반대의 방향으로 밀어내어 차단편이 밀림에 따라 이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피스톤공(221)이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누름부을 계속해서 당겨주면 개방공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는 물의 일부가 피스톤(220)의 당겨지는 압력에 의해 개방된 피스톤공(221)과 물흐름로를 통해 실린더내로 많은량의 물이 유입되면서 피스톤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개방공을 밀폐시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게된다.
즉, 누름부(330)를 잡아 당겨주게 되면, 이의 당김력에 의해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림턱(331)에 걸쳐져 있는 긴급단수부(350)의 끝단면이 힌지축(351)을 중심으로 하여 밀려올라감에 따라 선단부는 반대로 하향되어 눌림편(342)을 밀어내게된다.
상기와 같이 긴급단수부의 회동에 따라 눌림편(342)이 이동하게 되면 이동축의 하단부에 결합된 차단편(345)이 피스톤공(221)을 개방시켜 주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해서 누름부(330)을 잡아당겨 주게되면 이때부터는 승강부()가 누름부와 함께 이동하게 되어 피스톤(220)이 강제로 당겨지게 되는 것이고, 이때 피스톤의 당김력에 의해 실린더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는 물의 일부가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형성된 물흐름로와 피스톤공(221) 사이를 통해 실린더내로 밀려들어 가므로서, 피스톤(220)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개방공(231)을 차단시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을 급수시켜 주고자 할때 누름부(330)을 눌러주면 이의 누름력에 의해 이동축(341)을 함께 눌러 차단편을 이동시켜 차단되어 있는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줄수 있도록 승강부 내측 상면 중앙에 눌름편(342) 상면을 눌러줄수 있도록 하는 누름핀(332)을 형성한다.
이때, 탄성스프링(344)은 승강부의 요입홈과 눌림편 사이에 탄지시켜 이의 탄성력에 의해 외압이 가해지지 않을때 차단편(345)이 피스톤공(221)을 긴밀히 밀폐시켜 준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은 물의 급수를 수행시켜 주고잘 경우 누름부(330)의 전면을 눌러주면 이의 누름력에 의해 누름핀(332)이 눌름편(342)을 1차로 밀어주어 이동축(341)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차단편(345)이 밀려내려가 피스톤공(221)을 개방시켜 주게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부을 계속해서 눌러주면 2차로 승강부를 눌러주므로서, 전자와 동일한 작동에 의해 물의 급수및 단수를 수행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부와 몸체 사이에 탄지된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개방공을 차단시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고 있다가, 누름부를 눌러주게 되면 탄성부를 압축하면서 피스톤이 이동하여 개방공을 열어주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누름부의 이동 거리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만 물이 급수되고, 상기와 같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강제로 압축된 탄성부와 피스톤에 작용되는 물의 수압 편차에 의해 피스톤이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여 개 방공을 밀폐시켜 주기전까지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는 자폐식 수전금구를 사용도중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물의 사용이 완료되어 순간적으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고자 할때, 누름부만을 잡은 상태에서 잡아 당겨 주기만 하면 이동축이 누름부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동하여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준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당겨지는 피스톤의 이동 압력에 의해 급수되는 물의 일부가 개방된 피스톤공과 물흐름로를 통해 실린더내로 밀려들어 가므로서 피스톤이 빠른속도로 이동하여 개방공을 차단시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유입공(111)을 통해 몸체(110)내로 유입된 물을 타측배출공(112)으로 배출되게 구성된 몸체부(100)와; 상기의 몸체부 내부에 유입공과 배출공을 통한 물의 흐름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200)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관에 결합시켜 인위적인 누름력에 의해 물이 급수되도록 하고, 누름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단수시켜 줌과 아울러, 물의 급수도중 인위적으로 단수시켜 주고자할때 누름부(330)만을 잡아당겨 주면 보조누름부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스톤공(221)을 개방한 상태에서 피스톤을 빠른속도로 잡아당겨 순간적으로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급,단수부재(300)로 구성된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단수부재(300)는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관 선단에 탄성부(320)가 탄지되도록 결합시켜 이동 위치에 따라 피스톤(220)이 개방공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승강부(310)와; 상기의 승강부 외주연에 씌워진 상태에서 누름력과 당김력에 의해 승강부를 작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누름부(330)와; 상기 누름부의 전면 중앙으로 부터 수평되게 관통시켜 피스톤공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보조누름부(340)와; 상기 승강부의 상단측 외주연부를 중심으로 양측 끝단부가 각각 누름부(330)와 보조누름부(340)에 걸쳐져 긴급단수를 위해 누름부를 당겨줄때 보조누름부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긴급단수를 수행할수 있도록 하는 긴급단수부(3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누름부(330)는 승강부가 씌워질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도록 하고, 상단측 내주면에 