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736Y1 -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736Y1
KR200202736Y1 KR2020000012217U KR20000012217U KR200202736Y1 KR 200202736 Y1 KR200202736 Y1 KR 200202736Y1 KR 2020000012217 U KR2020000012217 U KR 2020000012217U KR 20000012217 U KR20000012217 U KR 20000012217U KR 200202736 Y1 KR200202736 Y1 KR 200202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se
valve
container
nozzle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식
Original Assignee
최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식 filed Critical 최용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7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45D24/28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with piston pump or other types of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세팅장치와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무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스 용액을 용기로부터 자동적으로 빗에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종래의 헤어세팅장치는 용기에 직접 결합시켜 사용하게 됨으로써 빗질을 함에 있어 용기의 무게와 부피로 인해 사용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무스가 담겨진 용기 및 모터펌프를 별도로 설치하고, 모터펌프와 호스를 통해 연결된 무스 공급장치를 기존의 헤어세팅장치에 결합시켜, 헤어세팅장치의 버튼을 누르면 자동적으로 모터펌프가 구동되면서 호스를 통해 무스 용액이 공급되게 하였다.
따라서, 직접 용기와 결합시켜 사용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헤어세팅장치와 결합된 상태에서의 무게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가스통을 사용하지 않고 대용량의 무스용기를 별도로 비치하고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 및 폭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THE MOUSSE SUPPLY DEVICE FOR THE HAIR SETTING DEVICE}
본 고안은 머리모양을 연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무스를 이용하는 헤어세팅장치와 결합되어 용기로부터 무스를 헤어세팅장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업소 또는 각 가정에서 개인 등이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모발이 충분히 수분을 함유하게 한 상태에서 드라이 등으로 머리를 건조시킨 후, 스프레이나 젤 또는 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스나 젤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당량을 빗이나 손에 덜어내어 사용하게 되는데, 빗은 접촉면적이 크지 않아 소량씩 자주 묻혀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골고루 바르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용에 불편한 단점이 있고, 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 후 손에 남아있는 성분을 제거해주어야 하므로 역시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무스용기에 결합시켜 필요할 때마다 용기로부터 직접 무스 용액을 빗으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헤어세팅장치(특허 2000-8658, 실용 2000-4911)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바 있다.
도 1과 도 2는 이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헤어세팅장치는 빗(30)과, 이 빗(30)과 결합되어 용기(1)로부터 배출된 무스를 빗(30)으로 공급하는 몸체(10), 그리고 몸체(10)를 용기(1)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용기 고정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몸체(10)는 중공의 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일측에 가이드 홈(11)이 형성되어 이 부분에 빗(30)의 손잡이부(31)를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홈(11)의 내측에는 가이드 홈(11) 내측과 몸체(10)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슬릿(Slit: 13)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 고정부(20)는 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형성된 나사결합구멍(21)을 통해 몸체(10) 하단의 나사결합부(14)와 결합되고, 하부는 내경 안쪽에 형성된 턱(22)이 용기(1)의 링형 돌출부(3)와 체결되어 용기(1)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몸체(10)의 나사결합부(14) 내측에는 용기(1)측 노즐(2)과 접하는 작동밸브(40)가 설치되는데, 이 밸브(40)는 스프링(43)을 통해 상방으로 탄성을 받도록 지지되고, 축 방향 중심부에는 무스 분출구멍(41)이 형성되어 노즐(2)로부터 분사되는 무스를 몸체(10)의 중공부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이송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몸체(10)의 하부에는 스프링(43)을 통해 지지되는 누름 버튼(44)이 몸체(10)의 반경 방향으로 설치되고, 작동밸브(40)와는 경사면을 통해 서로 접함으로써 버튼(44)을 누르면 경사면끼리 미끄럼 접촉하여 버튼(44)의 수평 이동에 의해 밸브(40)는 상하 작동되어 하방으로 눌려지면서 작동 방향이 90°전환되어 밸브(40)를 하방으로 밀도록 작용하게 된다.
