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908A - 액체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908A
KR20120002908A KR1020100133493A KR20100133493A KR20120002908A KR 20120002908 A KR20120002908 A KR 20120002908A KR 1020100133493 A KR1020100133493 A KR 1020100133493A KR 20100133493 A KR20100133493 A KR 20100133493A KR 20120002908 A KR20120002908 A KR 2012000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ase plate
liquid
wall
seal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오-청 팽
Original Assignee
쿠오-청 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오-청 팽 filed Critical 쿠오-청 팽
Publication of KR2012000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44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having a dispensing opening formed in the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05B11/029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located on top of the remaining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액체 분사 장치는 액체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챔버(22)의 경계를 나타내고 개방 상단부(221)을 가진 용기(2)를 포함한다.
압력 기계장치(3)는 개방 상단부(221)을 덮고 챔버(22)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실링 밸브(31)와 실링 밸브(31) 보다 상위에 배치하며 챔버(22) 내에서 실링 밸브(31)를 이동시키는 압력 시트(32)를 포함한다.
실링 밸브(31)는 챔버(22)의 내부와 대면하는 변형막(312)과 액체 물질의 압력을 조정한다.
압력 시트(32)는 베이스 플레이트(321)와 변형막(312)과 연결되는 하단 끝단부(325)를 가지고 베이스 플레이트(321)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압력 막대(323)를 포함한다.
변형막(312)는 압력 막대(323)에 의해 압력을 받을 때 변형되고 최초 형태로 복원되는 경우 흡입력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액체 분사 장치{Liquid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 분사 장치로서, 특히 액체 또는 페이스트 물질을 저장하고 액체 또는 페이스트 물질을 얻기 위해 압력 방법을 사용하는 액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체 분사 장치(1)는 압력 기계장치(12)를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기 위한 커버(14)와 분사 채널(112)이 제공되는 경우, 챔버(111) 내에 형성된 압력 기계장치(12)와 분사 기계장치(13), 분사 채널(112)과 챔버(111)를 나타내는 용기(11)를 포함한다.
용기(11)는 챔버(111)와 분사 채널(112) 간 유동적으로 이동하기 위한 관통홀(113)을 가진다.
압력 기계장치(12)는 압력 플레이트(124)와 실링 밸브(121)의 바닥벽(126)에 대하여 인접하고 양쪽 반대쪽 끝단부를 가진 스프링 구성부(127), 압력 플레이트(124)와 피스톤 시트(123)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압력 플레이트(124)와 피스톤 시트(123)를 연결하는 링크 로드(125), 실링 밸브(121) 보다 상위에 위치한 압력 플레이트(124), 실링 밸브(121)의 피스톤 챔버(122) 내에 형성된 피스톤 시트(123) 및 용기(11)의 개방 상단부를 덮고 챔버(111) 내부에서 위아래로 이동 가능한 실링 밸브(121)를 포함한다.
분사 기계장치(13)는 분사 채널(112) 보다 상위에 위치하고 액체 배출구(131)를 개폐하기 위한 분사 시트(132) 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밸브 로드(133)와 분사 채널(112)과 함께 유동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액체 배출구(131)를 형성한 분사 시트(132)를 포함한다.
종래의 액체 분사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커버(14)가 압력 기계장치(12)를 아래 방향으로 푸쉬하여 압력을 받아야 한다.
압력 기계장치(12)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피스톤 시트(123)와 실링 밸브(121)는 챔버(111) 내부의 액체 물질을 밀어내어 관통홀(113)과 분사 채널(112)을 통해 흘러 넘치게 한다.
액체 물질은 분사 시트(132)로부터 부분적으로 밸브 로드(133)를 밀어내서 액체 배출구(131)을 개방하게 되고 분사 기계장치(13)을 폐쇄 상태에서 분사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커버(14) 상의 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 구성부(127)는 압력 플레이트(124)와 피스톤 시트(123)에 대하여 상부 방향을 향하여 편향된다.
