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765B1 -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765B1
KR102330765B1 KR1020200065716A KR20200065716A KR102330765B1 KR 102330765 B1 KR102330765 B1 KR 102330765B1 KR 1020200065716 A KR1020200065716 A KR 1020200065716A KR 20200065716 A KR20200065716 A KR 20200065716A KR 102330765 B1 KR102330765 B1 KR 102330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basin
line
drain
port
cylin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진
Original Assignee
홍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진 filed Critical 홍순진
Priority to KR102020006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6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resting on the floor
    • E03C1/328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resting on the floor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세면대가 고정배치된 본체와,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지면 일측에 지지되며, 신축하면서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유닛과, 일측이 외부의 급수라인, 상기 실린더유닛 및 상기 세면대의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유닛에 상하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외부의 급수라인과 연결되는 급수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각각 작동구와, 배수구가 형성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급수구와, 상기 작동구 및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본체와,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유닛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작동구가 형성된 제1 작동라인과, 일단부가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상기 밸브본체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세면대의 배수관 일측에 연결되는 배수라인과, 일단부가 상기 배수라인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작동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실린더유닛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실린더유닛 내 마찰을 저감하여 실린더유닛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세면대가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도록 하여 낙하 충격으로 인한 세면대 또는 기타 구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Height control device for sink}
본 발명은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실린더유닛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실린더유닛 내 마찰을 저감하여 실린더유닛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세면대가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도록 하여 낙하 충격으로 인한 세면대 또는 기타 구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의 화장실 및 공중 화장실 등에서는 세면 등의 용도를 위하여 수돗물을 사용하는 기설정된 높이의 세면대 설치가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세면대의 경우 세면실 벽면 중 소정 높이에 고정 설치되어 높낮이 조절이 불가한 구조를 설치되는 바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된 세면대의 경우 키가 작은 어린아이 또는 거동의 불편한 노인들은 사실상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각에서는 일반 성인들이 사용하는 높이의 세면대 부근에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세면대를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별도의 세면대를 추가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추가 세면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영역이 필히 확보되어야 함에 따라 가정등과 같이 추가 세면대를 설치할 공간이 여의치 않은 곳에서는 이마저도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해당 업계에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 본 출원인 또한 수압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를 개발하고, 이를 실용신안 출원하여 등록(등록실용신안 제0380190호, 이하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라 함)된 바 있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100)는 일측에 급수밸브(111)가 형성되고 상면이 함몰형성되어 세면공간(112)을 제공하며 하부에 배수관(113)이 연결된 세면대 몸체(110)와, 세면실 벽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세면대 몸체(110)가 고정배치된 본체(120)와, 상단부가 본체(1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지면 일측에 지지되는 실린더유닛(130)과, 일측이 외부의 급수라인, 실린더유닛(130) 및 배수관(113)에 연결된 작동밸브(1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100)는 작동밸브(140)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일정각도만큼 회전하는 경우 급수라인(G)과 실린더유닛(130)에 연결되는 작동라인(J)을 연통하거나 작동라인(J)과 배수관(113)에 연결된 배수라인(B)을 연통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실린더유닛(130)으로 공급, 배출되도록 하여 실린더유닛(130)이 상하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세면대 몸체(1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100)는 외부 급수의 수압에 의해 실린더유닛(130)을 구동하고, 이를 통해 세면대 몸체(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키 또는 세면대 사용높이에 따라 세면대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100)는 실린더유닛(130) 내부에 실린더로드(131)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윤활유가 구비되는데, 실린더유닛(130) 내부에 물이 공급된 후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 윤활유가 외부로 배출되어 장시간 사용시 실린더본체(132)와 실린더로드(131)의 마찰로 인해 