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617A - 분수형 세면장치 - Google Patents

분수형 세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617A
KR20110057617A KR1020090114090A KR20090114090A KR20110057617A KR 20110057617 A KR20110057617 A KR 20110057617A KR 1020090114090 A KR1020090114090 A KR 1020090114090A KR 20090114090 A KR20090114090 A KR 20090114090A KR 20110057617 A KR20110057617 A KR 20110057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untain
washbasin
reservoir
threa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이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윤 filed Critical 이재윤
Priority to KR102009011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7617A/ko
Publication of KR2011005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8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supplying water through two or more openings around or along one side of the water-bas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6Wash-founta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기 저수조의 바닥면에 분수기를 설치하여 세면기의 상측을 향해 물을 분수 형태로 유출함으로써 얼굴의 전체에 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한 분수형 세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저수조와, 저수조로 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수전을 갖는 세면기에 있어서,
상기 수전은 분기관이 더 형성되어 절체기에 의해 저수조로 유출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막아 분기관을 통해 유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수조의 바닥에는 상측을 향해 물이 분수형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수부가 장착되며,
상기 분기관과 분수부 사이에는 유도관이 연결되어 분기관으로부터 유출된 물을 분수부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세면기, 분수노즐

Description

분수형 세면장치{Fountain washstand}
본 발명은 분수형 세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면기의 저조 바닥에 분수형태로 물을 상부방향으로 유출하는 분수기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세면시에 수전의 절체에 의해 유출되는 물을 저수조에 저수하거나 또는 분수기를 통해 얼굴에 직접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분수형 세면장치에 관한 것이다.
욕실에 구비된 일반적인 세면기는 수전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세면기의 저수조에 담아서 손이나 얼굴을 씻게 되며, 수전으로부터 흐르는 물에 직접 손을 씻거나 손으로 물을 받아 얼굴을 씻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저수조에 물을 받아 얼굴을 씻거나 또는 흐르는 물을 손으로 받아 얼굴을 씻는 경우 물의 낭비가 심하고, 얼굴 전체에 고루 물을 끼얹기가 불편하여 비누 세안시에 깨끗하게 비눗물을 제거하기가 불편함 점이 있다.
또한, 손으로 얼굴에 물을 끼얹는 형태가 되므로 옷이 젖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수조의 바닥면에 분수기를 설치하여 세면기의 상측을 향해 물을 분수 형태로 유출함으로써 얼굴의 전체에 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한 분수형 세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저수조와, 저수조로 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수전을 갖는 세면기에 있어서,
상기 수전은 분기관이 더 형성되어 절체기에 의해 저수조로 유출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막아 분기관을 통해 유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수조의 바닥에는 상측을 향해 물이 분수형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수부가 장착되며,
상기 분기관과 분수부 사이에는 유도관이 연결되어 분기관으로부터 유출된 물을 분수부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수부는
다수개의 노즐공을 가지며, 하부 외측으로는 나사부가 형성된 노즐체;
관체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세면기의 바닥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될 때 걸리도록 하여 하부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며, 내측으로는 내측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체의 나사부와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 외측으로도 하부 나사부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 나사부가 세면기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상부 결합체;
세면기의 바닥에 형성된 장착공보다 큰 관체로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내측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결합체의 하부 나사부와 결합되며, 하부 외측으로는 하부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도관의 일측과 결합되는 하부 결합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저수조의 바닥면에 구비된 분사기에 의하여 얼굴에 고르게 물을 분사할 수 있으므로 깨끗하게 세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그대로 흘려보내는 경우가 없어 절수효과가 있다.
또한, 얼굴에만 물이 분사됨으로써 옷이 젖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분수형 세면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2는 도1의 단면도로서, 세면기(100)의 상단 후측에 물을 저수조(140)로 공급하기 위한 수전(110)이 설치되며, 세면기(100)의 저수조(140)의 바닥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20) 및 상측방향으로 물을 분수형태로 분출하기 위한 분수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전(110)은 물의 공급 및 차단, 그리고 온수 및 냉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레버(111)가 구비되고, 레버(111)의 동작에 따라 저수조(14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출구(1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유출구(112)에는 분기관(114)이형성되어 있어서 절체기(113)의 동작에 따라 유출구(112) 또는 분기관(114)으로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절체기(113)와 분기관(114)의 구성은 이미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샤워기 또는 욕조기의 수전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그 구체적인 구조는 굳이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분기관(114)은 유도관(210)을 통해 저수조(140)의 바닥에 설치된 분수부(200)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수부(200)는 도2에서와 같이 노즐체(220), 상부 결합체(230), 하부 결합체(240)로 구성된다.
노즐체(220)는 상측방향으로 물을 분수 형태로 분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측이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이며, 하측부위는 동일 구격을 갖는 직선의 관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노즐체(220)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노즐공(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측 즉, 직선부위에는 외측으로 나사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결합체(230)는 관체로서, 상부에는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된 걸림턱(233)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의 내측에는 내측 나사부(23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서 하부 나사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결합체(240)는 관체로서, 상측은 상기 상부 결합체(230)의 하측을 내측 으로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그 내측으로는 내측 나사부(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측으로는 하부 나사부(2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유도관(210)이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분수부(200)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상부 결합체(230)를 저수조(140)의 바닥에 형성된 장착공(130)에 상측으로부터 삽입하여 하부 나사부(232)가 세면기(100)의 하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이때 상측의 걸림턱(233)이 장착공(130)의 상부면에 걸려서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하부 나사부(232)에는 하부 결합체(240)의 내측 나사부(241)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며, 하부 결합체(240)의 하부 나사부(242)에는 유도관(210)의 단부가 나사결합되어 분기관(114)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상부 결합체(230)의 상측으로는 노즐체(220)가 결합되는데, 상부 결합체(230)의 내측 나사부(231)와 노즐체(220)의 나사부(222)가 결합된다.
따라서 유도관(210)을 통해 공급된 물이 노즐체(220)의 노즐공(221)을 통해 분수 형태로 상측방향을 향해 분사된다.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저수조(140)에 물을 받거나 손을 씻기 위하여 유출구(112)를 통해 물을 받고자 한다면 절체기(113)를 눌러 분기관(114)을 막은 다음, 레버(111)를 조절함으로써 저수조(140)를 향해 물을 유출시킬 수 있다.
반면에, 세안을 위하여 분수부(200)를 통해 물을 유출시키고자 한다면, 절체(113)를 들어올려 유출구(112)를 폐쇄함과 동시에 분기관(114)을 개방시켜 유도 관(210)을 통해 물을 유입시킴으로써 분수부(200)가 물을 상측방향을 향해 분수형태로 분사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분수형태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분사되는 물의 높이는 약 30cm전후이고, 분사되는 물의 최대 폭은 약20cm 내외로 함으로써 세면기(100)의 상부에서 얼굴 전체를 씻을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분수형 세면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세면기 110 : 수전
113 : 절체기 114 : 분기관
120 : 배수구 130 : 장착공
140 : 배수구 200 : 분수부
210 : 유도관 220 : 노즐체
230 : 상부 결합체 240 : 하부 결합체

