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22Y1 -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22Y1
KR200475722Y1 KR2020140001290U KR20140001290U KR200475722Y1 KR 200475722 Y1 KR200475722 Y1 KR 200475722Y1 KR 2020140001290 U KR2020140001290 U KR 2020140001290U KR 20140001290 U KR20140001290 U KR 20140001290U KR 200475722 Y1 KR200475722 Y1 KR 200475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t water
casing
faucet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재
Original Assignee
황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승재 filed Critical 황승재
Priority to KR2020140001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필요하게 온수를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에너지를 편리하게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는 레버가 구비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 하부에 끼워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지며 헤드부에 의해 조절되어 냉·온수의 배출과 혼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카트리지, 상부에 카트리지의 하부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고 후방 좌우 양측으로 온수연결구와 냉수연결구가 형성되며 전방 측에 출수구가 형성된 몸체로 구성되는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측면은 레버의 정면에서 볼 때 레버 중앙의 측면 하단에서 수직으로 상부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며 다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어 레버의 완전 냉수 위치까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절개된 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는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 외주면에는 상기 절개부의 직각삼각형의 형상에 대응하여 수직면이 레버의 완전 냉수 위치에 형성되며 수직면 상부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절개부의 경사면이 상기 케이싱의 돌기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돌기부의 수직면에 걸려 더 이상 절개부가 이동할 수 없게 되면, 완전 냉수 위치에서 레버가 밑으로 내려져 수돗물이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A faucet for energy saving}
본 고안은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필요하게 온수를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에너지를 편리하게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의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카트리지의 회전체의 저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 샤워기, 싱크대 등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1)는 레버(2)가 구비된 헤드부(3), 상기 헤드부(3) 하부에 끼워지는 케이싱(4), 상기 케이싱(4)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지며 헤드부(3)에 의해 조절되어 냉·온수의 배출과 혼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카트리지(5), 상부에 카트리지(5)의 하부가 끼워지는 홀(hole, 6)이 형성되고 홀 바닥면에 온수공급공, 냉수공급공, 출수공이 형성되며, 후방 좌·우 양측으로 온수연결구(7)와 냉수연결구(8)가 형성되고 전방 측에 출수구(9)가 형성된 몸체(10)로 구성된다.
헤드부(3) 상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레버(2)의 좌측에는 온수를 나타내는 붉은 색 표시가, 레버(2)의 우측에는 냉수를 나타내는 파란색 표시가 구비된다. 헤드부(3) 내부에는 카트리지(5) 상부의 조절막대(12)가 끼워지는 연결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4)은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 중간 지점의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어 그 걸림턱 하부에 카트리지(5)가 끼워지며, 이 때 카트리지(5) 상부의 조절막대(12)는 헤드부(3) 내부에 형성된 연결홈(11)에 끼워진다. 케이싱(4)의 하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몸체(10)의 홀(6)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된다.
카트리지(5)는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13)과 하우징(13)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구멍을 가지는 뚜껑(14), 상기 하우징(13)의 뚜껑(14)에 끼워져 하우징(13) 내부에 수용되는 지름이 작고 큰 2단의 원판 형상을 가지는 회전체(15), 상기 회전체(15)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뚜껑(14)의 구멍으로 나와 헤드부(3) 내부에 형성된 연결홈(11)에 끼워지며 회전체(15)의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체(15)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조절막대(12), 상기 회전체(15)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 홈이 형성되어 그 홈에 회전체(15) 하부로 돌출된 조절막대(12)가 끼워지며 하부에는 원형 돌기가 형성되는 이동판(18), 상기 이동판(18)의 원형 돌기에 끼워지고 그 하면에 조절구멍(18)이 형성되어 조절막대(12)의 전·후 이동 및 좌·우 회전에 따라 냉·온수의 배출과 혼합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체(17), 상기 밸브체(17) 하부에 구비되며 온수공급공(20), 냉수공급공(21), 출수공(22)을 가지는 베이스(19), 상기 베이스(19)에 형성된 온수공급공(20), 냉수공급공(21), 출수공(22)에 대응하는 온수공급공, 냉수공급공, 출수공이 형성된 하우징 하면(2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1)는 레버(2)를 상하로 조작하면 헤드부(3)가 카트리지(5) 내부에 설치된 밸브체(17)를 개폐 조작하게 되고, 밸브체(17)의 개폐 정도에 따라 수돗물의 사용량이 조절되며 레버(2)가 가장 밑에 위치할 때에는 밸브 닫힘 상태로서 수돗물이 전혀 배출되지 않고, 가장 위에 위치할 때에는 밸브 열림 상태로서 수돗물의 양이 최대로 배출된다.