실린더유닛(130)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고, 실린더유닛(130)의 구성 일부가 손상 또는 파손됨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면대 몸체(110)의 높이를 낮추고자 실린더 본체(120) 내부에 물을 배출하는 경우 세면대 몸체(110) 및 실린더유닛(130)의 중량에 의해 실린더유닛(130) 내 물이 급속도로 배출되며, 세면대 몸체(110)가 빠른 속도로 하강함에 따라 그 낙하충격에 의해 세면대 몸체(110) 또는 기타 구성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실린더유닛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실린더유닛 내 마찰을 저감하여 실린더유닛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세면대가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도록 하여 낙하 충격으로 인한 세면대 또는 기타 구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세면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면대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에 있어서, 벽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세면대가 고정배치된 본체와,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지면 일측에 지지되며, 신축하면서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유닛과, 일측이 외부의 급수라인, 상기 실린더유닛 및 상기 세면대의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유닛에 상하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외부의 급수라인과 연결되는 급수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각각 작동구와, 배수구가 형성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급수구와, 상기 작동구 및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본체와,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유닛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작동구가 형성된 제1 작동라인과, 일단부가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상기 밸브본체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세면대의 배수관 일측에 연결되는 배수라인과, 일단부가 상기 배수라인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작동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라인과 상기 제2 작동라인은 삼방밸브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밸브본체에 연결되는 상기 배수라인의 일측과 상기 세면대의 배수관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배수라인 일측은 상기 삼방밸브의 상부와 측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작동라인은 상기 삼방밸브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본체는 일측에 상기 급수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 작동라인 및 상기 배수라인과 각각 연결되는 상기 작동구 및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 일측에 연통로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경우 상기 급수구, 상기 작동구 및 상기 배수구를 차폐하거나 상기 연통로를 통해 상기 급수라인과 상기 작동라인 또는 상기 작동라인과 상기 배수라인을 연통하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는 벽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세면대가 고정배치된 세면대 받침부 및 상기 가동프레임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실린더유닛의 일측이 지지되는 실린더유닛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실린더유닛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실린더유닛 내 마찰을 저감하여 실린더유닛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세면대가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도록 하여 낙하 충격으로 인한 세면대 또는 기타 구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단면도,
도4b는 도3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조절된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평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1)는 본체(10)와, 실린더유닛(20) 및 작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세면대(S)가 배치되는 세면실 벽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프레임(11)과, 가동프레임(11)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세면대 받침부(12) 및 가동프레임(11)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실린더유닛 받침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실린더유닛(20)에 의해 상하이동하면서 상부에 지지된 세면대(S)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동프레임(11)은 세면실 벽체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유닛(11a)과, 고정유닛(11a)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유닛(11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유닛(11a)과 이동유닛(11b)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되어 이동유닛(11b)의 상하이동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면대 받침부(12)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단부가 이동유닛(11b)의 상부 일측에 고정결합되며,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세면대 받침부(12)는 상면에 세면대(S)가 고정지지되고, 저면 일측에 실린더유닛(20)의 실린더본체(21) 상단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22)가 신축하는 경우 상하이동되면서 세면대(S)가 동반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실린더유닛 받침부(13)는 세면대 받침부(12)와 같이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단부가 이동유닛(11b)의 하부 일측에 고정결합되며,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실린더유닛 받침부(13)는 상면 일측에 실린더본체(21)의 하단부가 지지되어 실린더로드(22)가 신축하는 경우 실린더유닛 받침부(13)와 함께 상하이동하되, 가동프레임(11) 중 이동유닛(11b)에 결합된 상태로 상하이동함으로써 실린더본체(21)의 상하이동동작을 가이드하여 세면대(S)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하이동될 수 있다.