Claims (2)

  1. 저수조와, 저수조로 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수전을 갖는 세면기에 있어서,
    상기 수전은 분기관이 더 형성되어 절체기에 의해 저수조로 유출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막아 분기관을 통해 유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수조의 바닥에는 상측을 향해 물이 분수형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수부가 장착되며,
    상기 분기관과 분수부 사이에는 유도관이 연결되어 분기관으로부터 유출된 물을 분수부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형 세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부는
    다수개의 노즐공을 가지며, 하부 외측으로는 나사부가 형성된 노즐체;
    관체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세면기의 바닥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될 때 걸리도록 하여 하부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며, 내측으로는 내측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체의 나사부와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 외측으로도 하부 나사부가 형성되면서 그 하부 나사부가 세면기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상부 결합체;
    세면기의 바닥에 형성된 장착공보다 큰 관체로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내측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결합체의 하부 나사부와 결합되며, 하부 외측으로는 하부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도관의 일측과 결합되는 하부 결합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형 세면장치.
KR1020090114090A 2009-11-24 2009-11-24 분수형 세면장치 KR20110057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90A KR20110057617A (ko) 2009-11-24 2009-11-24 분수형 세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90A KR20110057617A (ko) 2009-11-24 2009-11-24 분수형 세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617A true KR20110057617A (ko) 2011-06-01

Family

ID=4439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090A KR20110057617A (ko) 2009-11-24 2009-11-24 분수형 세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76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860A1 (ko) * 2012-07-11 2014-01-16 Lee Jae Yoon 분수 노즐을 갖는 세면기 밸브
KR102225532B1 (ko) 2020-12-08 2021-03-09 (주)우성에스케이에스 세면대
KR102592363B1 (ko) 2023-04-13 2023-10-20 주식회사 퍼시픽도도 이동식 분수형 세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860A1 (ko) * 2012-07-11 2014-01-16 Lee Jae Yoon 분수 노즐을 갖는 세면기 밸브
KR102225532B1 (ko) 2020-12-08 2021-03-09 (주)우성에스케이에스 세면대
KR102592363B1 (ko) 2023-04-13 2023-10-20 주식회사 퍼시픽도도 이동식 분수형 세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7617A (ko) 분수형 세면장치
KR200392166Y1 (ko) 세면대용 세안장치
KR20150103492A (ko) 벽걸이식 세안장치
CN209789680U (zh) 折叠洗手柜
CN203307886U (zh) 一种组合卫生洁具
KR101204660B1 (ko) 세면기 물의 재활용 장치
KR100407505B1 (ko) 비눗물이 분사되는 샤워기
KR100352822B1 (ko)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CN203440870U (zh) 一种新型可冲洗盥洗盆
WO2018126903A1 (zh) 一种排残留水切换组件
KR20000027953A (ko) 세면대의 오수 재활용 장치
KR101460445B1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대 겸용 소변기
CN220978229U (zh) 一种集成式盥洗台
CN217232077U (zh) 一种洗漱盆
KR101128979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10005743U (ko) 자가 세척이 가능한 샤워기
KR200321051Y1 (ko) 보조세척장치가 구비된 수도꼭지
JPH0316928Y2 (ko)
CN204852566U (zh) 一种改进型的防污水龙头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KR200217068Y1 (ko) 세척구가 구비된 세면대
CN205012420U (zh) 自带水嘴风嘴一体式洗手盆
CN102155042A (zh) 节水多功能马桶
KR200191135Y1 (ko) 구강세척 기능이 있는 수도꼭지
CN103938676A (zh) 一种组合卫生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