상기 레버(2)를 좌우로 작동시키면, 조절막대(12)가 회전체(1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체(15)의 하부에 설치된 조절막대(12)가 이동판(16) 상부의 홈에 끼워져서 이동판(16)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5) 하우징(13)의 뚜껑(14)에는 회전체(15)가 결합되는데, 상기 뚜껑(14)에는 하우징(13)에 결합시키기 위한 상·하측 볼록홈 및 좌·우측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양 끼움돌기 간의 상부 반원주에 해당하는 측면의 단부는 소정 깊이 절개되어 회전체(15)의 걸림홈 기능을 하도록 형성되고, 회전체(15) 하부 양 측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회전체(15)의 걸림턱이 뚜껑(14) 측면의 걸림홈에 걸리지 않고 좌·우측으로 회전하는 각도는 원주를 3등분하는 120°로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카트리지의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를 냉수 측으로 돌릴수록 밸브체(17)의 조절구멍(18)과 베이스(19)의 냉수공급공(21)이 연통되는 단면적이 커지고 이와 반대로 온수공급공(20)과 연통되는 단면적은 작아지게 되므로 점점 차가운 혼합수가 유출된다. 그리고 최대로 레버(2)를 냉수 측으로 돌렸을 때는 온수공급공(20)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이므로 냉수만이 유출되는 것이다.
상기 레버(2)를 온수 측으로 돌릴수록 밸브체(17)의 조절구멍(18)과 베이스(19)의 온수공급공(20)이 연통되는 단면적이 커지고 이와 반대로 냉수공급공(21)과 연통되는 단면적은 작아지게 되므로 점점 뜨거운 혼합수가 유출된다. 그리고 최대로 레버(2)를 온수 측으로 돌렸을 때는 냉수공급공(21)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이므로 온수만이 유출되는 것이다.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1)를 이용하여 수돗물을 사용하고 난 후에 수돗물이 나오지 않게 할 경우에 이용자들은 레버(2)를 자신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자신의 앞쪽으로 돌린 후 레버(2)를 밑으로 내려 수돗물을 잠그는 경우가 많다.
이후 다시 수돗물을 사용하기 위해 레버(2)를 그대로 들어 올리면 냉수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온수도 함께 나오게 되어 온수가 필요하지 않을 때에도 온수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이다.
특히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학교, 고속도로 휴게소 등의 시설에 설치된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의 경우, 먼저 이용한 사람이 레버(2)를 자신의 앞쪽으로 돌리고 레버(2)를 밑으로 내려 수돗물을 잠근 후 다음 사람이 레버(2)를 그대로 들어 올리면 온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온수도 함께 나오게 되는 것이다.
온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 온수도 함께 나오게 되어 낭비되는 에너지는 건별로는 작은 양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전국적으로 이와 같은 현상이 방치된다면 국가적으로는 상당한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발명 또는 고안이 제안된 바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60321호 "에너지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2001. 12. 27. 등록)에 개시된 고안은 레버가 수도꼭지의 정면을 향해 있는 상태에서 레버를 들어 올렸을 경우 냉ㆍ온수 혼합수가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냉수만이 배출되도록 한 것인데, 상기 고안은 레버를 좌로 돌리면 온수, 우로 돌리면 냉수라는 오래된 인식에 맞지 않아 어색한 점이 있으며, 종래의 수도꼭지 내부에서 냉수유입공과 관련된 위치와 냉수 표시의 위치를 바꿔야 하는 불편이 있다.
등록특허 제589034호 "에너지절약형 수도꼭지 카트리지"(2006. 6. 5. 등록)에 개시된 발명은 수돗물을 막을 때 카트리지의 이동판 또는 덮개가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된 캠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레버를 완전 냉수위치로 오게 할 수 있는 것인데, 공간이 좁은 하우징의 내측면에 캠가이드를 형성해야 하며, 레버를 가장 왼쪽으로 돌려 온수를 쓰다 수돗물을 막으려면 캠가이드를 따라 120°를 오른쪽으로 돌려야 하고, 수돗물을 틀어 온수를 쓰려면 캠가이드를 따라 120°를 왼쪽으로 돌려야 하는 불편이 있다.
