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806B1 -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806B1
KR100754806B1 KR1020040091154A KR20040091154A KR100754806B1 KR 100754806 B1 KR100754806 B1 KR 100754806B1 KR 1020040091154 A KR1020040091154 A KR 1020040091154A KR 20040091154 A KR20040091154 A KR 20040091154A KR 100754806 B1 KR100754806 B1 KR 10075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housing
heigh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545A (ko
Inventor
정근우
Original Assignee
정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근우 filed Critical 정근우
Priority to KR102004009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8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4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6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resting on the floor
    • E03C1/328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resting on the floor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3방향 밸브인 수로전환밸브(20)의 수로방향 조절에 의한 배력유지관(34) 및 배력튜브(32)의 승강 동작에 따라 세면대(10)가 배수관(15)과 연결된 높이조절관(30)과 함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고 안정되게 높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실내벽체(50)로부터 분리된 세면대(10)와, 상기 세면대(10) 저부의 배수구(11)와 실내벽체(50)로부터의 배수관(15) 사이에 길이 변위가 가능하게 연결된 높이조절관(30)과, 일측이 직수관(14)과 연결되면서 다른 일측은 상기 높이조절관(30)과 연결되고 또다른 일측은 상기 높이조절관(30) 외측의 배력튜브(32)와 연결된 수로전환밸브(20)와, 물의 유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상기 배력튜브(32)와 함께 길이 변위되면서 세면대(10)를 승강 동작시킬 수 있도록 관이동하우징(4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면대(10)와 상기 관이동하우징(40) 사이에 결합되는 밸브작동유지체(31)에 그 상단이 연결된 배력유지관(34)과, 한쪽은 그 내부로 승강되는 상기 관이동하우징(40)이 삽입되고 다른 한쪽은 실내벽체(50)에 고정된 하우징안내지지대(33)와, 한쪽은 상기 관이동하우징(40) 내부의 상기 배력유지관(34) 및 배력튜브(32)를 지지하고 다른 한쪽은 실내벽체(50)에 고정된 하우징통과받침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ed height washstand of a water pressure type}
도 1은 본 발명의 수로전환밸브에 의한 수압 작동에 따라 배력튜브 및 배력유지관과 함께 세면대가 승강 동작되면서 높이 조절되는 세면대 높이조절장치의 설치상태 단면구조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높이조절장치의 하우징안내지지대와 하우징통과받침대를 매개로 승강 동작되는 관이동하우징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세면대를 수압 작동으로 승강 동작시키기 위한 3방향 수로전환밸브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전환밸브의 작동구조로 밸브상판의 수로연결홈이 밸브하판의 배수연결공 및 튜브출입공 또는 상기 튜브출입공 및 직수유입공에 위치하여 수로방향을 조절하는 작동상태 단면구조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의 역류방지용으로 높이조절관과 배수관 사이에 설치된 역류방지연결관의 작동상태 단면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세면대 11 : 세면대배수구
12 : 배수개폐구 13 : 수도꼭지
14 : 직수관 15 : 배수관
20 : 수로전환밸브 21a: 직수유입공
21b: 직수연결구 22a: 튜브출입공
22b: 튜브연결구 23a: 배수연결공
23b: 배수연결구 24 : 밸브조절구
25 : 밸브상판 26 : 수로연결홈
27 : 밸브하판 30 : 높이조절관
31 : 밸브작동유지체 32 : 배력튜브
33 : 하우징안내지지대 34 : 배력유지관
35 : 하우징통과받침대 36 : 최소높이유지체
40 : 관이동하우징 41 : 지지체안내홈
42 : 역류방지연결관 43 : 역류방지뜨게
44 : 배수관연결홈 45 : 뜨게이격돌기
46 : 장식커버 50 : 실내벽체
본 발명은 수압에 의한 세면대의 승강운동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세면대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방향 밸브(3Way Valve)인 수로 전환밸브의 수로방향 조절에 의한 배력유지관 및 배력튜브의 승강 동작에 따라 세 면대가 배수관과 연결된 높이조절관과 함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고 안정되게 높이 조절될 수 있는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세면대는 성인을 기준으로 한정된 높이로 벽면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세면대의 설치높이에 비해 키가 크거나 작은 사람은 사용하기에 불편하였으며, 특히 어린이나 장애자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세면기의 사용이 대단히 곤란하였다.
