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967B1 -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967B1
KR102221967B1 KR1020190055036A KR20190055036A KR102221967B1 KR 102221967 B1 KR102221967 B1 KR 102221967B1 KR 1020190055036 A KR1020190055036 A KR 1020190055036A KR 20190055036 A KR20190055036 A KR 20190055036A KR 102221967 B1 KR102221967 B1 KR 102221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valve
opening
shower head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604A (ko
Inventor
조휴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
Priority to KR102019005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9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0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샤워기 헤드의 장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샤워기 헤드의 공통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내측유로관 및 외측유로관과, 상기 내측유로관과 공통유로를 연통시키는 연통유로가 구비되는 밸브하우징을 포함하는 밸브장착케이스; 및 상기 밸브장착케이스의 밸브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유로관이 개폐되도록 밸브하우징의 연통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샤워기 헤드로 화장수를 흐르게 하거나 그 흐름을 정지시키는 구성을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동을 편리하게 하고, 화장수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Description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FLUID DUCT OPENING OR CLOSING APPARATUS OF SHOWER HEAD}
본 발명은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수도꼭지 부분과 플렉시블관에 의해 연결되어 수도꼭지 부분의 밸브를 열게 됨에 따라 수돗물이 샤워기의 헤드를 통해 분사된다. 사용자는 샤워기 헤드를 통해 분사되는 수돗물로 신체를 샤워하거나 머리카락을 감게 된다. 아울러, 신체를 샤워시신체를 더욱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샴푸나 바디워시 등의 세제나 화장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샴푸나 바디워시 등은 샤워를 할 때 필요한 것으로서, 가정이나 숙박업소에는 욕실의 한 곳에 세제가 담겨진 용기들이 보관되어 있고, 사용자는 세제가 수용된 용기를 펌핑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용기를 뒤집은 후 짜내어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세제를 사용할 때 수도꼭지 부분에 있는 밸브를 닫고 용기의 내부에 채워진 세제를 꺼내어 사용하게 되므로 불편하게 될 뿐만 아니라 욕실의 한 곳에 용기를 비치하게 되므로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6978호(2014. 06. 23. 공개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샤워기 헤드 몸체 내부에 세제가 채워진 세제수용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세제수용부에세제공급관이 연결되고 그 세제공급관의 출구가 분사캡에 연결되고 분사캡측에세제공급관의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개폐부재를 열게 되면 세제수용부에 채워진 세제가 하중에 의해 세제공급관을 통해 유출되어 분사캡의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세제수용부에 채워진 세제가 자중에 의해 세제공급관을 통해 분사캡으로 공급되므로 샤워기를 세우거나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는 세제수용부의 세제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화장수 분사기능을 갖는 샤워기(출원번호 10-2019-0011739호)에는 샤워기의 손잡이 내부에 화장크림이 채워진 카트리지를 장착하고 그 카트리지를 통해 일반수가 유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하고 그 유로를 통해 흐르는 화장크림이 녹은 일반수, 즉 화장수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화장수의 유로를 개폐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샤워기 헤드로 화장수를 흐르게 하거나 그 흐름을 정지시키는 구성을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동을 편리하게 하는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수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샤워기 헤드의 장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샤워기 헤드의 공통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내측유로관 및 외측유로관과, 상기 내측유로관과 공통유로를 연통시키는 연통유로가 구비되는 밸브하우징을 포함하는 밸브장착케이스; 및 상기 밸브장착케이스의 밸브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유로관이 개폐되도록 밸브하우징의 연통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밸브장착케이스의 내측유로관을 개폐함에 따라 상기 내측유로관으로 화장수가 흐르거나 그 흐름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워기 헤드의 장착부는 샤워기 헤드의 단부로부터 설정된 깊이까지 형성된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도록 장착홀의 반경 방향으로 샤워기 헤드의 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버튼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유닛은 가압된 상태에서 전진하여 상기 연통유로를 열고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후진하여 상기 연통유로를 닫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밸브하우징에 삽입되며 내부에 밸브하우징의 연통유로와 연통되는 밸브유로가 구비된 밸브유로형성체와, 상기 밸브유로형성체에 관통 삽입되어 왕복 움직임에 의해 상기 밸브유로형성체의 밸브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스템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밸브스템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밸브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밸브유로형성체를 지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샤워기 헤드의 장착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밸브스템의 