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082B1 - 방향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 Google Patents

방향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082B1
KR100474082B1 KR10-2002-0065238A KR20020065238A KR100474082B1 KR 100474082 B1 KR100474082 B1 KR 100474082B1 KR 20020065238 A KR20020065238 A KR 20020065238A KR 100474082 B1 KR100474082 B1 KR 10047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cartridge
shower head
poppet val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275A (ko
Inventor
노응석
Original Assignee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2-006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0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3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샤워 중에 물과 함께 방향제를 분사하는 샤워 헤드를 개시한다. 개시된 샤워 헤드는 물의 이동 통로가 내부를 따라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로 이루어진다. 헤드부는 물과 방향제가 분사되는 분사구과, 분사구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방향제 카트리지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갖는다. 방향제 카트리지가 헤드부의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방향제 카트리지는 분사구를 향해 배치된 분사부를 갖고, 분사부에 방향제 분사 장치가 설치된다. 방향제 분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가 하우징에 구비된다. 사용자는 샤워 헤드를 잡고 있는 한 손만으로 작동 기구를 조작하여 분사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물과 함께 방향제가 샤워 헤드로부터 분사된다.

Description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SHOWER HEAD HAVING AN AROMA DIFFUSION}
본 발명은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과 함께 방향제가 분사되는 기능이 구비된 샤워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수도꼭지를 통해 배출되는 냉수 및 온수의 양을 조절하는 냉수 및 온수 조절 밸브와, 각 밸브에 일단이 연결된 플렉서블 호스 및 플렉서블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샤워 헤드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일반적인 샤워 헤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로, 샤워 헤드는 대략 ㄱ자 형태로 구부러진 하우징(1)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의 하단에는 플렉서블 호스(미도시)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구부러진 상단 측면에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샤워기는 냉수와 온수가 적절히 혼합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갖고 있다. 특히, 최근의 사용자들은 샤워 후에 신체로부터 향긋한 내음이 발산되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의 방향 용품을 샤워 중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사용자는 샤워를 하면서 방향 용품을 취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샤워 중에 자연적으로 물과 함께 방향제가 분사되록 하는 시도가 있었고, 도 2에 이러한 시도들 중의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샤워기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9-81256호(공개일 : 1999년 11월 15일)에 개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0)에는 냉수 및 온수 조절 밸브(11,12)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관(10)의 상단에는 플렉서블 호스(13)가 연결되어 있고, 샤워 헤드(14)가 플렉서블 호스(13)에 연결되어 있다. 급수관(10)과 플렉서블 호스(13) 사이에 방향제 카트리지(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급수관(10)으로부터 플렉서블 호스(13)를 거쳐 샤워 헤드(14)로 전달되는 물은 방향제 카트리지(15)를 경유하게 되므로, 샤워 헤드(14)로부터 분사되는 물과 함께 방향제도 같이 분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방향제 카트리지(15)를 급수관(10)과 플렉서블 호스(13) 사이에 설치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기존에 많이 보급된 샤워기에 종래 기술을 적용하기는 불가능하다. 즉, 급수관(10)과 플렉서블 호스(13) 각각에 방향제 카트리지(15)와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샤워기에 비교적 부피가 큰 방향제 카트리지(15)가 설치된 관계로, 미관상 보기도 좋지가 않다.
특히,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향제 카트리지(15)는 급수관(10)과 플렉서블 호스(13) 사이, 즉 샤워기 전체의 높이에 대해서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샤워 동작 중에 방향 기능을 작동시킬려면, 방향제 카트리지(15)를 향해 몸을 아래로 구부려야만 하는 불편함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샤워 헤드를 잡고 있다면, 방향제 카트리지(15)를 조작하기 위해선 다른 손을 이용해야만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 기능을 하는 구조물들이 기존의 샤워기에 별도로 구성되지 않고 일체로 내장되도록 하여, 기존의 샤워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몸을 아래로 구부리지 않고 샤워 헤드를 잡은 손만으로 방향 기능을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는 물의 이동 통로가 내부를 따라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로 이루어진다. 헤드부는 물과 방향제가 분사되는 분사구과, 분사구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방향제 카트리지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갖는다.
