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341B1 -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341B1
KR101296341B1 KR1020110005863A KR20110005863A KR101296341B1 KR 101296341 B1 KR101296341 B1 KR 101296341B1 KR 1020110005863 A KR1020110005863 A KR 1020110005863A KR 20110005863 A KR20110005863 A KR 20110005863A KR 101296341 B1 KR101296341 B1 KR 101296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toilet
hol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475A (ko
Inventor
윤기석
Original Assignee
베스트오토앤시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트오토앤시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스트오토앤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3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좌시트에 앉는 용변자의 하중으로 개방되는 수로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탈좌시, 저장된 물이 배출될 때,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팽창부재가 팽창되면서 사이폰덮개를 상향으로 회전시켜 개방되는 배수구로 세척수가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Automatic flushing toilets by weight of non-powered channel switching devices}
본 발명은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좌시트에 앉는 용변자의 하중으로 개방되는 수로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탈좌시, 저장된 물이 퇴수될 때,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팽창부재가 팽창되면서 상향으로 회전하는 사이폰덮개에 의해 배수구가 개방되고, 개방된 배수구로 세척수가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가정이나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용변자의 용변 후, 레버의 가압에 따라 배수되는 세척수와 함께 용변이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레버의 수동조작이 아닌, 수압을 이용하여 물내림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제10-2010-0022781호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선 공개된 특허는, 용변자 하중으로 개방되는 수로를 통해 수도전의 물이 작동부로 공급되고, 작동부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실린더로드를 가압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스프링을 압축시키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에 따라 용변자의 대소변을 판단하고, 용변자 탈좌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실린더로드를 이동시킨 물을 물내림 장치로 공급하여 판단된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가 배출되면서 용변을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선 공개된 특허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스프링의 장력보다 수압이 약할 경우, 실린더로드를 가압하여 이동시키지 못하므로 물내림이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일정거리 이동되어야만 물내림을 할 수 있는 위치까지 전진하여 실린더로드가 장진되는데, 실린더로드가 일정거리 이동되기도 전에 용변자가 용변을 마칠 경우, 물내림이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작동되는 작동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절감됨과 동시에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부품의 구성이 많음에 따라 연결부위를 통한 누수가 발생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변자의 변좌시트 착좌시, 압축되는 스프링에서 복원력이 생성됨과 동시에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한 후, 용변자의 탈좌시, 물내림부로 물을 공급하여 변기의 물내림이 동작되도록 함과 아울러 용변자의 변좌시트 착좌시간이 짧은 경우에도 변기의 물내림이 동작되도록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약하더라도 동작하여 물내림부로 공급하므로 물의 수압에 관계없이 변기의 물내림이 동작되도록 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위의 감소로 누수의 발생원인을 줄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는,
변좌시트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개방되는 수로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변좌시트에서 용변자 탈좌시, 수로를 폐쇄한 후, 저장된 물이 배출될 때, 수도전의 물이 물내림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내림밸브와;
상기 물내림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팽창부재가 팽창하면서 사이폰덮개를 상향 회전시켜 배수구를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구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면서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물내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는,
변좌시트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개방되는 수로를 통해 후레쉬밸브의 압력실로부터 물을 공급부와 공급안내부의 하우징에 공급받아 저장하고, 변좌시트에서 용변자 탈좌시, 공급부의 하우징에 저장된 물이 퇴수되어 압력실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피스톤이 상승하여 개방되는 출구를 통해 변기본체로 공급됨과 아울러 공급안내부의 하우징에 저장된 물이 배수될 때까지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로 공급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물내림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변자의 변좌시트 착좌시, 압축되는 스프링에서 복원력이 생성됨과 동시에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한 후, 용변자의 탈좌시, 물내림부로 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용변자의 변좌시트 착좌시간이 짧은 경우에도 변기의 물내림이 원활하게 동작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동작하여 공급된 물을 저장한 후, 물내림부로 공급하여 변기의 물내림이 동작되도록 하므로 수압에 관계없이 변기의 물내림이 원활하게 동작되도록 함과 아울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위의 감소로 누수의 발생원인을 줄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물내림밸브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퇴수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물내림부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7a 내지 도 7l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물내림밸브 분리사시도