단부에 결합되어 밸브스템을 누르거나 그 누름을 해제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유로형성체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제1 내경과 제1 외경을 갖는 제1 환형부와, 상기 제1 환형부의 일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연장 형성되어 사이에 통로들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바들과, 상기 가이드바들의 외면을 연결한 외경과 상응하는 제2 내경과 상기 제1 환형부의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가지며 한쪽 단부가 상기 가이드바들의 단부를 감싸도록 연결되는 제2 환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스템은 균일한 외경과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부와, 상기 환봉부의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버튼에 결합되는 버튼결합부와, 상기 환봉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환봉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유로형성체의 밸브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단부에 환형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유닛은 한 번 가압하고 그 가압을 해제하면 전진하여 상기 연통유로를 열고, 한 번 더 가압하고 그 가압을 해제하면 후진하여 상기 연통유로를 닫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밸브하우징에 삽입되며 내부에 밸브하우징의 연통유로와 연통되는 밸브유로가 구비된 밸브유로형성체와,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임에 의해 밸브유로형성체의 밸브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제1 압축스프링과, 상기 밸브유로형성체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에 연결되며 한 번 누르고 그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밸브체를 전진시켜 밸브유로형성체의 밸브유로를 막고 한 번 더 누르고 그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밸브체를 후진시켜 밸브유로형성체의 밸브유로를 열게 하는 밸브체누름어셈블리와, 상기 밸브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밸브유로형성체를 지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샤워기 헤드의 장착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밸브체누름어셈블리의 단부에 결합되는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체누름어셈블리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한쪽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정된 깊이를 갖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한쪽면에 제1 톱니들이 구비된 누름체와, 상기 누름체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2 압축스프링과,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부의 한쪽 부분 외주면에 연장 돌출된 원형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판부에 일측면에 상기 제1 톱니들과 맞물리는 제2 톱니들이 구비되어 환봉부의 한쪽이 누름체의 삽입홀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밸브체에 결합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에 따라 일반수와 화장수가 선택적으로 샤워기 헤드의 분사면을 통해 분사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아울러, 개폐유닛이 밸브유로형성체, 밸브스템, 압축스프링, 스토퍼, 버튼을 포함하거나, 밸브유로형성체, 밸브체, 제1 압축스프링, 밸브체누름어셈블리, 스토퍼, 버튼을 포함하게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유닛의 제2 실시예는 사용자가 버튼을 한 번 누르고 그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화장수가 샤워기 헤드의 분사면을 통해 분사되고 이어 버튼을 한 번 더 누르고 그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화장수가 샤워기 헤드의 분사면을 통해 분사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유닛의 제1 실시예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만 화장수가 샤워기 헤드의 분사면을 통해 분사되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화장수가 샤워기 헤드의 분사면을 통해 분사되지 않게 되므로 샤워기의 사용을 마친 상태에서 샤워기 헤드와 손잡이 그리고 샤워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잔류하는 일반수에 의해 카트리지의 화장크림이 녹아 샤워기 헤드의 분사면을 통해 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화장수의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샤워기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의 열림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유닛의 제2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유닛의 제2 실시예의 열림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샤워기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샤워기의 일예는, 샤워기 헤드(100)와, 그 샤워기 헤드(100)에 결합되는 샤워기 손잡이(200)와, 그 샤워기 손잡이(20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샤워기 손잡이(200) 내부를 내측유로와 외측유로로 형성하며 내부에 화장크림이 채워진 카트리지(300)와, 샤워기 손잡이(200)의 내측유로를 개폐하여 내측유로로 화장크림이 녹은 화장수가 흐르게 하거나 그 흐름을 차단시키는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400)를 포함한다.
샤워기 헤드(1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공통유로(111)가 구비된 헤드부(110)와, 헤드부(110)의 전면에 형성되어 공통유로(111)와 연통되는 다수 개의 분사구멍(121)들이 구비된 분사부(120)와, 헤드부(1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목부(130)와, 그 목부(130)에 구비되는 장착부(140)를 포함한다. 장착부(140)의 일예로, 장착부(140)는 샤워기 헤드(100)의 목부(140)의 단부에 설정된 깊이까지 형성된 장착홀(141)과, 그 장착홀(141)과 연통되도록 장착홀(141)의 반경 방향으로 샤워기 헤드(100)의 목부(130)에 관통 형성되는 버튼삽입홀(142)을 포함한다.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일실시예는, 밸브장착케이스(410), 개폐유닛(420)을 포함한다.
