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489B1 -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 Google Patents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489B1
KR101862489B1 KR1020160168367A KR20160168367A KR101862489B1 KR 101862489 B1 KR101862489 B1 KR 101862489B1 KR 1020160168367 A KR1020160168367 A KR 1020160168367A KR 20160168367 A KR20160168367 A KR 20160168367A KR 101862489 B1 KR101862489 B1 KR 10186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rtridge
hot
coupled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영
Original Assignee
이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영 filed Critical 이광영
Priority to KR102016016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1Taps specially designed for dispensing boil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에 관한 것으로, 배면에 냉,온수관이 결합되어 내부로 냉,온수가 유입되는 냉,온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온도조절레버가 결합되며, 타측에 방향전환레버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고정식 샤워기와 결합되는 공급관 및 이동식 샤워기와 결합되는 플렉시블관이 결합되는 제1배출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도꼭지와 연결되는 제2배출홀이 형성된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에 있어서, 상기 수전금구 몸체는 내부에 상기 온도조절레버와 결합되는 제1카트리지가 구비되는 제1공간과 상기 방향전환레버와 결합되는 제2카트리지가 구비되는 제2공간이 격벽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제1카트리지는 서모스탯(thermostat) 카트리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카트리지는 방향전환 카트리지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은 상기 냉,온수 유입구 통해 유입된 냉,온수가 상기 제1카트리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 냉,온수 이동로와 연통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카트리지에서 혼합된 물이 이동하는 혼합수 이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배출홀과 각각 연통되는 상,하부배출로가 형성되되 상기 격벽에는 상기 혼합수 이동로의 물이 상기 제2카트리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연결홀이 형성되고, 제2카트리지의 물이 상기 상,하부배출로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및 제3연결홀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냉,온수관이 결합되어 냉,온수가 각각 유입되는 냉,온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격벽에 의해 제1 및 제2공간으로 구획된 제1공간에 서모스탯 카트리지가 온도조절레버와 결합되고, 제2공간에 방향전환 카트리지가 방향전환레버와 결합되어 전체적인 구조가 컴팩트하여 좁은 공간의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물의 온도를 일시에 공급받을 수 있고, 일정 온도의 물을 한 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모스탯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혼합수를 방향전환 카트리지를 통해 수도꼭지 및 고정식 샤워기, 유동식 샤워기에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적정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Faucet body with an automatic control structure}
본 발명은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수가 유입되는 몸체 내부 양측에 제1카트리지와 제2카트리지가 격벽에 의해 구획된 제1공간 및 제2공간에 각각 구비되며, 제1카트리지는 온도조절레버와 결합되고, 제2카트리지는 방향전환레버와 결합되되 제1공간은 몸체 배면에 형성된 냉,온수 유입구와 연통된 냉,온수 이동로와 연통되어 냉,온수가 서모스탯 카트리지로 형성된 제1카트리지로 유입되고, 제1카트리지에서 혼합된 일정온도의 혼합수가 제1공간과 연통된 혼합수 이동로 및 격벽의 제1연결홀을 통해 제2카트리지로 유입된 후 격벽의 제2홀 및 제3홀을 통해 상,하부배출로를 따라 몸체 상,하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배출홀을 통해 샤워기 또는 수도꼭지로 일정온도의 혼합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금구는 벽체에서 돌출된 냉,온수 유입관이 결합되어 냉,온수가 수전금부 몸체로 유입되고 냉,온수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카트리지에 의해 혼합수를 배출함과 동시에 카트리지와 연결된 조절레버의 작동에 의해 혼합수의 온도 및 물의 양을 수도꼭지 등으로 배출하였다.