도 9은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퇴수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도
도 12a 내지 도 12i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물내림밸브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퇴수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물내림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는, 변좌시트(10)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개방되는 수로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변좌시트(10)에서 용변자 탈좌시, 수로를 폐쇄한 후, 저장된 물이 배출될 때, 수도전의 물이 물내림부(300)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내림밸브(100)가 구성되며, 상기 물내림밸브(1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팽창부재(320)가 팽창하면서 사이폰덮개(21)를 상향 회전시켜 배수구를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구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면서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물내림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물내림밸브(100)는, 상기 변좌시트(10)에 내장되면서 스프링(111)이 안착되는 공간(112)이 대향하게 형성된 지지부재(11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110)에 장착되어 용변자 착좌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고, 탈좌시, 수도전의 물을 물내림부(300)로 공급하는 공급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110)에 장착되어 용변자 착좌시, 수도전의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탈좌시, 저장된 물을 변기본체(11)로 배출하면서 수도전의 물이 공급부(120)를 통해 물내림부(300)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안내부(130)가 구성되며, 상기 물내림부(300)로 공급된 물을 퇴수시키는 물내림퇴수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지지부재(110)에 공급안내부재(123)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공급안내리브(121)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안내리브(121)를 수용하는 통공(122a)이 관통되며, 하단부에 물내림부(30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공(122b)이 관통된 하우징(122)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22)의 통공(122a)에 장착되어 공급안내리브(121)가 관통공(123a)을 개폐시켜 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하도록 하는 공급안내부재(123)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안내리브(121)의 체결공(121a)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급안내부재(123)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급안내핀(124)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안내핀(124)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캡(126)의 공급공(126a)을 개폐시키는 공급차단부재(125)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차단부재(12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우징(122)을 폐쇄시키면서 수도전의 물을 공급받는 공급공(126a)이 관통된 캡(126)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공급안내핀(124)의 동작을 지지하도록 공급안내리브(121)의 체결공(121a)에 체결되는 핀지지부재(124a)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안내부(130)는, 상기 지지부재(110)에 공급안내부재(132b)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안내리브(131)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리브(131)에 결합되어 수도전의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배출하는 저장배출부(132)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배출부(132)에 저장된 물의 퇴수를 안내하는 퇴수부(1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저장배출부(132)는, 상기 안내리브(131)에 결합되는 저장공간(132a')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변기본체(11)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공(132a")이 관통된 하우징(132a)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32a)에 결합되어 안내리브(13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급안내부재(132b)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32a)을 폐쇄시키면서 수도전의 물을 공급받는 공급공(132c')이 관통된 캡(132c)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퇴수부(133)는, 상기 지지부재(110)에 물의 퇴수를 안내하는 퇴수안내리브(133a)가 구비되고, 상기 퇴수안내리브(133a)를 수용하면서 유입공(133b')과 퇴수공(133b")이 형성된 하우징(133b)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물내림퇴수부(140)는, 상기 지지부재(110)에 물의 퇴수를 안내하는 퇴수안내리브(141)가 구비되고, 상기 퇴수안내리브(141)에 퇴수안내공(142a)이 