밸브장착케이스(410)는 샤워기 헤드(100)의 장착부(140)에 결합된다. 밸브장착케이스(410)의 일예로, 밸브장착케이스(410)는 샤워기 헤드(100)의 공통유로(11)와 연통되는 외측유로관(412)과, 그 외측유로관(412)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유로관(411)과, 외측유로관(412)과 내측유로관(411)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외측유로관(412) 내부에 구비되어 내측유로관(411)과 공통유로(11)를 연통시키는 연통유로가 구비되는 밸브하우징(413)을 포함하되, 외측유로관(412)의 내주면과 내측유로관(411)의 외주면 사이에 공통유로(11)와 연통되는 통로가 구비된다. 외측유로관(412)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한쪽에 샤워기 헤드(100)의 장착부(140)에 결합되는 결합부(11)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 샤워기 손잡이(200)가 체결되는 체결부(12)가 구비되며 결합부(11)에 삽입구멍(13)이 구비된다. 밸브하우징(413)은 다단의 내경을 갖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유로관(412)의 내부에 위치하되 외측유로관(412)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하며, 밸브하우징(413)의 가장 큰 외경은 외측유로관(412)의 내경보다 작다. 밸브하우징(413)은 외측유로관(412)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한쪽 끝은 외측유로관(412)의 삽입구멍(13)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외측유로관(412)의 내벽에 연결되어 막힌 상태이다. 밸브하우징(413)의 아랫부분 일측에 유입구(14)가 형성되고 윗부분 일측에 유출구(15)가 형성된다. 유입구(14)와 유출구(15)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입구(14)와 밸브하우징(413)의 내부와 유출구(15)는 연통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내측유로관(411)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외측유로관(4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내측유로관(411)은 외측유로관(412)의 내부에 위치하여 내측유로관(411)의 한쪽 끝은 밸브하우징(413)의 유입구(14)와 연통되도록 밸브하우징(413)에 연결된다. 밸브장착케이스(410)는 외측유로관(412)의 결합부(11)가 장착부(140)의 장착홀(141)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되, 외측유로관(412)의 삽입구멍(13)이 장착부(140)의 버튼삽입홀(142)과 일치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측유로관(412)은 샤워기 헤드(100)의 공통유로(111)와 연통되고 내측유로관(411)은 밸브하우징(413)의 연통유로를 통해 샤워기 헤드(100)의 공통유로(111)와 연통된다. 내부에 카트리지(300)가 장착된 샤워기 손잡이(200)가 밸브장착케이스(410)의 외측유로관 체결부(12)에 체결되며, 이때 카트리지(300)는 밸브장착케이스(410)의 내측유로관(411)과 연통되고 카트리지(300)의 외주면과 샤워기 손잡이(200)의 내주면 사이의 외측유로는 밸브장착케이스(410)의 외측유로관(412)과 연통된다.
개폐유닛(420)은 밸브장착케이스(410)의 밸브하우징(413)에 결합되어 내측유로관(411)이 개폐되도록 밸브하우징(413)의 연통유로를 개폐한다. 개폐유닛(420)의 제1 실시예로, 개폐유닛(420)은 가압된 상태에서 전진하여 밸브하우징(413)의 연통유로를 열고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후진하여 연통유로를 닫는다. 개폐유닛(420)의 제1 실시예는 밸브유로형성체(421), 밸브스템(422), 압축스프링(423), 스토퍼(424), 버튼(425)을 포함한다.
