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729B1 -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729B1
KR101260729B1 KR1020110101575A KR20110101575A KR101260729B1 KR 101260729 B1 KR101260729 B1 KR 101260729B1 KR 1020110101575 A KR1020110101575 A KR 1020110101575A KR 20110101575 A KR20110101575 A KR 20110101575A KR 101260729 B1 KR101260729 B1 KR 101260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passage
wat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270A (ko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102011010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7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5Handles for single handle mix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를 상,하로 조작할 때 복수단계로 조작되게 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복수단계로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고 물의 양을 용도에 대응하여 소,중,대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물의 사용량을 조절하기 위해 손잡이를 상,하로 조작하는 위치가 냉수공급측 끝부분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냉수만 사용할 때에도 불필요하게 온수공급용 보일러가 가동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는, 밸브조작헤드를 덮도록 몸체에 설치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어 손잡이 조작시 정해진 통로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통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통로부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단의 냉,온수조절통로와, 상기 복수단의 냉,온수조절통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와, 최하단의 냉,온수조절통로에서 아래방향으로 연결된 닫힘 통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통로와 닫힘 통로는 냉수공급측 끝부분에 위치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Cool and Hot Water Mixing Faucet}
본 발명은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사용량을 원하는 만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물의 사용량을 조절하는 위치가 냉수공급측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 샤워기, 싱크대 등에서 사용하는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에 냉수연결구(1a)와 온수연결구(1b)가 형성되고 전방측에 물토출구(1c)가 형성된 몸체(1)와, 상기 몸체(1) 내에 설치되어 냉수연결구(1a)와 온수연결구(1b)로부터 유입된 물의 혼합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체(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밸브체를 몸체 외부에서 동작시키기 위한 밸브조작헤드(2)와, 상기 밸브조작헤드(2)에 연결된 손잡이(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는, 손잡이(3)를 상,하로 조작하면 밸브조작헤드(2)가 몸체(1) 내부에 설치된 밸브체를 개폐 조작하게 되고, 밸브체의 개폐 정도에 따라 물의 사용량이 조절되며, 손잡이(3)를 좌,우로 조작하면 냉수와 온수의 혼합 정도가 조절되어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손잡이(3)가 가장 아래에 위치할 때에는 밸브 닫힘 상태로서 물이 전혀 배출되지 않고, 가장 위에 위치할 때에는 밸브 열림 상태로서 물의 양이 최대로 배출되며, 손잡이(3)가 냉수공급측 끝부분(도면에서 우측)에 위치할 때에는 냉수만 배출되고, 온수공급측 끝부분(도면에서 좌측)에 위치할 때에는 온수만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는, 사용자가 물의 사용량을 조절하기 위해 손잡이(3)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할 때, 힘을 약하게 주면 잘 움직이지 않고 반대로 힘을 강하게 주면 너무 많이 움직여 원하는 물의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번거롭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의 대부분은 물의 사용 용도에 관계없이 많은 양을 배출시켜 사용함에 따라 귀중한 물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할 때에는, 손잡이(3)를 들어올려 물을 배출시켜 한 손으로 물의 온도를 감지하면서 냉수공급측 또는 온수공급측으로 이동시켜 물의 온도를 조절하였던 것으로, 대부분 손잡이(3)를 대략 냉수공급측과 온수공급측 중간에 위치시켜 사용함에 따라, 특히 냉수를 많이 사용하는 여름철에도 손잡이(3)를 중간에서 조작하여 온수공급용 보일러를 가동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에너지(가스, 기름 또는 전기)를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손잡이를 상,하로 조작할 때 복수단계로 조작되게 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복수단계로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고 물의 양을 용도에 대응하여 소,중,대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물의 사용량을 조절하기 위해 손잡이를 상,하로 조작하는 위치가 냉수공급측 끝부분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냉수만 사용할 때에도 불필요하게 온수공급용 보일러가 가동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수연결구, 온수연결구 및 물토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냉수연결구와 온수연결구로부터 유입된 물의 혼합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체를 몸체 외부에서 동작시키는 밸브조작헤드와, 상기 밸브조작헤드에 연결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작헤드를 덮도록 몸체에 설치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어 손잡이 조작시 정해진 통로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통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통로부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단의 냉,온수조절통로와, 상기 복수단의 냉,온수조절통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와, 최하단의 냉,온수조절통로에서 아래방향으로 연결된 닫힘 통로로 이루어진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통로와 닫힘 통로가 냉수공급측 끝부분에 위치한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통로에 손잡이의 단계별 이동을 유도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는, 커버의 가이드통로부에 형성된 복수단의 냉,온수조절통로 및 연결통로에 의해 손잡이를 단계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이로 인해 물의 사용 용도에 따라 물의 양을 소,중,대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가이드통로부에 형성된 연결통로와 닫힘통로가 냉수공급측 끝부분에 위치되어 물을 사용하기 위해 처음 손잡이를 조작할 때 온수공급용 보일러가 가동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특히 여름철에 냉수만 사용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온수공급용 보일러가 가동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통로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통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주요부 단면도로서, 후방측에 냉수연결구(11a)와 온수연결구(11b)가 형성되고 전방측에 물토출구(11c)가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 내에 설치되어 냉수연결구(11a)와 온수연결구(11b)로부터 유입된 물의 혼합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체(도시하지 않음)를 몸체 외부에서 동작시키기 위한 밸브조작헤드(12)와, 상기 밸브조작헤드(12)에 연결된 손잡이(13)로 구성된다.
