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362Y1 -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362Y1
KR200305362Y1 KR20-2002-0035801U KR20020035801U KR200305362Y1 KR 200305362 Y1 KR200305362 Y1 KR 200305362Y1 KR 20020035801 U KR20020035801 U KR 20020035801U KR 200305362 Y1 KR200305362 Y1 KR 200305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ing
piston
push butt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근 기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승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to KR20-2002-0035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3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누름보턴의 누름에 의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될수 있도록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를 사용도중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되기 전에 물의 사용이 완료될 경우 누름보턴을 감싸지도록 잡아준 상태에서 당겨줄때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실린더내로 많은량의 물이 유입될수 있도록 하여 피스톤의 빠른 이동에 의하여 물의 급수를 순간적으로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한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물이 유입공(111)을 통해 몸체(110)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배출공(112)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보턴을 인위적으로 눌러 피스톤을 이동시켜 주므로서 개방된 개방공(231)으로 흐르는 물이 배수공을 통해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하고, 누름력을 해제시 설정된 시간동안이 경과하면 물의 급수를 자동으로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면서, 물의 급수도중 누름보턴을 감싸주도록 잡아주는 누름력과 당김력만을 이용하여 물의 급수를 긴급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급,단수부재(30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a auto-shutting }
본 고안은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름보턴의 누름에 의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될수 있도록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를 사용도중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되기 전에 물의 사용이 완료될 경우 누름보턴을 감싸지도록 잡아준 상태에서 당겨줄때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실린더내로 많은량의 물이 유입될수 있도록 하여 피스톤의 빠른 이동에 의하여 물의 급수를 순간적으로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한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폐식 수전금구는 사용자가 누름보턴을 눌러주게 되면 단수되어 있던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누름보턴의 누름력을 해제시켜 주게되면 피스톤이 탄성부와 급수되는 물의 수압에 비례하여 서서히 이동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물의 급수가 차단될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수전금구의 개폐밸브를 잠그어주지 않도록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단수가 이루어져 필요이상으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줄일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대중사우나, 숙박업소, 가정의 욕실에 설치된 수전금구는 사용자가 수전금구의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물의 급수및 단수를 수행할수 있도록 되어있어 사용자가 물을 급수시켜 주기 위해 개폐밸브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잠그어주지 않았을 경우 물의 급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필요이상으로 버려지게 되는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고, 대중사우나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므로서, 상기와 같이 사용후 필요이상으로 많은량의 물이 버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숙박업소나 가정의 욕실에서 배수밸브가 막혀있는 상태에서 개폐밸브를 잠그어주지 않았을 경우 욕조나 욕실의 바닥면에 고이는 물이 거실로 넘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줄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개폐밸브를 잠그어주지 않더라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물의 급수가 차단될수 있도록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가 소개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대중사우나, 숙박업소에 자폐식 수전금구를 의무적으로 장착시켜 사용하도록 하므로서, 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줄수 있도록 하고있어 물의 사용량을보다 절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를 개발중에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폐식 수전금구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이 유입되고 배출될수 있도록 유입공(11)및 배출공(12)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유입공및 배출공을 차단시켜 준 상태에서 승,하강 작동에 의해 물의 급수및 차단을 수행하는 급수개폐부(20) 즉, 유입공및 배출공을 차단시켜 준 상태에서 상단 양측에 몸체내로 공급된 물이 유입될수 있도록 상단측에 유입구(21a)가 형성되고,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요입홈(21b)이 형성된 실린더(21)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연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에서 승,하강하는 피스톤(22)과, 상기의 실린더 상면에 긴밀히 밀폐시켜 준 상태에서 피스톤(22)의 위치에 따라 실린더내의 물이 배출공으로 배출및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개방공(23a)이 형성된 밀폐캡(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의 상면 외부에는 피스톤 상면 중앙에 연장시켜 밀폐캡의 개방공과 몸체를 관통시켜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축(24) 선단에 