밸브유로형성체(421)는 밸브하우징(413)에 삽입되며 내부에 밸브하우징(413)의 연통유로와 연통되는 밸브유로가 구비된다. 밸브유로형성체(421)의 일예로, 밸브유로형성체(421)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제1 내경과 제1 외경을 갖는 제1 환형부(21)와, 그 제1 환형부(21)의 일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연장 형성되어 사이에 통로(2)들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바(22)들과, 그 가이드바(22)들의 외면을 연결한 외경과 상응하는 크기의 제2 내경과 제1 환형부(21)의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가지며 한쪽 단부가 가이드바(22)들의 단부를 감싸도록 연결되는 제2 환형부(23)를 포함한다. 가이드바(22)들은 제1 환형부(21)의 길이방향 한쪽 끝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바(22)들의 각 내면을 연결하는 내경은 제1 내경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환형부(21)의 길이방향 다른 한쪽 끝면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링형상의 결합돌기부(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2 환형부(23)의 제2 내경과 가이드바(22)들 사이의 통로(2)들은 밸브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제2 환형부(23)의 제2 내경 한쪽 테두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밸브시트(3)를 형성하게 된다. 제1 환형부(21), 제2 환형부(23)의 외주면에 각각 오링(1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결합돌기부(24)의 내주면에 오링(1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밸브스템(422)은 밸브유로형성체(421)에 관통 삽입되어 왕복 움직임에 의해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밸브유로를 개폐한다. 밸브스템(422)의 일예로, 밸브스템(422)은 균일한 외경과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부(31)와, 그 환봉부(31)의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버튼결합부(32)와, 환봉부(31)의 다른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환봉부(31)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밸브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33)와, 그 개폐부(33)의 단부에 환형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스프링결합부(34)를 포함한다. 환봉부(31)와 개폐부(33)의 경계면인 단턱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33)에 오링(1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밸브스템(422)의 환봉부(31)의 외경은 밸브유로형성체(421)의 제1 내경과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개폐부(33)의 외경은 제2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밸브스템(422)은 환봉부(31)가 밸브유로형성체(421)의 제1 내경과 제2 내경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밸브스템(422)의 개폐부(33)가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밸브시트(3)에 접촉된 상태에서 밸브유로를 닫게 되고 밸브스템(422)의 개폐부(33)가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밸브시트에 접촉되지 않고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밸브유로를 열게 된다.
압축스프링(423)은 밸브하우징(413)의 내부에 삽입되어 밸브스템(422)을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압축스프링(423)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압축코일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밸브스템(422)의 스프링결합부(34)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밸브하우징(413)의 바닥면에 지지된다.
스토퍼(424)는 밸브하우징(4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밸브유로형성체(421)를 지지한다. 스토퍼(424)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가운데 관통구멍이 구비된다. 스토퍼(424)의 원판 테두리 양쪽에 각각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외측유로관(412)의 삽입구멍 테두리 양쪽에 각각 삽입홈이 구비되어 걸림돌기들이 삽입홈들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424)를 회전시킴에 의해 스토퍼(424)가 외측유로관(412)에 결합되어 밸브유로형성체(421)를 지지한다. 스토퍼(424)를 분리시킬 때 스토퍼(424)를 회전시켜 걸림돌기들을 삽입홈들에 각각 일치시켜 분리한다.
버튼(425)은 샤워기 헤드(100)의 장착부(140)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부(140)의 버튼삽입홀(142)을 관통하면서 밸브스템(422)의 단부에 결합된다. 버튼(425)을 가압하게 되면 버튼(425)이 탄성력을 받는 밸브스템(422)을 누르게 되고 그 가압을 해제하면 버튼(425)과 밸브스템(422)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개폐유닛(420)의 제1 실시예는 버튼(425)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423)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스템(422)이 가압되어 밸브스템(422)의 개폐부(33)가 밸브유로형성체(421)의 제2 환형부(23)의 제2 구멍 테두리에 밀착되어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밸브유로를 막게 되며, 이로 인하여 내측유로관(411)과 샤워기 헤드(100)의 공통유로(111)가 연통되지 않게 되어 물이 흐르지 않는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425)을 누르게 되면 밸브스템(422)이 압축스프링(423)을 압축시키면서 전진하여 밸브스템(422)의 개폐부(33)와 제2 환형부(23)의 제2 구멍 테두리가 간격이 벌어지면서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밸브유로를 열게 되며, 이로 인하여 내측유로관(411)과 샤워기 헤드(100)의 공통유로(111)가 연통되어 물이 흐르게 된다. 그리고 버튼(425)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423)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스템(422)과 버튼(425)이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밸브스템(422)의 개폐부(33)가 제2 환형부(23)의 제2 구멍 테두리에 밀착되어 밸브유로를 막게 된다.
개폐유닛(420)의 제2 실시예로, 개폐유닛(420)은 한 번 가압하고 그 가압을 해제하면 전진하여 연통유로를 열고, 한 번 더 가압하고 그 가압을 해제하면 후진하여 연통유로를 닫는다. 개폐유닛(420)의 제2 실시예는,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유로형성체(426), 밸브체(427), 제1 압축스프링(S1), 밸브체누름어셈블리(428), 스토퍼(429), 버튼(430)을 포함한다.
