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725B1 -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725B1
KR102365725B1 KR1020190175313A KR20190175313A KR102365725B1 KR 102365725 B1 KR102365725 B1 KR 102365725B1 KR 1020190175313 A KR1020190175313 A KR 1020190175313A KR 20190175313 A KR20190175313 A KR 20190175313A KR 102365725 B1 KR102365725 B1 KR 102365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t water
button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2894A (ko
Inventor
손정우
Original Assignee
진명홈바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명홈바스(주) filed Critical 진명홈바스(주)
Priority to KR102019017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725B1/ko
Priority to PCT/KR2020/007060 priority patent/WO2021132819A1/ko
Publication of KR20210082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8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은, 온수와 냉수의 혼합을 위한 카트리지 및 조작레버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온수를 제1드레인관으로 보낼 수 있게 형성된, 수전조작부; 상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냉수유입관 및 온수유입관; 상기 온수유입관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1드레인관과 합류될 수 있게 형성된, 제2드레인관; 상기 제2드레인관에 배치되며, 전기적인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2드레인관을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드레인밸브; 상기 드레인밸브를 제어하는 기판부; 및 상기 카트리지, 상기 조작레버, 상기 드레인밸브 및 상기 기판부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함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FAUCET CONTROL SYSTEM HAVING DRAIN FUNCTION}
본 발명은 온수관 내의 식은 온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의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전은 급수 배관의 말단에 위치하여 물을 개폐시키는 장치로서, 설치 위치나 용도 또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욕실, 샤워실 등과 같이 보일러로부터의 온수를 사용하는 실내에는 냉수관과 온수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욕실 등에 설치되는 수전은 사용자가 원하는 수온을 맞출 수 있도록 온수와 냉수를 혼합할 수 있는 밸브장치를 구비한다.
욕실 등의 온수 배관은 보일러에 연결되어 있는데, 보일러에서 수전까지의 배관 내 온수는 수전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 주변의 온도에 따라 식게 된다. 이에 따라 온수를 바로 사용하기 위해 혼합수 밸브를 열어도 배관 내부의 식은 냉수는 한동안 흘려 보내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겨울과 같이 주변 온도가 낮을 때는 냉수를 흘려보내는 시간이 길어지고, 사용자도 온수가 나오기 시작하여 원하는 온도에 이를 때까지 기다리며 몸에 물을 접촉시켜 확인하는 등의 행동을 하게 된다. 샤워나 목욕 등을 위하여 샤워기의 물을 틀었을 때 차가운 냉수를 맞게 되는 것이 일상의 작은 불편이기도 하지만, 심장질환이나 건강이 좋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갑자기 나오는 차가운 물에 의한 온도 차이에 의하여 치명적인 위협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수전은 물을 이용하는 가정이나 건물에서의 물의 최종 공급원이지만, 이의 활용 정도에 따라 물의 소비량은 편차를 보일 수 있다. 물 부족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세계적으로도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며, 그에 따른 실천적 해법으로 절수가 요청된다. 위의 상황과 같이 하수로 그대로 흘려보내는 온수관 내의 식은 냉수는 귀중한 수자원의 낭비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전의 조작을 통하여 식은 물을 하수가 아닌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드레인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또한, 온수 배관 내의 식은 온수를 저장하고 이를 변기 등에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적 시도도 있었다.