피스톤 시트(123)가 상부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피스톤 시트(123)는 챔버(111) 내에 있는 분사 채널(112)의 액체 물질을 뽑아내기 위해 흡입력을 생성한다. 여기서, 흡입력은 액체 배출구(131)을 폐쇄하기 위하여 분사 시트(132) 속으로 밸브 로드(133)를 후진하는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이로 인하여 분사 기계장치(13)는 분사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이동한다.
그러나 흡입력은 분사 기계장치(13)가 폐쇄 상태에서 회복되도록 챔버(111) 내부에서도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압력 기계장치(12)의 형태가 복잡하기 때문에 압력 기계장치(12)를 액체 분사 장치에 조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 분사 장치를 구성하는 용기와 압력 기계장치, 분사 기계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사용성과 조립성이 뛰어난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는 용기와 압력 기계장치를 포함한다.
용기는 액체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챔버의 경계를 나타내고 개방 상단부를 가진다.
압력 기계장치는 개방 상단부을 덮고 챔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실링 밸브 보다 상위에 배치하며 챔버 내에서 실링 밸브를 이동시키는 압력 시트를 포함한다.
실링 밸브는 챔버의 내부와 대면하는 변형막과 액체 물질의 압력을 조정한다. 압력 시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변형막과 연결되는 하단 끝단부를 형성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압력 막대를 포함한다.
변형막은 압력 막대에 의해 압력을 받을 때 변형되고 최초 형태로 변형되는 경우 흡입력을 생성한다.
실링 밸브 상의 변형막을 제공하기 때문에, 압력 시트의 압력 막대의 사용은 변형막의 복원과 변형을 제어하고 액체 물질을 변형막에 의해서 챔버 내부로 끌어 당긴다.
본 발명은 액체 분사 장치를 구성하는 압력 기계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고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구조, 분사 기계장치 및 조립체 상태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액체 분사 장치와 동일한 결과를 도출하면서 조립체 용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에 대한 분해 조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분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조립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용기(Receptacle) 3: 압력 기계장치(Press Mechanism)
4: 커버(Cover) 5: 분사 기계장치(Dispensing Mechanism)
22: 챔버(Chamber) 31: 실링 밸브(Sealing Valve)
32: 압력 시트(Press Seat) 41: 상단면(Top Wall)
42: 커버 주변벽(Surrounding Wall) 51: 포지셔닝 시트(Positioning Seat)
52: 분사 시트(Dispensing Seat) 54: 밸브 막대(Valve Rod)
53: 연결 호스(Connecting Hose) 221: 개방 상단부(Top Opening)
213: 용기 주변벽(Surrounding Wall) 214: 삽입부(Insert Portion)
311: 실링 밸브 주변벽(Peripheral Wall)
312: 변형막(Deformable Membrane) 313: 연결 튜브(Connecting Tube)
321: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322: 고리 모양의 벽(Looped Wall)
323: 압력 막대(Press Rod) 327: 액체관(Liquid Passage)
422: 축 연장 슬롯(Axially Extending Slot)
521: 분사 시트 주변벽(Surrounding Wall)
524: 액체 배출구(Liquid Outlet)
525: 배출 튜브(Outlet Tub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나타내는 동일한 구성요소가 언급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는 용기(2), 압력 기계장치(3), 커버(4) 및 분사 기계장치(5)로 구성한다.
용기(2)는 바닥벽(212)과 용기 주변벽(213)을 포함한다. 용기 주변벽(213)은 바닥벽(212)의 외부의 주변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삽입부(214)는 용기 주변벽(213)의 상단 끝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바닥벽(212)과 용기 주변벽(213)은 조합하여 액체 물질을 저장하는 챔버(22)의 경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챔버(22)는 개방 상단부(221)를 포함한다.