개폐되도록 결합되면서 하단부에 퇴수공(142b)이 형성된 하우징(142)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42)을 폐쇄시키면서 물내림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변기본체(11)로 퇴수시키는 퇴수공(143a)이 관통된 캡(14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물내림밸브(100)의 공급부(120)와 공급안내부(130) 및 물내림퇴수부(140)의 하우징(122)(132a)(142)과 캡(126)(132c)(143)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좌시트(10)에 용변자 착좌시, 붙은 자석(151)(152)의 힘으로 용변자 탈좌시, 스프링(111a)의 복원력으로 복원되는 물내림밸브(100)의 복원속도를 지연시켜 물내림부(300)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시간을 지연시켜 휴지버리는 시간을 얻을 수 있게 하는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150)는, 상기 물내림부(300)에 내장된 자석(151)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151)과 인력되는 자석(152)이 구비되며, 상기 물내림부(300)에 내장된 자석(15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물내림부(300)에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재(153)가 구비되고, 상기 물내림부(300)에 내장된 자석(151)과 인력되는 자석(152)을 수용하여 지지부재(110)의 체결공(154')에 체결되는 수용부재(15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물내림부(300)는, 상기 물내림밸브(100)의 공급공(122b)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310)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관(310) 단부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팽창되어 사이폰덮개(21)를 회전시키는 팽창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팽창부재(320)로 물이 과공급되면, 과공급된 물을 퇴수시키는 바이패스부(3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팽창부재(320)는 연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패스부(330)는, 상기 안내관(310)과 바이패스공(331a)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몸체(331)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공(331a)을 개폐시키는 바이패스안내부재(332)가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안내부재(332)를 수용하여 몸체(33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바이패스이동부재(333)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이동부재(333)를 가압하는 바이패스스프링(334)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스프링(334)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몸체(331)에 체결되어 바이패스된 물을 퇴수시키는 퇴수공(335a)이 관통된 마개(33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마개(335)의 체결공(335b)에 바이패스안내부재(332)의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바이패스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이동거리조절부재(33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내림밸브(100)가 변좌시트(10)에 설치되고, 물내림부(300)는 탱크(20)의 사이폰덮개(2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 앉으면,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자의 하중이 변좌시트(10)로 전달됨과 동시에 변좌시트(10)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지지부재(110) 공간(112)에 설치된 스프링(111)을 압축시키면서 공급부(120)와 공급안내부(130) 및 물내림퇴수부(140)의 각 하우징(122)(132)(142)을 동시에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공급부(120)와 공급안내부(130) 및 물내림퇴수부(140)는 지지부재(110)에 돌출된 공급안내리브(121)와 안내리브(131) 및 퇴수안내리브(141)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110)가 변기본체(11) 상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용변자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급부(120)가 하부로 이동하면, 캡(126)이 공급차단부재(125)를 가압함과 동시에 공급차단부재(125)에 체결된 공급안내핀(124)은 하부로 이동하여 핀지지부재(124a)에 밀착됨과 동시에 지지부재(110)의 공급안내리브(121)가 공급안내부재(123)의 관통공(123a)에서 이탈되면서 하우징(122)의 통공(122a)을 폐쇄시키는데, 상기 공급차단부재(125)가 공급안내부재(123)의 관통공(123a)에서 이탈되어 상기 공급안내부재(123)의 관통공(123a)에서 공급안내리브(121)가 이탈되어 하우징(122)의 통공(122a)을 폐쇄시키기 전까지, 수도전의 물이 캡(126)의 공급공(126a)을 통해 공급안내부재(123)와 하우징(122) 내부로 공급되어 공급공(122b)을 통해 물내림부(300)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안내부(130)가 하부로 이동하면, 저장배출부(132)의 캡(132c)과 하우징(132a)이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공급안내부재(132b)가 하우징(132a)의 저장공간(132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캡(132c)의 관통공(132c')을 통해 수도전의 물이 저장공간(132a')으로 공급되어 저장되며, 상기 저장공간(132a')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는 공급공(132a")으로 배출되면서 퇴수부(133)의 유입공(133b')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퇴수부(133)의 하우징(133b)은 변좌시트(10)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퇴수안내리브(133a)가 유입공(133b')을 폐쇄시킨 상태로 유입공(133b')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변좌시트(10)에 용변자 착좌시,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150)의 자석(151)이 이탈방지부재(153)를 통해 자석(152)에 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용변을 볼 수 있으며, 상기 물내림밸브(100)의 각 하우징이 지지부재(110)에 밀착되면서 하강동작이 정지된다.