실린더유닛(20)은 상단부가 세면대 받침부(12)의 저면 일측에 지지되고 하단부 일측이 실린더유닛(20) 받침대의 일측에 지지되는 실린더본체(21)와, 실린더본체(21)의 하단부로부터 신축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실린더로드(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린더로드(22)가 신축하면서 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실린더본체(21)는 실린더로드(22) 단부에 형성되는 피스톤에 의해 그 내부공간이 상부영역(21a)과 하부영역(21b)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실린더유닛(20)은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린더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작동부(30)는 일측에 급수구(31aa)가 형성되고, 타측에 각각 작동구(31ab)와 배수구(31ac)가 형성되는 밸브본체(31)와, 양측단부가 각각 실린더유닛(20)의 상부와 작동구(31ab)가 형성된 밸브본체(31)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작동라인(32)과, 양측단부가 각각 배수구(31ac)가 형성된 밸브본체(31)의 일측과 세면대(S)의 배수관(S1) 일측에 연결되는 배수라인(33) 및 배수라인(3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실린더유닛(20) 하부에 연결되는 제2 작동라인(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밸브본체(31)는 다시 하우징(31a)과, 회전작동부(31b) 및 손잡이(3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31a)은 대략 상면 중앙이 함몰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외부의 급수라인(T)과 연결되는 급수구(31aa)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1 작동라인(32) 및 배수라인(33)과 각각 연결되는 작동구(31ab) 및 배수구(31ac)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31a)은 후술하는 회전작동부(31b)의 설치영역을 제공하고, 이를 지지하여 회전작동부(31b)이 회전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급수된 물이 실린더유닛(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작동부(31b)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 일측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함몰된 하우징(31a)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대략 "ㄱ" 형상의 연통로(31ba)가 형성된다.
회전작동부(31b)는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급수구(31aa), 작동구(31ab) 및 배수구(31ac)를 차폐하거나 연통로(31ba)를 통해 급수구(31aa)와 작동구(31ab) 또는 작동구(31ab)와 배수구(31ac)를 서로 연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회전작동부(31b)는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스프링(P)이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하우징(31a)의 내면 일측에는 회전작동부(31b) 회전간격과 대응되는 이격거리를 갖고 스프링(P)의 단부가 지지되는 3개 지지홈(H)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작동부(31b)를 회전조작하는 경우 스프링(P)의 단부가 3개의 지지홈(H) 중 어느 한 지지홈(H)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작동부(31b)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손잡이(31b)는 회전작동부(31b)의 일측 중 외부로 노출된 상부 영역 일측에 결합되고, 회전작동부(31b)를 회전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작동라인(32)은 일반적인 호스가 사용될 수 있고, 작동구(31ab)와 실린더본체(21)의 상부공간(21a)을 연통하여 외부로부터 급수된 물이 상부공간(21a)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배수라인(33)은 제1 작동라인(32)과 같이 일반적인 호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밸브본체(31)의 배수구(31ac)와 세면대(S)의 배수관(S1)을 연통하여 외부로부터 급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실린더본체(21)의 하부공간(21b)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동작은 후술하는 동작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작동라인(34)은 제1 작동라인(32) 및 배수라인(33)과 같이 일반적인 호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배수라인(33)의 일측과 실린더본체(21)의 하부공간(21b)을 연통하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제2 작동라인(34)은 실린더로드(22)가 수축하는 경우 실린더본체(21)의 상부공간(21a)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다시 실린더본체(21)의 하부공간(21b)으로 유입되도록 함 하부공간(21b)으로 유입된 물이 실린더 로드의 윤활유 역할을 하도록 하여 실린더로드(22)와 실린더본체(21)의 마찰을 저감하고, 그로 인해 실린더유닛(20)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공간(21b)으로 공급된 물은 수축하는 실린더로드(22)에 부하를 제공하여 세면대(S)가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낙하충격에 의한 세면대(S) 및 기타 구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조절된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면대(S)를 보다 높은 위치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31b)를 잡고 회전시킨다.
이에 회전작동부(31b)가 동반 회전하며,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작동부(31b) 내 연통로(31ba)가 하우징(31a)의 급수구(31aa) 및 작동구(31ab)와 연통되고, 급수구(31aa)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회전작동부(31b)로 내부로 유입된 후 연통로(31ba)를 따라 급수구(31aa)로 배출된다.