방향제 카트리지가 헤드부의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방향제 카트리지는 분사구를 향해 배치된 분사부를 갖고, 분사부에 방향제 분사 장치가 설치된다. 방향제 분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가 하우징에 구비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샤워 중에 사용자가 작동 기구를 이용해서 방향제 분사 장치를 작동시키면, 방향제 카트리지에 저장된 방향제가 물과 함께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샤워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로, 샤워 헤드는 물의 이동 통로가 내부를 따라 형성된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인 손잡이부(110)와, 손잡이부(1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120)로 이루어진다. 손잡이부(110)는 대략 상하가 개구된 긴 관 형태로서, 개구된 하단으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손잡이부(110)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예각을 이루며 구부러진 형상인 헤드부(120)는 개구된 양단을 갖는다. 헤드부(120)의 개구된 좌측이 물과 방향제가 분사되는 분사구(130)가 되고, 헤드부(120)의 개구된 우측에는 방향제 카트리지(200)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수납부(140)가 형성된다. 카트리지 수납부(14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물의 이동 통로와 완전히 차단된 구조로서, 특히 방향제 카트리지(200)의 분사부(201)를 지지하는 홀더부(141)를 갖는다.
한편, 물이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공(132)이 천공된 분사 커버(131)가 헤드부(120)의 분사구(130)에 설치된다. 특히, 분사 커버(131)의 중앙에는 분사공(132)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버튼공(133)이 형성된다.
방향제 카트리지(200)에는 방향제와 함께 고압 가스가 저장된다. 방향제 카트리지(200)의 내부와 헤드부(201) 사이에는 밸브공(202)이 형성된다. 이러한 카트리지(200)의 헤드부(201)에 방향제를 분사구(130)를 통해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 장치(300)를 마련된다.
본 실시예 1에 따른 분사 장치(300)는 카트리지(200)의 헤드부(20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포핏 밸브(310)를 포함한다. 포핏 밸브(310)는 카트리지(200)의 밸브공(20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막(313)을 갖는다. 또한, 포핏 밸브(310)에는 내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길게 분사 통로(311)가 형성된다. 분사 통로(311)는 분사구(130)를 향해서는 개구되지만 밸브막(313)를 향해서는 막힌 상태이다. 따라서, 방향제가 분사 통로(311)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유입공(312)이 밸브막(313)과 인접한 포핏 밸브(313) 부분의 외주면에 반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분사 통로(311)로 연결된다.
한편, 포핏 밸브(310)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밸브용 압축 스프링(320)이 포핏 밸브(310)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포핏 밸브(310)는 밸브용 압축 스프링(320)에 의해 분사구(130) 방향으로 탄력 지지를 받게 된다. 따라서, 포핏 밸브(3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밸브막(313)이 항상 밸브공(202)을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포핏 밸브(310)가 홀더부(141)에 이동 접촉하는 부분에는 방향제 누설 방지를 위한 오-링(330)이 끼워진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포핏 밸브(310)을 선택적으로 눌러서 분사 장치를 작동시키는 기구로서, 본 실시예 1에서는 단순하게 버튼(400)이 채용된다. 버튼(400)의 일단은 포핏 밸브(310)에 접촉되고, 타단은 분사 커버(131)의 버튼공(133)을 통해 노출된다. 한편, 버튼(400)이 버튼공(133)을 통해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홀더부(141)의 내벽에 걸림턱(142)이 형성되고, 걸림턱(142)에 걸려 지지되는 플랜지(401)가 버튼(4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한편, 포핏 밸브(310)의 분사 통로(311)를 통해 분사된 방향제가 분사 커버(131)의 각 분사공(132)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토출공(402)이 버튼(40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 1에 따른 샤워 헤드로부터 방향제를 분사시키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소정의 압력으로 방향제가 충진된 카트리지(200)를 수납부(140)에 끼우면, 카트리지(200)의 분사부(201)가 홀더부(201)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을 하우징(100)으로 공급하면, 물은 손잡이부(110)의 하단으로부터 헤드부(120)를 거쳐서 분사 커버(131)의 분사공(132)을 통해 분사된다.
이러한 샤워 동작 중에, 사용자가 방향제를 분사시키기를 원하면, 사용자는 손잡이부(110)를 잡고 있던 어느 한 손만으로 버튼(400)을 누른다. 그러면, 버튼(400)은 포핏 밸브(310)를 누르게 되고, 포핏 밸브(310)는 밸브용 압축 스프링(320)을 신장시키면서 카트리지(20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공(202)을 막고 있던 밸브막(313)도 카트리지(200) 내부로 이동하게 되므로써, 밸브공(202)이 개방된다. 아울러, 유입공(312)도 카트리지(200) 내부에 충진된 방향제에 노출된다.