또한, 밸브조작헤드(12)는 몸체(11)에 결합된 커버(14)에 의해 덮혀 있고, 커버(14)에는 손잡이(13)가 정해진 통로로 조작되도록 안내하는 소정 패턴의 가이드통로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13)의 가이드부(13a)는 가이드통로부(20)를 관통하여 이동하기 좋게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통로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공급측과 온수공급측의 좌우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3단의 냉,온수조절통로(21,22,23)를 형성하고, 이 3단의 냉,온수조절통로(21,22,23) 사이는 연결통로(24)로 연결되어 있으며, 1단의 냉,온수조절통로(21)에는 아래 방향으로 연결된 닫힘통로(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통로(24)와 닫힘통로(25)는 냉수공급측 끝부분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는, 손잡이(13)를 상,하로 조작하면 커버(14) 내부의 밸브조작헤드(12)가 몸체(11) 내부에 설치된 밸브체를 개폐 조작하여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며, 손잡이(13)를 좌,우로 조작하면 냉수와 온수의 혼합 정도가 조절되어 물의 온도가 조절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3)는 가이드통로부(20)에 의해 정해진 통로로 안내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손잡이(13)의 가이드부(13a)가 닫힘통로(25)에 있는 밸브 닫힘 상태에서 연결통로(24)를 이용하여 3단의 냉,온수조절통로(21,22,23)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3단의 냉,온수조절통로(21,22,23)에 의해 물의 사용량을 소,중,대로 구분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물의 사용량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냉,온수조절통로(21,22,23)로 이동시키게 되면,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통로(24)와 닫힘통로(25)가 냉수공급측 끝단부에 위치된 것이므로, 처음 물을 사용하기 위해 손잡이(13)를 조작할 때, 손잡이(13)의 가이드부(13a) 위치가 냉수공급측 끝단부에 있기 때문에, 온수공급용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종래에, 손잡이(13)가 냉수공급측과 온수공급측 사이에 위치되어 특히 여름철에 냉수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온수공급용 보일러가 가동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가이드통로부(20)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가이드통로부(20)의 구성에서 연결통로(24)에 손잡이(13)의 단계별 이동을 유도하는 제1 내지 제3 경사면(24a,24b,24c)을 더 형성한 구성이다.