승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의 외측으로 돌출된 긴급단수부의 끝단부 하단면이 걸릴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3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누름부(330)의 내부 상단측 중앙에 누름핀(332)을 돌출시켜 물의 급수를 위해 누름부을 눌러 줄때 이동축의 눌림면(342)을 직접눌러 차단편(345)이 피스톤공(221)으로 부터 이격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긴급단수부(350)는 승강부 상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끼움구에 끼워져 양측 끝단면이 누름부의 걸림턱과 보조누름부의 눌림편에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회동중심부를 기점으로 하여 회동할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끼움구(312)내를 관통한 긴급단수부(350)를 회동시켜 줄수 있는 회동중심부는 긴급단수부의 중간지점에 승강부(310)와 힌지축(351)에 의해 결합시켜 회동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긴급단수부(350)를 회동시켜 줄수 있는 회동중심부는 긴급단수부의 중간지점 상,하면에 지지홈(353)을 형성하고, 끼움구(312)의 상,하면에 사이의 요입홈에 각각 끼움 결합시켜 긴급단수부가 회동 될수 있도록 "V"자로 형성된 지지점(352)으로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긴급단수부(350)는 긴급단수를 위해 누름부를 잡아 당겨줄때 누름부와 보조누름부가 일측으로 편심됨이 없이 작동될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이상의 복수개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1020020075434A 2002-11-29 2002-11-29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100912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434A KR100912241B1 (ko) 2002-11-29 2002-11-29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434A KR100912241B1 (ko) 2002-11-29 2002-11-29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803U Division KR200305879Y1 (ko) 2002-11-29 2002-11-29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281A KR20040047281A (ko) 2004-06-05
KR100912241B1 true KR100912241B1 (ko) 2009-08-18

Family

ID=3734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434A KR100912241B1 (ko) 2002-11-29 2002-11-29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2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497A (ko) * 2018-01-08 2019-07-17 (주)티에스자바 출수 시간 조절이 가능한 절수형 자폐 밸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20B1 (ko) * 2004-10-01 2006-06-30 광 승 김 초절수 수도전용 자폐식 밸브장치
KR100827548B1 (ko) * 2007-03-02 2008-05-07 주식회사 기승금속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101381682B1 (ko) * 2012-10-31 2014-04-14 (주)케이에스피아이피 개선된 구조를 갖는 자폐식 수전금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1422U (ko) * 1976-02-20 1977-08-24
KR200236040Y1 (ko) * 2001-03-27 2001-10-18 강성호 절수용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1422U (ko) * 1976-02-20 1977-08-24
KR200236040Y1 (ko) * 2001-03-27 2001-10-18 강성호 절수용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497A (ko) * 2018-01-08 2019-07-17 (주)티에스자바 출수 시간 조절이 가능한 절수형 자폐 밸브 장치
KR102016508B1 (ko) * 2018-01-08 2019-08-30 (주) 티에스자바 출수 시간 조절이 가능한 절수형 자폐 밸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281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07405A (zh) 真空排污系统
US4077602A (en) Actuating valve
US5131622A (en) Metering valve for water faucet
KR100912241B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DE60140482D1 (de) Toilette und betriebsverfahren
US8152135B2 (en) Automatic flush actuation apparatus
EP0353096A1 (en) Self-closing valve assembly
KR200305879Y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US20230125224A1 (en) Descaling device, system, and descaling method of electronic toilet and liquid supply device, system, and cleaning method of electronic toilet
KR20040047275A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ATE267926T1 (de) Spülkasten für ein wc
KR200305362Y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EP1959060A3 (de) Wasserkasten für ein Klosett und entsprechendes Klosett
KR100912239B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급수개폐장치
KR200305878Y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급수개폐장치
KR100825412B1 (ko) 절수식급수밸브
KR100827548B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JP2003003536A (ja) バルブ装置
KR20030017925A (ko) 자폐식 수도전
KR100503719B1 (ko) 수도전용 자폐식 밸브
CN202301971U (zh) 一种节水水龙头
KR200298986Y1 (ko) 샤워기의 절수용 급수장치
GB2323104A (en) Variable-flush facility for a siphon-discharge W.C. cistern
JPH0420455B2 (ko)
KR20040018830A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