이어서, 카트리지(200) 내부에 충진된 고압의 방향제가 유입공(312)을 통해서 분사 통로(311)로 유입되어, 버튼(400) 내부의 공간으로 분사된다. 분사된 방향제는 버튼(400)의 토출공(402) 및 분사 커버(131)의 분사공(132)을 거쳐 사용자의 몸으로 물과 함께 분사된다.
방향제의 분사를 중지시킬려면, 버튼(400)을 누르고 있는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신장된 밸브용 압축 스프링(320)의 복원력에 의해 포핏 밸브(31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밸브막(313)이 밸브공(202)을 폐쇄하게 되므로써 방향제의 분사가 중지된다. 이때, 원위치로 복귀하는 버튼(400)의 플랜지(401)가 걸림턱(142)에 걸리게 되므로, 버튼(400)이 버튼공(133)을 통해 완전히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샤워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에 따른 샤워 헤드는 전술된 실시예 1의 샤워 헤드가 갖는 하우징(100)과 카트리지(200)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카트리지를 갖고, 다만 분사 장치와 작동 기구의 구조가 변경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실시예 2의 하우징과 카트리지에 실시예 1의 하우징과 카트리지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분사 장치와 작동 기구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로, 먼저 분사 장치(600)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한 구조의 포핏 밸브(610)를 갖는다. 즉, 포핏 밸브(610)는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사 통로(611)를 갖는다. 또한, 분사 통로(611)와 연결된 유입공(612)이 포핏 밸브(610)의 외주에 관통 형성된다. 포핏 밸브(610)는 분사부(201)의 내벽과 이격 배치된다. 특히, 분사구(130)를 향하는 포핏 밸브(61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614)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실시예 1에서 밸브공(202)이 형성되었던 부분에는 볼 수용부(203)가 카트리지(200)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밸브공(202)이 볼 수용부(203)의 중앙에 형성된다.
밸브공(20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 볼(640)이 볼 수용부(203)에 수용된다. 체크 볼(640)과 포핏 밸브(610)는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고, 그 사이에 밸브용 압축 스프링(630)이 개재된다.
한편, 분사부(201)의 내벽과 포핏 밸브(610) 사이에는 신축성 밸브링(620)이 부착된다. 신축성 밸브링(620)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링 형태로서, 포핏 밸브(61)에 맞대어지는 내측 부분과 분사부(201)의 내벽에 맞대어지는 외측 부분이 상하로 벌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신축성 밸브링(620)은 2개의 내측 접합부(621,622)와 2개의 외측 접합부(623,624)를 가져서, 내측 접합부(621,622)들이 포핏 밸브(610)의 외벽에 고정되고, 외측 접합부(623,624)들은 분사부(201)의 내벽에 고정된다. 특히, 포핏 밸브(610)의 유입공(612)이 내측 접합부(621,622) 사이에 배치된다. 유입공(612)으로 방향제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 내측 접합부(621,622)들 중 밸브공(202)을 향하는 내측 접합부(622)에 토출공(62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성 밸브링(620)에 의해 포핏 밸브(610)와 분사부(201)의 내벽 및 신축성 밸브링(620)으로 막힌 방향제 대기실(204)이 분사부(201) 내부에 형성된다. 방향제 대기실(204)이란 카트리지(200) 내부의 방향제 중에서 후속 분사시에 분사될 방향제가 미리 대기하게 되는 장소를 말하는데, 이러한 방향제 대기실(204)에 미리 일정량의 방향제가 저장되고 토출되는 동작은 본 실시예 2의 동작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한편, 분사판(131)과 인접하게 안내판(150)이 헤드부(120)의 분사구(130)에 설치된다. 안내판(150)에는 원통형인 2개의 링크 안내부(151)가 분사구(13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 2에 따른 작동 기구는 작동 링크(500)를 갖는다. 작동 링크(500)는 누름판(501)과, 누름판(501)의 하단에서 90°각도로 연장된 연결판(502) 및 연결판(502)으로부터 90°각도로 연장되어 손잡이부(110)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판(503)으로 이루어진 형상이다.
누름판(501)은 플랜지부(614)보다 직경이 짧고 포핏 밸브(610) 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멍(504)을 갖는다. 따라서, 포핏 밸브(610)가 끼워진 누름판(501)은 안내판(150)에 맞대어진다. 또한, 누름판(501)에는 안내판(150)의 각 링크 안내부(151)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안내 보스부(505)가 돌출 형성되어, 안내 보스부(505)에 의해 누름판(501)의 이동 동작이 안내된다.