급수구(31aa)로 배출된 물은 제1 작동라인(32)을 따라 이동하여 실린더본체(21)의 상부공간(21a)으로 급수되며, 상부공간(21a)에 지속적으로 물이 급수됨에 따라 수압에 의해 실린더로드(22)가 실린더본체(21)로부터 신장하게 된다.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된 실린더로드(22)가 신장하면, 실린더본체(21)가 상승하며, 이에 결합된 본체(10)가 상방으로 동반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본체(10) 상부에 지지된 세면대(S) 또한 상방으로 이동되며, 세면대(S)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면 회전작동부(31b)를 다시 일정각도로 회전시킨다.
회전작동부(31b)가 일정각도 회전함에 따라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작동부(31b)의 연통로(31ba)가 하우징(31a)의 급수구(31aa), 배수구(31ac) 및 작동구(31ab)와 어긋나게 배치된다.
따라서, 급수구(31aa)가 회전작동부(31b)의 외면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급수가 중단되고, 작동구(31ab) 및 배수구(31ac) 역시 회전작동부(31b)의 외면에 의해 막히면서 물 배출로가 차단되어 세면대(S)의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세면대(S)의 높이를 낮추고자 하는 경우 회전작동부(31b)를 또 다시 일정각도로 회전시킨다.
이에 회전작동부(31b)가 회전하며, 회전작동부(31b)의 연통로(31ba)가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31a)의 작동구(31ab) 및 배수구(31ac)와 연통되어 실린더본체(21)의 상부공간(21a)에 위치한 물이 작동구(31ab)를 통해 연통로(31ba)로 유입되며, 연통로(31ba)로 유입된 물은 다시 배수구(31ac)를 통해 배수라인(33)으로 유입된다.
이어서, 배수라인(33)으로 유입된 물은 중력에 의해 제2 작동라인(34)으로 유입되며, 제2 작동라인(34)을 따라 실린더본체(21)의 하부공간(21b)으로 급수된다.
다시 말하면, 실린더본체(21)의 상부공간(21a)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순간 세면대(S) 및 각 구성이 그 중량에 의해 하강하고, 실린더본체(21)의 상부공간(21a)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실린더본체(21)의 하부공간(21b)으로 재유입되는데, 하부공간(21b)으로 유입된 물이 실린더유닛(20)의 윤활역할을 수행하여 실린더로드(22)와 실린더본체(21) 사이의 마찰을 저감함과 동시에 수축하는 실린더로드(22)에 부하를 제공하여 실린더본체(21)가 안정적인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세면대(S) 또한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그 높이가 조절된다.
조절된 세면대(S)의 위치를 고정하는 방법은 도6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본체 11 : 가동프레임
11a : 고정유닛 11b : 이동유닛
12 : 세면대 받침부 13 : 실린더유닛 받침부
20 : 실린더유닛 21 : 실린더본체
21a : 상부공간 21b : 하부공간
22 : 실린더로드 30 : 작동부
31 : 밸브본체 31a : 하우징
31aa : 급수구 31ab : 작동구
31ac : 배수구 31b : 회전작동부
31ba : 연통로 31c : 손잡이
32 : 제1 작동라인 33 : 배수라인
34 : 제2 작동라인

Claims (4)

  1. 세면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면대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에 있어서,
    벽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세면대가 고정배치된 본체와;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지면 일측에 지지되며, 신축하면서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유닛과;
    일측이 외부의 급수라인, 상기 실린더유닛 및 상기 세면대의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유닛에 상하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외부의 급수라인과 연결되는 급수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각각 작동구와, 배수구가 형성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급수구와, 상기 작동구 및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본체와;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유닛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작동구가 형성된 제1 작동라인과;
    일단부가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상기 밸브본체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세면대의 배수관 일측에 연결되는 배수라인과;
    일단부가 상기 배수라인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작동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라인과 상기 제2 작동라인은 삼방밸브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밸브본체에 연결되는 상기 배수라인의 일측과 상기 세면대의 배수관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배수라인 일측은 상기 삼방밸브의 상부와 측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작동라인은 상기 삼방밸브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일측에 상기 급수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 작동라인 및 상기 배수라인과 각각 연결되는 상기 작동구 및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 일측에 연통로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경우 상기 급수구, 상기 작동구 및 상기 배수구를 차폐하거나 상기 연통로를 통해 상기 급수라인과 상기 작동라인 또는 상기 작동라인과 상기 배수라인을 연통하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벽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세면대가 고정배치된 세면대 받침부; 및