최근에는 수도꼭지 외에 다양한 샤워기가 결합된 다방향 출수구가 형성된 수전금구가 개발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5810호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를 살펴보면, 온수와 냉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 및 냉수유입구와 온수와 냉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메인출수구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 및 고정식 샤워출수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하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핸들과 상기 몸체의 일측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제1핸들의 조작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제1카트리지와 상기 몸체의 중앙 상측에 구비되어 혼합수의 출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2핸들과 상기 몸체의 중앙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제2핸들의 조작에 따라 혼합수를 상기 메인출수구와 자바라식 샤워출수구와 고정식 샤워출수구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제2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정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는 사용자가 제1핸들을 조작하여 원하는 온도의 물이 출수되기까지 상당 시간이 소요되어 초기에 물을 흘려보내고 사용하여 물의 낭비가 심하였고, 일정한 온도의 물을 계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하 여 제1핸들을 계속적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냉,온수관이 결합되어 냉,온수가 각각 유입되는 냉,온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격벽에 의해 제1 및 제2공간으로 구획된 제1공간에 서모스탯 카트리지가 온도조절레버와 결합되고, 제2공간에 방향전환 카트리지가 방향전환레버와 결합되어 전체적인 구조가 컴팩트하여 좁은 공간의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물의 온도를 일시에 공급받을 수 있고, 일정 온도의 물을 한 번의 조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서모스탯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혼합수를 방향전환 카트리지를 통해 수도꼭지 및 고정식 샤워기, 유동식 샤워기에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적정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는 배면에 냉,온수관이 결합되어 내부로 냉,온수가 유입되는 냉,온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온도조절레버가 결합되며, 타측에 방향전환레버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고정식 샤워기와 결합되는 공급관 및 이동식 샤워기와 결합되는 플렉시블관이 결합되는 제1배출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도꼭지와 연결되는 제2배출홀이 형성된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에 있어서, 상기 수전금구 몸체는 내부에 상기 온도조절레버와 결합되는 제1카트리지가 구비되는 제1공간과 상기 방향전환레버와 결합되는 제2카트리지가 구비되는 제2공간이 격벽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제1카트리지는 서모스탯(thermostat) 카트리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카트리지는 방향전환 카트리지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은 상기 냉,온수 유입구 통해 유입된 냉,온수가 상기 제1카트리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 냉,온수 이동로와 연통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카트리지에서 혼합된 물이 이동하는 혼합수 이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배출홀과 각각 연통되는 상,하부배출로가 형성되되 상기 격벽에는 상기 혼합수 이동로의 물이 상기 제2카트리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연결홀이 형성되고, 제2카트리지의 물이 상기 상,하부배출로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및 제3연결홀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카트리지는 상기 냉,온수 이동로 따라 유입된 냉,온수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냉,온수 유입공 관통된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냉,온수 유입공 개방을 조절하는 밸브가 형성되며, 케이스 내부에서 혼합수의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밸브의 이동을 견인하는 형상기억합금 탄성체가 구비되어 밸브를 통해 냉,온수의 유입을 조절하며, 상기 제2카트리지는 원통형의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상기 격벽의 제1,2,3연결홀과 각각 대응되는 제1,2,3유입홀이 형성된 밀폐부재와, 상기 방향전환레버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1,2,3유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환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온수 이동로는 상기 수전금구 몸체의 내부 후방측에 형성되되 상기 냉수 이동로는 "ㄱ"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 및 혼합수 이동로는 상기 수전금구 몸체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배출로 상기 혼합수 이동로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전금구 몸체의 상부에는 고정식 샤워기와 결합되는 공급관 및 이동식 샤워기와 결합되는 플렉시블관이 결합되는 연결구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배출홀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푸시버튼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식 샤워기 또는 이동식 샤워기로 물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온수관이 결합되어 냉,온수가 각각 유입되는 냉,온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격벽에 의해 제1 및 제2공간으로 구획된 제1공간에 서모스탯 카트리지가 온도조절레버와 결합되고, 제2공간에 방향전환 카트리지가 방향전환레버와 결합되어 전체적인 구조가 컴팩트하여 좁은 공간의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물의 온도를 일시에 공급받을 수 있고, 일정 온도의 물을 한 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모스탯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혼합수를 방향전환 카트리지를 통해 수도꼭지 및 고정식 샤워기, 유동식 샤워기에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적정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가 구비된 샤워기 구조.
도 2는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의 수직, 수평 단면도.
도 4는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수직 단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에 결합된 제2카트리지의 사용상태도.
도 6는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100)의 양측에는 온도조절레버(101)와 방향전환레버(102)가 결합되고, 상부에는 고정식 샤워기(1)와 결합되는 공급관(1a) 및 이동식 샤워기(2)와 결합되는 플렉시블관(2a)이 결합되는 연결구(103)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수도꼭지(104)가 구비된다.
