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321Y1 -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321Y1
KR200260321Y1 KR2020010032087U KR20010032087U KR200260321Y1 KR 200260321 Y1 KR200260321 Y1 KR 200260321Y1 KR 2020010032087 U KR2020010032087 U KR 2020010032087U KR 20010032087 U KR20010032087 U KR 20010032087U KR 200260321 Y1 KR200260321 Y1 KR 200260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water
cold wat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2020010032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321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수도꼭지 몸체의 내부에 냉수파이프 및 온수파이프와 연결 설치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수와 온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절환밸브 및 디스크밸브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감싸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냉ㆍ온수의 배출량 및 혼합량을 조절하는 취출레버가 구비된 수도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및 절환밸브의 대략 중앙에는 냉수파이프에 연결되도록 냉수유입공 및 냉수유동공을 형성하고, 그 각각의 일측에는 온수파이프에 연결되도록 온수유입공 및 온수유동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취출레버가 중앙(6시 방향)을 향해 있는 상태에서 취출레버를 상방향(또는 하방향)으로 들어올렸을 경우 냉ㆍ온수 혼합수가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냉수만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사용자들이 정면 방향으로 취출레버를 올리는 경향에 기인하여 냉수와 더불어 온수가 공급됨에 따라 발생되는 에너지 낭비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Water supply cock for economizing energy}
본 고안은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출레버가 수도꼭지의 정면(6시 방향)을 향해 있는 상태에서 취출레버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렸을 경우 냉ㆍ온수 혼합수가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냉수만이 배출되도록 한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물은 인간 생활에 필수 요소로서, 가정에서 음용수, 생활수 등으로 사용되는 외에 기타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 그 사용처는 인간의 생활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일반 가정에서는 이러한 물을 공급받기 위해서, 주방과 욕실에 냉수와 온수를 알맞게 혼합시키는 수도급수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종래의 수도급수장치는 냉수와 온수를 열고 닫는 밸브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 냉수와 온수의 혼합 조절시 각각의 밸브를 개폐하는 번거로운 동작을 취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냉수 및 온수의 혼합수를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수도급수장치가 제공되고 있는 바, 이러한 수도급수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의 내측으로 매설되어 있는 파이프에 연결된 냉수 파이프(4)와 온수 파이프(5)가 수도꼭지(1)의 후반부 양측으로 인입 연결되며, 취출레버(2)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의 양과 온도를 동시에 조절하여 수도꼭지의 취출구(3)로 토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취출레버(2)의 좌우에는 각각 냉수 및 온수의방향표시(6)(7)가 구비된다.
한편, 상수도관을 통하여 가정에 공급되는 물은 일정 수질 이상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수질처리가 수반되고, 이에 상당한 처리 비용이 수반되고 있으며, 겨울철 등과 같은 경우에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데 따르는 비용도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이러한 종래의 수도급수장치를 이용할 때, 냉수를 공급받을 때에도 수도꼭지(1)의 취출레버(1)를 6시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물을 배출시키는 경향이 많은데, 이러한 경우 냉수와 온수가 동시에 혼합되어 배출됨에 따라 온수를 공급하는데 따른 온열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비록 사용자 개개인에게는 극히 짧은 시간에 불과하고 물을 온열하기 위한 에너지 손실량이 작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더 나아가 수돗물을 사용하는 인구가 소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 국민이 수돗물을 사용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이는 국가적인 에너지 낭비 현상을 자초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취출레버가 정면(6시 방향)을 향해 있는 상태에서 취출레버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렸을 경우 냉ㆍ온수 혼합수가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냉수만이 배출되도록 한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수도꼭지 몸체의 내부에 냉수 파이프 및 온수 파이프와 연결 설치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수와 온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절환밸브 및 디스크밸브와, 상기 각각의 구성용소들을 감싸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냉ㆍ온수의 배출량 및 혼합량을 조절하는 취출레버가 구비된 수도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및 절환밸브의 대략 중앙에는 냉수 파이프에 연결되도록 냉수유입공 및 냉수유동공을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그 각각의 일측에는 온수 파이프에 연결되도록 온수유입공 및 온수유동공을 대응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도꼭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도꼭지 몸체 110 ; 취출구
200 ; 취출레버 300 ; 냉ㆍ온수 공급수단
310 ; 케이싱 311 ; 냉수유입공
312 ; 온수유입공 313 ; 출수공
314 ; 결합홈 320 ; 절환밸브
321 ; 냉수유동공 322 ; 온수유동공
330 ; 디스크밸브 331 ; 급수조절공
332 ; 고정돌기 340 ; 하우징
341 ; 나사산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도꼭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도꼭지는 수도꼭지 몸체(100)의 내부에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고, 이 유로를 따라 몸체(100) 외부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ㆍ온수 공급수단(30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중앙 내부에 내삽된 냉ㆍ온수 공급수단(300)의 상부에는 냉ㆍ온수의 배출량 및 혼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취출레버(200)가 결합된다.