결합시켜 피스톤을 작동시켜 줄수 있는 누름부(30) 즉, 피스톤의 선단에 결합되는 누름보턴(31)과, 피스톤에 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몸체의 상면과 누름보턴 저면에 탄지시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보턴을 원상복귀시켜 주는 탄성부(32)와, 상기 누름보터 외주연에 나선체결된 상태에서 누름보턴의 작동거리를 조절시켜 줄수 있는 간격조절관(33)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폐식 수도전은 몸체의 상면과 누름보턴 사이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보턴이 몸체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피스톤축에 의해 누름보턴과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22)이 밀폐캡(23)의 개방공(23a)을 밀폐시켜 주고있어 실린더내로 유입된 물의 흐름이 차단되어 단수된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기 위해 누름보턴(31)을 눌러주게 되면 이의 누름력에 의해 탄성부(32)를 강제로 압축하면서 피스톤(22)이 실린더(21) 하부로 밀려내려감에 따라 피스톤에 의해 밀폐되어 있던 개방공(23a)이 열리므로서, 개방공을 통과한 물이 이와 연통되어있는 배출공(12)을 거쳐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보턴(31)에 가해지던 누름력을 해제시켜 주게 되면 강제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보턴(31)이 원상복귀 되는데, 이때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피스톤(22)이 일시적으로 원상복귀 되지 못하고, 서서히 원상복귀 되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피스톤(22)이 밀폐캡의 개방공(23a)을 밀폐시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게 되므로서, 사용자가 개폐밸브를 잠그어주지 않아도 일정량의 물이 급수되면 자동을 단수가 이루어져 필요이상으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사전에 예방할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폐식 수전금구는 누름보턴의 이동거리에 따라 일정량의 물이 급수되면 자동으로 단수되어 물의 낭비를 방지할수는 있으나, 항상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물의 단수가 이루어지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들어 누름보턴을 눌러 급수가 이루어지는 물을 사용하는도중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물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에는 물의 단수를 사용자가 작동시켜 주지 못해 급수되는 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때 까지 물이 급수될수밖에 없어 사용되지 않는 물이 버려지게 되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안시켜 주기 위해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스톤(22)의 저면 중간지점으로 부터 피스톤(22) 내부가 관통되도록 관통공(22a)이 형성되고, 상기의 관통공을 관통시켜 피스톤의 저면을 개폐시켜 주는 차단편(25a)이 형성된 작동축(25)을 형성하고, 피스톤축을 관통한 작동축의 선단에 누름보턴과 탄성부(26)로 탄지된 보조누름보턴(27)을 형성시켜 설정된 시간내에 물의 사용이 완료될 경우 보조누름보턴(27)을 눌러주게 되면 탄성부(26)를 압축하면서 이동하는 작동축(25)의 차단편(25a)이 관통공(22a)을 개방시켜 주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보턴(31)를 강제로 잡아당겨 주게되면 당겨지는 압력에 의해 실린더(21)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피스톤 일측에 형성된 통공(22a)을 통해 관통공(24a)을 거쳐 실린더(21) 하부로 밀려 들어가므로서, 피스톤(22)이 빠른 작동에 의해 개방공을 밀폐시켜 주도록 되어 물의 낭비를 줄일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페식 수전금구는 물의 사용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설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아 물의 급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인위적인 작동에 의해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줄수 있는 보조누름보턴이 누름보턴의 전면 중앙에 눌러주도록 위치하고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어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보조누름보턴이 누름보턴의 전면 중앙에 매몰된 상태에 있어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손가락으로 누름보턴의 후면을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보조누름보턴을 눌러준 다음 누름보턴을 전방으로 잡아 당겨주거나, 한쪽손으로 누름보턴을 잡고, 다른 손으로 보조누름보턴을 눌러준 상태에서 누름보턴을 잡아당겨 주도록 되어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어 설정된 시간내에 물의 사용이 안료되었더라도 보조누름보턴을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전에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지 않아 물의차단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하지 않아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어 물의 낭비를 방치할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누름보턴의 누름에 의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단수시켜 필요이상으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예방하도록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를 사용시 설정된 시간내에 물의 사용이 완료되었을 경우 손바닥으로 누름보턴을 감싸주는 상태로 누름보턴을 잡고, 엄지손가락을 눌러주면서 누름보턴을 잡아당겨 줄수 있도록 하는 간단한 작동에 의해 물의 급수를 일시에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자폐식 수전금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다른 자폐식 수전금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a 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폐식 수전금구의 구성을 보인 전체단면도로서, 물의 단수상태도.
도 3b 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폐식 수전금구의 구성을 보인 전체단면도로서, 물의 급수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인 자폐식 수전금구의 급수상태에서 순간적인 단수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6a 는 본 고안의 다른 제1실시예를 보인 전체도로서, 물의 급수상태도..
도 6b 는 본 고안의 다른 제1실시예를 보인 전체도로서, 물의 급수상태에서 순간적인 단수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a 는 본 고안의 다른 제2실시예를 보인 전체도로서, 물의 급수상태도..