즉,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온도조절레버(101) 및 방향전환레버(102)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구성으로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도꼭지(104), 고정식 샤워기(1) 및 이동식 샤워기(2)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의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전금구 몸체(100)의 배면에 냉,온수관(3,4)이 결합되어 내부로 냉,온수가 유입되는 냉,온수 유입구(110,12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103)에는 수전금구 몸체(100)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홀(13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수도꼭지(104)와 연결되는 제2배출홀(1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는 내부에 상기 온도조절레버(101)와 결합되는 제1카트리지(200)가 구비되는 제1공간(122)과 상기 방향전환레버(102)와 결합되는 제2카트리지(300)가 구비되는 제2공간(150)이 격벽(160)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제1카트리지(200)는 서모스탯(thermostat) 카트리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카트리지(300)는 방향전환 카트리지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22)은 상기 냉,온수 유입구(110,120) 통해 유입된 냉,온수가 상기 제1카트리지(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 냉,온수 이동로(113,123)와 연통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카트리지(200)에서 혼합된 물이 이동하는 혼합수 이동로(170)가 상기 제1공간(122)과 제2공간(150) 사이에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격벽(160)은 상기 몸체(100)의 중앙부에서 제2카트리지(300)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배출홀(130,140)과 각각 연통되는 상,하부배출로(152,153)가 형성되되 상기 격벽(160)에는 상기 혼합수 이동로(170)의 물이 상기 제2카트리지(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몸체(100)의 전방측에 제1연결홀(161)이 형성되고, 제2카트리지(300)의 물이 상기 상,하부배출로(152,153)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및 제3연결홀(162,163)이 각각 몸체(100)의 후방측 상부 및 하부에 관통된다.
즉, 상기 제1공간(122)과 혼합수 이동로(170) 및 제2공간(150)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격벽(160)은 상기 혼합수 이동로(170)와 제2공간(150)을 구획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내부 중앙부에서 제2공간(150)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서모스탯 카트리지로 구비되는 제1카트리지(200)보다 그 길이가 짧은 방향전환 카트리지로 구비되는 제2카트리지(300)가 격벽(16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되고, 혼합수 이동로(170)를 통해 혼합수의 직선 흐름이 용이하여 혼합수가 제2카트리지(30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로 유입된 냉,온수는 서모스탯 카트리지로 구비된 상기 제1카트리지(200)로 유입되고 혼합수가 상기 혼합수 이동로(17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연결홀(161)를 통해 상기 제2카트리지(300)로 유입된 후 상기 방향전환레버(102)의 조작에 의해 혼합수가 상기 제2카트리지(300)의 내부에서 상기 제2연결홀(162)을 통해 상기 제1배출홀(130)로 배출되어 고정식 샤워기(1) 또는 이동식 샤워기(2)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3연결홀(163)을 통해 상기 제2배출홀(140)로 배출되어 상기 수도꼭지(104)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카트리지(200)는 서모스탯 카트리지로 구비되며, 이러한 서모스탯 카트리지는 공지된 제품으로 상기 냉,온수 이동로(113,123) 따라 유입된 냉,온수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냉,온수 유입공(211,212)이 관통된 케이스(210)의 내부에 상기 냉,온수 유입공(211,212)의 개방을 조절하는 밸브(220)가 형성되며, 케이스(210) 내부에서 혼합수의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밸브(220)의 이동을 견인하는 형상기억합금 탄성체(230)가 구비되어 밸브(220)를 통해 냉수 유입을 차단하여 혼합수를 원하는 온도로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서모스탯 카트리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온수공(211)과 냉수공(212)이 외면에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210)의 일측에 케이스(210)와의 사이에 온수와 냉수의 혼합실(213)을 형성하는 플러그(240)가 구비되고, 플러그(240)의 타측에 온도조절레버(101)와 결합하는 스템(250)이 구비된다.