상기 냉ㆍ온수 공급수단(300)은 벽면에 매립되어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수파이프 및 온수파이프와 연결되는 케이싱(310)과, 이 케이싱(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수와 온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절환밸브(320) 및 디스크밸브(330)와,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감싼 상태로 몸체(100)에 결합되는 하우징(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310)은 상면이 관통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원통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저면에는 냉수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도록 냉수유입공(311)이 통공되고, 이 냉수유입공(311)의 양측에는 온수파이프와 연결되어 온수가 유입되도록 온수유입공(312)이 형성되며, 상기 냉수유입공(311)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출수공(313)이 통공된다.
상기 절환밸브(320)는 케이싱(3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원판으로서, 그 저면에는 케이싱(31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314)에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돌기(도시 생략)가 일체로 구비되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케이싱(310)의 냉ㆍ온수유입공(311)(312)으로부터 공급된 냉수 및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냉ㆍ온수유동공(321)(322)이 대응 관통된다. 이때에도, 냉수유동공(321)을 중심으로 온수유동공(322)은 냉수유동공(321)의 양측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통공된다.
상기 디스크밸브(330)는 절환밸브(320)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대략 중앙 부위에는 취출레버(200)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절환밸브(320)의 냉ㆍ온수유동공(321)(322)과 항상 연통되도록 급수조절공(331)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상면에는 고정돌기(332)가 돌설되어 취출레버(200)의 도시하지 않은 고정홈에 고정됨으로써 취출레버의 작동시 디스크밸브(330)가 연동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340)의 하단 외주면에는 몸체(100)의 홀(120)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1)에 대응 결합되도록 나사산(34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면에 매립되어 있는 냉ㆍ온수파이프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갖도록 취출레버(200)를 회동시키면 그 회동방향에 따라서 디스크밸브(330)도 회동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밸브(330)가 회동되면, 냉ㆍ온수유동공(321)(322)과 연통되는 급수조절공(331)이 배출구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냉ㆍ온수유동공(321)(322)을 개폐하거나 냉ㆍ온수유동공(321)(322) 두개 모두 소정량만 개방시켜 토출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취출레버(200)가 정면 6시 방향, 즉 디스크밸브(330)의 급수조절공(331)이 절환밸브(320)의 중앙에 형성된 냉수유동공(321)에 대응되도록 위치한 경우 온수가 포함되지 않은 냉수만이 토출된다.
이와 같이 온도조절이 이루어져 냉ㆍ온수유동공(321)(322)을 통하여 배출된 물은 수도꼭지 몸체(100) 내부의 유로를 따라 이송되다가 취출레버(200)를 상측(또는 하측)으로 가압하면 수도꼭지 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취출구(110)로 출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취출레버(200)의 중앙부를 냉수 범위로 한정하고, 중앙부로부터 양측 일부분에 대해서 온수 범위로 한정하며, 취출레버(200)가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측(또는 하측)으로 가압되면 온수가 혼합되지 않은 냉수만이 토출되도록 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그 구성에 있어서는 대동소이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환밸브(320)의 중앙에 냉수유입공(311)을 통공하고, 이 냉수유입공(311)과 일정 간격을 두고 그 일측에 온수유입공(312)을 형성한다. 여기서, 냉수파이프로부터 케이싱(310)의 냉수유입공(311)으로의 유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온수파이프로부터 케이싱(310)의 온수유입공(312)으로의 유로는 수도꼭지 몸체(100)의 일정 부분에서 냉수유입공(311)의 일측에 위치한 온수유입공(312)으로 분기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도꼭지 몸체(100)의 취출레버(200)가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취출레버(200)를 상측(또는 하측)으로 가압하면, 밸브조절구(340)가 작동함에 따라 디스크밸브(330)의 급수조절공(331)이 절환밸브(320)의 중앙에 형성된 냉수유동공(321)에 위치될 경우 냉수유동공(321)과 급수조절공(331)이 연통되어 냉수만 토출되며, 취출레버(200)를 온수유동공(322)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경우에는 온수가 취출되는 것이다.