압력 기계장치(3)는 챔버(22)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고 개방 상단부(221)를 폐쇄하는 실링 밸브(31)와 실링 밸브(31) 보다 상위에 형성된 압력 시트(32)를 포함한다.
실링 밸브(31)는 챔버(22)의 내부로 향하는 변형막(312)을 가지며, 액체 물질의 압력을 조정하고 실링 밸브 주변벽(311), 연결 튜브(313) 및 변형막(312)을 포함한다.
실링 밸브 주변벽(311)은 용기 주변벽(213)의 내부벽 표면(211)에 대하여 인접하고 변형막(312)의 외부의 주변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튜브(313)는 삽입부(214)의 근접한 변형막(312)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채널(310)을 나타내기 위한 장치이다.
변형막(312)은 반구형(Dome) 형태를 가지고 볼록하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변형막(3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주변의 면으로부터 측정된 최대 높이(H1)를 가진다.
고정홀(314)은 변형막(312)의 가장 높은 부분에 생성된다.
압력 시트(32)는 베이스 플레이트(321), 고리 모양의 벽(322) 및 압력 막대(323)를 포함한다.
고리 모양의 벽(322)은 베이스 플레이트(321)의 외부 주변과 근접한 위치로 베이스 플레이트(32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압력 막대(323)는 베이스 플레이트(321)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321)는 삽입부(214)와 근접한 위치에 절단부(324)를 포함한다.
압력 막대(323)는 하단 끝단부에서 변형막(312)의 가장 높은 부분에 생성된 고정홀(314)과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밸브(31)의 실링 밸브 주변벽(311)의 상단 끝단부(315)와 베이스 플레이트(321)의 바닥면(326) 간의 공간부(H2)는 변형막(312)의 최대 높이(H1)보다 더 작다.
커버(4)는 압력 기계장치(3)를 하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21)의 유사한 형태를 가진 상단면(41)과 고리 모양의 벽(322) 주위로 알맞게 덧씌우고 상단면(41)의 외부 주변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버 주변벽(42)을 포함한다.
커버 주변벽(42)은 삽입부(214)와 대면하는 볼록 부분(421)과 하부 방향으로 개방된 축 연장 슬롯(422)을 가진다.
분사 기계장치(5)는 용기(5)에 장착되고 분사 상태와 폐쇄 상태 간을 이동한다.
분사 기계장치(5)는 포지셔닝 시트(51)와 포지셔닝 시트(51)에 장착된 분사 시트(52)을 포함한다.
포지셔닝 시트(51)는 관 모양의 벽(512)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슬리브(5121)와 관 모양의 벽(51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 연결홀(511)을 포함한다.
포지셔닝 벽(513)은 관 모양의 벽(512)으로부터 일정 공간으로 떨어진 외부에 형성되고 삽입부(214)와 맞물려 있다.
제1 상단벽(514)은 관 모양의 벽(512)과 포지셔닝 벽(513)을 연결한다.
분사 시트(52)는 제1 상단벽(514)에 의해 지지되고 그 위에 장착되는 분사 시트 주변벽(521)을 포함한다.
관 모양의 벽(523)은 분사 시트 주변벽(521)으로부터 일정 공간으로 떨어져서 형성되고 연결홀(511)의 아래쪽으로 삽입되고 제2 채널(522)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상단벽(520)은 분사 시트 주변벽(521)과 관 모양의 벽(523)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배출 튜브(525)는 분사 시트 주변벽(521)의 일측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고 제2 채널(522)을 유동적으로 전달하는 액체 배출구(524)의 경계를 나타내며 슬롯(422)에서 연장되어 있다.
나선형 연결 호스(53)는 슬리브(5121) 상에 적당하게 덧씌워지는 양쪽 끝단부와 제1 채널(310), 제2 채널(522)을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튜브(313)를 포함한다.