고정판(503)에 버튼축(510)의 일단이 끼워져서 고정링(540)으로 체결된다. 버튼축(510)의 타단은 분사구(130)의 아래 부분인 손잡이부(110) 부분을 통해 노출된다. 버튼축(510)이 노출되는 손잡이부(110) 부분에 버튼축(510)의 이동 동작을 안내하는 원통형의 버튼 안내부(111)가 돌출 형성된다. 버튼 안내부(111)의 내벽에는 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550)이 끼워진다.
한편, 버튼 안내부(111)로부터 돌출된 버튼축(510)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누르게 되는 버튼판(520)이 부착된다. 버튼판(520)은 버튼용 압축 스프링(53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버튼용 압축 스프링(530)의 일단은 버튼 안내부(111)의 외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버튼판(520)의 내벽에 고정되어서, 버튼판(5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 2에 따른 샤워 헤드로부터 방향제를 분사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버튼판(520)을 누르면, 버튼용 압축 스프링(530)이 압축되면서 버튼축(510)이 우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작동 링크(500)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포핏 밸브(610)의 플랜지부(614)가 작동 링크(50)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그러면, 포핏 밸브(610)가 밸브용 압축 스프링(630)을 압축시키면서 체크 볼(640)을 누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하는 포핏 밸브(610)에 의해 신축성 밸브링(620)도 같은 방향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포핏 밸브(610)와 신축성 밸브링(620)의 이동에 의해 방향제 대기실(204)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대기실(204)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신축성 밸브링(620)의 외측 접합부(623,624)가 2개로 벌어진 형태이므로, 신축성 밸브링(620)의 신축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대기실(204) 내부에 있는 방향제가 토출공(625)과 유입공(612)을 경유해서 분사 통로(611)로 유입된 후, 분사 커버(131)의 각 분사공(132)을 통해 분사된다.
방향제의 분사를 중지시킬려면, 버튼판(520)을 누르고 있는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신장된 버튼용 압축 스프링(530)의 복원력에 의해 버튼축(51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써, 작동 링크(500)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아울러, 포핏 밸브(610)도 밸브용 압축 스프링(63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신장되었던 신축성 밸브링(620)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되므로써, 축소되었던 대기실(204)의 부피가 원래 부피로 확장된다. 따라서, 대기실(204)에는 순간적으로 진공압이 형성되고, 이 진공압은 체크 볼(640)을 포핏 밸브(61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써, 밸브공(202)이 순간적으로 개방된다. 그러므로, 카트리지(200) 내부에 충진된 고압의 방향제 일정량이 밸브공(202)을 통해 대기실(204)로 유입되어 후속 분사 공정을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 구배에 따른 방향제의 대기실(204) 유입 동작에 의해, 샤워 헤드의 방향성에 상관없이 카트리지(200)에 충진된 방향제를 분사시킬 수가 있게 된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샤워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3에 따른 샤워 헤드는 실시예 1의 샤워 헤드(도 3 참조)가 갖는 분사 장치와 실시예 2의 샤워 헤드가 갖는 작동 기구가 조합된 구조이다.
즉, 본 실시예 3에 적용된 분사 장치(300)는 카트리지(200)의 헤드부(20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포핏 밸브(310)를 포함한다. 포핏 밸브(310)는 카트리지(200)의 밸브공(20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막(313)을 갖는다. 또한, 포핏 밸브(310)에는 내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길게 분사 통로(311)가 형성된다. 분사 통로(311)는 분사구(130)를 향해서는 개구되지만 밸브막(313)를 향해서는 막힌 상태이다. 따라서, 방향제가 분사 통로(311)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유입공(312)이 밸브막(313)과 인접한 포핏 밸브(313) 부분의 외주면에 반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분사 통로(311)로 연결된다.
한편, 포핏 밸브(310)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밸브용 압축 스프링(320)이 포핏 밸브(310)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포핏 밸브(310)는 밸브용 압축 스프링(320)에 의해 분사구(130) 방향으로 탄력 지지를 받게 된다. 따라서, 포핏 밸브(3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밸브막(313)이 항상 밸브공(202)을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포핏 밸브(310)가 홀더부(141)에 이동 접촉하는 부분에는 방향제 누설 방지를 위한 오-링(330)이 끼워진다.
한편, 작동 기구는 작동 링크(500)를 갖는다. 작동 링크(500)는 누름판(501)과, 누름판(501)의 하단에서 90°각도로 연장된 연결판(502) 및 연결판(502)으로부터 90°각도로 연장되어 손잡이부(110)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판(503)으로 이루어진 형상이다.