등록특허 제1260729호 "절수 및 에너지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2013. 4. 49. 등록)에 개시된 발명은 레버를 상하로 조작하는 위치가 냉수공급 측 끝부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인데, 레버를 가장 왼쪽으로 돌려 온수를 쓰다 수돗물을 막으려면 120°를 오른쪽으로 돌려야 하고, 수돗물을 틀어 온수를 쓰려면 120°를 왼쪽으로 돌려야 하는 불편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60321호 "에너지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2001. 12. 27. 등록) [특허문헌 2] 등록특허 제589034호 "에너지절약형 수도꼭지 카트리지"(2006. 6. 5. 등록) [특허문헌 3] 등록특허 제1260729호 "절수 및 에너지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2013. 4. 49. 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불필요하게 온수를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면서 냉·온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는 레버가 구비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 하부에 끼워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지며 헤드부에 의해 조절되어 냉·온수의 배출과 혼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카트리지, 상부에 카트리지의 하부가 끼워지는 홀(hole)이 형성되고 후방 좌우 양측으로 온수연결구와 냉수연결구가 형성되며 전방 측에 출수구가 형성된 몸체로 구성되는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측면은 레버의 정면에서 볼 때 레버 중앙의 측면 하단에서 수직으로 상부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고 다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어 레버의 완전 냉수 위치까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절개된 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는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 외주면에는 상기 절개부의 직각삼각형의 형상에 대응하여 수직면이 레버의 완전 냉수 위치에 형성되며 수직면 상부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절개부의 경사면이 상기 케이싱의 돌기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돌기부의 수직면에 걸려 더 이상 절개부가 이동할 수 없게 되면, 완전 냉수 위치에서 레버가 밑으로 내려져 수돗물이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의 뚜껑에는 측면 단부에 걸림홈을 형성하지 않고 측면을 그대로 연장 형성하여 회전체가 뚜껑의 양 측면 단부에 막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불필요하게 온수를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며, 냉·온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의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카트리지의 회전체의 저면도,
도 4는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카트리지의 베이스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의 헤드부 및 케이싱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카트리지의 뚜껑과 회전체의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의 카트리지의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는 레버가 구비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 하부에 끼워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지며 헤드부에 의해 조절되어 냉·온수의 배출과 혼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카트리지, 상부에 카트리지의 하부가 끼워지는 홀(hole)이 형성되고 후방 좌우 양측으로 온수연결구와 냉수연결구가 형성되고 전방 측에 출수구가 형성된 몸체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은 상기한 종래의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의 헤드부 및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헤드부(300)의 측면은 레버(2)의 정면에서 볼 때 레버 (2) 중앙의 측면 하단에서 수직으로 상부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고 다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어 레버(2)의 완전 냉수 위치까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절개된 절개부(310)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310)는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의 케이싱(400) 외주면에는 상기 절개부(310)의 직각삼각형의 형상에 대응하여 수직면이 레버(2)의 완전 냉수 위치에 형성되며 수직면 상부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돌기부(410)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300)의 절개부(310)의 경사면이 상기 케이싱(400)의 돌기부(41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수돗물을 막기 위해 레버(2)를 밑으로 내리면 헤드부(300)의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절개부(310)의 경사면이 케이싱(400)의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돌기부(410)의 경사면을 따라 우측 하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며, 돌기부(410)의 수직면에 걸려 더 이상 절개부(310)가 우측 하방으로 회전 이동할 수 없게 되면 완전 냉수 위치에서 레버(2)가 밑으로 내려져 수돗물이 나오지 않게 된다.
이후 수돗물을 사용하기 위해 레버(2)를 들어 올리면 완전 냉수가 나오게 되며, 레버(2)를 좌측으로 돌리면 헤드부(300)의 좌측으로 상향 경사진 절개부(310)의 경사면이 케이싱(400)의 좌측으로 상향 경사진 돌기부(410)의 경사면을 따라 좌측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점차 온수가 섞여 나오게 된다.