한편, 이러한 세면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소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89-9081호에서는 세면대의 후방에 랙을 고정시켜 피니언으로 그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으나, 랙의 피치간격만큼씩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없음은 물론 세면대를 하방으로 이동시에 래치기어를 이탈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사용 중에 래치기어가 이탈되면 세면대가 하부로 떨어지는 우려를 유발하게 되는 등의 편리성 및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87-1447호에서는 실린더에 형성된 피스톤의 작동봉에 세면대를 고정편으로 착설하여 압축기의 작동버튼으로 상하 작동시켜 세면대의 높이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압축기를 벽체 내부에 설치 구성시키는 시공작업이 번거로운 뿐만 아니라 세면대가 하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리게 되는 등의 구조적인 한계로 사용상의 편리성 및 안정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통상의 세면대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장애자나 성장기 아이들에게는 그 사용이 대단히 불편하며, 설령 그 높낮이가 이루어진다 하여도 지금까지 소 개된 세면대는 구조적인 제약성으로 실용화 및 상용화가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밸브 조절에 의한 물의 유입 및 배출에 따라 배력튜브의 길이가 변위되면서 탄력성이 우수한 배력유지관이 함께 길이 변위되도록 하여 안테나 형태의 다관절로 이루어진 높이조절관이 세면대와 함께 승강 동작되어 높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수압에 의해 승강 작동되는 세면대의 높이를 정확하고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는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안정되게 세면대의 최소높이가 유지될 수 있으면서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되는 것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는, 기본적으로 실내벽체로부터 분리된 세면대와, 상기 세면대 저부의 배수구와 실내벽체로부터의 배수관 사이에 길이 변위가 가능하게 연결된 높이조절관과, 3방향 밸브로 일측이 직수관과 연결되면서 다른 일측은 상기 높이조절관과 연결되고 또다른 일측은 상기 높이조절관 외측의 배력튜브와 연결된 수로전환밸브와, 물의 유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상기 배력튜브와 함께 길이 변위되면서 세면대를 승강 동작시킬 수 있도록 관이동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면대와 상기 관이동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밸브작동유지체에 그 상단이 연결된 배력유지관과, 한쪽은 그 내부로 승강되는 상기 관이동하우징이 삽입되고 다른 한쪽은 실내벽체에 고정된 하우징안내지지대와, 한쪽은 상기 관이동하우징 내부의 상기 배력유지관 및 배력튜브를 지지하고 다른 한쪽은 실내벽체에 고정된 하우징통과받침대 및, 상기 관이동하우징의 전방쪽에 상기 세면대의 하부공간으로 설치된 장식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수로전환밸브는 직수유입공 및 튜브출입공 및 배수연결공이 형성되어 각각 직수관 일측의 직수연결구 및 배력튜브 상측의 튜브연결구 및 높이조절관 상측의 배수연결구에 연결된 밸브하판과, 밸브조절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직수유입공과 튜브출입공을 개방시켜 상기 배력튜브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튜브출입공과 배수연결공을 개방시켜 상기 배력튜브로부터의 물을 배수관과 연결된 상기 높이조절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그 저부에 수로연결홈이 요홈된 밸브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이동하우징은 하부에 하우징통과받침대를 따라 안내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 절결된 지지체안내홈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통과받침대와 배력튜브 사이에 높이조절관의 최소 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최소높이유지체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높이조절관과 배수관 사이에는 물의 부력에 따라 자동 부상되면서 상기 배수관으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물의 배출이 중단되면 자유 낙하되어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되지 않도록 역류방지뜨게가 내장된 역류방지연결관이 더 포함되되, 이들 역류방지연결관과 역류방지뜨게의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소정 높이의 뜨게이격돌기가 상기 역류방지연결관의 저부 상측 또는 상기 역류방지뜨게의 저면중 어느 한 곳에 돌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구현원리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 일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3방향 밸브인 수로전환밸브(20)에 