밸브유로형성체(426)는 밸브하우징(413)에 삽입되며 내부에 밸브하우징(413)의 연통유로와 연통되는 밸브유로가 구비된다. 밸브유로형성체(426)는 개폐유닛(420)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밸브유로형성체(421)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제1 내경의 내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된 단턱링(25)이 더 구비된다.
밸브체(427)는 밸브하우징(4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임에 의해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밸브유로를 개폐한다. 밸브체(427)의 일예로, 밸브체(427)는 밸브유로형성체(421)의 제2 내경보다 큰 외경과 길이를 갖는 개폐부(35)와, 그 개폐부(35)의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링결합부(36)와, 개폐부(35)의 다른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된 결합부(37)를 포함한다.
제1 압축스프링(S)은 밸브체(427)를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제1 압축스프링(S)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압축코일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밸브체(427)의 스프링결합부(36)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밸브하우징(413)의 바닥면에 지지된다.
밸브체누름어셈블리(428)는 밸브유로형성체(421)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427)에 연결되며 한 번 누르고 그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밸브체(427)를 전진시켜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밸브유로를 막고 한 번 더 누르고 그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밸브체(427)를 후진시켜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밸브유로를 열게 한다. 밸브체누름어셈블리(428)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한쪽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정된 깊이를 갖는 삽입홀(8)이 구비되고 한쪽면에 제1 톱니(4)들이 구비된 누름체(40)와, 그 누름체(40)의 삽입홀(8)에 삽입되는 제2 압축스프링(50)과,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부(5)의 한쪽 부분 외주면에 연장 돌출된 원형판부(6)가 형성되고 그 원형판부(6)에 일측면에 제1 톱니(4)들과 맞물리는 제2 톱니(7)들이 구비되어 환봉부(5)의 한쪽이 누름체(40)의 삽입홀(8)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이 밸브체(427)에 결합되는 회전체(60)를 포함한다. 제2 압축스프링(50)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체누름어셈블리(428)는 누름체(40)의 삽입홀(8)에 제2 압축스프링(50)을 삽입하고 이어 회전체(60)의 환봉부(5)를 누름체(40)의 삽입홀(8)에 삽입한다. 이때, 회전체(60)는 제2 압축스프링(50)에 의해 탄성력을 받으며 회전체(60)의 원판부 제2 톱니(7)들은 누름체(40)의 제1 톱니(4)들과 대면된다.
밸브체누름어셈블리(428)는 누름체(40)가 밸브유로형성체(421)의 제1 내경과 제2 내경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제1,2 톱니(4)(7)들이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내부에 위치하고 회전체(60)의 한쪽 단부가 밸브체(427)의 결합부(37)에 결합된다. 그리고 밸브체(427)는 개폐부(25)가 밸브유로형성체(421)의 제2 내경 테두리의 밸브시트(3)에 접촉된다.
스토퍼(429)는 밸브하우징(413)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밸브유로형성체(421)를 지지한다. 스토퍼(429)는 개폐유닛(420)의 제1 실시예의 스토퍼(429)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430)은 샤워기 헤드(100)의 장착부(140)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부(140)를 관통하면서 누름체(40)의 단부에 결합된다.