누름판(501)은 단차부(613)를 중심으로 직경이 줄어든 포핏 밸브(610) 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멍(504)을 갖는다. 따라서, 포핏 밸브(610)가 끼워진 누름판(501)은 안내판(150)에 맞대어진다. 또한, 누름판(501)에는 안내판(150)의 각 링크 안내부(151)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안내 보스부(505)가 돌출 형성되어, 안내 보스부(505)에 의해 누름판(501)의 이동 동작이 안내된다.
고정판(503)에 버튼축(510)의 일단이 끼워져서 고정링(540)으로 체결된다. 버튼축(510)의 타단은 분사구(130)의 아래 부분인 손잡이부(110) 부분을 통해 노출된다. 버튼축(510)이 노출되는 손잡이부(110) 부분에 버튼축(510)의 이동 동작을 안내하는 원통형의 버튼 안내부(111)가 돌출 형성된다. 버튼 안내부(111)의 내벽에는 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550)이 끼워진다.
한편, 버튼 안내부(111)로부터 돌출된 버튼축(510)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누르게 되는 버튼판(520)이 부착된다. 버튼판(520)은 버튼용 압축 스프링(53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버튼용 압축 스프링(530)의 일단은 버튼 안내부(111)의 외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버튼판(520)의 내벽에 고정되어서, 버튼판(5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 3에 따른 샤워 헤드로부터 방향제를 분사시키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버튼판(520)을 누르면, 버튼용 압축 스프링(530)이 압축되면서 버튼축(510)이 우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작동 링크(500)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포핏 밸브(310)가 작동 링크(50)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그러면, 되고, 포핏 밸브(310)는 밸브용 압축 스프링(320)을 신장시키면서 카트리지(20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공(202)을 막고 있던 밸브막(313)도 카트리지(200) 내부로 이동하게 되므로써, 밸브공(202)이 개방된다. 아울러, 유입공(312)도 카트리지(200) 내부에 충진된 방향제에 노출된다.
이어서, 카트리지(200) 내부에 충진된 고압의 방향제가 유입공(312)을 통해서 분사 통로(311)로 유입된다. 이어서, 방향제는 분사 커버(131)의 분사공(132)을 거쳐 사용자의 몸으로 물과 함께 분사된다.
방향제의 분사를 중지시킬려면, 버튼판(520)을 누르고 있는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버튼축(510)과 작동 링크(500)가 버튼용 압축 스프링(53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아울러, 신장된 밸브용 압축 스프링(320)의 복원력에 의해 포핏 밸브(31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밸브막(313)이 밸브공(202)을 폐쇄하게 되므로써 방향제의 분사가 중지된다.
<실시예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샤워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4에 따른 샤워 헤드는 실시예 1의 샤워 헤드(도 3 참조)가 갖는 작동 기구와 실시예 2의 샤워 헤드가 갖는 분사 장치(도 4 참조)가 조합된 구조이다.
즉, 본 실시예 4에 따른 샤워 헤드에 적용된 분사 장치(600)는 포핏 밸브(610)를 갖는다. 즉, 포핏 밸브(610)는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사 통로(611)를 갖는다. 또한, 분사 통로(611)와 연결된 유입공(612)이 포핏 밸브(610)의 외주에 관통 형성된다. 포핏 밸브(610)는 분사부(201)의 내벽과 이격 배치된다. 특히, 분사구(130)를 향하는 포핏 밸브(61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614)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실시예 1에서 밸브공(202)이 형성되었던 부분에는 볼 수용부(203)가 카트리지(200)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밸브공(202)이 볼 수용부(203)의 중앙에 형성된다.
밸브공(20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 볼(640)이 볼 수용부(203)에 수용된다. 체크 볼(640)과 포핏 밸브(610)는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고, 그 사이에 밸브용 압축 스프링(630)이 개재된다.