밸브 막대(54)는 액체 배출구(524)를 개폐하기 위한 배출 튜브(525) 안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관 모양의 벽(523)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체 분사 장치는 미사용 상태 또는 저장 상태인 경우, 배출 튜브(525)는 슬롯(422)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커버(4) 내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장치 용량이 최소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배출 튜브(525)의 존재로 인하여 커버(4)는 우발적으로 액체가 분사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프레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체 분사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커버(4)가 제거되고 배출 튜브(525)는 커버(4)의 반대 방향 즉, 외부로 배치되도록 포지셔닝 시트(51) 쪽으로 회전시킨다.
커버(4)가 하부 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면, 커버(4)는 압력 시트(32)를 푸쉬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압력 시트(32)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력 막대(323)는 변형막(312)에 압력을 가하거나 변형시킨다.
중력은 압력 기계장치(3)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막(312)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변형되면, 액체 물질은 연결 호스(53)를 통해 제1 채널(310)과 제2 채널(522)로부터 이동하도록 압력을 받는다.
액체 물질은 밸브 막대(54)를 푸쉬하여 배출 튜브(525)를 이동시키고, 액체 배출구(524)를 개방시킨다. 이로 인하여 분사 기계장치(5)를 도 5에 도시된 폐쇄 상태로부터 도 6에 도시된 분사 상태로 이동시킨다.
커버(4) 상의 압력이 해제되면, 압력 기계장치(3)는 미리 결정된 동작 상태를 멈출 것이고 변형막(312)을 원래 초기 상태로 복귀하며 챔버(22)의 뒤부분의 분사 기계장치(5)에서 액체 물질을 끌어 당기기 위해서 흡입력을 생성한다.
커버(4)를 내리 누름으로 인하여 액체 배출구(524)는 자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분사 장치의 단순한 구조는 사용하기 쉽고 조립하기가 쉽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용기(2)의 용기 주변벽(213)은 용기 주변벽(213)의 일측으로부터 외형적이고 축방향으로 돌출된 두꺼운 벽 부분(215)과 용기 주변벽(213)의 길이에 따라 연장된 분사 채널(23)를 형성한다.
두꺼운 벽 부분(215)은 바닥 끝부분에 챔버(22)와 분사 채널(23)을 유동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관통홀(216)을 형성한다.
더 나아가 변형막(312)과 베이스 플레이트(321)는 돔 형태를 가진다.
변형막(312)는 볼록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21)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며, 반면에 베이스 플레이트(321)는 볼록하고 변형막(312)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압력 막대(323)는 베이스 프레이트(321)의 가장 낮은 하단 끝단부로부터 변형막(312)의 가장 높은 상단 끝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분사 기계장치(5)는 두꺼운 벽 부분(215)의 상단 끝단부에 장착된 분사 시트(52)와 배출 튜브(525) 및 배출 튜브(525) 안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밸브 막대(54)를 포함한다.
용기(2)의 구조, 분사 기계장치(5) 및 조립체 상태를 변경함에 따라 즉, 이러한 단순한 구조는 유사한 결과를 성취하고 쉬운 조립이 가능한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 압력 막대(323)는 압력 막대(323)의 상하부 끝단부을 관통하여 연장된 액체관(323)을 가지고 챔버(22)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21) 보다 상위의 공간까지 유동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챔버(22)에서의 액체 물질은 액체관(327)을 통하여 짜내어진다.