개폐유닛(420)의 제2 실시예는, 버튼(430)을 한 번 가압하고 그 가압된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체(40)의 제1 톱니(4)들의 산과 회전체(60)의 제2 톱니(7)들의 산들이 지지되어 회전체(60)가 밸브체(427)를 밀게 되어 밸브체(427)의 개폐부(35)와 제2 환형부(23)의 제2 구멍 테두리가 간격이 벌어지면서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밸브유로를 열게 되며, 이로 인하여 내측유로관(411)과 샤워기 헤드(100)의 공통유로(111)가 연통되어 물이 흐르게 된다. 그리고 이어 버튼(430)을 한 번 더 가압하고 그 가압된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압축스프링(S)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체(60)가 회전하여 누름체(40)의 제1 톱니(4)들과 회전체(60)의 제2 톱니(7)들이 맞물리면서 길이가 짧아져 밸브체(427)가 제1 압축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체(427)의 개폐부(35)와 제2 환형부(23)의 제2 구멍 테두리가 밀착되어 밸브유로형성체(421)의 밸브유로를 막게 되며, 이로 인하여, 내측유로관(411)과 샤워기 헤드(100)의 공통유로(111)가 연통되지 않아 물이 흐르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120)을 통해 수돗물인 일반수를 분사할 경우 개폐유닛(420)으로 밸브장착케이스 밸브하우징(413)의 밸브유로를 막게 되며, 밸브하우징(413)의 밸브유로를 막게 됨에 따라 샤워기 손잡이(200)에 장착된 카트리지(300)와 밸브장착케이스(410)의 내측유로관(411)을 통해 일반수가 유동하지 않게 되고 일반수가 샤워기 손잡이(200)의 외측유로와 밸브장착케이스(410)의 외측유로관(412)을 통해 샤워기 헤드(100)의 공통유로(111)로 유입되면서 분사면(120)의 분사구멍(121)들을 통해 분사된다. 한편,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120)을 통해 화장수를 분사하게 될 경우 개폐유닛(420)으로 밸브장착케이스 밸브하우징(413)의 밸브유로를 열게 되며, 밸브하우징(413)의 밸브유로를 열게 됨에 따라 일반수가 샤워기 손잡이(200)에 장착된 카트리지(300)와 밸브장착케이스(410)의 내측유로관(411)을 통해 흐르면서 일반수에 화장크림이 녹은 화장수가 흐르게 되고 그 화장수는 샤워기 헤드(100)의 공통유로(111)로 유입되고, 이와 동시에 일반수가 샤워기 손잡이(200)의 외측유로와 밸브장착케이스(410)의 외측유로관(412)을 통해 샤워기 헤드(100)의 공통유로(111)로 유입되면서 화장수와 일반수가 분사면(120)의 분사구멍(121)들을 통해 분사된다. 개폐유닛(420)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버튼(425)을 누른 상태에서 개폐유닛(420)이 밸브유로를 연 상태가 되어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120)을 통해 화장수가 분사되고, 사용자가 버튼(425)의 누른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개폐유닛(420)이 밸브유로를 닫은 상태가 되어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을 통해 일반수가 분사된다. 개폐유닛(420)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버튼(430)을 한 번 가압하여 누르고 그 누름을 해제하면 개폐유닛(420)이 밸브유로를 닫은 상태가 되어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120)을 통해 일반수가 분사된다. 사용자가 버튼(430)을 한 번 더 가압하여 누르고 그 누름을 해제하면 개폐유닛(420)이 밸브유로를 연 상태가 되어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120)을 통해 화장수가 분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버튼(425)(430)을 누름에 따라 일반수와 화장수가 선택적으로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120)을 통해 분사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아울러, 개폐유닛(420)이 밸브유로형성체(421), 밸브스템(422), 압축스프링(423), 스토퍼(424), 버튼(425)을 포함하거나, 밸브유로형성체(421), 밸브체(427), 제1 압축스프링(S), 밸브체누름어셈블리(428), 스토퍼(429), 버튼(430)을 포함하게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유닛(420)의 제2 실시예는 사용자가 버튼(430)을 한 번 누르고 그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화장수가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120)을 통해 분사되고 이어 버튼(430)을 한 번 더 누르고 그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화장수가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120)을 통해 분사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유닛(420)의 제1 실시예는 사용자가 버튼(425)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만 화장수가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120)을 통해 분사되고 사용자가 버튼(425)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화장수가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120)을 통해 분사되지 않게 되므로 샤워기의 사용을 마친 상태에서 샤워기 헤드(100)와 손잡이(200) 그리고 샤워기 손잡이(200)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잔류하는 일반수에 의해 카트리지(300)의 화장크림이 녹아 샤워기 헤드(100)의 분사면(120)을 통해 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화장수의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410; 밸브장착케이스 420; 개폐유닛
421,426; 밸브유로형성체 422; 밸브스템
423; 압축스프링 424,429; 스토퍼
425,430; 버튼 427; 밸브체
S1; 제1 압축스프링 428; 밸브체누름어셈블리

Claims (7)

  1. 한쪽 단부가 샤워기 헤드의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의 공통유로와 연통되는 외측유로관과, 상기 외측유로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유로관과, 상기 외측유로관과 내측유로관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외측유로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유로관과 공통유로를 연통시키는 연통유로가 구비되는 밸브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유로관의 내주면과 내측유로관의 외주면 사이에 공통유로와 연통되는 통로가 구비되는 밸브장착케이스; 및