의한 수압작동에 따라 고무재질의 배력튜브(32)와 함께 일정 강도를 갖는 탄성재질의 배력유지관(34)이 함께 수축 및 팽창되면서 세면대(10)를 일정 높이로 승강 동작시켜 높이 조절할 수 있는 세면대 높이조절장치의 설치상태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높이조절장치의 하우징안내지지대(33)와 하우징통과 받침대(35)를 매개로 승강 동작되는 관이동하우징(4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세면대(10)를 수압 작동으로 승강 동작시키기 위한 3방향 수로전환밸브(2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아울러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전환밸브(20)의 작동구조로 상판(25)에 요홈된 수로연결홈(26)이 밸브하판(27)에 관통된 배수연결공(23a) 및 튜브출입공(22a) 또는 상기 튜브출입공(22a) 및 직수유입공(22a)에 위치하여 수로방향을 조절하는 작동상태로서, 도 4a는 상기 튜브출입공(22a)에 연결된 배력튜브(32)로부터의 물이 상기 배수연결공(23a)을 통해 높이조절관(3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작동상태이며, 도 4b는 상기 직수연결공(21a)에 연결된 직수관(14)으로부터 물이 상기 튜브출입공(22a)을 통해 상기 배력튜브(32)로 유입되도록 하는 작동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15)의 역류방지용으로 높이조절관(30)과 상기 배수관(15) 사이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연결관(42)의 작동상태를 단면 도시한 것으로, 도 5b는 상기 역류방지연결관(42)과 역류방지뜨게(43)의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소정 높이의 뜨게이격돌기(45)가 상기 역류방지연결관(42)의 저부 상측에 일체 돌출된 형태이고, 도 5c는 상기 뜨게이격돌기(45)가 상기 역류방지뜨게(43)의 저면에 일체 돌출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역류방지뜨게(43)는 내부가 중공되고 위쪽으로 갈수로 좁아지는 삼각형상 구조로서 배수관(15)을 밀폐시킬 수 있어 상기 배수관(15)을 통해 높이조절관(30)으로 악취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상기 높이조절관(30)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역류방지뜨게(43)가 자동 부상되면서 상기 배수관(15)으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세면대(10)는 수압 작동에 의한 배력튜브(32)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함께 길이 변위되는 배력유지관(34)에 의해 자유로이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실내벽체(50)로부터 분리되어 이들 배력튜브(32) 및 상기 배력유지관(34)이 내장된 관이동하우징(40) 위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세면대(10)는 실내벽체(50)로부터의 길이가 변위가 가능한 유연재질의 직수관(14)이 수도꼭지(13)로 연결되면서 그 저부에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11)가 형성된다. 다만 통상의 세면대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밸브인 수로전환밸브(20)의 수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조절구(24)가 세면대(10)의 상측 또는 일측에 설치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세면대 높이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직수관(10)은 길이가 변위되지 않아 높이 고정된 통상의 금속재질 직수관과 달리, 길이 변위가 가능하여 상기 세면대와 함께 승강동작되면서 높이 조절될 수 있는 유연재질로 구성됨은 당연하다.
특히 본 발명의 세면대 높이조절장치는 수로전환밸브(20)의 방향 조작을 통한 수로방향의 조절로 직수관(14)의 물을 배력튜브(32)로 유입시킴으로서 상기 배력튜브(32)가 팽창되게 하여 세면대(10)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력튜브(32)의 최대 팽창크기(길이)가 상기 세면대(10)의 상승높이가 된다. 물론 반대로 상기 수로전환밸브(20)의 다른 방향 조작을 통해 상기 배력튜브(32)에 충진된 물을 상기 직수관(14)이 아닌 배수관(15)과 연결된 높이조절관(30)으로 배출시킴으로서 상기 배력튜브(32)가 수축되면 상승된 세면대(10)가 다시 아래쪽으로 하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로전환밸브(20)의 수로(수압)방향 전환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면서 세면대(10)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는 배력튜브(32)는, 세면대(10)의 배수구(11) 아래쪽에 길이 변위가 가능하게 설치된 높이조절관(30)을 중심으로 그 외측에 감싸지게 위치하게 되며, 상기 배력튜브(32)의 외측으로는 탄성체이면서 일정한 세면대(10)의 무게와 상쇄되는 힘으로 위치하게 되는 즉, 상기 배력튜브(32)와 같이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재질의 배력유지관(34)이 위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세면대(10)의 승강 동작은 상기 배력튜브(32)에 대한 물의 유입 및 배출에 의해 기본적으로 작용되며, 중앙의 상기 높이조절관(30)은 안테나 형태의 다관절 구조로 세면대(10)의 승강 동작에 따라 함께 배수관(15)을 기준으로 자유로이 승강 조절된다.