빗(30)은 손잡이부(31)를 몸체(10)의 가이드 홈(1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 결합시키거나 또는 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손잡이부(31)에는 가이드 홈(11)의 슬릿(13)으로부터 공급되는 무스 용액을 빗(30)의 살(33)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분출구멍(3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빗(30)을 몸체(10)와 조립하고 몸체(10)를 용기(1)에 결합시킨 후, 몸체(10) 하부의 버튼(44)을 누르게 되면 버튼(44)과 경사면을 통해 접촉되어 있는 밸브(40)가 하방으로 눌려지면서 용기(1)의 노즐(2)을 눌러 노즐(2)로부터 무스가 분사되고, 무스는 밸브(40)의 분출구멍(41)을 거쳐 몸체(10) 내측으로 들어갔다 몸체(10) 내부가 충분한 압력이 되면 다시 가이드 홈(11)의 슬릿(13)으로 배출되어 빗(30)의 손잡이부(31)의 분출구멍(32)을 통해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빗질을 하는 도중이라도 원하는 경우 버튼(44)을 누를 경우 수시로 무스를 용기(1)로부터 빗(30)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헤어세팅장치는 무스용기까지 같이 들고 사용하게 됨으로써 빗질을 함에 있어 용기의 무게와 부피로 인해 사용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헤어세팅장치와 결합되어 별도로 설치된 무스용기로부터 호스를 통해 무스를 헤어세팅장치에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용기를 들고 빗질을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게 한 무스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의 하단에 조립되며 내부가 무스 유입공간과 노즐 안착부로 구획된 밸브 하우징과, 상기 노즐 안착부에 위치되며 그 선단이 상기 밸브 하우징 상부로 돌출되어 몸체의 작동밸브와 접해짐으로써 서로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밸브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노즐과 연동하여 상기 노즐 안착부와 상기 무스 유입공간을 개폐하는 가변밸브와, 상기 무스 유입공간을 밀폐하며 일측에 무스 유입구멍을 가지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과 상기 가변밸브 사이에서 상기 가변밸브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무스 유입구멍에 일단이 연결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의 타단이 연결되며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펌프 및 이를 무스용기에 연결하는 흡입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의 누름 버튼을 누르면 누름 버튼과 경사면을 통해 접촉된 작동밸브가 눌려지면서 무스 공급장치의 분사노즐 및 이와 접해진 가변밸브를 누르게 되고, 가변밸브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무스 유입공간과 차단되어 있던 노즐 안착부가 열리면서 무스 유입공간 내 무스는 분사노즐을 통해 분출되어 노즐과 접한 작동밸브를 거쳐 몸체 내측으로 유입된다. 무스가 밸브 하우징 내측으로부터 유출됨과 동시에 밸브 하우징 내부와 호스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모터펌프의 압력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펌프가 구동되면서 용기로부터 무스를 공급받게 된다.
한편, 누름 동작을 멈추게 되면 스프링에 의해 가변밸브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면서 무스 유입공간으로부터 노즐 안착부를 차단시키게 되고, 무스 유입공간의 압력이 상승하면 압력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모터펌프의 구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헤어세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헤어세팅장치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스 공급장치를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스 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스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40 : (몸체의) 작동밸브
44 : 누름 버튼 46 : 부시(Bush)
100 : 밸브 하우징(Valve housing) 101 : 노즐 안착부
102 : 무스 유입공간 110 : 분사노즐
111 : 선회선 112, 162 : 무스 유입구
113 : 오링(O-ring) 120 : 가변밸브
121 : 고무판 122 : 스프링
130 : 차단판 131 : 무스 유입구멍
140 : 호스 고정커버 150 : 호스(Hose)
160 : 모터펌프(Motor pump) 161 : 무스 흡입관
170 : 무스용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스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무스 용액을 분출시키기 위한 작동밸브 및 누름 버튼의 구조는 종래기술의 설명을 참조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스 공급장치는 내부에 노즐 안착부(101)와 무스 유입공간(102)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100)과, 밸브 하우징(100)의 노즐 안착부(101)에 위치되며 그 선단이 밸브 하우징(100) 상부로 돌출되어 몸체(10)의 작동밸브(40)와 접해지는 분사노즐(110)과, 밸브 하우징(100)의 무스 유입공간(102) 내에 위치되며 분사노즐(11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노즐 안착부(101)와 무스 유입공간(102)을 개폐하는 가변밸브(120)와, 밸브 하우징(100) 하부에 조립되어 무스 유입공간(102)을 밀폐시키며 무스 유입구멍(131)을 가지는 차단판(130)과, 차단판(130)과 가변밸브(120) 사이에서 가변밸브(120)를 지지하는 스프링(122)과, 차단판(130)의 무스 유입구멍(131)에 일단이 연결되는 호스(150)와, 호스(150)를 통해 밸브 하우징(100)과 연결되는 모터펌프(160) 및 무스 흡입관(161)으로 이루어진다.