상기 용변자의 용변 후, 변좌시트(10)에서 용변자가 탈좌하면, 도 7d 내지 도 7m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내림밸브(100) 스프링(111)의 압축된 복원력에 의해 변좌시트(10) 저면에 고정된 각 하우징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하우징과 지지부재(110)는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150)의 자석(151)(152)에 인력이 작용하므로 용변자의 탈좌시에, 물내림밸브(100)의 복원력을 지연시켜 휴지버리는 시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자석(152)을 수용한 수용부재(154)는 지지부재(110)의 체결공(154')에 체결되는 높이에 따라 자석(151)(152)의 인력을 조절하여 휴지버리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석(151)(152)의 인력보다 압축된 스프링(111)의 복원력이 강해 물내림밸브(100)의 공급부(120) 하우징(122)이 상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하우징(122)의 통공(122a)이 공급안내리브(121)에서 이탈되어 하우징(122)의 통공(122a)이 개방됨과 동시에 캡(126)과 함께 상향으로 이동하여 공급안내부재(123)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공급차단부재(125)는 수도전의 물이 캡(126)의 공급공(126a)으로 공급되면서 밀어냄에 따라 공급차단부재(125)와 공급안내부재(123)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급안내부재(123)의 관통공(123a)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공급공(122b)을 물내림부(300)의 안내관(310)으로 공급된다.
상기 안내관(310)으로 공급되는 물은, 연질의 팽창부재(320)로 공급되어 팽창부재(320)를 팽창시킴과 동시에 상기 팽창부재(320)의 팽창에 따라 사이폰덮개(21)가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수구를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구를 통해 변기본체(11)로 세척수가 배수되면서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이폰덮개(21)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팽창부재(320)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팽창부재(320)로 과공급되는 물은 안내관(310)에 형성된 바이패스부(330)의 바이패스공(331a)으로 공급된다.
상기 바이패스공(331a)으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바이패스안내부재(332)와 바이패스이동부재(333)가 바이패스스프링(334)을 압축시키면서 몸체(331) 내면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안내부재(332)는 마개(335)의 체결공(335b)에 체결된 이동거리조절부재(336)에 밀착되면서 이동을 정지하게 된다.
상기 바이패스공(331a)으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바이패스이동부재(333)가 바이패스안내부재(332)를 따라 이동하여 바이패스안내부재(332)의 배출공(332')이 개방되면, 몸체(331) 내부로 유입된 물은 바이패스안내부재(332)의 배출공(332')을 통해 마개(335)의 퇴수공(335a)으로 퇴수되므로 팽창부재(320)가 필요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급안내부(130)의 저장공간(132a')에 저장된 물은 공급공(132a")을 경유하여 퇴수부(133)의 유입공(133b')으로 공급되면서 퇴수안내리브(133a)의 이탈로 개방된 하우징(133b) 내부를 경유하여 퇴수공(133b")으로 배출되면서 변기본체(11)로 퇴수된다.
상기 저장공간(132a')에 저장된 물이 퇴수공(133b")을 통해 변기본체(11)로 퇴수될 때까지, 수도전의 물이 물내림밸브(100)를 통해 물내림부(300)로 공급되면서 탱크(20)에 저장된 세척수가 변기본체(11)로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하면, 물내림부(100)의 공급부(120) 하우징(122)과 공급안내부(130)의 하우징(132a) 내부를 공급안내리브(121)와 안내리브(131)가 각각 폐쇄시키는데, 상기 공급부(120)의 공급차단부재(125)가 캡(126)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공급차단부재(125)의 상부 이동에 따라 공급안내핀(124)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공급안내리브(121)의 체결공(121a)을 견고하게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물내림부(100)의 공급부(120) 하우징(122)과 공급안내부(130)의 하우징(132a) 내부를 공급안내리브(121)와 안내리브(131)가 각각 폐쇄시키면서 수도전으로부터 물의 공급을 중단함과 동시에 수도전의 물 공급이 중단되면, 물내림부(300)의 팽창부재(320)로 공급된 물은 물내림퇴수부(140)의 퇴수안내공(142a)으로 공급되면서 퇴수안내리브(141)의 이탈로 개방된 하우징(142)과 퇴수공(142b)을 경유하여 변기본체(11) 내부로 퇴수되는데, 상기 팽창부재(320)가 복원되면서 상향으로 회전된 사이폰덮개(21)의 지지력이 상실됨에 따라 사이폰덮개(21)는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여 배수구를 폐쇄시키면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탱크(20)에 저장한 후,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시트(10)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개방되는 수로를 통해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부(420)와 공급안내부(430)의 하우징(422)(432a)에 공급받아 저장하고, 변좌시트(10)에서 용변자 탈좌시, 공급부(420)의 하우징(422)에 저장된 물이 퇴수되어 압력실(31)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피스톤이 상승하여 개방되는 출구를 통해 변기본체(11)로 공급됨과 아울러 공급안내부(430)의 하우징(432a)에 저장된 물이 배수될 때까지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11)로 