    상기 밸브장착케이스의 밸브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유로관이 개폐되도록 밸브하우징의 연통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밸브하우징에 삽입되며 내부에 밸브하우징의 연통유로와 연통되는 밸브유로가 구비된 밸브유로형성체와, 상기 밸브유로형성체에 관통 삽입되어 왕복 움직임에 의해 상기 밸브유로형성체의 밸브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스템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밸브스템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밸브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밸브유로형성체를 지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샤워기 헤드의 장착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밸브스템의 단부에 결합되어 밸브스템을 누르거나 그 누름을 해제하는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은 버튼을 누르면 상기 연통유로를 열고 버튼의 누름을 해제하여 원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연통유로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로형성체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제1 내경과 제1 외경을 갖는 제1 환형부와, 상기 제1 환형부의 일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연장 형성되어 사이에 통로들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바들과, 상기 가이드바들의 외면을 연결한 외경과 상응하는 제2 내경과 상기 제1 환형부의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가지며 한쪽 단부가 상기 가이드바들의 단부를 감싸도록 연결되는 제2 환형부를 포함하는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은 균일한 외경과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부와, 상기 환봉부의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버튼에 결합되는 버튼결합부와, 상기 환봉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환봉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유로형성체의 밸브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단부에 환형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부를 포함하는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5036A 2019-05-10 2019-05-10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 KR102221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36A KR102221967B1 (ko) 2019-05-10 2019-05-10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36A KR102221967B1 (ko) 2019-05-10 2019-05-10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604A KR20200130604A (ko) 2020-11-19
KR102221967B1 true KR102221967B1 (ko) 2021-03-04

Family

ID=7367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036A KR102221967B1 (ko) 2019-05-10 2019-05-10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9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635A (ja) 2000-04-20 2001-10-31 Kotobuki Tsusho:Kk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KR200277504Y1 (ko) * 2002-03-19 2002-06-03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절수식 샤워헤드
KR200309875Y1 (ko) * 2003-01-21 2003-04-08 황차진 샤워기의 급수조절밸브
JP2005515050A (ja) * 2002-01-11 2005-05-26 フェントロウチ,ハスン 二方弁を組み込んだシャワー・パイプおよびシャワー・パイプ用二方弁
JP2007289602A (ja) * 2006-04-21 2007-11-08 San-Ei Faucet Mfg Co Ltd 吐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920A (ko) * 2004-12-20 2006-06-23 고재덕 다용도 절수 샤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635A (ja) 2000-04-20 2001-10-31 Kotobuki Tsusho:Kk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JP2005515050A (ja) * 2002-01-11 2005-05-26 フェントロウチ,ハスン 二方弁を組み込んだシャワー・パイプおよびシャワー・パイプ用二方弁
KR200277504Y1 (ko) * 2002-03-19 2002-06-03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절수식 샤워헤드
KR200309875Y1 (ko) * 2003-01-21 2003-04-08 황차진 샤워기의 급수조절밸브
JP2007289602A (ja) * 2006-04-21 2007-11-08 San-Ei Faucet Mfg Co Ltd 吐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604A (ko)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512B2 (en) Handheld water discharging device
CN101516520B (zh) 龙头喷射控制组装件
US6296011B1 (en) Fluid valve
US8313049B2 (en) Shower faucet
US20080105764A1 (en) Faucet spray head
US11167294B2 (en) Multifunctional pull-out spray head
US6845960B2 (en) Hydraulic and pneumatic operative diaphragm valve
CN216704726U (zh) 一种具有喷枪功能的花洒
KR20170087642A (ko) 목욕용재 수납형 샤워헤드
KR102221967B1 (ko) 샤워기 헤드의 유로개폐장치
US8267112B2 (en) Automatic water distributor
KR100964838B1 (ko) 구강 세정기
KR100964839B1 (ko) 구강 세정기
US10378190B2 (en) Multipurpose faucet to release a water stream in two directions
CA2708454C (en) Handheld water discharging device
CN215568341U (zh) 一种切换阀芯、切换阀和淋浴装置
CN209531168U (zh) 一种组合式淋浴套装
JP2002266396A (ja) 切替機構付シャワヘッドを備えたスプレー混合栓
KR200415716Y1 (ko) 측면 노즐이 구비된 샤워 헤드
CA2711026C (en) Automatic water distributor
KR20200094866A (ko) 에센스 샤워기
KR102053416B1 (ko) 화장수 공급장치
CN214743543U (zh) 一种多功能出水装置
CN218308594U (zh) 一种淋浴切换装置
CN216664376U (zh) 智能马桶的脉冲机构以及智能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