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476A -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 Google Patents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476A
KR20120084476A KR1020110005864A KR20110005864A KR20120084476A KR 20120084476 A KR20120084476 A KR 20120084476A KR 1020110005864 A KR1020110005864 A KR 1020110005864A KR 20110005864 A KR20110005864 A KR 20110005864A KR 20120084476 A KR20120084476 A KR 20120084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ypass
expansion member
toi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석
Original Assignee
베스트오토앤시트 주식회사
주식회사 천일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트오토앤시트 주식회사, 주식회사 천일피앤씨 filed Critical 베스트오토앤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4476A/ko
Publication of KR20120084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2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kept in open position by means of air or water pressure or by vacuu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2Operating automa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4Operated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자의 용변 후,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팽창부재가 팽창하여 사이폰덮개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배수구를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구로 탱크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되면서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Using expandable member non-powered device automatic flushing of toilet}
본 발명은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자의 용변 후,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팽창부재가 팽창하여 사이폰덮개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배수구를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구로 탱크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되면서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가정이나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용변자의 용변 후, 레버의 가압에 따라 배수되는 세척수와 함께 용변이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레버의 수동조작이 아닌, 수압을 이용하여 물내림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특허 제764836호로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개방된 개폐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일정거리 상승하는 작동부의 실린더로드에 의해 사이폰덮개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세정수배출공을 개방하고, 개방된 세정수배출공으로 탱크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면서 용변을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선 등록된 특허는, 작동부를 오버플로우어관에 고정시키는 클램프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오버플로우어관의 직경이나 모양에 따라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실린더로드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사이폰덮개를 상향으로 회전시켜 탱크의 배수구를 개방하는 구성이나, 물의 수압이 약해 실린더로드를 들어올리지 못할 경우, 사이폰덮개가 상향으로 회전되지 않음으로 탱크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지 않아 용변을 세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작동부의 설치 위치에 따라 실린더로드를 들어올린 물의 퇴수가 원활하지 않아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작동되는 작동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절감됨과 동시에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버플로우어관의 직경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사이폰덮개 하부에 팽창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팽창부재가 팽창되어 사이폰덮개를 들어주기 때문에 물의 수압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동작함과 아울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작동으로 개방되는 수로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팽창부재가 팽창됨과 동시에 사이폰덮개를 상향 회전시키면서 개방되는 배수구로 세척수가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물내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폰덮개의 하부에 팽창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내부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팽창부재가 팽창되어 사이폰덮개를 들어주기 때문에 물의 수압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작동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물내림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물내림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로(200)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0)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재(100)의 작동으로 개방되는 수로(200)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팽창부재(320)가 팽창됨과 동시에 사이폰덮개(21)를 상향 회전시키면서 개방되는 배수구로 세척수가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물내림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물내림부(300)는, 상기 수로(200)에 연결되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310)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관(310) 단부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팽창되어 사이폰덮개(21)를 회전시키는 팽창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팽창부재(320)로 과공급되는 물을 바이패스시키면서 수도전으로부터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팽창부재(320)를 팽창시킨 물을 퇴수시키는 바이패스부(3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팽창부재(320)는 연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부재(320)로 과공급된 물을 퇴수시키는 바이패스부(330)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부(330)는, 상기 안내관(310)과 바이패스공(331a)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몸체(331)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공(331a)을 개폐시키는 바이패스부재(332)가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부재(332)를 수용하여 몸체(33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바이패스패킹(333)이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패킹(333)을 가압하는 바이패스스프링(334)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스프링(334)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몸체(331)에 체결되어 바이패스된 물을 퇴수시키는 퇴수공(335a)이 관통된 마개(33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마개(335)의 체결공(335b)에 바이패스부재(332)의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팽창부재(320)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조절부재(33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내림부(300)는 탱크(20) 내부에 사이폰덮개(2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물내림부(300)와 수도전은 개폐부재(100)가 설치된 수로(200)로 연결되며, 상기 개폐부재(100)는 수로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 앉아 용변을 본 후, 탈좌하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재(100)가 작동함과 동시에 수로(200)를 개방하면, 상기 수로(200)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물내림부(300)의 안내관(310)으로 공급되는데, 상기 안내관(310)으로 공급되는 물은 연질의 튜브형으로 형성된 팽창부재(320)로 공급되어 팽창부재(320)를 팽창시킴과 동시에 상기 팽창부재(32)의 팽창에 따라 사이폰덮개(21)가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수구를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구를 통해 탱크(20)에 저장된 세척수가 변기본체(11)로 배수되면서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이폰덮개(21)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팽창부재(320)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팽창부재(320)로 과공급되는 물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부(330)의 바이패스공(331a)으로 공급되고, 상기 바이패스공(331a)으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바이패스부재(332)와 바이패스패킹(333)이 바이패스스프링(334)을 압축시키면서 몸체(331) 내면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부재(332)는 마개(335)의 체결공(335b)에 체결된 이동거리조절부재(336)에 밀착되면서 이동을 정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공(331a)으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으로 바이패스패킹(333)이 바이패스부재(332)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바이패스패킹(333) 내면이 바이패스부재(332)의 외주면에 결합된 패킹(P)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여 바이패스부재(332)의 배출공(332')이 개방되면, 몸체(331) 내부로 유입된 물은 바이패스부재(332)의 배출공(332')을 통해 마개(335)의 퇴수공(335a)으로 퇴수되면서 팽창부재(320)가 필요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변기본체의 용변 세척이 완료되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재(100)가 수로(200)를 폐쇄하면, 수도전으로부터 물내림부(300)로 공급되는 물이 중단됨과 동시에 물내림부(300)로 공급된 물은 바이패스부(330)로 퇴수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부(330)로 퇴수되는 물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내림부(300)로 과공급된 물이 바이패스되는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퇴수되는데, 상기 바이패스부(330)의 바이패스패킹(333) 내주면이 바이패스부재(332)의 외주면에 결합된 패킹(P)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패킹(P)과 바이패스패킹(333)의 마찰력에 의해 바이패스패킹(333)이 바이패스부재(332)의 외주면을 따라 빠르게 이동하지 않으면서 복원되는 팽창부재(320)의 복원력에 의해 팽창부재(320) 내부의 물을 가압하여 밀어내어 퇴수가 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팽창부재(320) 내부의 물이 바이패스부(330)를 통해 변기본체(11) 내부로 퇴수되면, 도 4f 내지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부재(332)의 패킹(P)과 바이패스부재(332) 외주면을 따라 바이패스패킹(333)이 이동하면서 바이패스부재(332)의 패킹(P')에 밀착됨과 동시에 바이패스패킹(333)가 바이패스부재(332)와 함께 이동되면서 바이패스부재(332)가 바이패스공(331a)을 폐쇄시키면서 복원작동이 완료된다.
상기 팽창밸브(320)가 복원되면서 상향으로 회전된 사이폰덮개(21)의 지지력이 상실됨에 따라 사이폰덮개(21)는 하향을 회전하여 배수구를 폐쇄시키고, 배수구가 폐쇄된 탱크(20) 내부에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한 후,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개폐부재 200: 수로
300: 물내림부 310: 안내관
320: 팽창부재 330: 바이패스부
331: 몸체 332: 바이패스부재
333: 바이패스패킹 334: 바이패스스프링
335: 마개 336: 크기조절부재