* 관련 선행기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67504호 (2019.06.1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3898호 (2015.04.23.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1182호 (2009.11.0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관 내의 식은 물을 드레인시킬 수 있는 수전시스템에서,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어느 하나의 조작 기능에 문제가 있을 경우 다른 기능에 의하여 보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은, 온수와 냉수의 혼합을 위한 카트리지 및 조작레버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온수를 제1드레인관으로 보낼 수 있게 형성된, 수전조작부; 상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냉수유입관 및 온수유입관; 상기 온수유입관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1드레인관과 합류될 수 있게 형성된, 제2드레인관; 상기 제2드레인관에 배치되며, 전기적인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2드레인관을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드레인밸브; 상기 드레인밸브를 제어하는 기판부; 및 상기 카트리지, 상기 조작레버, 상기 드레인밸브 및 상기 기판부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함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함체부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와 온수의 혼합수를 헤드 샤워부와 핸드 샤워부 중에 선택에 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택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선택버튼은, 상기 핸드 샤워부를 선택할 수 있게 형성된 핸드샤워 버튼; 및 상기 헤드 샤워부를 선택할 수 있게 형성된 헤드샤워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은, 상기 선택버튼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형성된 드레인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은, 상기 드레인버튼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드레인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드레인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형성된,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은, 상기 함체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형성된 드레인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은, 벽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함체부가 슬라이드 되어 지지될 수 있게 한 쌍의 돌출암을 갖는, 앵커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드레인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기구동 밸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는 조작신호에 의하여 일정 시간동안 상기 드레인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드레인밸브를 차단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은, 상기 제1드레인관 및 상기 제2드레인관이 합류된 지점의 하류에 배치되며, 드레인되는 온수의 수온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드레인을 차단시킬 수 있게 형성된 온도차단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에 의하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드레인밸브와 드레인기능이 있는 카트리지를 갖는 수전조작부가 모두 설치됨으로써 수전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직접적으로 드레인 기능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레인밸브의 이상 또는 고장시 수전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수행시키는 것이므로 드레인을 위한 사용의 편의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드레인밸브의 이상시에도 카트리지에 의한 대체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10)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통합 수전제어함(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합 수전제어함(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통합 수전제어함(100)의 개념적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수전조작부(140)에 적용된 카트리지(142)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슬라이드(150)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슬라이드(155)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은 도 6의 이동슬라이드(150)와 도 7의 고정슬라이드(155)의 상대 이동에 따른 출수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통합 수전제어함(100)을 이용한 제어 상태를 물의 흐름을 도시하여 보인 작동 상태들로서,
도 9는 드레인 스위치(180)을 조작하여 드레인을 실시하는 것을 보인 것이고,
도 10은 온도 차단밸브(170)의 작동에 따른 차단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1은 수전조작부(140)를 조작함으로써 드레인을 실시하는 것을 보인 것이고,
도 12는 혼합수가 핸드샤워부로 공급되는 것을 보인 것이며,
도 13은 혼합수가 헤드샤워브로 공급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10)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각 설비들 및 이들을 연결하는 주요 배관을 중심으로 표현하였으며 배관의 중간에 설치될 수 있는 밸브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건물 내에서 수전 시스템(10)은 상수관(11)을 통하여 물의 일부가 제1냉수관(12)으로 분기되어 양변기(30)로 보내어지거나, 보일러(20)로 분기되어 데워진 후 온수관(16)을 통하여 제2냉수관(15)과 함께 통합 수전제어함(100)으로 보내어져 샤워 등의 용수로 사용된다. 통합 수전제어함(100)은 핸드샤워부(41)와 헤드샤워부(42)에 선택버튼(121, 122)에 의하여 물을 공급한다.
양변기(30)는 상수관(11)으로부터 분기된 제1냉수관(12) 뿐만 아니라 드레인라인(17)을 통해 공급된 온수관(16) 내의 식은 냉수를 저장하여 용수로서 활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수전제어함(100) 및 드레인스위치(180)는 드레인라인(17)을 통하여 물을 직접 양변기(30) 등으로 보내는 조작 장치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통합 수전제어함(100)은 핸드샤워부(41)로 물을 개폐시키기 위한 핸드샤워 버튼(121)과, 헤드샤워부(42)로 물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2선택버튼(122) 및 드레인라인(17)으로 물을 개폐시기 위한 드레인 버튼(123)을 갖는다. 통합 수전제어함(100)의 일측에는 수전조작부(140)가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수전조작부(140)를 이용하여 온수 및 냉수를 조절하여 혼합수를 맞추어 틀 수 있고, 혼합수는 핸드샤워 버튼(121) 또는 제2선택스위치(143) 중 어느 것이 선택되어 눌려졌는지에 따라 공급의 방향이 달라진다. 드레인 버튼(123)은 온수관(16) 내의 식은 온수를 드레인라인(17)으로 곧바로 드레인시키기 위해 욕실 내에서 곧바로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드레인 버튼(123)을 사용하기 위한 통합 수전제어함(100)의 내부 구조는 도 2 이하를 참조로 후술한다.