이때, 한정된 이외의 방향으로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서 취출레버(200)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습관적으로 많이 쓰는 취출레버(200) 정면부를 냉수 토출 기본구역으로 정하고, 전면부에서 좌측으로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온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취출레버가 중앙(6시 방향)을향해 있는 상태에서 취출레버를 상방향(또는 하방향)으로 들어올렸을 경우 냉ㆍ온수 혼합수가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냉수만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사용자들이 정면 방향으로 취출레버를 올리는 경향에 기인하여 냉수와 더불어 온수가 공급됨에 따라 발생되는 에너지 낭비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수도꼭지 몸체(100)의 내부에 냉수파이프 및 온수파이프와 연결 설치되는 케이싱(310)과, 이 케이싱(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수와 온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절환밸브(320) 및 디스크밸브(330)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감싸는 하우징(340)과, 이 하우징(340)의 상부에 결합되어 냉ㆍ온수의 배출량 및 혼합량을 조절하는 취출레버(200)가 구비된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10) 및 절환밸브(320)의 대략 중앙에는 냉수파이프에 연결되도록 냉수유입공(311) 및 냉수유동공(321)을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그 각각의 일측에는 온수파이프에 연결되도록 온수유입공(312) 및 온수유동공(322)을 대응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KR2020010032087U 2001-10-20 2001-10-20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KR200260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087U KR200260321Y1 (ko) 2001-10-20 2001-10-20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087U KR200260321Y1 (ko) 2001-10-20 2001-10-20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321Y1 true KR200260321Y1 (ko) 2002-01-10

Family

ID=7311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087U KR200260321Y1 (ko) 2001-10-20 2001-10-20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3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84Y1 (ko) * 2009-04-14 2011-07-29 정영현 급수전
KR101231401B1 (ko) 2012-07-13 2013-02-15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전금구용 온수절감형 카트리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84Y1 (ko) * 2009-04-14 2011-07-29 정영현 급수전
KR101231401B1 (ko) 2012-07-13 2013-02-15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전금구용 온수절감형 카트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123B1 (en) Insertion to a single-grip, rotation-operated mixing faucet
KR100787512B1 (ko) 수도밸브카트리지
KR101039709B1 (ko) 수도밸브
KR100797519B1 (ko) 수도 밸브 카트리지
KR200260321Y1 (ko)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KR101114839B1 (ko) 수도밸브카트리지
US20030101510A1 (en) Hot and cold water mixer tap with thermostatic unit and flow diverter unit
JP2008020015A (ja) 冷熱混合感応式蛇口手動出水制御構造
KR100567657B1 (ko) 수도밸브
KR101496264B1 (ko) 싱글레버용 수도밸브
JP2003003534A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101866630B1 (ko) 수도밸브카트리지의 조작디스크
KR200357338Y1 (ko) 절수형 수도밸브
CN215720984U (zh) 一种多路出水的磁吸式水龙头
KR102365725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KR20120045781A (ko) 냉온수 혼합 수전
KR100982184B1 (ko) 수도밸브
KR200209680Y1 (ko) 난방 제어장치
JPS5821151B2 (ja) 切換弁を内蔵した湯水混合栓
KR100670934B1 (ko) 자폐 수도 밸브
KR200376913Y1 (ko) 수전금구
KR20100040078A (ko) 수도밸브 및 수도밸브의 조절레버
KR200361698Y1 (ko) 분수형 급수대 노즐시스템
JP2000096643A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を備えた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200291245Y1 (ko) 난방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