한편, 분사부(201)의 내벽과 포핏 밸브(610) 사이에는 신축성 밸브링(620)이 부착된다. 신축성 밸브링(620)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링 형태로서, 포핏 밸브(61)에 맞대어지는 내측 부분과 분사부(201)의 내벽에 맞대어지는 외측 부분이 상하로 벌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신축성 밸브링(620)은 2개의 내측 접합부(621,622)와 2개의 외측 접합부(623,624)를 가져서, 내측 접합부(621,622)들이 포핏 밸브(610)의 외벽에 고정되고, 외측 접합부(623,624)들은 분사부(201)의 내벽에 고정된다. 특히, 포핏 밸브(610)의 유입공(612)이 내측 접합부(621,622) 사이에 배치된다. 유입공(612)으로 방향제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 내측 접합부(621,622)들 중 밸브공(202)을 향하는 내측 접합부(622)에 토출공(62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성 밸브링(620)에 의해 포핏 밸브(610)와 분사부(201)의 내벽 및 신축성 밸브링(620)으로 막힌 방향제 대기실(204)이 분사부(201) 내부에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 4에 따른 샤워 헤드에 적용된 작동 기구는 버튼(400)이다. 버튼(400)의 일단은 포핏 밸브(610)에 접촉되고, 타단은 분사 커버(131)의 버튼공(133)을 통해 노출된다. 한편, 버튼(400)이 버튼공(133)을 통해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홀더부(141)의 내벽에 걸림턱(142)이 형성되고, 걸림턱(142)에 걸려 지지되는 플랜지(401)가 버튼(4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한편, 포핏 밸브(310)의 분사 통로(311)를 통해 분사된 방향제가 분사 커버(131)의 각 분사공(132)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토출공(402)이 버튼(40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 4에 따른 샤워 헤드로부터 방향제를 분사시키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버튼(400)을 누르면, 포핏 밸브(610)가 밸브용 압축 스프링(630)을 압축시키면서 체크 볼(640)을 누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하는 포핏 밸브(610)에 의해 신축성 밸브링(620)도 같은 방향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포핏 밸브(610)와 신축성 밸브링(620)의 이동에 의해 방향제 대기실(204)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대기실(204)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의해, 대기실(204) 내부에 있는 방향제가 토출공(625)과 유입공(612)을 경유해서 분사 통로(611)로 유입된 후, 분사 커버(131)의 각 분사공(132)을 통해 분사된다.
방향제의 분사를 중지시킬려면, 버튼(400)을 누르고 있는 힘을 제거한다. 포핏 밸브(610)는 밸브용 압축 스프링(63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신장되었던 신축성 밸브링(620)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되므로써, 축소되었던 대기실(204)의 부피가 원래 부피로 확장된다. 따라서, 대기실(204)에는 순간적으로 진공압이 형성되고, 이 진공압은 체크 볼(640)을 포핏 밸브(61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써, 밸브공(202)이 순간적으로 개방된다. 그러므로, 카트리지(200) 내부에 충진된 고압의 방향제 일정량이 밸브공(202)을 통해 대기실(204)로 유입되어 후속 분사 공정을 대기하게 된다.
<실시예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라 샤워 헤드에 수납되는 카트리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전술된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방향제가 고압 가스와 함께 카트리지(20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포핏 밸브(310,610)을 통해 자연적으로 방향제가 분사될 수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신의 몸 구석구석을 씻기 위해, 샤워 헤드를 여러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카트리지(200)의 분사부(201)가 항상 아래를 향하지 않고 위나 옆을 향할 수가 있다. 그러면, 일부 남아 있는 방향제가 분사부(201) 측으로 모이지 않고 분사부(201)의 반대측으로 모이게 되어 방향제가 분사될 수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트리지(200)에 저장된 방향제가 완전히 소진된 것으로 착각하여, 기존의 카트리지(200)를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하게 되므로써, 낭비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것을 해소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201)의 반대측인 카트리지(200)의 저부에 압력 유지막(70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압력 유지막(700)은 카트리지(20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압력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 유지막(700)의 외주면에 오-링(710)이 끼워진다. 또는, 오-링(710)을 사용하지 않고, 압력 유지막(700) 자체를 탄성 재질로 제작하여, 이러한 탄성 압력 유지막(700)으로만 기밀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카트리지(200)로부터 일정량의 방향제가 분사되면, 카트리지(200) 내부 압력이 분사된 양만큼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압력 유지막(700)이 감소된 압력에 의해 분사부(20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써, 방향제에 전과 거의 동일한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방향제는 항상 분사부(201)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어, 카트리지(200)에 저장된 방향제 전부가 사용될 수가 있게 된다.
<실시예 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라 샤워 헤드에 수납되는 카트리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로, 본 실시예 4에서는 카트리지(200) 내부의 압력 감소에 따른 압력 유지막(700)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분사부(201)의 반대측인 카트리지(200)의 저부에 가스 주입구(210)가 형성된다.