공급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물내림밸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물내림밸브(400)는, 상기 변좌시트(10)에 내장되면서 스프링(411)이 안착되는 공간(412)이 대향하게 형성된 지지부재(41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10)에 장착되어 용변자 착좌시,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탈좌시, 저장된 물을 변기본체(11)로 퇴수시켜 압력실(31)의 압력이 낮아져 변기본체(11)에 물내림이 동작되도록 하는 공급부(42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10)에 장착되어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탈좌시, 저장된 물을 변기본체(11)로 배출하면서 후레쉬밸브(30)를 통해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11)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안내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420)는, 상기 지지부재(410)에 공급안내부재(423)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공급안내리브(421)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안내리브(421)를 수용하는 통공(422a)이 관통되며, 하단부에 변기본체(11)로 물을 퇴수하는 퇴수공(422b)이 관통된 하우징(422)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422)의 통공(422a)에 장착되어 공급안내리브(421)가 관통공(423a)을 개폐시켜 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하도록 하는 공급안내부재(423)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안내리브(421)의 체결공(421a)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급안내부재(423)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급안내핀(424)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안내핀(424)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캡(426)의 공급공(426a)을 개폐시키는 공급차단부재(425)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차단부재(42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우징(422)을 폐쇄시키면서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공(426a)이 관통된 캡(426)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공급안내핀(424)의 동작을 지지하도록 공급안내리브(421)의 체결공(421a)에 체결되는 핀지지부재(424a)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안내부(430)는, 상기 지지부재(410)에 공급안내부재(432b)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안내리브(431)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리브(431)에 결합되어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배출하는 저장배출부(432)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배출부(432)에 저장된 물의 퇴수를 안내하는 퇴수부(4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저장배출부(432)는, 상기 안내리브(431)에 결합되는 저장공간(432a')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변기본체(11)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공(432a")이 관통된 하우징(432a)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432a)에 결합되어 안내리브(43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급안내부재(432b)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432a)을 폐쇄시키면서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공(432c')이 관통된 캡(432c)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퇴수부(433)는, 상기 지지부재(410)에 물의 퇴수를 안내하는 퇴수안내리브(433a)가 구비되고, 상기 퇴수안내리브(433a)를 수용하면서 유입공(433b')과 퇴수공(433b")이 형성된 하우징(433b)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물내림밸브(400)의 공급부(420)와 공급안내부(430)의 하우징(422)(432a)과 캡(426)(432c)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좌시트(10)에 용변자 착좌시, 붙은 자석(441)(442)의 힘으로 용변자 탈좌시, 스프링(411a)의 복원력으로 복원되는 물내림밸브(400)의 복원속도를 지연시켜 후레쉬밸브(30) 압력실(31)의 물 배출시간을 지연시켜 휴지버리는 시간을 얻을 수 있게 하는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4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440)는, 상기 물내림밸브(400)에 내장된 자석(441)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441)과 인력되는 자석(442)이 구비되며, 상기 물내림밸브(400)에 내장된 자석(44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물내림밸브(400)에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재(443)가 구비되고, 상기 물내림밸브(400)에 내장된 자석(441)과 인력되는 자석(442)을 수용하여 지지부재(410)의 체결공(444')에 체결되는 수용부재(44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내림밸브(400)가 변좌시트(10)에 설치되고, 상기 물내림밸브(400)의 공급부(420) 공급공(426a)과 공급안내부(430)의 공급공(432c')을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과 