상기 헤드부(300)의 절개부(310)가 케이싱(400)의 돌기부(410)를 따라 우측 하방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은 완전 냉수위치에서 종료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2)를 완전히 밑으로 내렸을 때는 레버(2)가 완전 냉수위치에 오게 된다. 다음, 완전 냉수위치에서 레버(2)를 그대로 올려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냉·온수 혼합 위치 또는 완전 온수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 이동할 수 있으며, 임의의 위치에서 레버(2)를 밑으로 내리면 헤드부(300)의 절개부(310)가 케이싱(400)의 돌기부(410)를 따라 우측 하방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완전 냉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에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무심코 레버(2)를 밑으로 내려도 완전 냉수위치로 가서 수돗물이 나오지 않게 된다. 이후 수돗물을 사용하기 위해 레버(2)를 들어 올리면 완전 냉수가 나오게 되므로 온수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온수가 나옴으로써 온수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에너지가 낭비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의 헤드부 측면에 상기 절개부(310)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케이싱 외주면에 상기 돌기부(410)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신규로 설치하는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미 설치된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100)의 헤드부(300)의 측면에 절개부(310)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케이싱(400)의 외주면에 돌기부(410)를 형성하는 것은 단조로운 디자인의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특이한 디자인을 적용하여 변화감을 주는 효과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100)를 이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도꼭지 카트리지의 회전체의 회전 각도를 축소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1)에는 카트리지(5) 하우징(13)의 뚜껑(14)에 회전체(15)가 결합되는데, 상기 뚜껑(14)에는 하우징(13)에 결합시키기 위한 상·하측 볼록홈 및 좌·우측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양 끼움돌기 간의 상부 반원주에 해당하는 측면의 단부는 소정 깊이 절개되어 회전체(15)의 걸림홈 기능을 하도록 형성되고, 회전체(15) 하부 양 측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회전체(15)의 걸림턱이 뚜껑(14) 측면의 걸림홈에 걸리지 않고 좌·우측으로 회전하는 각도는 원주를 3등분하는 120°로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카트리지의 뚜껑과 회전체의 저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100) 카트리지(500)의 뚜껑(510)에는 측면 단부에 걸림홈을 형성하지 않고 측면을 그대로 연장 형성한다. 회전체는 뚜껑(510)의 양 측면 단부에 막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며, 이 때 회전체의 회전 각도는 90°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완전 온수를 사용하다가 레버(2)를 우측으로 90° 돌리면 완전 냉수 위치에서 수돗물을 잠글 수 있다. 다음 수돗물을 사용하기 위해 레버(2)를 들어 올리면 완전 냉수가 나오게 되며, 레버(2)를 좌측으로 90°돌리면 완전 온수 위치에서 수돗물이 나오게 된다.
등록특허 제589034호(특허문헌 2)나 등록특허 제1260729호(특허문헌 3)에서는 완전 온수 위치에서 수돗물을 사용하다가 레버를 120°우측으로 돌리면 완전 냉수 위치에서 수돗물을 잠글 수 있으며, 완전 냉수 위치에서 레버를 들어 올려 120°를 좌측으로 돌리면 완전 온수 위치가 되는데 비하여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10)에서는 완전 온수 위치에서 수돗물을 사용하다가 레버(2)를 90°만 우측으로 돌리면 완전 냉수 위치에서 수돗물을 잠글 수 있으며, 완전 냉수 위치에서 레버(2)를 들어 올려 90°만 좌측으로 돌리면 완전 온수 위치가 되므로 그 이용이 더욱 편리하다.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100) 카트리지(500)의 뚜껑(510)의 측면 단부에 걸림홈을 형성하지 않고 측면을 그대로 연장 형성하는 것은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도 카트리지의 뚜껑만 교환하면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카트리지의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100)에서 레버(2)의 회전 각도가 종래의 120°에서 90°로 축소되더라도 레버(2)의 좌·우 양단으로 회전이 줄어드는 각도는 15°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17)의 조절구멍(18)과 베이스(19)의 온수공급공(20), 냉수공급공(21)이 연통되기까지에는 상기 밸브체(17)와 베이스(19) 간의 상대적인 위치 이동에 소정의 여유 면적이 있으므로 레버(2)를 좌측 끝으로 돌리면 완전 온수, 우측 끝으로 돌리면 완전 냉수가 나오는 것은 그대로 유지된다.
