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119A -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119A
KR20100041119A KR1020080100135A KR20080100135A KR20100041119A KR 20100041119 A KR20100041119 A KR 20100041119A KR 1020080100135 A KR1020080100135 A KR 1020080100135A KR 20080100135 A KR20080100135 A KR 20080100135A KR 20100041119 A KR20100041119 A KR 20100041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port
water discharge
fauc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058B1 (ko
Inventor
이종석
김창원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0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7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space-saving features, e.g. retractable, demoun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토수구가 세면대나 욕조 내부에 매립된 상태였다가 물 사용시에만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냉온수 조절밸브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토수구(1)를 구비하고 있으며, 냉온수 및 수량 조절레버(6)에 의해 상기 토수구(1)을 통한 물 공급 및 냉온수의 조절이 가능케되는 수도꼭지에 있어서,
세면대 나 욕조의 상판(5)에는 토수구(1)가 출입하기위한 통공(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수구(1)는 완만하게 구부러진 호의 형태로서 그 하부에는 물 공급관이 연결되어있고,
상기 상판(5) 내부의 공간에는 상기 토수구(1)의 상하이동의 경로를 안내하기위한 가이드장치(2)가 구비되어 있으며,
토수구(1)의 하단과 상판(5) 사이에는 스파이럴 스프링(52)이 상기 토수구(1)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수구(1)의 하단에는 걸림수단(14)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3)에는 지지수단(31)이 구비되어서, 토수구(1) 하강시 상기 걸림수단(14)이 지지수단(31)에 삽입되면 걸림상태가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토수구(1)를 눌러주면 상기 걸림수단(14)과 지지수단(31)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토수구, 수도꼭지, 매립, 스프링, 가이드, 밸브, 세면대, 욕조

Description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Faucet whose outlet is embedded}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토수구가 세면대나 욕조 내부에 매립된 상태였다가 물 사용시에만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토수구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부에는 밸브가 구비되어 토수구 하강 시(매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토수구 상승 시(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가 개방된 상태가 되어, 상기 토수구를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에서는, 온수관과 냉수관이 냉온수 조절레버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는 냉온수 조절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냉온수 조절밸브의 토출측은 토수구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냉온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수도꼭지에서는 냉온수 밸브나 배관등은 세면대나 욕조 내부에 매립된 상태이지만, 토수구는 외부에 상시 노출된 상태이다.
따라서, 미관상 좋지 않을뿐만 아니라, 세면대와 욕조 위의 공간에 비누, 면도기, 샴푸 등과 같은 비품을 두고자할 때 공간 확보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 생하기도 한다.
또한, 수도꼭지를 세면대나 욕조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구성할 경우에는, 수도꼭지가 매립된 상태에서 물이 토출되어지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확인할 길이 없으므로 물을 낭비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토수구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평상시에는 토수구가 세면대 및 욕조의 내부로 하강된 상태(매립상태)가 되어 미관상 아름다울뿐만 아니라 비품 배치를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물을 사용하고자할 때에만 토수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미관과 실용적인 가치를 함께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토수구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만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토수구의 상승, 하강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밸브를 상기 토수구로의 공급 관로에 구비함으로써, 토수구가 매립된 상태에서는 물 공급이 항상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물이 낭비되는 일이 발생하지않도록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토수구가 매립된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하되, 물을 사용하고자 할시에는 토수구의 매립상태가 해제되고 필요한 길이만큼 충분히 노출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은, 토수구가 가이드 수단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구 성하되 하강시에서는 세면대나 욕조의 내부로 매립되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승시에는 그 외부로 노출되어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능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온수 조절 밸브이외에도, 토수구로의 물공급을 개폐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냉온수 조절밸브와 토수구 사이의 관로 중간에 구비하되, 밸브의 레버는 상기 토수구의 위치에 따라 개폐제어되도록(토수구가 상승시에는 개방되고, 토수구 하강시에는 폐쇄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토수구가 매립된 위치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물이 토출되지 않게함으로써 물 낭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수구와 상판사이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물을 사용하고자할 시에는 매립상태의 토수구가 상기 스파이럴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신속히 신장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며,