도 7b 는 본 고안의 다른 제2실시예를 보인 전체도로서, 물의 급수상태에서 순간적인 단수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몸체부 110:몸체 200:개폐부
210:실린더 220:피스톤 230:실린더캡
231:개방공 240:피스톤관 300:급,단수부재
310:누름부 320:탄성부 330:보조누름부
340:긴급단수누름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자폐식 수전금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물이 유입공(111)을 통해 몸체(110)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배출공(112)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시켜 유입공과 배출공을 통한 물의 흐름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200)와; 상기의 개폐부재와 연결시켜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누름보턴을 인위적으로 눌러 주면 개폐부재가 열려 급수되고, 누름력을 해제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물의 급수를 자동으로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물의 급수도중 누름보턴을 감싸주도록 잡아주는 누름력과 당김력만을 이용하여 물의 급수를 긴급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급,단수부재(300)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의 몸체부(100)는 일면이 개방된 수용실(120)을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수용실 내주연 중간지점에 급수개폐부의 실린더()가 긴밀히 끼워져 고정될수 있도록 삽입구를 갖는 구획벽(130)과; 상기의 구획벽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의 양측에 수용실과 연통되도록 위치시켜 물의 유입및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111)및 배출공(112)과; 상기 몸체의 개방면을 나선체결에 의해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덮개(140)로 형성한다.
또한, 개폐부재(200)는 몸체(110)의 구획벽(130)에 형성된 삽입구에 긴밀하게 끼워져 유입공과 배출공을 차단시켜 준 상태에서 유입공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내부로 유입될수 있도록 상단측에 유입구(211)가 형성된 실린더(210)와; 상기의 실린더 내주연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피스톤(220)과; 상기 실린더의 개방면을 밀폐시켜 준 상태에서 피스톤의 이동 위치에 따라 물의 급수및 단수를 수행시켜 줄수 있도록 개방공(231)이 형성된 실린더캡(230)과; 상기 피스톤 상면 중앙에 형성된 피스톤공(221)과 연통될수 있도록 연장시켜 누름보턴과 결합될수 있도록 하는 피스톤관(2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의 피스톤 일측에는 피스톤공과 연통시켜 실린더 내,외부로 물이 자유롭게 이동할수 있는 이동로(222)를 형성한다.
또한, 급,단수부재(300)는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관(240) 선단부와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몸체의 외부에서 탄성부(320)의 탄지력에 의해 개폐부재를 단수시켜 주고, 인위적인 누름력에 의해 개폐부재를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누름부(310)와; 상기 누름부의 중앙에 수평되게 관통시켜 물의 급수를 위해 누름부를눌러줄때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피스톤의 이동압력에 의해 실린더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외부로 빠져나올수 있도록 하는 보조누름부(330)와; 상기 보조누름부와는 직각이 될수 있도록 누름부의 측면으로 부터 내삽시켜 물의 급수도중 물을 단수시켜 주기위해 누름부를 감싸지도록 잡아준 상태에서 잡아 당겨줄때 누름부를 감싸주는 누름력에 의해 수직으로 작동하여 수평의 보조누름부를 이동시켜 피스톤공을 통해 실린더내로 물이 유입되면서 피스톤을 이동시켜 물의 긴급단수를 수행할수 있도록 하는 긴급단수누름부(340)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누름부(310)는 저면 중앙에 피스톤관(2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손으로 잡거나 눌러줄수 있도록 하는 누름보턴(311)과; 상기 누름보턴의 전면으로 부터 내측으로 보조누름부가 끼워져 이동할수 있도록 하는 요입홈(312)과; 누름보턴의 측면 일측으로 부터 내측으로 요입시켜 긴급단수누름부가 삽입될수 있도록 양측에 가이드홀(314)을 갖는 삽입홈(313)으로 형성된다.