도 1의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시스템(10)은 욕실에 적용된 것을 보인 것으로, 욕실의 외벽 또는 내벽(W) 등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드레인 스위치(180)가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 스위치(180)는 드레인 버튼(123)과 마찬가지로 욕실의 외부 또는 욕실의 내벽 등에 구비되어 통합 수전제어함(100)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드레인 기능을 수행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드레인 스위치(180)는 전원부(181)와 연결되어 통합 수전제어함(100)에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레인 스위치(180)는 욕실 등의 환풍기나 전등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와 함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드레인 스위치(180)를 사용하기 위한 통합 수전제어함(100)의 내부 구조도 도 2 이하에서 설명한다.
드레인 버튼(123) 및 드레인 스위치(180) 외에도 본 발명과 관련되어 수전조작부(140)는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의하여 드레인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대한 구성에 대하여도 도 2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통합 수전제어함(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통합 수전제어함(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통합 수전제어함(100)의 개념적 평단면도이다.
이들 도면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통합 수전제어함(100)은 앞서 설명된 핸드샤워부(41)와 헤드샤워부(42)의 사용이나 드레인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관련된 부품들이 통합된 형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수전제어함(100)은 내부의 부품들을 지지하는 함체부(110)를 구비하고 있으며, 함체부(110)의 외측에는 핸드샤워부(41)로 연결되기 위한 부분(도시되지 않음)과 헤드샤워부(42)로 연결되기 위한 부분(116), 수건걸이(115), 선택버튼(121, 122), 드레인 버튼(123), 수전조작부(140) 등이 배치되어 있다. 함체부(110)는 외측에서 드레인 제어 조작을 하기 위한 드레인 스위치(180)와 연결된다.
도 3과 같이, 함체부(110)는 하우징(111)과 지지판(1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조립체는 벽에 미리 고정되는 앵커패널(117)에 의하여 고정된다. 앵커패널(117)은 함체부(110)가 슬라이드되어 지지될 수 있게 한 쌍의 돌출암(118, 119)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판(112)에도 돌출암(118, 119)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삽입홀(113, 114)이 형성된다. 지지판(112)에는 냉수유입관(101)과 온수유입관(102) 및 통합드레인관(105)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벽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배관연결부와 연결된다. 냉수유입관(101)과 온수유입관(102)은 모두 수전조작부(140)의 카트리지(142)와 연결되어 조작레버(141)의 조작에 따라 혼합수의 온도 및 개폐가 결정된다. 카트리지(142)로부터 출수되는 물은 혼합수관(131)을 통하여 공급되어 유로전환부(130)에 의하여 핸드샤워부(41) 또는 헤드샤워부(42)로의 공급의 방향이 결정된다. 이를 위하여 선택버튼은 핸드샤워부(41)를 선택할 수 있게 형성된 핸드샤워 버튼(121)과 헤드샤워부(42)를 선택할 수 있게 형성된 헤드샤워 버튼(12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핸드샤워 버튼(121)과 헤드샤워 버튼(122)은 선택적으로 눌려질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즉, 핸드샤워 버튼(121)이 눌려지면 헤드샤워 버튼(122)이 해제되며, 반대로 헤드샤워 버튼(122)이 눌려지면 핸드샤워 버튼(121)이 해제된다. 이외에도, 드레인 버튼(123)이 구비되어 있으며, 드레인 버튼(123)은 핸드샤워 버튼(121)과 헤드샤워 버튼(122)의 상태와 관계없이 눌려지면 곧바로 드레인 기능이 수행된다.