제1 및 제2 경사면(24a,24b)은, 연결통로(24)의 냉수공급측 끝단벽면에 형성되고 1단의 냉,온수조절통로(21)와 2단의 냉,온수조절통로(22) 사이에 위치한 것으로, 제1 경사면(24a)은 1단의 냉,온수조절통로(21)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경사면(24b)은 2단의 냉,온수조절통로(22)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3 경사면(24c)은 1단 냉,온수조절통로(21)와 2단 온수조절통로(2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경사면(24a)의 대향측 벽면에 형성되고 제1 경사면(24a)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13)의 닫힘 통로(25)에서부터 조작할 때, 손잡이(13)를 위로 이동시키면 1단의 냉,온수조절통로(21)에서 가이드부(13a)가 제1 경사면(24a)과 접촉하므로 물의 사용량을 1단으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고, 이어서 손잡이(13)의 가이드부(13a)를 제1 경사면(24a)을 따라 계속 이동시키면, 가이드부(13a)가 2단의 냉,온수조절통로(22)의 상단에 접촉하므로 2단으로의 조절이 용이하며, 이어서 가이드부(13a)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부(13a)가 2단의 냉,온수조절통로(22)의 냉수공급측 끝단에 접촉되고, 이어서 가이드부(13a)를 위로 이동시키면 3단의 냉,온수조절통로(23)의 상단에 접촉되므로 3단으로의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손잡이(13)를 복수단계로 조절하여 물의 사용량을 소,중,대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 : 몸체 12 : 밸브조작헤드
13 : 손잡이 13a : 가이드부
14 : 커버 20 : 가이드통로부
21,22,23 : 냉,온수조절통로 24 : 연결통로
24a,24b,24c : 경사면 25 : 닫힘통로

Claims (3)

  1. 냉수연결구, 온수연결구 및 물토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냉수연결구와 온수연결구로부터 유입된 물의 혼합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체를 몸체 외부에서 동작시키는 밸브조작헤드와, 상기 밸브조작헤드에 연결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작헤드를 덮도록 몸체에 설치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어 손잡이 조작시 정해진 통로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통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통로부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단의 냉,온수조절통로와, 상기 복수단의 냉,온수조절통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와, 최하단의 냉,온수조절통로에서 아래방향으로 연결된 닫힘통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와 닫힘통로는, 냉수공급측 끝부분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에 손잡이의 단계별 이동을 유도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KR1020110101575A 2011-10-06 2011-10-06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KR101260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75A KR101260729B1 (ko) 2011-10-06 2011-10-06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75A KR101260729B1 (ko) 2011-10-06 2011-10-06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70A KR20130037270A (ko) 2013-04-16
KR101260729B1 true KR101260729B1 (ko) 2013-05-06

Family

ID=4843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575A KR101260729B1 (ko) 2011-10-06 2011-10-06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22Y1 (ko) * 2014-02-20 2014-12-24 황승재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KR101654426B1 (ko) * 2014-10-27 2016-09-05 정진 부동전 겸용 수도
KR102435501B1 (ko) 2021-09-23 2022-08-24 조진우 에너지 절약형 수전금구
KR102476547B1 (ko) 2022-02-15 2022-12-13 주식회사 제이하이시스 에너지 절약 및 탄소절감형 수전금구
KR102622391B1 (ko) 2022-07-19 2024-01-08 주식회사 제이하이시스 에너지 절약 및 탄소절감형 수전금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478A (ja) 2004-01-21 2005-08-04 Kvk Corp 水栓
KR200435542Y1 (ko) 2006-12-20 2007-01-29 안찬용 절수형 수전금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478A (ja) 2004-01-21 2005-08-04 Kvk Corp 水栓
KR200435542Y1 (ko) 2006-12-20 2007-01-29 안찬용 절수형 수전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70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729B1 (ko)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CN106151595B (zh) 节水阀芯及其流体供应系统
CN107062594B (zh) 冷热分离热水器
KR100876951B1 (ko) 변기용 세척밸브의 절수장치
KR20090071507A (ko) 온냉수혼합꼭지
CN201326205Y (zh) 洗脸盆电动下水器
KR101504642B1 (ko) 순간 온수 기능이 포함된 비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873405B1 (ko) 다목적용 급수 조절 장치
KR101231401B1 (ko) 수전금구용 온수절감형 카트리지
KR200454784Y1 (ko) 급수전
KR200349639Y1 (ko) 두 개의 토수구로 구성된 수도꼭지
KR200438693Y1 (ko) 자동수도꼭지 개폐용 전자밸브
CN204201178U (zh) 带有暂停水功能的淋浴阀
JP2009062787A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100589034B1 (ko)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카트리지
CN104930232A (zh) 一种涓流控制阀
KR200356428Y1 (ko) 다단식 냉온수 분배기
KR101272162B1 (ko) 절수형 플래시밸브
JP3204603U (ja) 節水用手元水栓
KR100523355B1 (ko) 수도꼭지용 레버결합구조
CN217030134U (zh) 水路控制组件
CN217439085U (zh) 一种水槽控制系统
CN215367586U (zh) 一种淋浴柱无极调位结构
CN107269887A (zh) 一种流体供应系统
KR200235959Y1 (ko) 핸들리스 포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