또한, 보조누름부(330)는 피스톤의 피스톤공(221)으로 부터 피스톤관(240)을 관통하여 자유롭게 승,하강하는 이동축(331)과; 상기의 이동축 하단에 결합시켜 피스톤관 하면으로 부터 피스톤공을 개폐시켜 주는 차단편(332)과; 누름보턴의 전면에 형성된 요입홈에 끼워지도록 이동축의 선단측에 결합시켜 탄성스프링(333)에 의해 탄지된 보조누름보턴(334)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긴급단수누름부(340)는 누름보턴(311)의 삽입홈(313)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이동축(331)에 결합시켜 일면에 경사면(341a)을 갖는 눌름편(341)과; 누름보턴의 측면으로 부터 삽입홈을 통해 가이드홀에 끼워져 자유롭게 이동하는누름테(342)와; 상기 누름테의 선단부 내측에 이의 이동 위치에 따라 눌림편의 경사면을 따라 눌려져 눌림편이 밀려 이동축을 이동시켜 줄수 있도록 경사면(343a)을 갖는 누름면(343)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물이 급수되지 않는 단수상태를 보면, 도 3a 에서 보는 바와같이 누름보턴(311)을 탄지시켜 주고있는 탄성부(3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보턴과 피스톤관(24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220)이 실린더캡(230)의 개방공(231)을 긴밀히 밀폐시켜 줌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 중앙에 형성된 피스톤공(221)은 탄성스프링(333)으로 탄지되어 있는 이동축(331)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밀폐관(332)이 긴밀히 밀폐시켜 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유입공(111)을 거쳐 몸체(110)내로 유입되는 물은 실린더(210)의 상단측에 형성된 유입구(211)를 통해 실린더내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실린더내로 유입된 물은 배출공과 연통되는 개방공(231)및 피스톤공이 긴밀히 밀폐된 상태에 있으므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의 급수를 수행시켜 주고자 할 경우 도 3b 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으로 누름보턴(311)의 전면을 누르는 상태로 하여 밀러주게 되는데, 이때 누름보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보조누름보턴(334)이 먼저 눌려 이와 이동축(331)에 연결되어 피스톤공(221)을 밀폐시켜 주고 있던 차단편(332)이 밀려 피스톤공(221)을 개방시켜 주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보턴(311)을 눌러주게 되면 이의 누름력에 의해실린더(210) 내주연에 긴밀히 밀착되어 있는 피스톤(220)이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피스톤의 이동압력에 의해 실린더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물흐름로와 피스톤 중앙에 형성된 피스톤공(221)을 통해 실린더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므로서, 피스톤(220)이 이동하게 되므로 인해 상기의 피스톤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 개방공(231)이 개방되어 유입공(111)을 통해 실린더내로 유입된 물이 개방된 개방공(231)을 거쳐 배출공(112)을 통해 빠져나가므로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누름보턴(311)에 가해지던 누름력을 해제시켜 주게 되면 강제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스프링(333)의 탄성압력에 의해 차단편(332)이 피스톤공(221)을 차단시켜 주게되고, 탄성부(320)의 자체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220)을 이동시켜 개방된 개방공(231)을 차단시켜 주게 되는데, 상기의 피스톤(220)은 실린더내에 유입되어 피스톤(220)과 실린더캡(230) 사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일시적으로 이동하여 개방공을 차단시켜 주지 못하고, 탄성부와 물의 수압에 비례하여 서서히 이동을 하게되는 것이다.
즉, 누름보턴(311)에 가해지던 누름력을 해제시켜 주게 되면 이의 누름력에 의해 강제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320)의 탄성력에 의해 실린더(210) 하부에 위치하고 있던 피스톤(220)이 원상복귀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피스톤은 실린더(210) 내주연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에서 실린더의 유입구(2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피스톤과 실린더캡(230) 사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의 수압에 의해일시에 이동을 하지 못하고, 물의 수압이 걸린 상태에서 탄성부(320)의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당겨질때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물흐름로 사이를 통해 실린더(210)내로 빠져나가는 물의 이동량에 비례하여 서서히 이동을 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피스톤(220)이 개방공(231)을 차단시켜 물의 급수를 자동을 단수시켜 주게되어 물의 낭비를 줄일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단수되므로서, 물의 상용이 끝나지 않아 계속해서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누름보턴(311)을 재차 눌러주게 되면 전자와 같은 작동 상태에 의해 물의 급수를 제게시켜 주는 것이며,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단수시켜 줌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물의 급수를 수행하는 도중 물의 사용이 완료될 경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자동으로 단수가 이루어지므로서, 단수전까지 물이 급수되는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누름보턴(311)을 인위적으로 잡아 당겨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게된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름보턴(311)이 감싸지도록 잡게되면, 상기 누름보턴 측면으로 돌출되어있는 누름테(342)가 엄지손가락에 의해 눌리게 되어 누름테(342)가 가이드홀(314)을 따라 밀려들어게 되는데, 이때 이동축(3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테의 경사면(343a)과 면접되어 있는 눌림면(341)이 탄성스프링(333)에 의해 탄지되어 누름테의 경사면과 면접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누름테의 누름력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탄성스프링(333)을 압축하면서 이동하므로서, 차단편(332)의 피스톤공(221)을 개방시켜 주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보턴(311)을 전방으로 잡아 당겨주게 되면 이의 당김력에 의해 