가스 주입구(210)를 통해서 고압의 가스를 주입하면, 압력 유지막(700)은 항상 일정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방향제 분사에 의해 카트리지(200)의 내부 압력이 감소하면, 압력 유지막(700)은 압력 차이에 의해서도 이동하지만 후방의 고압 가스에 의해 분사부(201) 측으로 보다 확실하게 이동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전술된 각 실시예들에서, 방향제가 완전히 소진되면, 카트리지를 헤드부(120)의 수납부(140)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카트리지를 수납부(140)에 결합시키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향 기능을 하는 여러 구성요소들이 샤워 헤드 내부에 내장되므로써, 기존의 샤워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방향 기능을 샤워기 자체에 구비시킬 수 있고, 특히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샤워기를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샤워 중에, 사용자는 샤워 헤드를 잡고 있는 손만으로 방향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도 도모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에 대해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샤워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방향 기능을 갖는 종래의 샤워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샤워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샤워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샤워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샤워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라 샤워 헤드에 수납되는 카트리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라 샤워 헤드에 수납되는 카트리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110 : 손잡이부
120 : 헤드부 130 : 분사구
140 : 카트리지 수납부 200 : 방향제 카트리지
210 : 카트리지 분사부 300,600 : 분사 장치
310,610 : 포핏 밸브 311,611 : 분사 통로
320,630 : 밸브용 압축 스프링 400 : 버튼
500 : 작동 링크 510 : 버튼축
520 : 버튼판 530 : 버튼용 압축 스프링
620 : 신축성 밸브링 640 : 체크 볼
700 : 압력 유지막

Claims (23)

  1.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분사구와 카트리지 수납부를 갖는 헤드부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헤드부의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분사구를 향하는 부분에 분사부가 형성된 방향제 카트리지;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의 분사부에 장착된 분사 장치; 및
    상기 분사 장치를 작동시키는 기구를 포함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의 분사 장치를 지지하는 홀더부가 상기 수납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분사구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 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내부에 카트리지의 내벽과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방향제를 분사 장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력 유지막이 배치되고, 상기 압력 유지막의 외주면에 압력 유출 방지를 위한 오-링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압력 유지막을 노즐측으로 가압하는 가스가 주입되는 가스 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장치는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의 분사부에 분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분사 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사 통로를 가져서, 상기 분사부와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포핏 밸브; 및
    상기 포핏 밸브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밸브용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장치는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의 분사부에 분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분사 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사 통로를 갖는 포핏 밸브;
    상기 포핏 밸브의 외벽과 상기 분사부의 내벽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포핏 밸브의 분사 통로와 연통된 토출공을 가져서, 상기 포핏 밸브의 이동 방향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성 밸브링;
    일단이 상기 포핏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포핏 밸브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밸브용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분사부와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핏 밸브의 외벽에 고정되는 신축성 밸브링의 내측 부분에 포핏 밸브의 이동 방향을 따라 2갈래로 벌어진 내측 접합부 2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공은 체크 볼을 향하는 내측 접합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의 내벽에 고정되는 신축성 밸브링의 외측 부분에 포핏 밸브의 이동 방향을 따라 2갈래로 벌어진 외측 접합부 2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상기 카트리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는 상기 분사구를 향해 배치되어 상기 분사 장치를 눌러 작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는
    일단은 상기 분사 장치를 눌러 작동시키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 내부로 진입된 작동 링크;
    일단은 상기 작동 링크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노출된 버튼축;
    상기 버튼축의 타단에 설치된 버튼판; 및
    상기 버튼판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버튼용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링크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안내 보스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내 보스부를 안내하는 링크 안내부를 갖는 안내판이 상기 헤드부의 분사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버튼축의 이동을 안내하는 버튼 안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안내부의 내벽에 물의 누설 방지를 위한 오-링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16.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분사구와 카트리지 수납부를 갖는 헤드부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헤드부의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분사구를 향하는 부분에 분사부가 형성된 방향제 카트리지;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의 분사부에 장착된 분사 장치; 및