핸드샤워 버튼(121)과 헤드샤워 버튼(122) 및 드레인 버튼(123)은 함체부(110)의 전면에서 동일한 형태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핸드샤워 버튼(121)과 헤드샤워 버튼(122) 및 드레인 버튼(123)의 주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가 장착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이러한 램프는 핸드샤워 버튼(121)의 주위에 배치된 제1램프(124), 헤드샤워 버튼(122)의 주위에 배치된 제2램프(125) 및 드레인 버튼(123)의 주위에 배치된 제3램프(126)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의 상세한 구성과 작용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전조작부(140)는 온수와 냉수의 혼합을 위한 조작레버(141) 및 카트리지(142)를 가지며, 카트리지(142)는 조작레버(141)의 회전각에 따라 온수를 제1드레인관(103)으로 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온수유입관(102)은 카트리지(142)로 공급되기 전에 분기점을 가지며, 분기된 이후에는 제1드레인관(103)과 합류될 수 있게 형성된 제2드레인관(104)에 연결된다. 제1드레인관(103)과 제2드레인관(104)은 합류되어 통합드레인관(105)으로 연결된다.
제2드레인관(104)에는 전기적인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2드레인관(104)을 개폐시키는 드레인밸브(160)가 설치된다. 드레인밸브(16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기구동 밸브 형태로서, 기판부(I61)와 연결되어 기판부(I61)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때, 기판부(I61)는 드레인밸브(160)를 개방시키는 신호를 인가할 때, 일정 시간동안 드레인밸브(160)를 개방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드레인밸브(160)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드레인밸브(160)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물이 계속하여 드레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드레인관(103) 및 제2드레인관(104)의 합류된 지점의 하류인 통합드레인관(105) 상에는 드레인되는 온수의 수온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더이상 드레인이 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온도차단 밸브(1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차단 밸브(170)는 드레인 버튼(123) 또는 드레인 스위치(18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드레인밸브(160)가 계속하여 개방되거나, 조작레버(141)가 계속하여 드레인기능 쪽에 위치되어도 드레인 기능을 어느 순간에는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온수 및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기판부(161)는 핸드샤워 버튼(121) 내지 드레인 버튼(123)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램프(124, 125, 126)를 발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램프(126)는 드레인 버튼(123)이 눌려짐에 따라 통합 드레인관(105)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상태에 따라 발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합 드레인관(105)에는 통합 드레인관(105)을 통하여 드레인수가 배출될 때 드레인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램프(126)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혼합수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일 때와 미만일 때를 구분하여 상이한 색으로 발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핸드샤워 버튼(121) 내지 드레인 버튼(123)에 배치된 램프(124, 125, 126)는 각기 발광색을 달리함으로써 통합 수전제어함(100)의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판부(161)는 온도센서에 의하여 드레인수가 기준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드레인밸브(16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드레인밸브(160)를 차단시킨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욕실 내에서 사용자가 드레인 버튼(123)를 누르거나, 욕실 외에서 드레인 스위치(180)를 누르면, 기판부(161)는 드레인밸브(146)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드레인밸브(160)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온수관 내의 식은 물은 드레인라인(17)을 통하여 직접 배출된다. 드레인라인(17)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양변기(30)로 보내어져 용수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드레인 버튼(123)의 주위에 있는 램프(126)는 파랑색으로 점등된다. 