피스톤관(2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220)이 강제로 당겨지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의 당김력에 의해 실린더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는 물의 일부가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형성된 물흐름로와 피스톤공(221) 사이를 통해 실린더내로 밀려들어 가므로서, 피스톤(220)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개방공(231)을 차단시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본 고안중 긴급단수누름부(350)의 다른 제1실시예로서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름보턴(311)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311a)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352)에 의해 회동할수 있도록 하는 보조누름보턴(351)과; 상기의 보조누름보턴 하단 선단측에 일체로 연장시켜 후단이 이동봉에 형성된 눌림편(354)에 면접지시켜 보조누름보턴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 이동봉을 밀어 차단편이 개방공으로 부터 이격될수 있도록 하는 회동편(353)으로 형성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 다른 제1실시예는 도 6a 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에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다가 설정된 급수시간내에서 물의 사용이 완료되어 급,단수부인 피스톤(220)이 자동으로 개방공(231)을 밀폐시켜 주기 전에 물의 급수를 인위적으로 단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 도 6b 에서와 같이 누름보턴(311)을 손으로 감싸여지도록 잡아주게 되면 엄지손가락이 누름보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보조누름보턴(351)을 눌러주게 되면 힌지(352)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이의 하단측에 연장된 회동편(353)이 회동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회동편의 회동각도에 따라 탄성스프링(333)으로 탄지되어 있는 이동봉(331)이 피스톤관(240)내에서이동하므로 인해 상기의 피스톤관을 밀폐시켜 주고 있던 차단편(332)이 이격되어 피스톤공(221)으로 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으로 감싸주고 있는 누름보턴(311)을 인위적인 힘에 의해 전방으로 잡아당겨 주게되면 본 고안의 작동상태와 동일한 작동에 의해 피스톤이 개방공()231을 밀폐시켜 순간적으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긴급단수누름부(360)의 다른 제2실시예로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름보턴 내부 일측에 힌지축(362) 중심으로 하여 임의 회동하면서 일단이 이동축 선단에 탄지될수 있도록 하는 회동편(361)을 형성하고, 누름보턴의 측면 끼움홈(311a)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이동보턴(363) 하면에 회동편의 타측에 탄지시켜 회동편을 회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이동편(364)으로 형성할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제2실시예는 도 7a 에 상태에서 정상적인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물의 사용이 완료되었는데 지속적으로 물의 급수가 이루어져 인위적인 수단에 의해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 도 7b 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름보턴(311)을 손으로 감싸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누름편의 측면으로 돌출된 이동보턴(363)을 눌러준 상태로 하여 당겨주게 되면 이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이동편(364)이 함께 이동하면서 힌지축(3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편(361)을 회동시켜 주게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편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면 회동각도에 따라 탄성스프링(333)으로 탄지되어 회동편 선단에 접하고 있는 이동축(331)을 이동시켜 준 상태에서 누름보턴(311)을 강제로 잡아당겨 주게되면 실린더(210)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가 누름보턴의 당김력에 의해 강제로 이동하려는 피스톤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관(221)을 통해 실린더(210)내로 물이 유입되므로서, 단시간내에 피스톤을 이동시켜 개방되어 있는 개방공(231)을 차단시켜 주므로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누름보턴과 몸체 사이에 탄지된 탄성부의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개방공을 차단시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고 있다가, 누름보턴을 눌러주게 되면 탄성부를 압축하면서 피스톤이 이동하여 개방공을 열어주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누름부의 이동 거리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만 물이 급수되고, 상기와 같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강제로 압축된 탄성부와 피스톤에 작용되는 물의 수압 편차에 의해 피스톤이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여 개방공을 밀폐시켜 주기전까지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는 자폐식 수전금구를 사용도중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물의 사용이 완료되어 순간적으로 물의 급수를 단수시켜 주고자 할때, 누름보턴을 감싸주도록 잡아주기만 하면 엄지손가락이 누름보턴의 측면으로 돌출된 누름테를 눌러줄수 있도록 하여 상기 누름테의 수직 운동에 의해 수평운동하는 이동축을 이동시켜 준 상태에서 누름보턴을 잡아당겨 주어 피스톤이 순간적으로 개방공을 차단시켜 물의 단수를 수행할수 있게되므로서, 필요이상으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절약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Claims (5)