연결하여 압력실(31)에 저장되는 물이 각 공급공(426a)(432c')을 통해 공급부(420)와 공급안내부(430) 내부로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용변자가 변좌시트(10)에 앉으면, 도 12a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자의 하중이 변좌시트(10)로 전달됨과 동시에 변좌시트(10)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지지부재(410) 공간(412)에 설치된 스프링(411)을 압축시키면서 공급부(420)와 공급안내부(430)의 각 하우징(422)(432)을 동시에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공급부(420)와 공급안내부(430)는 지지부(410)에 돌출된 공급안내리브(421)와 안내리브(431)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410)가 변기본체(11) 상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용변자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급부(420)가 하부로 이동하면, 캡(426)이 공급차단부재(425)를 가압함과 동시에 공급차단부재(425)에 체결된 공급안내핀(424)은 하부로 이동하여 핀지지부재(424a)에 밀착됨과 동시에 지지부재(410)의 공급안내리브(421)가 공급안내부재(423)의 관통공(423a)에서 이탈되면서 하우징(422)의 통공(422a)을 폐쇄시켜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공급차단부재(425)가 공급안내부재(423)의 관통공(423a)에서 이탈되어 캡(426)에 밀착되기 전까지와, 상기 공급안내부재(423)의 관통공(423a)에서 공급안내리브(421)가 이탈되어 하우징(422)의 통공(422a)을 폐쇄시키기 전까지, 후레쉬밸브(30) 압력실(31)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도 수도전으로부터 압력실(31)에 공급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압력실(31)에 저장되는 물의 양보다 적은 양으로 공급되므로 압력실(31)의 물이 순간적으로 배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공급안내부(430)가 하부로 이동하면, 저장배출부(432)의 캡(432c)과 하우징(432a)이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공급안내부재(432b)가 하우징(432a)의 저장공간(432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캡(432c)의 관통공(432c')을 통해 후레쉬밸브(30) 압력실(31)의 물이 저장공간(432a')으로 공급되어 저장되며, 상기 저장공간(432a')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는 공급공(432a")으로 배출되면서 퇴수부(433)의 유입공(433b')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퇴수부(433)의 하우징(433b)은 변좌시트(10)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퇴수안내리브(433a)가 유입공(433b')을 폐쇄시킨 상태로 유입공(433b')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변좌시트(10)에 용변자 착좌시,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440)의 자석(441)이 이탈방지부재(443)를 통해 자석(442)에 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용변을 볼 수 있으며, 상기 물내림밸브(400)의 각 하우징이 지지부재(410)에 밀착되면서 하강동작이 정지된다.
상기 용변자의 용변 후, 변좌시트(10)에서 용변자가 탈좌하면, 도 12d 내지 도 1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내림밸브(400) 스프링(411)의 압축된 복원력에 의해 변좌시트(10) 저면에 고정된 각 하우징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하우징과 지지부재(410)는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440)의 자석(441)(442)에 인력이 작용하므로 용변자의 탈좌시에, 물내림밸브(400)의 복원력을 지연시켜 휴지버리는 시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자석(442)을 수용한 수용부재(444)는 지지부재(410)의 체결공(444')에 체결되는 높이에 따라 자석(441)(442)의 인력을 조절하여 휴지버리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석(441)(442)의 인력보다 압축된 스프링(411)의 복원력이 강해 물내림밸브(400)의 공급부(420) 하우징(422)이 상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하우징(422)의 통공(422a)이 공급안내리브(421)에서 이탈되어 하우징(422)의 통공(422a)이 개방됨과 동시에 캡(426)과 함께 상향으로 이동하여 공급안내부재(423)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공급차단부재(425)는 후레쉬밸브(30) 압력실(31)의 물이 캡(426)의 공급공(426a)으로 공급되면서 밀어냄에 따라 공급차단부재(425)와 공급안내부재(423)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급안내부재(423)의 관통공(423a)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공급공(122b)을 통해 변기본체(11)로 퇴수된다.
이때, 상기 후레쉬밸브(30) 압력실(31)에 저장된 물이 퇴수됨과 동시에 압력실(31)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짐에 따라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후레쉬밸브(30)의 피스톤이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출구를 개방하고, 개방된 출구를 통해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11)로 공급되면서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안내부(430)의 저장공간(432a')에 저장된 물은, 공급공(432a")을 경유하여 퇴수부(433)의 유입공(433b')으로 공급되면서 퇴수안내리브(433a)의 이탈로 개방된 하우징(433b) 내부를 경유하여 퇴수공(433b")으로 배출되면서 변기본체(11)로 퇴수된다.