파랑색의 램프(126)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일러(30)의 동작으로 온수의 온도도 상승하여 녹색으로 변화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샤워할 수 있는 조건의 온도가 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온도 예시: 파랑색 - 냉수로서 30℃ 이하인 경우, 녹색 - 적정 샤워 온도로서 30℃ ~ 35℃, 빨간색 - 온수로서 35℃ 이상인 경우). 사용자는 녹색으로 점등된 상태를 확인하고 핸드샤워 버튼(121)을 눌러 핸드샤워부(41)를 이용하거나 제2선택버튼(122)을 눌러 헤드샤워부(42)를 이용하여 샤워를 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수전조작부(140)에 적용된 카트리지(142)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에 의하면, 카트리지(142)의 일측에는 냉수유입관(101) 및 온수유입관(102)과, 온수유입관(102)으로 유입된 냉각된 온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1드레인관(103)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카트리지(142)는 하우징(143), 레버부재(145), 이동슬라이드(150), 고정슬라이드(15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43)은 수전몸체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버부재(145)는 조작레버(141)에 결합되어 있으며, 하우징(143)에 대하여 피봇팅되어 있다. 하우징(143)은 제1축 방향의 원통형 가이드(144)를 구비한다. 가이드(144)에는 작동부재(146)가 삽입되어 있으며, 가이드(144)에 의하여 작동부재(146)는 제1축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레버부재(145)는 작동부재(146)에 대하여 피봇팅되어 있으며, 레버부재(145)의 끝단은 조작레버(141)에 결합되어 있다. 조작레버(141)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피봇팅되어 있는 레버부재(145)의 반대쪽 끝단부는 도 8에서 보았을 때 상하로 이동된다. 레버부재(145)의 하단부는 요크(147)에 구속되어 있는 상태로서, 레버부재(145)의 이동에 따라 요크(147)도 함께 이동된다. 또한, 요크(147)는 작동부재(146)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요크(147)는 이동슬라이드(150)에 결합되어 있으며, 요크(147)의 가해지는 힘이나 회전력은 이동슬라이드(150)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이동슬라이드(150)는 고정슬라이드(155)에 대면한 상태에서 회전 또는 이동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슬라이드(150)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슬라이드(155)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이다.
고정슬라이드(155)는 냉수유입관(101)과 연결되는 냉수공(156)과, 온수유입관(102)과 연결되는 온수공(157), 제1드레인관(103)과 연결되는 드레인공(158) 및 샤워기(41, 42)에 연통되는 혼합수공(159)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슬라이드(150)는 고정슬라이드(155) 상에 배치되며, 고정슬라이드(155)에 대하여 면접촉하며 냉수공(156), 온수공(157), 드레인공(158) 및 혼합수공(159)을 상호 연통시켜 개폐작용을 하게 된다. 이동슬라이드(150)는 레버부재(145) 및 요크(147)에 의하여 구속되어 이동된다. 이동슬라이드(150)에는 요크(147)의 회전각에 따라 냉수공(156) 또는 온수공(157)과 혼합수공(159) 또는 드레인공(158)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연결홈(151)이 형성된다.
연결홈(151)은 제1홈부(152)와 제2홈부(1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홈부(152)는 온수공(157), 냉수공(156) 및 드레인공(158) 쪽에서 혼합수공(159)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제2홈부(153)는 제1홈부(152)의 온수공(157), 냉수공(156) 및 드레인공(158) 쪽에 형성되고 제1홈부(152)보다 넓은 폭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온수공(157)은 드레인공(158)과 냉수공(156)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제2홈부(153)는 이동슬라이드(150)가 제1회전 위치(일반적인 온수와 냉수의 혼합 사용모드)에서 냉수공(156)과 온수공(157)이 연통되나 드레인공(158)에는 연통되지 않으며, 이동슬라이드(150)가 제2회전 위치(냉각된 온수의 드레인 모드)에서 온수공(157)과 드레인공(158)이 연통되나 냉수공(156)에는 연통되지 않는 정도의 폭(W1)을 가질 수 있다(도 8(d) 참조). 고정슬라이드(155)의 혼합수공(159)은 이동슬라이드(150)가 제2회전 위치에서 제1홈부(152)와 연통되지 않는 정도의 폭(W2)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8에 의하면, 제2홈부(153)는 제1홈부(15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은 도 6의 이동슬라이드(150)와 도 7의 고정슬라이드(155)의 상대 이동에 따른 출수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들이다.