    상기 가동프레임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실린더유닛의 일측이 지지되는 실린더유닛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KR1020200065716A 2020-06-01 2020-06-01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KR102330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716A KR102330765B1 (ko) 2020-06-01 2020-06-01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716A KR102330765B1 (ko) 2020-06-01 2020-06-01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765B1 true KR102330765B1 (ko) 2021-11-23

Family

ID=7869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716A KR102330765B1 (ko) 2020-06-01 2020-06-01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76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U (ja) * 1992-06-09 1994-01-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昇降式洗面台
KR100426686B1 (ko) * 2002-02-16 2004-04-13 주식회사 높낮이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KR200380190Y1 (ko) * 2004-12-27 2005-03-29 주식회사 높낮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CN2723538Y (zh) * 2004-06-28 2005-09-07 闫文栋 升降式洗脸池
CN2851375Y (zh) * 2005-08-24 2006-12-27 张艳阁 可升降洗漱池
KR101954938B1 (ko) * 2017-09-06 2019-03-06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높이 조절형 급수 조절장치
KR101966025B1 (ko) * 2018-11-22 2019-04-03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U (ja) * 1992-06-09 1994-01-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昇降式洗面台
KR100426686B1 (ko) * 2002-02-16 2004-04-13 주식회사 높낮이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CN2723538Y (zh) * 2004-06-28 2005-09-07 闫文栋 升降式洗脸池
KR200380190Y1 (ko) * 2004-12-27 2005-03-29 주식회사 높낮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CN2851375Y (zh) * 2005-08-24 2006-12-27 张艳阁 可升降洗漱池
KR101954938B1 (ko) * 2017-09-06 2019-03-06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높이 조절형 급수 조절장치
KR101966025B1 (ko) * 2018-11-22 2019-04-03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일체형 높낮이 조절 세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0231U (ko) 대걸레 자동 승강 청소 도구
JP6948507B2 (ja) 洗濯機
JP2020519352A (ja) ドラム洗濯機
US20190203399A1 (en) Hydraulic lifting support, washing machine with the hydraulic lifting suppor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30765B1 (ko) 세면대 높낮이 가변장치
JP2016035187A (ja) 排水弁装置、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水洗大便器
JP2006181336A (ja) 高さ調節が可能な洗面台
US10859198B2 (en) Foot for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KR20040003391A (ko) 세탁기의 수평조절 장치.
CN109253350A (zh) 一种机电设备用减震机构
US3685797A (en) Jack
KR100873405B1 (ko)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CN210684987U (zh) 便携式折叠淋浴房
JP5683318B2 (ja) 洗浄タンク装置
KR101954938B1 (ko) 높이 조절형 급수 조절장치
EP3722524B1 (en) Integrated height-adjustable washbasin device
JP2015229542A (ja) 段差解消昇降装置
JP2022518994A (ja) 洗浄装置
US11143354B2 (en) Foot for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KR20034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0426686B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CN211370352U (zh) 一种新型旋转浮鞋
JP2021531065A (ja) 洗濯機
KR100597173B1 (ko) 승강식 싱크 구조
KR200298946Y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