또한, 케이스(210) 내에 구비되며 상기 스템(250)과 결합되어 상기 스템(25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스템 가이드(260) 및 스템 가이드(260)의 이동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바이어스 스프링(270)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270)과 결합되어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27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이동하는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280)가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28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온수공(211)과 냉수공(212)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밸브(220) 및 상기 플러그(240) 내에 설치되어 혼합수의 온도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어 상기 밸브(220)의 추가적인 이동을 견인하는 형상기억합금 탄성체(230)와, 형상기억합금 탄성체의 팽창과 수축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밸브(220)를 추가 이동시키는 형상기억합금 탄성체 가이드(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온도조절레버(101)의 외부에는 특정온도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38°C를 표시하여 온수와 냉수의 유입을 조절하고 혼합수와 접하여 일정온도에서 팽창과 수축을 하는 형상기억합금 탄성체(230)에 의해 밸브(220)를 개폐하여 일정온도의 혼합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카트리지(300)는 원통형의 외부케이스(310)의 하부에 상기 격벽(160)의 제1,2,3연결홀(161,162,163)과 각각 대응되는 제1,2,3유입홀(321,322,323)이 형성된 밀폐부재(320)와, 상기 방향전환레버(102)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330) 및 상기 상기 제1,2,3유입홀(321,322,32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환부재(3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방향전환 카트리지로 구비된 상기 제2카트리지(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320)에는 상기 제2카트리지 격벽(160)에 관통된 제1,2,3연결홀(161,162,163)과 각각 대응되는 제1,2,3유입홀(321,322,323)이 형성되고, 상기 전환부재(340)에는 일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유입홀(321)과 제2유입홀(322)을 상호 연통시키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유입홀(321)과 제3유입홀(323)을 상호 연통시킬수 있도록 홈부(34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부(341)는 상기 제1유입홀(321)과 대응될 시 물의 흐름이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온수 이동로(113,123)는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의 내부 후방측에 형성되되 상기 냉수 이동로(113)는 "ㄱ"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22) 및 혼합수 이동로(170)는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배출로(152,153)는 상기 혼합수 이동로(17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냉,온수 이동로(113,123)는 냉,온수가 수전금구 몸체(100)로 유입되어 상기 제1카트리지(200)의 냉,온수공(211,212)으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이며, 벽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냉,온수 유입관(3,4)이 설치된 상태에서 냉수가 상기 냉수공(21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ㄱ"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의 상부에는 고정식 샤워기(1)와 결합되는 공급관(1a) 및 이동식 샤워기(2)와 결합되는 플렉시블관(2a)이 결합되는 연결구(103)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구(103)는 상기 제1배출홀(130)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푸시버튼(103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식 샤워기(1) 또는 이동식 샤워기(2)로 물을 배출한다.
즉, 상기 연결구(103)는 고정식 샤워기(1)의 공급관(1a)이 수직으로 결합되고, 배면에 이동식 샤워기(2)의 플렉시블관(2a)이 연결될 수 있도록 수직관의 배면이 분기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배출홀(130)의 상부에는 상기 푸시버튼(103a)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고정식 샤워기(1) 또는 이동식 샤워기(2)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이는 분기관의 밸브와 같이 이미 공지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의 몸체를 통해 냉,온수가 이동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바람직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의 사용상태이다.
먼저, 수전금구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온도조절레버(101)를 회전하여 온도조절레버(101)와 연결된 제1카트리지(200)의 스템(250)을 통해 스템 가이드(260)의 이동 및 바이어스 스프링(270)의 수축에 의해 밸브(220)가 이동되어 냉,온수 유입량이 결정된 상태로 수전금구 몸체(100)의 냉,온수 이동로(113,123)를 따라 제1카트리지(200)의 케이스(210) 내부로 냉,온수가 유입된다.