Claims (4)

  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로(200)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0)와;
    상기 개폐부재(100)의 작동으로 개방되는 수로(200)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팽창부재(320)가 팽창됨과 동시에 사이폰덮개(21)를 상향 회전시키면서 개방되는 배수구로 세척수가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물내림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물내림부(300)는,
    상기 수로(200)에 연결되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310)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관(310) 단부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팽창되어 사이폰덮개(21)를 회전시키는 팽창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팽창부재(320)로 과공급되는 물을 바이패스시키면서 수도전으로부터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팽창부재(320)를 팽창시킨 물을 퇴수시키는 바이패스부(33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바이패스부(330)는,
    상기 안내관(310)과 바이패스공(331a)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몸체(331)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공(331a)을 개폐시키는 바이패스부재(332)가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부재(332)를 수용하여 몸체(33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바이패스패킹(333)이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패킹(333)을 가압하는 바이패스스프링(334)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스프링(334)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몸체(331)에 체결되어 바이패스된 물을 퇴수시키는 퇴수공(335a)이 관통된 마개(335)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개(335)의 체결공(335b)에 바이패스부재(332)의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팽창부재(320)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조절부재(33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20110005864A 2011-01-20 2011-01-20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120084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64A KR20120084476A (ko) 2011-01-20 2011-01-20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64A KR20120084476A (ko) 2011-01-20 2011-01-20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476A true KR20120084476A (ko) 2012-07-30

Family

ID=4671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864A KR20120084476A (ko) 2011-01-20 2011-01-20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44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361A1 (ko) * 2017-02-20 2018-08-23 주식회사 호두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KR102561312B1 (ko) * 2022-04-19 2023-07-27 하미경 양변기용 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361A1 (ko) * 2017-02-20 2018-08-23 주식회사 호두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KR102561312B1 (ko) * 2022-04-19 2023-07-27 하미경 양변기용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063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100756652B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101296342B1 (ko)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101024365B1 (ko) 양변기 필밸브의 림측급수관 물량조절밸브
KR20120084476A (ko)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2195888B1 (ko) 물탱크용 및 직수형 후레쉬밸브용 양변기 겸용 자동물내림 기능을 갖는 전자식 비데의 자동물내림장치
KR101190258B1 (ko) 와이어방식 자동물내림 시스템
KR20120092254A (ko) 직수형변기에 적용하는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102195889B1 (ko) 물탱크용 및 직수형 후레쉬밸브용 양변기 겸용 정전시 계속 물내림 해지장치
KR200453734Y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101296341B1 (ko)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KR101198901B1 (ko) 후레쉬밸브 압력실의 물을 이용한 비데 물공급 기능이 구비된 이중개폐밸브 자동 물내림 비데
KR100986216B1 (ko) 양변기 급수제어밸브의 수로전환장치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101184707B1 (ko) 대소변 구분 세척이 가능한 세척밸브
KR100993058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KR101010343B1 (ko) 양변기
KR200441830Y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KR200447998Y1 (ko) 변기로의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직수형 후레쉬밸브구조
KR101789263B1 (ko)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KR200484133Y1 (ko) 상하 이동식 압력 벨브 메인 급수 변환장치.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KR100993067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KR101196841B1 (ko) 도기 일체형 비데의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097972B1 (ko) 대소변에 따른 세척수 배수량 조절이 가능한 후레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