또한 이들 배력튜브(32) 및 배력유지관(34)은 중앙의 높이조절관(30)을 포함 하여 상하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관이동하우징(40)에 내장되게 구성되되, 상기 관이동하우징(40)은 상측은 세면대(10) 저부에 결합된 밸브작동유지체(31)와 일체 구조화된다. 특히 상기 관이동하우징(40)은 그 중간부위 외측에 한쪽이 실내벽체(50)에 고정된 하우징안내지지대(33)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안내지지대(33)를 매개로 자유로이 안정되게 승강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력유지관(34)은 일정 강도의 탄성을 갖는 주름관 형태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높이조절관(30)과 같이 안테나 형태의 다관절로서 길이 변위가 가능한 형태의 다양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하우징안내지지대(33)는 한쪽이 브래킷구조로 실내벽체(50)에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내벽체(50)에 고정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됨으로서 상기 실내벽체(50)와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원형형태인 반대쪽은 관이동하우징(40)을 밀착 고정시키는 크기가 아니라 비교적 큰 요동 없이 안정되게 통과되어 승강 동작될 수 있는 크기이면 된다.
그리고 상기 관이동하우징(40)의 하측에는 실내벽체(50)에 대해 세면대(1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배력튜브(32) 및 배력유지관(34)이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도록 하우징통과받침대(35)가 위치하게 되는데, 즉 상기 하우징통과받침대(35)의 한쪽이 상기 관이동하우징(40) 내부로 삽입되어 이들 배력튜브(32)와 배력유지관(34)에 각각 결합되며, 반대편 다른 한쪽은 하우징안내지지대(33)와 마찬가지로 실내벽체(50)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관이동하우징(40)은 도 2b에서 보는 것처럼 하측 내부로 상기 하우징통과받침대(35)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배력튜브(32)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함께 승강 동작될 수 있도록 지지체안내홈(41)이 상기 세면대(10)의 승강범위에 맞게 일정 길이로 절결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세면대 높이조절장치에서는 관이동하우징(40) 내부의 하우징통과받침대(35)와 배력튜브(32) 사이에 높이조절관(30)의 최소 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최소높이유지체(36)가 설치되며, 이는 상기 배력튜브(32) 및 배력유지관(34)이 아래쪽으로 수축될 때 최소한의 수축 길이가 보호되면서 세면대(10)의 최소한의 하강높이도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면대 높이조절장치는 높이조절관(30)과 배수관(15) 사이에 물의 부력에 따라 자동 부상되면서 상기 배수관(15)으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물의 배출이 중단되면 자유 낙하되어 상기 배수관(15)으로부터 악취가 역류되지 않도록 역류방지뜨게(43)가 내장된 역류방지연결관(42)이 구성되는데, 상기 역류방지연결관(42)의 저부 상측에는 소정 높이의 뜨게이격돌기(45)가 돌출되어 상기 역류방지뜨게(43)가 역류방지연결관(42)에 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됨을 막도록 한다.