밸브 하우징(10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절삭되어 몸체(10)의 하단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직접 체결되거나, 또는 부시(46)를 통해 몸체(10)와 결합된다. 또한, 밸브 하우징(100) 내부는 상하로 연통되어 상부에 노즐 안착부(101)가 마련되고, 하부에 무스 유입공간(102)이 마련된 형태로 되어 있다. 무스 유입공간(102)과 노즐 안착부(101)는 무스 유입공간(102) 내에 설치되는 가변밸브(120)의 움직임에 의해 서로 연통되거나 격리되는데, 가변밸브(120)는 노즐 안착부(101)에 위치되는 분사노즐(110)과 연동되고, 분사노즐(110)은 몸체(10)의 작동밸브(40)에 의해 연동된다. 즉, 분사노즐(110)은 하부가 밸브 하우징(100) 내의 노즐 안착부(101)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선단이 밸브 하우징(100) 상면으로 돌출됨으로써 밸브 하우징(100)을 몸체(10)에 조립하게 되면, 몸체(10)의 작동밸브(40)와 단부가 서로 접해지게 된다. 따라서, 누름 버튼(44)에 의해 작동밸브(40)가 눌려져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여 가변밸브(120)를 누르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분사노즐(110)의 외주면에는 분사노즐(110)과 노즐 안착부(101) 내주면과의 사이의 기밀을 위한 오링(113)이 설치되고, 가변밸브(120)의 상면에는 노즐 안착부(101)와 무스 유입공간(102) 사이가 차단된 상태에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판(121)이 부착된다.
무스 유입공간(102)은 밸브 하우징(100) 하부에 조립되는 차단판(130)에 의해 밀폐되며, 차단판(130)은 중앙에 무스 유입구멍(131)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모터펌프(160)와 호스(150)로 연결된다. 그리고, 호스(150)를 차단판(130)에 압착, 고정하는 호스 고정커버(140)가 구비되어 밸브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차단판(130)과 가변밸브(120) 사이에는 스프링(122)이 설치되어 가변밸브(120)를 상방으로 지지함으로써 가변밸브(120)가 노즐 안착부(101)와 무스 유입공간(102)을 격리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모터펌프(160)는 압력센서(도시안됨)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무스 흡입관(161)을 통해 용기(170) 내측과 연결되며, 호스(150) 내부 즉, 밸브 하우징(100) 내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자동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분사노즐(110)과 무스 흡입관(161)은 하단 측면에 다수의 무스 유입구(112, 162)를 가지는 형태로서 분사노즐(110) 및 무스 흡입관(161)의 단부가 가변밸브(120)의 상면 또는 용기(170) 내부의 바닥면과 밀착하게 되더라도 측면을 통해 무스의 유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하고 있으며, 특히 분사노즐(110)의 내주면에는 선회선(111)이 형성되어 무스가 노즐(110) 내부를 통과하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자연적으로 거품이 발생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스 공급장치의 사용 방법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대량의 무스용액이 담겨진 무스용기(170)를 별도의 공간에 고정 설치하고, 이와 근접한 위치에 모터펌프(160)를 설치한 뒤 모터펌프(160)와 무스용기(170)를 무스 흡입관(161)을 통해 연결시킨다. 그리고, 헤어세팅장치의 몸체(10)에 밸브 하우징(100)을 조립하고, 밸브 하우징(100) 하부의 차단판(130)의 무스 유입구멍(131)에 호스(150)를 끼워 모터펌프(160)와 연결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 모양을 연출하기 위해 몸체(10)의 누름 버튼(44)을 누르게 되면, 누름 버튼과 경사면을 통해 접촉되어 있는 작동밸브(40)가 눌려지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무스 공급장치의 분사노즐(110)을 누르게 되고, 분사노즐(110)과 함께 가변밸브(120)가 눌려지면서 가변밸브(120)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무스 유입공간(102)과 노즐 안착부(101)가 서로 통하게 되면서 무스 유입공간(102)내 무스는 분사노즐(110)을 통해 분출되어 노즐(110)과 접한 작동밸브(40)를 거쳐 몸체(10)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분사노즐(110)을 통과하는 무스는 노즐(110)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선회선(111)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자연적으로 거품을 발생하면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무스가 빠져나가면서 밸브 하우징(100) 내부 즉, 무스 유입공간(102) 내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압력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모터펌프(160)가 구동되면서 흡입관(161)을 통해 용기(170)로부터 무스용액을 공급받게 된다.