커버(4) 상의 아래 방향의 압력이 해제되면, 변형막(312)은 최초 상태로 복원되고 액체관(327)에서의 액체 물질을 챔버(22) 속으로 복원하여 끌어 당기기 위한 흡입력을 생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액체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챔버(22)의 경계를 나타내고 개방 상단부(221)을 가진 용기(2); 및
    상기 개방 상단부(221)을 덮고 상기 챔버(22)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챔버(22)의 내부와 대면하는 변형막(312)과 액체 물질의 압력을 조정하는 실링 밸브(31)와, 상기 실링 밸브(31) 보다 상위에 배치하고 상기 챔버(22) 내에서 상기 실링 밸브(31)를 이동시키며 베이스 플레이트(321)를 가진 압력 시트(32)와, 상기 변형막(312)과 연결되는 하단 끝단부(325)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1)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압력 막대(323)를 형성하는 압력 기계장치(3)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막(312)은 상기 압력 막대(323)에 의해 압력을 받을 때 변형되고 최초 형태로 복원되는 경우 흡입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막(312)은 볼록하고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돔 형태를 가지고 상기 변형막(312)의 가장 높은 상단 부분과 연결되는 상기 압력 막대(323)의 하단 끝단부(325)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밸브(31)는 상기 변형막(312)의 외부 주변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연장되고 상기 용기(2)의 내부벽 표면(211)에 대하여 인접한 실링 밸브 주변벽(3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형막(312)의 외부 주변의 면으로부터 측정된 최대 높이(H1)는 상기 실링 밸브 주변벽(311)의 상단 끝단부(315)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1) 간의 공간부(H2)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에 장착되고 분사 상태와 폐쇄 상태로 변경되는 분사 기계장치(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시트(3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고리 모양의 벽(3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 모양의 벽(322)에 끼워 맞춰 넣는 커버(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는 바닥벽(212)과, 상기 바닥벽(212)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용기 주변벽(213)과, 상기 용기 주변벽(213)의 상단 끝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부(214)와, 상기 실링 밸브(31)는 제1 채널(310)의 경계를 나타내는 연결 튜브(313)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기계장치(5)는 삽입부(214)와 맞물리고 연결홀(511)를 가진 포지셔닝 시트(51)와, 상기 포지셔닝 시트(51)에 장착되고 제2 채널(522)를 가지는 분사 시트(52)와, 상기 제2 채널(522)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액체 배출구(524)와, 상기 액체 배출구(524)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분사 시트(52)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밸브 막대(54)와, 상기 제1 채널(310)과 제2 채널(522)을 유동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 호스(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는 상단면(41)과 상기 상단면(41)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주변벽(42)과 상기 고리 모양의 벽(322)의 주위로 알맞게 덧씌우며, 축 연장 슬롯(422)을 가진 상기 커버 주변벽(42)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 시트(52)는 상기 액체 배출구(524)와 상기 축 연장 슬롯(422)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배출 튜브(52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축 연장 슬롯(422)을 가진 커버 주변벽(42)을 형성한 커버(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 기계장치(5)는 상기 용기(2) 상에 장착되는 분사 시트(52)와 상기 축 연장 슬롯(422)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배출 튜브(5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막(312)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1)는 돔 형태이고, 상기 변형막(312)은 볼록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1)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1)는 볼록하고 상기 변형막(312)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며, 상기 압력 막대(323)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1)의 가장 낮은 하단 끝단부로부터 상기 변형막(312)의 가장 높은 상단 끝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막대(323)는 상기 압력 막대(323)의 상하부 끝단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액체관(327)을 형성하고 상기 챔버(2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1) 보다 상위의 공간부까지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KR1020100133493A 2010-07-01 2010-12-23 액체 분사 장치 KR201200029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121656 2010-07-01
TW099121656A TW201202101A (en) 2010-07-01 2010-07-01 Pressing type storag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08A true KR20120002908A (ko) 2012-01-09

Family

ID=4537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493A KR20120002908A (ko) 2010-07-01 2010-12-23 액체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53884B2 (ko)
JP (1) JP5090517B2 (ko)
KR (1) KR20120002908A (ko)
FR (1) FR2962115A1 (ko)
TW (1) TW2012021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4942A1 (en) * 2009-03-03 2012-05-24 Gidi Shani Volume adjusted preservation containment system
US9321064B2 (en) * 2010-09-24 2016-04-26 Blake Vanier Drinking vessel with pump and methods
US20180297049A1 (en) * 2017-04-18 2018-10-18 Umbra Llc Liquid pump dispenser
CN109649822A (zh) * 2019-01-18 2019-04-19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一种打气盖
CN110803402B (zh) * 2020-01-08 2020-04-24 烟台虹月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方便取用的乳化剂存储罐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843A (en) * 1893-05-09 Pneumatic oil-can
US862867A (en) * 1906-03-28 1907-08-06 Lewis Watson Eggleston Pneumatic pumping apparatus.