즉, 상기 역류방지연결관(42)의 저부 상측에 역류방지뜨게(43)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일정 틈새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높이조절관(30)으로부터의 수압에 의해 상기 역류방지뜨게(43)가 부상되지 못하는 것을 상기 뜨게이격돌기(45)에 의한 일정 틈새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뜨게이격돌기(45)는 도 5c에서와 같이 역류방지연결관(42)의 저부 상측이 아닌 상기 역류방지뜨게(43)의 저면에 일체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의 상기 역류방지뜨게(43)는 저면이 개방된 삼각뿔 형상으로 상기 뜨게이격돌기(45)가 저부 사측에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역류방지연결관(42)의 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역류방지연결관(42)으로부터의 물은 상기 역류방지뜨게(43)가 부상되지 않더라도 일정 높이의 상기 뜨게이격돌기(45) 사이로 통과되어 상기 배수관(15)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연결관(42)은 위쪽이 좁은 삼각 형태로서 배수관(15)과 연결되는 하부가 높이조절관(30)이 연결되는 상부보다 넓게 확장된 형태이며, 상기 배수관(15)은 상기 역류방지연결관(42)의 저부 중앙으로 뜨게이격돌기(45)의 돌출 높이보다 깊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아울러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역류방지뜨게(43)의 경우에는 상기 배수관(15)의 상측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저부 중앙에 일정 깊이의 배수관연결홈(44)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15)과의 밀폐 정도를 높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역류방지뜨게(43)의 저부 중앙에 요홈되는 상기 배수관연결홈(44)의 내경은 상기 배수관(15)의 외경보다 당연히 크며, 이는 상기 역류방지뜨게(43)의 외측과 상기 높이조절관(30)의 내측 사이에 유지되는 이격틈새에 따라 그 크기가 조절되어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세면대 높이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수로전환밸브(20)는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직수유입공(21a) 및 튜브출입공(22a) 및 배수연결공(23a)이 형성되어 각각 직수관(14) 일측의 직수연결구(21b) 및 배력튜브(32) 상측의 튜브연결구(22b) 및 높이조절관(30) 상측의 배수연결구(23b)에 연결된 밸브하판(27)과, 밸브조절구(24)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직수유입공(21a)과 튜브출입공(22a)을 개방시켜 상기 배력튜브(32)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튜브출입공(22a)과 배수연결공(23a)을 개방시켜 상기 배력튜브(32)로부터의 물을 배수관(15)과 연결된 상기 높이조절관(30)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그 저부에 수로연결홈(26)이 요홈된 밸브하판(25)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3개의 수로구멍인 직수유입공(21a) 및 튜브출입공(22a) 및 배수연결공(23a)이 관통 형성된 밸브하판(27)으로 각각 물을 공급하는 직수관(14)과 상기 직수관(14)으로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팽창되는 배력튜브(32)와 상기 배력튜브(32)에 충진된 물이 배출되는 높이조절관(30)이 연결되며, 상기 밸브하판(27)에 형성된 3개의 수로구멍에 대해 밸브상판(25)이 세면대(10)쪽으로 외부 노출된 밸브조절구(24)를 조작하여 해당 위치의 2개의 수로구멍(도면부호 21a와 22a 또는 상기 22a 와 23a)만을 연결시킴으로서 상기 배력튜브(32)를 중심으로 물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배력튜브(32)가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수로전환밸브(20)의 조작에 의한 상기 배력튜브(32)의 수축 및 팽창으로 세면대(10)가 수압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는, 3방향 밸브인 배수개폐밸브의 수로방향 조절에 의한 배력튜브의 팽창과 수축으로 배력유지관이 함께 길이 변위되면서 실내벽체와 분리된 위쪽의 세면대를 사용자게 맞게 정확하게 안정되게 높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관을 매개로 세면대와 배수관 사이에 설치된 역류방지연결관에 의해 악취가 역류되는 것 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특히 외부 노출된 밸브조절구를 통해 배수개폐밸브의 수로방향 전환 및 배력밸브에 대한 물의 공급 및 배출 정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어 세면대의 정확한 높이 조절이 간단하면서도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

  1. 실내벽체(50)로부터 분리된 세면대(10)와,
    상기 세면대(10) 저부의 배수구(11)와 실내벽체(50)로부터의 배수관(15) 사이에 길이 변위가 가능하게 연결된 높이조절관(30)과,
    3방향 밸브로 일측이 직수관(14)과 연결되면서 다른 일측은 상기 높이조절관(30)과 연결되고 또다른 일측은 상기 높이조절관(30) 외측의 배력튜브(32)와 연결된 수로전환밸브(20)와,
    물의 유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상기 배력튜브(32)와 함께 길이 변위되면서 세면대(10)를 승강 동작시킬 수 있도록 관이동하우징(4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면대(10)와 상기 관이동하우징(40) 사이에 결합되는 밸브작동유지체(31)에 그 상단이 연결된 배력유지관(34)과,
    한쪽은 그 내부로 승강되는 상기 관이동하우징(40)이 삽입되고 다른 한쪽은 실내벽체(50)에 고정된 하우징안내지지대(33)와,
    한쪽은 상기 관이동하우징(40) 내부의 상기 배력유지관(34) 및 배력튜브(32)를 지지하고 다른 한쪽은 실내벽체(50)에 고정된 하우징통과받침대(35) 및,