상기 저장공간(432a')에 저장된 물이 퇴수공(433b")을 통해 변기본체(11)로 퇴수될 때까지, 압력실(31)에 물이 저장되지 않음으로,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11)로 배출되어 용변을 세척하면, 물내림밸브(400)의 공급부(420) 하우징(422)과 공급안내부(430)의 하우징(432a) 내부를 공급안내리브(421)와 안내리브(431)가 각각 폐쇄시키는데, 상기 공급부(420)의 공급차단부재(425)가 캡(426)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공급차단부재(425)의 상부 이동에 따라 공급안내핀(424)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공급안내리브(421)의 체결공(421a)을 견고하게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후레쉬밸브(30) 압력실(3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중단됨과 동시에 변기본체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압력실(31)에 저장되면서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피스톤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출구를 폐쇄시키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물내림밸브 110: 지지부재
120: 공급부 130: 공급안내부
140: 물내림퇴수부 150: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
300: 물내림부 310: 안내관
320: 팽창부재 330: 바이패스부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변좌시트(10)에 앉는 용변자 하중으로 개방되는 수로를 통해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부(420)와 공급안내부(430)의 하우징(422)(432a)에 공급받아 저장하고, 변좌시트(10)에서 용변자 탈좌시, 공급부(420)의 하우징(422)에 저장된 물이 퇴수되어 압력실(31)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피스톤이 상승하여 개방되는 출구를 통해 변기본체(11)로 공급됨과 아울러 공급안내부(430)의 하우징(432a)에 저장된 물이 배수될 때까지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11)로 공급되어 용변을 세척하도록 하는 물내림밸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물내림밸브(400)는,
    상기 변좌시트(10)에 내장되면서 스프링(411)이 안착되는 공간(412)이 대향하게 형성된 지지부재(41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10)에 장착되어 용변자 착좌시,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탈좌시, 저장된 물을 변기본체(11)로 퇴수시켜 압력실(31)의 압력이 낮아져 변기본체(11)에 물내림이 동작되도록 하는 공급부(42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10)에 장착되어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탈좌시, 저장된 물을 변기본체(11)로 배출하면서 후레쉬밸브(30)를 통해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11)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안내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공급부(420)는,
    상기 지지부재(410)에 공급안내부재(423)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공급안내리브(421)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안내리브(421)를 수용하는 통공(422a)이 관통되며, 하단부에 변기본체(11)로 물을 퇴수하는 퇴수공(422b)이 관통된 하우징(422)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422)의 통공(422a)에 장착되어 공급안내리브(421)가 관통공(423a)을 개폐시켜 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하도록 하는 공급안내부재(423)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안내리브(421)의 체결공(421a)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급안내부재(423)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급안내핀(424)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안내핀(424)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캡(426)의 공급공(426a)을 개폐시키는 공급차단부재(425)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차단부재(42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우징(422)을 폐쇄시키면서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공(426a)이 관통된 캡(426)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공급안내핀(424)의 동작을 지지하도록 공급안내리브(421)의 체결공(421a)에 체결되는 핀지지부재(424a)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공급안내부(430)는,
    상기 지지부재(410)에 공급안내부재(432b)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안내리브(431)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리브(431)에 결합되어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배출하는 저장배출부(432)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배출부(432)에 저장된 물의 퇴수를 안내하는 퇴수부(433)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이서, 저장배출부(432)는,
    상기 안내리브(431)에 결합되는 저장공간(432a')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변기본체(11)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공(432a")이 관통된 하우징(432a)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432a)에 결합되어 안내리브(43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급안내부재(432b)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432a)을 폐쇄시키면서 후레쉬밸브(30)의 압력실(31)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공(432c')이 관통된 캡(432c)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퇴수부(433)는,