상기 토수구의 하부에는 걸림수단이 구비되어있고, 토수구의 경로 아래에 위치한 지지대에는 상기 걸림수단과 결합되는 지지수단이 구비되어있으므로, 토수구를 손으로 밀어넣어 매립시킬 때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토수구가 세면대나 욕조 내부에 감추어진 상태이었다가 물 사용시에만 토수구를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미관상 아름다름다울뿐만 아니라 비품 배치를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토수구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만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토수구의 상승, 하강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밸브를 상기 토수구로의 공급 관로에 구비함으로써, 토수구가 매립된 상태에서는 물 공급 자체가 차단되어 물이 낭비되는 일이 발생하지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토수구가 매립상태로부터 신장될시에는,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신장되므로, 토수구를 물 사용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신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수구를 밀어넣어 매립시키고자 할 시에는, 걸림수단과 지지수단에 의해 토수구의 매립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임의로 토수구를 매립하거나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로서 토수구가 매립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로서 토수구가 노출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매립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노출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냉온수 조절밸브(미도시함)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토수구(1)를 구비하고 있으며, 냉온수 및 수량 조절레버(6)에 의 해 토수구(1)을 통한 물 공급 및 냉온수의 조절이 가능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에서는 도 1 및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토수구(1)가 평상시에는 세면대 나 욕조의 상판(5)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있다가 물을 사용하고자할 경우에만 외부에 노출되어지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기 위해서 상기 세면대 나 욕조의 상판(1)에는 토수구(1)의 헤드 단면적에 일치하는 통공(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수구(1)는 완만하게 구부러진 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토수구(1)의 노출 정도에 관계없이 상기 통공(53) 내부에서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토수구(1)의 단면적을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토수구(1)의 상단에는 다수의 토출공(11)이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상기 토출측 관로(42)가 연결되어있으며, 그 측부에는 상기 토수구(1)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12)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12)은 도시된 예에서는 롤러타입의 것을 사용하였는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드 타입의 것을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5)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토수구(1)의 상하경로의 좌우측에 상기 가이드수단(1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21)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가이드장치(2)가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수단(12)은, 상기 토수구(1)가 상판(5) 내부로 매립되는 위치로부터 물을 사용하기에 충분하게 노출되는 위치까지, 토수구(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진다.
한편, 가이드수단(12)의 중간에는 지지대(3)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냉온수 조절밸브(미도시함)로부터의 유입측 관로(41)와 상기 토수구(1)로의 토출측 관로(42)와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4)가 위치하는데, 상기 밸브(4)의 레버(43)는 횡방향으로 위치하되 내측지지단(47)과 상기 지지대(44)사이에는 스프링(44)이 연결되고, 레버의 외측지지단(48)은 수직연결봉(46)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연결봉(46)은 상기 토수구(1)의 하부에 닿을 수 있도록 길게 신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직연결봉(46)이 상기 지지대(3)를 거쳐 상기 토수구(1)의 하부를 제대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3)에는 상기 수직연결봉(46)이 관통하기위한 통공(32)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토수구(1)의 하단에는 상기 수직연결봉(46)과의 접촉을 용이케하기위한 지지판(1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4)는 상판(5) 내부의 공간에서 위치가 고정되야할 것이므로, 상기 가이드장치(2)의 일 측벽의 하부에 설치되고 레버(43)는 좌,우 가이드장치(2)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위치하여야 한다.
상기 스프링(44)은 지지대(3)와 상기 레버(43)의 내측지지단(47) 사이에 연결되므로, 상기 스프링(44)은 레버(43)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되며,
스프링(45)는 수직연결봉(46)의 하단과 상기 레버(43)의 외측지지단(48) 사이에 연결되므로, 상기 스프링(45)은 레버(43)를 수직연결봉(46)의 하단쪽으로 당기는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된다.
따라서, 밸브(4)의 레버(43)는 상기 스프링(44)(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모멘트값 차이에 의해 선회방향이 정해지게된다.
즉, 토수구(1)가 하강한 상태(매립된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수직연결봉(46)이 토수구(1)에 밀려 하강하게되므로, 레버(43)의 외측지지단(48)과 수직연결봉의 하단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5)이 길게 신장되어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모멘트값보다 스프링(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모멘트값이 커지게되므로 레버(43)는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되는데, 상기 밸브(4)는 레버(43)의 시계방향 선회시에 관로가 폐쇄되도록 구성되어있으므로 상기 토수구(1)에 물이 공급되지 않게된다.