    상기 관이동하우징(40)의 전방쪽에 상기 세면대(10)의 하부공간으로 설치된 장식커버(46)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로전환밸브(20)는 직수유입공(21a) 및 튜브출입공(22a) 및 배수연결공(23a)이 형성되어 각각 직수관(14) 일측의 직수연결구(21b) 및 배력튜브(32) 상측의 튜브연결구(22b) 및 높이조절관(30) 상측의 배수연결구(23b)에 연결된 밸브하판(27)과,
    밸브조절구(24)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직수유입공(21a)과 튜브출입공(22a)을 개방시켜 상기 배력튜브(32)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튜브출입공(22a)과 배수연결공(23a)을 개방시켜 상기 배력튜브(32)로부터의 물을 배수관(15)과 연결된 상기 높이조절관(30)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그 저부에 수로연결홈(26)이 요홈된 밸브상판(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이동하우징(40)은 하부에 하우징통과받침대(35)를 따라 안내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 절결된 지지체안내홈(41)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 통과받침대(35)와 배력튜브(32) 사이에 높이조절관(30)의 최소 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최소높이유지체(36)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관(30)과 배수관(15) 사이에는 물의 부력에 따라 자동 부상되면서 상기 배수관(15)으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물의 배출이 중단되면 자유낙하되어 상기 배수관(15)으로부터 악취가 역류되지 않도록 역류방지뜨게(43)가 내장된 역류방지연결관(42)이 더 포함되되, 이들 역류방지연결관(42)과 역류방지뜨게(43)의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소정높이의 뜨게이격돌기(45)가 상기 역류방지연결관(42)의 저부 상측 또는 상기 역류방지뜨게(43)의 저면중 어느 한 곳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KR1020040091154A 2004-11-09 2004-11-09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KR100754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154A KR100754806B1 (ko) 2004-11-09 2004-11-09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154A KR100754806B1 (ko) 2004-11-09 2004-11-09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545A KR20060042545A (ko) 2006-05-15
KR100754806B1 true KR100754806B1 (ko) 2007-09-03

Family

ID=3714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154A KR100754806B1 (ko) 2004-11-09 2004-11-09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8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96Y1 (ko) 2010-07-22 2012-05-04 황호경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
WO2020105816A1 (ko)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847B1 (ko) * 2019-04-10 2020-09-16 (주)코스모 수압식 절수형 높이조절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공보 20-31399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96Y1 (ko) 2010-07-22 2012-05-04 황호경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
WO2020105816A1 (ko)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545A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86175A (en) Adjustable lavatory
KR200250703Y1 (ko) 높이조절되는 세면대
KR100754806B1 (ko)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JP2006181336A (ja) 高さ調節が可能な洗面台
ES2891024T3 (es) Sistema de montaje desplegable para instalaciones sanitarias
KR200395156Y1 (ko) 욕조 배수금구
KR100701650B1 (ko) 출몰식 급수장치
JP6971507B2 (ja) 一体型高低調節洗面装置
KR100426686B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KR100993058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KR200392567Y1 (ko) 개수로의 문비개폐 조절장치
NZ500360A (en) Automatic back water valve system with back-up of water causing actuation of bellows attached to valve lifting device
CN217949243U (zh) 卫浴出水阀体抗压抗磨密封件
KR200298946Y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KR200187426Y1 (ko) 세면대의 높이조절장치
KR200255631Y1 (ko) 배수관의 역류방지장치
KR20200137684A (ko) 하수배관 관통기구
KR102156847B1 (ko) 수압식 절수형 높이조절장치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900008465Y1 (ko) 세면대의 높이 조절장치
KR102637443B1 (ko) 유아 세면 장치
KR100993067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KR100314966B1 (ko)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풋 밸브형 절수식 샤워기
JP2006138065A (ja) 排水装置
KR200408113Y1 (ko) 세면대용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