도 8(a)는 조작레버(141)를 올렸을 때의 상태로서, 연결홈(151)이 중립적인 위치에 있다. 도 8(b)는 제2홈부(153)가 냉수공(156)에만 위치됨으로써 냉수만이 토출되는 상태이고, 도 8(c)는 제2홈부(153)가 온수공(157)에만 위치됨으로써 온수만이 토출되는 상태이다. 도 8(d)는 온수모드에서 조작레버(141)를 더 회전시킨 상태로서, 제2홈부(153)는 온수공(157)과 드레인공(158)에 공통적으로 접하고 있으나, 제1홈부(152)는 혼합수공(159)과 접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에 따라, 온수공(157)을 통하여 출수되는 냉각된 온수는 드레인공(158)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카트리지(142)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조작레버(141)를 온수 사용위치보다 더 회전시켜 제1드레인관(103)을 통하여 식은 온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의 작용을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물의 흐름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드레인 스위치(180) 또는 드레인 버튼(123)을 조작하여 드레인을 실시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즉, 사용자가 욕실의 외부 또는 입구에서 드레인 스위치(180)를 조작하거나 욕실 내에서 드레인 버튼(123)을 눌르면, 기판부(I61)의 제어신호에 따라 드레인밸브(160)가 작동하게 되어(개방상태) 온수유입관(102)통하여 유입된 물이 곧바로 제2드레인관(104) 및 통합드레인관(105)을 통해 드레인된다.
만약, 도 10과 같이, 온도 차단밸브(17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준치(예: 40도)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온도차단 밸브(170)가 닫힘에 의하여 드레인이 중단된다.
도 11은 수전조작부(140)를 조작함으로써 드레인을 실시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즉, 사용자는 전기적인 스위치인 드레인 스위치(180) 또는 드레인 버튼(123)의 조작에 있어 드레인밸브(160) 등의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조작레버(141)를 드레인 위치까지 회전시키고 카트리지(142)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제1드레인관(103) 및 통합드레인관(105)을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2는 혼합수가 핸드샤워부로 공급되는 것을 보인 것이며, 도 13은 혼합수가 헤드샤워브로 공급되는 것을 보인 것으로, 기준치 온도에 도달한 경우 온도차단 밸브(170) 또는 드레인밸브(160)의 시간경과에 의하여 드레인이 종료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물의 이용을 위하여 핸드샤워 버튼(121) 또는 헤드샤워 버튼(122)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수전 시스템 11: 상수관
12: 제1냉수관 15: 제2냉수관
16: 온수관 17: 드레인라인
20: 보일러 30: 양변기
41: 핸드샤워부 42: 헤드샤워부
100: 통합 수전제어함 110: 함체부
111: 하우징 112: 지지판
113, 114: 삽입홀 117: 앵커패널
118, 119: 돌출암 121: 핸드샤워 버튼
122: 헤드샤워 버튼 123: 드레인 버튼
124, 125, 126: 램프 130: 유로 전환부
140: 수전조작부 141: 조작레버
142: 카트리지 160: 드레인밸브
161: 기판부 170: 온도차단 밸브
180: 드레인 스위치 181: 전원부

Claims (9)

  1. 온수와 냉수의 혼합을 위한 카트리지 및 조작레버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온수를 제1드레인관으로 보낼 수 있게 형성된, 수전조작부;
    상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냉수유입관 및 온수유입관;
    상기 온수유입관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1드레인관과 합류될 수 있게 형성된, 제2드레인관;
    상기 제2드레인관에 배치되며, 전기적인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2드레인관을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드레인밸브;
    상기 드레인밸브를 제어하는 기판부; 및
    상기 카트리지, 상기 조작레버, 상기 드레인밸브 및 상기 기판부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함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부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출수되는 냉수와 온수의 혼합수를 헤드 샤워부와 핸드 샤워부 중에 선택에 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택버튼; 및
    상기 선택버튼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형성된 드레인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함체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형성된 드레인스위치가 포함된,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버튼은,
    상기 핸드샤워부를 선택할 수 있게 형성된 핸드샤워 버튼; 및