또한, 토수구(1)가 상승한 상태(외부 노출된 상태)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수직연결봉(46)이 함께 상승되어진 상태이므로, 레버(43)의 외측지지단(48)과 수직연결봉의 하단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5)은 짧게 수축되어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모멘트값보다 스프링(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모멘트값이 작아지게되므로 레버(43)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되는데, 상기 밸브(4)는 레버(43)의 반시계방향 선회시에 관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있으므로 상기 토수구(1)에 물이 공급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토수구가 상하이동하는 과정과, 토수구로의 물 공급이 제어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드리자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매립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노출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토수구(1)는 완만한 호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측부에는 가이드수단(12)이 결합되어, 가이드장치(2)의 가이드홈(21)을 통해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판(5)의 통공(53)은 상기 토수구(1)의 헤드에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토수구(1)가 하강할 시에는 상판(5)의 표면과 일치하는 높이까지 하강하여 매립된 상태가 되고, 토수구(1)가 상승할 시에는 물 사용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높이까지 충분히 상승하게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3)와 밸브의 레버(43)사이에 결합된 스프링(44)은, 레버(43)를 윗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가해지는데, 상기 레버(43)의 외측 선단에는 수직연결봉(46)이 연결되고, 상기 수직연결봉(46)은 상기 토수구(1)의 하부를 받치고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44)에 의해 레버(43)를 윗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려는 힘은 상기 수직연결봉(46)을 거쳐 상기 토수구(1)를 윗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레버(43)의 외측지지단(48)과 수직연결봉(46)의 하단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5)은, 수직연결봉(46)을 위로 움직이도록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스프링(44)과 함께 상기 토수구(1)를 윗방향으로 밀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하게된다.
따라서, 토수구(1)를 도 4에서와 같이 상판(5) 내부에 매립시키기 위해서는, 토수구(1)를 손이나 별도의 하강수단을 사용하여 강제로 하강시켜야하며, 토수 구(1)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걸림수단(미도시함)을 사용하여 토수구(1)의 상승하려는 힘이 상쇄되도록 해야한다.
이와 같이 토수구(1)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수직연결봉(46)이 토수구(1)에 밀려 과도하게 하강된 상태이므로, 상기 수직연결봉(46)의 하단과 레버(43)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5) 역시 과도하게 늘어난 상태가 되어서, 상기 레버(43)와 지지대(3)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4)에 비해 훨씬 큰 힘으로 작용하게된다.
따라서, 레버(43)는 상기 스프링(45)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 즉 레버(43)를 하강시키는 방향(시계방향)으로 작용하며, 레버(43)가 하강하면 밸브(4)는 닫히게 되므로, 일단 토수구(1)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물이 토수구(1)에 공급되지 않게된다.
한편,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고자할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걸림수단(미도시함)을 해제하여 토수구(1)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해야하는데,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스프링(44)(45)의 탄성복원력은 상기 수직연결봉(45)을 상승시켜 토수구(1)를 위로 미는 방향으로 작용하게될 것이므로, 토수구(1)는 상승하여 외부에 노출될 것이다.
이와 같이 토수구(1)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수직연결봉(46)도 함께 상승할 것이므로, 상기 수직연결봉(46)의 하단과 레버(43)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5)은 수축된 상태가 되어서, 상기 레버(43)와 지지대(3)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4)에 비해 작은 힘으로 작용하게된다.
따라서, 레버(43)는 상기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 즉 레 버(43)를 상승시키는 방향(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며, 레버(43)가 상승하면 밸브(4)는 열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냉온수 및 수량조절레버(6)(도 1, 2 참조)를 조작함으로써 물을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밸브 레버(43)의 내측지지단(47)과 외측지지단(48)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44)(45)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고, 토수구(1)가 상승 또는 하강할 시에 상기 스프링(44)(45)에 의한 탄성복원력의 합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토수구(1)의 상하이동시에 상기 밸브(4)는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토수구(1)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밸브(4)가 항상 닫힌 상태가 되므로, 토수구(1)가 매립된 위치에서 사용자 실수로 물공급 레버가 조작된 경우에도 물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토수구의 매립 상태와, 토수구의 완전 노출 상태만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밸브(4)의 레버(3)가 토수구의 완전 하강한 단계에서 폐쇄되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겠으나, 실제적으로는 상기 스프링(44)(45)의 탄성복원력의 크기는 토수구(1)가 상판(5) 내부로 하강하기 전에 이미 역전되어지므로, 토수구(1)의 매립상태 이전, 즉 하강하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물 공급은 이미 중단될 것이다.