1 : 종래의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2 : 레버 3 : 헤드부
4 : 케이싱 5 : 카트리지
6 : 홀(hole) 7 : 온수연결구
8 : 냉수연결구 9 : 출수구
10 : 몸체 11 : 연결홈
12 : 조절막대 13 : 하우징
14 : 뚜껑 15 : 회전체
16 : 이동판 17 : 밸브체
18 : 조절구멍 19 : 베이스
20 : 온수공급공 21 : 냉수공급공
22 : 출수공 23 : 하우징 하면
100 : 본 고안의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300 : 헤드부 310 : 절개부
400 : 케이싱 410 : 돌기부
500 : 카트리지 510 : 뚜껑

Claims (2)

  1. 레버가 구비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 하부에 끼워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지며 헤드부에 의해 조절되어 냉·온수의 배출과 혼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카트리지, 상부에 카트리지의 하부가 끼워지는 홀(hole)이 형성되고 후방 좌우 양측으로 온수연결구와 냉수연결구가 형성되며 전방 측에 출수구가 형성된 몸체로 구성되는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측면은 레버의 정면에서 볼 때 레버 중앙의 측면 하단에서 수직으로 상부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며 다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어 레버의 완전 냉수 위치까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절개된 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는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 외주면에는 상기 절개부의 직각삼각형의 형상에 대응하여 수직면이 레버의 완전 냉수 위치에 형성되며 수직면 상부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절개부의 경사면이 상기 케이싱의 돌기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돌기부의 수직면에 걸려 더 이상 절개부가 이동할 수 없게 되면,
    완전 냉수 위치에서 레버가 밑으로 내려져 수돗물이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뚜껑에는 측면 단부에 걸림홈을 형성하지 않고 측면을 그대로 연장 형성하여 회전체가 뚜껑의 양 측면 단부에 막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KR2020140001290U 2014-02-20 2014-02-20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KR200475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90U KR200475722Y1 (ko) 2014-02-20 2014-02-20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90U KR200475722Y1 (ko) 2014-02-20 2014-02-20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22Y1 true KR200475722Y1 (ko) 2014-12-24

Family

ID=5353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290U KR200475722Y1 (ko) 2014-02-20 2014-02-20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01B1 (ko) * 2021-09-23 2022-08-24 조진우 에너지 절약형 수전금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435B1 (ko) * 2005-12-27 2006-11-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절약형 수전금구
JP2009102919A (ja) * 2007-10-24 2009-05-14 Inax Corp ホース収納水栓の取付構造
KR20100131574A (ko) * 2009-06-08 2010-12-16 진 권 김 잠금장치가 구비된 수도꼭지
KR20130037270A (ko) * 2011-10-06 2013-04-16 김태환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435B1 (ko) * 2005-12-27 2006-11-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절약형 수전금구
JP2009102919A (ja) * 2007-10-24 2009-05-14 Inax Corp ホース収納水栓の取付構造
KR20100131574A (ko) * 2009-06-08 2010-12-16 진 권 김 잠금장치가 구비된 수도꼭지
KR20130037270A (ko) * 2011-10-06 2013-04-16 김태환 절수 및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01B1 (ko) * 2021-09-23 2022-08-24 조진우 에너지 절약형 수전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6332B2 (en) Fluid control valves
JP2010185569A (ja) 湯水混合栓
KR200475722Y1 (ko) 에너지 절약형 수도꼭지
WO2017193577A1 (zh) 一种主控阀芯
CN206419508U (zh) 一种浴缸水龙头
US6293299B1 (en) Temperature and flow limiting device
JP5853282B2 (ja) シングルレバー混合水栓
EP0578310B1 (en) Single handle mixing valve
WO2011071874A1 (en) Diverter valve
CA2243431C (en) Ramped stem extender
JPH09178008A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に於ける安全装置
KR20090008310U (ko) 유량 및 온도의 다단 조절기능을 갖는 밸브
US7121303B1 (en) Mixed water faucet
JP5796818B2 (ja) 湯水混合水栓
CN207316131U (zh) 一种用于淋浴龙头的前置阀
KR200260321Y1 (ko)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TWI761214B (zh) 出水控制裝置
JPH11124888A (ja) シングルレバー水栓
KR101496264B1 (ko) 싱글레버용 수도밸브
CN214274572U (zh) 一种调节阀
KR200357338Y1 (ko) 절수형 수도밸브
KR20170011030A (ko) 절수형 수전 카트리지
KR200395245Y1 (ko) 욕실 급수용 중간밸브
JP2008169890A (ja) 湯水混合水栓及びそれを備えた吐水装置
CN112555444A (zh) 一种按压开关模组及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