한편, 누름 동작을 멈추게 되면 스프링(122)의 탄성에 의해 가변밸브(120)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면서 무스 유입공간(102)으로부터 노즐 안착부(101)를 격리시키게 되고, 무스 유입공간(102) 내부로 무스 용액이 유입되면서 압력이 상승하면 압력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모터펌프(160)의 구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스 공급장치는 기존의 헤어세팅장치에 그대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헤어세팅장치에 직접 용기를 결합시키는 것에 비해 전체적인 무게나 크기가 소형, 경량화 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은 가스통 형태가 아닌 대용량의 무스용기를 별도로 비치하고 사용하게 됨으로써 환경 오염 및 폭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원가절감의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내부에 이송로를 가지는 중공의 관 형태로서 외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가이드홈의 내주에는 내부 이송로와 연통하는 슬릿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이송로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축 방향으로 무스 분출구멍이 형성된 작동밸브와, 몸체의 하부에 반경 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프링을 통해 지지되며, 작동밸브와는 경사면을 통해 접함으로써 그 누름 동작시 작동밸브를 몸체 하방으로 밀도록 작용하는 누름 버튼과, 손잡이부가 가이드홈에 끼워져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손잡이부에는 복수개의 무스 분출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빗을 구비하는 헤어세팅장치와 결합되어 용기 내의 무스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조립되며, 내부가 상하로 연통되면서 하부의 무스 유입공간(102)과 상기 무스 유입공간(102) 상부의 노즐 안착부(101)로 구획된 밸브 하우징(100)과,
    상기 노즐 안착부(101)에 위치되며, 그 선단이 상기 밸브 하우징(100) 상부로 돌출되어 몸체(10)의 작동밸브(40)와 접해짐으로써 서로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밸브(40)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분사노즐(110)과,
    상기 분사노즐(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그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노즐 안착부(101)와 상기 무스 유입공간(102)을 개폐하는 가변밸브(120)와,
    상기 밸브 하우징(100) 하단에 조립되어 상기 무스 유입공간(102)을 밀폐시키며, 일측에 무스 유입구멍(131)을 가지는 차단판(130)과,
    상기 가변밸브(120)가 상기 노즐 안착부(101)와 상기 무스 유입공간(102)을 격리시키도록 상기 차단판(130)과 상기 가변밸브(120) 사이에서 상기 가변밸브(120)를 지지하는 스프링(122)과,
    상기 차단판(130)의 무스 유입구멍(131)에 일단이 연결되는 호스(150)와,
    상기 호스(150)의 타단이 연결되며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펌프(160)와,
    상기 모터펌프(160)와 상기 무스용기(170)를 연결하는 무스 흡입관(16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10)은 내주면에 선회선(111)이 형성되어 무스가 이송되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10) 및 상기 흡입관(161)은 하단 측면에 다수의 무스 유입구(112, 16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밸브(120)는 상면에 고무판(121)이 부착되어 상기 무스 유입공간(102)과 상기 노즐 안착부(10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150)를 상기 차단판(130)에 압착, 고정하는 호스 고정커버(1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 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10)과 상기 노즐 안착부(101) 내주면과의 사이에 기밀을 위한 오링(11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 공급장치.
KR2020000012217U 2000-04-28 2000-04-28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 KR20020273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873A KR100367447B1 (ko) 2000-04-28 2000-04-28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873A Division KR100367447B1 (ko) 2000-02-23 2000-04-28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736Y1 true KR200202736Y1 (ko) 2000-11-15

Family

ID=196675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217U KR200202736Y1 (ko) 2000-04-28 2000-04-28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
KR10-2000-0022873A KR100367447B1 (ko) 2000-02-23 2000-04-28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873A KR100367447B1 (ko) 2000-02-23 2000-04-28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27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501A (ko) * 2001-06-20 2002-12-31 최용식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KR200476105Y1 (ko) 2012-10-19 2015-01-29 메이-리 쳉 밸브체의 위치 고정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872B1 (ko) * 2020-06-24 2021-03-10 이종태 가스타입 스프레이 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897A (ko) * 1994-08-08 1996-03-22 원인호 리듬 매트리스의 제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501A (ko) * 2001-06-20 2002-12-31 최용식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KR200476105Y1 (ko) 2012-10-19 2015-01-29 메이-리 쳉 밸브체의 위치 고정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7447B1 (ko) 2003-01-10
KR20010104453A (ko) 200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424B1 (ko) 에어브러시
AU2014409667B2 (en) Airbrush
KR100375716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KR101450363B1 (ko) 착색 액체 분무 장치
US4972975A (en) Automatic spray can
JP2003523238A (ja) ヘアセッティング装置
KR101893968B1 (ko) 에어브러시
US5192009A (en) Device for spraying fluids, having electrically operated air compressor and free blowing nozzle
KR20150007187A (ko)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
KR102157834B1 (ko) 복수의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조립체
JPH02135167A (ja) 自動噴射ノズル
US5405060A (en) Liquid spray device
KR200202736Y1 (ko)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
JP4863256B2 (ja) 吸引式噴射器
KR200192515Y1 (ko) 헤어 세팅 장치
CN210502083U (zh) 手持一体式喷笔
KR200209906Y1 (ko) 모터펌프를 이용한 헤어세팅장치
KR100398270B1 (ko) 모터펌프를 이용한 헤어세팅장치
CN210257748U (zh) 手持一体式喷笔的开关控制结构
KR200494676Y1 (ko) 버튼식 헤어 염색기
CN210252781U (zh) 手持一体式喷笔的带锁开关控制机构
CN214864487U (zh) 一种连接结构和喷雾花洒
KR100474082B1 (ko) 방향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JP2588608Y2 (ja) 電動スプレー
KR100445937B1 (ko) 다용도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