따라서, 토수구(1)가 상판(5) 내부로 하강한 이후에는 절대 물이 공급되지않을 것이므로, 침수의 문제나 물 낭비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토수구(1)의 하단과 상판(5)사이에는 스파이럴 스프 링(52)이 상기 토수구(1)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스파이럴 스프링(52)의 본체는 스프링지지부(51)에 의해 상판(5)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52)의 일단부는 상기 토수구(1)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 지지부(15)에서 고정되어지므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52)은 토수구(1)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토수구(1)의 하단에는 걸림수단(14)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3)에는 지지수단(31)이 구비되어서, 토수구(1) 하강시 상기 걸림수단(14)이 지지수단(31)에 삽입되면 걸림상태가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토수구(1)를 눌러주면 상기 걸림수단(14)과 지지수단(31)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토수구가 매립된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스파이럴 스프링(52)은 그 일단부가 토수구(1)와 함께 하강하게되므로 길게 신장된 상태(탄성력이 크게 작용하는 상태)이지만, 상기 걸림수단(14)은 지지수단(31)에 삽입되어 걸려진 상태이므로, 토수구(1)는 상승하지 못하고 매립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기 위해 토수구(1)를 눌러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수단(14)과 지지수단(31)간의 결합상태가 해지되어서, 토수구(1)는 스파이럴 스프링(5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신속히 상승하게될 것이므로, 토수구(1)는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노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로서 토수구가 매립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로서 토수구가 노출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매립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토수구가 노출되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수구 2 : 가이드장치
3 : 지지대 4 : 밸브
5 : 상판 11 : 토출공
12 : 가이드수단 13 : 지지판
14 : 걸림수단 15 : 스프링 지지부
21 : 가이드홈 31 : 지지수단
32 : 통공 41 : 유입측 관로
42 : 토출측 관로 43 : 레버
44, 45 : 스프링 51 : 스프링 지지부
52 : 스파이럴 스프링

Claims (4)

  1. 냉온수 조절밸브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토수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냉온수 및 수량 조절레버에 의해 상기 토수구을 통한 물 공급 및 냉온수의 조절이 가능케되는 수도꼭지에 있어서,
    세면대 나 욕조의 상판에는 토수구가 출입하기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수구는 완만하게 구부러진 호의 형태로서 그 하부에는 물 공급관이 연결되어있고,
    상기 상판 내부의 공간에는 상기 토수구의 상하이동의 경로를 안내하기위한 가이드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토수구의 하단과 상판 사이에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상기 토수구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수구의 하단에는 걸림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지지수단이 구비되어서, 토수구 하강시 상기 걸림수단이 지지수단에 삽입되면 걸림상태가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토수구를 눌러주면 상기 걸림수단과 지지수단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2. 제 1항에 있어서,
    스파이럴 스프링의 본체는 스프링지지부에 의해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토수구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 지지부에서 고 정되어지므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토수구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치의 하부에는 냉온수 조절밸브로부터의 유입측 관로와 상기 토수구로의 토출측 관로와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위치하는데, 상기 밸브의 레버는 횡방향으로 위치하되 내측지지단과 상기 지지대사이에는 스프링이 연결되고, 레버의 외측지지단과 수직연결봉의 하단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수직연결봉은 상기 토수구의 하부에 닿을 수 있도록 길게 신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구의 측면에는 가이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장치에는 가이드홈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됨으로써 상기 토수구가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KR1020080100135A 2008-10-13 2008-10-13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KR10099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135A KR100993058B1 (ko) 2008-10-13 2008-10-13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135A KR100993058B1 (ko) 2008-10-13 2008-10-13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119A true KR20100041119A (ko) 2010-04-22
KR100993058B1 KR100993058B1 (ko) 2010-11-08

Family

ID=4221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135A KR100993058B1 (ko) 2008-10-13 2008-10-13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194A1 (ko) * 2015-03-20 2016-09-29 이권영 싱크대용 수전금구
KR20220030846A (ko) * 2020-09-03 2022-03-11 홍기 욕실 슬라이드바용 컨트롤박스의 물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50B1 (ko) 2005-04-11 2007-03-30 강선우 출몰식 급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194A1 (ko) * 2015-03-20 2016-09-29 이권영 싱크대용 수전금구
KR20220030846A (ko) * 2020-09-03 2022-03-11 홍기 욕실 슬라이드바용 컨트롤박스의 물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058B1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063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US20010049841A1 (en) Toilet stool with economized water
KR100993058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US20010052147A1 (en) Toilet stool with economized water
KR102195888B1 (ko) 물탱크용 및 직수형 후레쉬밸브용 양변기 겸용 자동물내림 기능을 갖는 전자식 비데의 자동물내림장치
KR20150046978A (ko) 양변기 물 내림 장치
KR100993067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JP6819022B2 (ja) 水洗大便器装置
KR101218739B1 (ko) 절수형 플래시밸브
KR100993053B1 (ko)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한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JP2004324061A (ja) 洗面化粧台の排水構造
KR100882947B1 (ko) 자동물내림 비데의 실린더 압력 개폐장치
KR20120084475A (ko)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KR101245067B1 (ko) 양변기용 물내림 장치
KR20120084476A (ko)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0483305Y1 (ko) 유로전환 기능을 갖는 접이식 세면대
KR101010343B1 (ko) 양변기
JP2017066677A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KR200453735Y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역류방지장치
KR101058551B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차단 장치
JP4748632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の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目皿部材
KR102425348B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2084159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101248521B1 (ko) 절수형 밸브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