    상기 헤드샤워부를 선택할 수 있게 형성된 헤드샤워 버튼을 포함하는,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버튼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드레인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드레인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형성된, 램프를 더 포함하는,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벽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함체부가 슬라이드 되어 지지될 수 있게 한 쌍의 돌출암을 갖는, 앵커패널을 더 포함하는,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밸브는 전기 구동 밸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는 조작신호에 의하여 일정 시간동안 상기 드레인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드레인밸브를 차단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된,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레인관 및 상기 제2드레인관이 합류된 지점의 하류에 배치되며, 드레인되는 온수의 수온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드레인을 차단시킬 수 있게 형성된 온도차단 밸브를 더 포함하는,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KR1020190175313A 2019-12-26 2019-12-26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KR102365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313A KR102365725B1 (ko) 2019-12-26 2019-12-26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PCT/KR2020/007060 WO2021132819A1 (ko) 2019-12-26 2020-06-01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313A KR102365725B1 (ko) 2019-12-26 2019-12-26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894A KR20210082894A (ko) 2021-07-06
KR102365725B1 true KR102365725B1 (ko) 2022-02-22

Family

ID=7657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313A KR102365725B1 (ko) 2019-12-26 2019-12-26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5725B1 (ko)
WO (1) WO202113281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4496B2 (ja) * 2008-03-27 2013-07-10 Toto株式会社 水栓装置
KR101542886B1 (ko) * 2014-03-05 2015-08-07 지에스네오텍(주) 급탕 설비의 급탕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26B1 (ko) * 2005-04-20 2007-11-21 강인미 물 절약 시스템 및 물 절약 방법
KR20090029599A (ko) * 2007-09-18 2009-03-23 주식회사 기승금속 돌출형 수전함
US11104586B2 (en) * 2016-07-25 2021-08-31 Guillaume Bertrand Water recycling system and method
KR102085962B1 (ko) * 2018-03-23 2020-03-06 손정우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4496B2 (ja) * 2008-03-27 2013-07-10 Toto株式会社 水栓装置
KR101542886B1 (ko) * 2014-03-05 2015-08-07 지에스네오텍(주) 급탕 설비의 급탕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894A (ko) 2021-07-06
WO2021132819A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4923C (en) Rapid hot water apparatus and method
JP2009097330A (ja) 自動水栓
KR102365725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US20090148268A1 (en) Mixer for jet spray
KR102221049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박스 및 이를 활용한 수전 시스템
KR100621885B1 (ko) 가스보일러용 삼방변
KR102085962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200260321Y1 (ko)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KR200368380Y1 (ko) 풋 터치 절수장치
KR102221050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KR200209680Y1 (ko) 난방 제어장치
KR100442339B1 (ko) 자동 밸브를 이용한 냉, 온수 배출 어셈블리
KR20200021271A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200383943Y1 (ko) 가스보일러용 삼방변
KR101248521B1 (ko) 절수형 밸브 개폐장치
KR102225457B1 (ko) 온도차단 제어가 가능한 수전의 드레인 시스템
KR200357338Y1 (ko) 절수형 수도밸브
KR200291245Y1 (ko) 난방 제어장치
CN216430637U (zh) 出水组件、水路装置以及柜体
KR102016583B1 (ko) 수전 및 건물의 절수형 수전 시스템
KR200422134Y1 (ko) 절수형 밸브의 개폐장치
KR102186627B1 (ko) 수전장치 수자동 전환용 하이브리드형 유량조절 원터치 밸브 박스
JP3528660B2 (ja) 湯水供給装置
KR200193876Y1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관
KR20140020221A (ko) Led 조명을 구비한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