  1. 물이 유입공(111)을 통해 몸체(110)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배출공(112)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보턴을 인위적으로 눌러 피스톤을 이동시켜 주므로서 개방된 개방공(231)으로 흐르는 물이 배수공을 통해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하고, 누름력을 해제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물의 급수를 자동으로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면서, 물의 급수도중 누름보턴을 감싸주도록 잡아주는 누름력과 당김력만을 이용하여 물의 급수를 긴급 단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급,단수부재(30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급,단수부재(300)는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관 선단에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몸체의 외부에서 탄성부(320)의 탄지력에 의해 개폐부재(200)를 단수시켜 주고, 인위적인 누름력에 의해 개폐부재를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누름부(310)와; 상기 누름부의 중앙에 수평되게 관통시켜 물의 급수를 위해 누름부를 눌러줄때 피스톤공을 개방시켜 피스톤의 이동압력에 의해 실린더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외부로 빠져나올수 있도록 하는 보조누름부(320)와; 상기 보조누름부와는 직각이 될수 있도록 누름부의 측면으로 부터 돌출되도록 내삽시켜 누름부를 감싸지도록 잡아줄때 눌려 보조누름부(320)를 이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긴급단수누름부(3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긴급단수누름부(330)는 누름보턴(311)의 삽입홈(313)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이동축(331)에 결합시켜 일면에 경사면(341a)을 갖는 눌름편(341)과; 누름보턴의 측면으로 부터 삽입홈을 통해 가이드홀에 끼워져 자유롭게 이동하는 누름테(342)와; 상기 누름테의 선단부 내측에 이의 이동 위치에 따라 눌림편의 경사면을 따라 눌려져 눌림편이 밀려 이동축을 이동시켜 줄수 있도록 경사면(343a)을 갖는 누름면(343)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긴급단수누름부(350)는 누름보턴(311)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311a)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352)에 의해 회동할수 있도록 하는 보조누름보턴(351)과; 상기의 보조누름보턴 하단 선단측에 일체로 연장시켜 후단이 이동봉에 형성된 눌림편(354)에 면접지시켜 보조누름보턴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 이동봉을 밀어 차단편이 개방공으로 부터 이격될수 있도록 하는 회동편(353)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긴급단수누름부(360)는 누름편 내부 일측에 힌지축(362) 중심으로 하여 임의 회동하면서 일단이 이동축 선단에 탄지될수 있도록 하는 회동편(361)을 형성하고, 누름편의 측면 끼움홈(311a)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이동보턴(363) 하면에 회동편의 타측에 탄지시켜 회동편을 회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이동편(36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2002-0035801U 2002-11-29 2002-11-29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305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801U KR200305362Y1 (ko) 2002-11-29 2002-11-29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801U KR200305362Y1 (ko) 2002-11-29 2002-11-29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425A Division KR20040047275A (ko) 2002-11-29 2002-11-29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362Y1 true KR200305362Y1 (ko) 2003-02-25

Family

ID=4933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801U KR200305362Y1 (ko) 2002-11-29 2002-11-29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3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45B1 (ko) 2007-07-30 2009-09-15 전창열 급수호스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45B1 (ko) 2007-07-30 2009-09-15 전창열 급수호스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77731A1 (en) Portable toilet device
US93033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personal hygiene, in particular when taking a shower or a bath or when washing hands
JP4253761B2 (ja) 油圧及び空圧で作動されるダイアフラムバルブ
US5131622A (en) Metering valve for water faucet
KR20040047275A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305362Y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US5290008A (en) Discharge controlling device for faucets
KR100912241B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US20010025939A1 (en) Self-closing water-saving device for faucet
US20230125224A1 (en) Descaling device, system, and descaling method of electronic toilet and liquid supply device, system, and cleaning method of electronic toilet
KR200305879Y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305878Y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급수개폐장치
KR100827548B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100912239B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급수개폐장치
KR100825412B1 (ko) 절수식급수밸브
JP2003003536A (ja) バルブ装置
KR200229553Y1 (ko) 공압 발판을 갖춘 절수형 급수장치
KR100695734B1 (ko) 절수형 수전금구
KR200435542Y1 (ko) 절수형 수전금구
KR102436333B1 (ko) 절수 기능을 갖는 스마트 샤워기 시스템
GB2323104A (en) Variable-flush facility for a siphon-discharge W.C. cistern
CN218308594U (zh) 一种淋浴切换装置
KR100474082B1 (ko) 방향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KR200294505Y1 (ko) 토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수도전
KR200333350Y1 (ko) 자폐식수전금구의 긴급단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