    상기 지지부재(410)에 물의 퇴수를 안내하는 퇴수안내리브(433a)가 구비되고, 상기 퇴수안내리브(433a)를 수용하면서 유입공(433b')과 퇴수공(433b")이 형성된 하우징(433b)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23.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변좌시트(10)에 용변자 착좌시, 붙은 자석(441)(442)의 힘으로 용변자 탈좌시, 스프링(411a)의 복원력으로 복원되는 물내림밸브(400)의 복원속도를 지연시켜 후레쉬밸브(30) 압력실(31)의 물 배출시간을 지연시켜 휴지버리는 시간을 얻을 수 있게 하는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4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휴지버리는 시간조절부(440)는,
    상기 물내림밸브(400)에 내장된 자석(441)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441)과 인력되는 자석(442)이 구비되며, 상기 물내림밸브(400)에 내장된 자석(44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물내림밸브(400)에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재(443)가 구비되고, 상기 물내림밸브(400)에 내장된 자석(441)과 인력되는 자석(442)을 수용하여 지지부재(410)의 체결공(444')에 체결되는 수용부재(444)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KR1020110005863A 2011-01-20 2011-01-20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KR101296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63A KR101296341B1 (ko) 2011-01-20 2011-01-20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63A KR101296341B1 (ko) 2011-01-20 2011-01-20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475A KR20120084475A (ko) 2012-07-30
KR101296341B1 true KR101296341B1 (ko) 2013-08-14

Family

ID=4671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863A KR101296341B1 (ko) 2011-01-20 2011-01-20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3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640A (zh) * 2015-05-15 2015-12-16 株式会社烨峨芬 下水功能最大化的配张弛加压突起式无电源自动下水装置
CN105155641A (zh) * 2015-05-15 2015-12-16 株式会社烨峨芬 坐便器下水功能最大化的引线牵引式无电源自动下水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618B1 (ko) * 2014-06-12 2015-02-26 정재희 발전기를 구비하는 좌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01Y1 (ko) * 2001-02-01 2001-10-26 성태수 체중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물을 내려주는 좌변기
KR20090101022A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KR20090101021A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20100048647A (ko) * 2008-10-31 2010-05-11 노태종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01Y1 (ko) * 2001-02-01 2001-10-26 성태수 체중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물을 내려주는 좌변기
KR20090101022A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KR20090101021A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20100048647A (ko) * 2008-10-31 2010-05-11 노태종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5640A (zh) * 2015-05-15 2015-12-16 株式会社烨峨芬 下水功能最大化的配张弛加压突起式无电源自动下水装置
CN105155641A (zh) * 2015-05-15 2015-12-16 株式会社烨峨芬 坐便器下水功能最大化的引线牵引式无电源自动下水装置
CN105155641B (zh) * 2015-05-15 2017-03-08 株式会社烨峨芬 坐便器下水功能最大化的引线牵引式无电源自动下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475A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981B1 (ko) 인체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대소변을 구분하여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US9670658B2 (en) Water closet device
KR101296342B1 (ko)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101306143B1 (ko) 변기의 무전원 물내림 장치
KR101296341B1 (ko) 체중에 의한 변기 자동 물내림이 가능한 무전원 수로개폐장치
JP2009007845A (ja) 水洗大便器
KR102195888B1 (ko) 물탱크용 및 직수형 후레쉬밸브용 양변기 겸용 자동물내림 기능을 갖는 전자식 비데의 자동물내림장치
KR100758827B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제어장치
KR20120092254A (ko) 직수형변기에 적용하는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970007596B1 (ko) 압력수세식 변기의 시스템 및 장치
JP6855015B2 (ja) 水洗大便器
JP5412779B2 (ja) 洋風大便器
KR101194330B1 (ko) 물탱크형 변기에 적용하는 인체 하중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래크기어방식 변좌시트
KR20100003034U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100648068B1 (ko) 절수형 양변기
JP5610988B2 (ja) 水洗式便器
KR101282271B1 (ko) 보올부의 보충수 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보충수 공급호스 고정장치
WO2006135348A1 (en) Flush tank with integrated lavatory bowl
JP3324269B2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KR20100041119A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JP3097053U (ja) 用水回収保存分段給水装置を具えたトイレタンク
KR200452869Y1 (ko) 급수제어밸브의 역류방지구조
JP7154663B1 (ja) 災害対応便器
KR200447998Y1 (ko) 변기로의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직수형 후레쉬밸브구조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