    상기 분사 장치를 작동시키는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장치는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의 분사부에 분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분사 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사 통로를 갖는 포핏 밸브;
    상기 포핏 밸브의 외벽과 상기 분사부의 내벽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포핏 밸브의 분사 통로와 연통된 토출공을 가져서, 상기 포핏 밸브의 이동 방향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성 밸브링;
    일단이 상기 포핏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포핏 밸브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밸브용 압축 스프링; 및
    상기 밸브용 압축 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분사부와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 볼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기구는
    일단은 상기 포핏 밸브를 눌러 작동시키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 내부로 진입된 작동 링크;
    일단은 상기 작동 링크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노출된 버튼축;
    상기 버튼축의 타단에 설치된 버튼판; 및
    상기 버튼판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버튼용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내부에 카트리지의 내벽과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방향제를 분사 장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력 유지막이 배치되고, 상기 압력 유지막의 외주면에 압력 유출 방지를 위한 오-링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압력 유지막을 노즐측으로 가압하는 가스가 주입되는 가스 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핏 밸브의 외벽에 고정되는 신축성 밸브링의 내측 부분에 포핏 밸브의 이동 방향을 따라 2갈래로 벌어진 내측 접합부 2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공은 체크 볼을 향하는 내측 접합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의 내벽에 고정되는 신축성 밸브링의 외측 부분에 포핏 밸브의 이동 방향을 따라 2갈래로 벌어진 외측 접합부 2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상기 카트리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링크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안내 보스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내 보스부를 안내하는 링크 안내부를 갖는 안내판이 상기 헤드부의 분사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버튼축의 이동을 안내하는 버튼 안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KR10-2002-0065238A 2002-10-24 2002-10-24 방향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KR10047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38A KR100474082B1 (ko) 2002-10-24 2002-10-24 방향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38A KR100474082B1 (ko) 2002-10-24 2002-10-24 방향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275A KR20040036275A (ko) 2004-04-30
KR100474082B1 true KR100474082B1 (ko) 2005-03-10

Family

ID=3733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238A KR100474082B1 (ko) 2002-10-24 2002-10-24 방향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855B1 (ko) 2003-11-27 2008-08-06 주식회사 케이엔텍 샤워 겔 충진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379B1 (ko) * 2018-07-27 2020-03-27 세비앙 주식회사 기능성 물 공급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4088U (ko) * 1989-04-14 1990-11-07
JPH04265167A (ja) * 1991-02-19 1992-09-21 Toyo Bussan Kk シャワ−ヘッド
JPH06296903A (ja) * 1993-04-16 1994-10-25 Takashi Fuji シャワーノズル
JPH08103690A (ja) * 1994-10-06 1996-04-23 Kitamura Gokin Seisakusho:Kk 浴室用シャワーヘッド
KR19990033477U (ko) * 1999-04-22 1999-08-05 이춘호 세제 자동펌프가 내장된 샤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4088U (ko) * 1989-04-14 1990-11-07
JPH04265167A (ja) * 1991-02-19 1992-09-21 Toyo Bussan Kk シャワ−ヘッド
JPH06296903A (ja) * 1993-04-16 1994-10-25 Takashi Fuji シャワーノズル
JPH08103690A (ja) * 1994-10-06 1996-04-23 Kitamura Gokin Seisakusho:Kk 浴室用シャワーヘッド
KR19990033477U (ko) * 1999-04-22 1999-08-05 이춘호 세제 자동펌프가 내장된 샤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855B1 (ko) 2003-11-27 2008-08-06 주식회사 케이엔텍 샤워 겔 충진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275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5372B1 (en) Dispenser unit with improved air supply
US7641133B2 (en) Cleaning lance
US8365962B2 (en) Lever spray pump
US6338442B1 (en) Dispenser for dispensing a product
KR20040041005A (ko) 정지 버튼을 갖는 풀아웃 스프레이 헤드
JP2005519814A (ja) 全放出分配弁
JP4253761B2 (ja) 油圧及び空圧で作動されるダイアフラムバルブ
JPH07256154A (ja) 噴霧装置
KR101248363B1 (ko) 직압 분사식 화장도구
KR100474082B1 (ko) 방향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JP2003181336A (ja) 少なくとも1種類の物質を媒体にスプレーする器具
KR20120002908A (ko) 액체 분사 장치
JP2004510560A (ja) 供給装置
JP4265018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霧容器
JP3599093B2 (ja) 内視鏡の送気送水バルブ構造
KR20140130001A (ko) 메이크업용 용액 분사장치
CN110860397A (zh) 淋浴喷头装置
KR200202736Y1 (ko)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
KR100936181B1 (ko) 잔 가스 배출 기능을 갖는 정량 분사 용기
KR102221967B1 (ko)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
JPH0585581A (ja) 容器とプツシユタイプの手動式デイスペンサ−との組合せ
JP2003024832A (ja) シャワーヘッド
JP2588608Y2 (ja) 電動スプレー
JP4425506B2 (ja) 流体吐出器
JP4756779B2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