US2098160A (en) * 1935-02-25 1937-11-02 Palmer L Perritt Dispensing device
US2105370A (en) * 1937-07-21 1938-01-11 Lawrence A Paul Dispenser
US2443146A (en) * 1945-09-17 1948-06-08 George S Pyles Apparatus for flowing viscous liquids, including a by-pass between a pump outlet andthe liquid chamber
JPS4716851U (ko) * 1971-03-24 1972-10-27
JPS4728439U (ko) * 1971-04-19 1972-12-01
US3777941A (en) * 1972-08-17 1973-12-11 H Riddle Fluid dispensing cover
US3877614A (en) * 1973-05-22 1975-04-15 Robert E Murphy Non-spillable liquid dispensing system
US4120427A (en) * 1976-12-29 1978-10-17 Republic Tool & Manufacturing Corp. Powder gun
US4420098A (en) * 1981-11-10 1983-12-13 Bennett Robert A Bellows actuated foam dispenser
DE3224199A1 (de) * 1982-06-29 1983-12-29 Josef Wischerath GmbH & Co, 5000 Köln Spender fuer pastoese produkte
EP0196737B2 (en) * 1985-01-28 1991-11-06 Earl Wright Company Foam dispensing device
FR2656854B2 (fr) * 1989-02-24 1994-11-25 Raoul Laffy Recipient ou flacon aseptique conservateur d'un produit non pateux.
FR2743353B1 (fr) * 1996-01-08 1998-03-27 Sofab Embout de distribution de produits liquides ou pateux
US5957340A (en) * 1998-03-16 1999-09-28 W. Braun Company Container with surmounting bellows pump
US7575134B2 (en) * 2005-03-17 2009-08-18 Martin James H Self-sealing nozzle for dispensing apparatus
DE102006012302A1 (de) * 2006-03-15 2007-09-27 Seaquist Perfect Dispensing Gmbh Abgabevorrichtung
JP2007297120A (ja) * 2006-05-02 2007-11-15 Polymer Systems:Kk カートリッジ
TW200836986A (en) * 2007-03-02 2008-09-16 guo-zhong Fang Pumping-type container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2101A (en) 2012-01-16
US20120000942A1 (en) 2012-01-05
US8453884B2 (en) 2013-06-04
FR2962115A1 (fr) 2012-01-06
TWI403437B (ko) 2013-08-01
JP2012012111A (ja) 2012-01-19
JP5090517B2 (ja)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US8297480B2 (en) Air-pump type discharger and dispenser for daily necessaries including the same
KR101219011B1 (ko) 디스펜서 펌프버튼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120002908A (ko) 액체 분사 장치
JP4772419B2 (ja) 液体吐出装置
JP2008080087A (ja) 化粧品容器の化粧品吐出構造
KR101355654B1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KR101778578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309857B1 (ko) 출몰노즐형 화장품 용기
KR101310246B1 (ko)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JP5454915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1271151B1 (ko)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JP4790077B1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
KR20120060043A (ko) 디스펜서용 펌프버튼
JP5732312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352541B1 (ko) 펌핑시 소리가 나는 토출 펌프
JP2013060217A (ja) 液体吐出装置
KR101042646B1 (ko)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펜서
KR101355655B1 (ko) 잔존물 제거를 위한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EP2904931A9 (en)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753843B1 (ko) 탄성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용기
KR200369051Y1 (ko) 이동 스톱퍼를 갖춘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KR101751982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