유입된 냉,온수의 혼합수는 케이스(210) 내부 일측에 형성된 혼합실(213)로 이동하면서 형상기억합금 탄성체(230)와 접촉하여 길이가 변하는 형상기억합금 탄성체(230)가 탄성적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되고, 이에 따라 형상기억합금 탄성체(230)에 결합된 형상기억합금 탄성체 가이드(290)가 밸브(220)를 가압 이동시켜 밸브(220)의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온수와 냉수의 유입량을 결정하여 온합수가 설정온도에 맞게 제1카트리지(200)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의 혼합수 이동로(17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격벽(160)의 제1연결홀(161)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방향전환레버(10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330) 및 전환부재(340)가 회전하여 물이 개폐됨과 동시에 격벽(160)의 제2연결홀(162) 또는 제3연결홀(163)을 통해 상,하부배출로(152,153)를 이동하여 고정식 샤워기(1) 및 이동식 샤워기(2) 또는 수도꼭지(104)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카트리지(200)에서 자동으로 제어되어 배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즉각적으로 배출할 뿐만 아니라 샤워기나 수도꼭지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고정식 샤워기 2: 이동식 샤워기
3: 냉수관 4: 온수관
100: 수전금구 몸체 101: 온도조절레버
102: 방향전환레버 103: 연결구
104: 수도꼭지 110: 냉수유입구
113: 냉수 이동로 120: 온수 유입구
122: 제2공간 123 : 온수 이동로
130: 제1배출홀 140: 제2배출홀
150: 제2공간 152: 상부배출로
153: 하부배출로 160: 격벽
161: 제1연결홀 162: 제2연결홀
163: 제3연결홀 170: 혼합수 이동로
200: 제1카트리지 210: 케이스
220: 밸브 230: 형상기억합금 탄성체
240: 플러그 250: 스템
260: 스템 가이드 270: 바이어스 스프링
280: 바이어스 스프링 가이드 290: 형상기억합금 탄성체 가이드
300: 제2카트리지 310: 외부케이스
320: 밀폐부재 330: 회전부재
340: 전환부재

Claims (4)

  1. 배면에 냉,온수관(3,4)이 결합되어 내부로 냉,온수가 유입되는 냉,온수 유입구(110,120)가 형성되고, 일측에 온도조절레버(101)가 결합되며, 타측에 방향전환레버(10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고정식 샤워기(1)와 결합되는 공급관(1a) 및 이동식 샤워기(2)와 결합되는 플렉시블관(2a)이 결합되는 제1배출홀(13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도꼭지(104)와 연결되는 제2배출홀(140)이 형성된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100)에 있어서,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는 내부에 상기 온도조절레버(101)와 결합되는 제1카트리지(200)가 구비되는 제1공간(122)과 상기 방향전환레버(102)와 결합되는 제2카트리지(300)가 구비되는 제2공간(150)이 격벽(160)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제1카트리지(200)는 서모스탯(thermostat) 카트리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카트리지(300)는 방향전환 카트리지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22)은 상기 냉,온수 유입구(110,120) 통해 유입된 냉,온수가 상기 제1카트리지(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 냉,온수 이동로(113,123)와 연통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카트리지(200)에서 혼합된 물이 이동하는 혼합수 이동로(170)가 상기 제1공간(122)과 제2공간(150) 사이에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격벽(160)은 상기 몸체(100)의 중앙부에서 제2카트리지(300)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배출홀(130,140)과 각각 연통되는 상,하부배출로(152,153)가 형성되되 상기 격벽(160)에는 상기 혼합수 이동로(170)의 물이 상기 제2카트리지(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몸체(100)의 전방측에 제1연결홀(161)이 형성되고, 제2카트리지(300)의 물이 상기 상,하부배출로(152,153)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및 제3연결홀(162,163)이 각각 몸체(100)의 후방측 상부 및 하부에 관통되고, 상기 냉,온수 이동로(113,123)는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의 내부 후방측에 형성되되 상기 냉수 이동로(113)는 "ㄱ"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22) 및 혼합수 이동로(170)는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배출로(152,153)는 상기 혼합수 이동로(17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트리지(200)는 상기 냉,온수 이동로(113,123) 따라 유입된 냉,온수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냉,온수 유입공(211,212)이 관통된 케이스(210)의 내부에 상기 냉,온수 유입공(211,212)의 개방을 조절하는 밸브(220)가 형성되며, 케이스(210) 내부에서 혼합수의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밸브(220)의 이동을 견인하는 형상기억합금 탄성체(230)가 구비되어 밸브(220)를 통해 냉,온수의 유입을 조절하며, 상기 제2카트리지(300)는 원통형의 외부케이스(310)의 하부에 상기 격벽(160)의 제1,2,3연결홀(161,162,163)과 각각 대응되는 제1,2,3유입홀(321,322,323)이 형성된 밀폐부재(320)와, 상기 방향전환레버(102)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330) 및 상기 회전부재(33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1,2,3유입홀(321,322,32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환부재(34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금구 몸체(100)의 상부에는 고정식 샤워기(1)와 결합되는 공급관(1a) 및 이동식 샤워기(2)와 결합되는 플렉시블관(2a)이 결합되는 연결구(103)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구(103)는 상기 제1배출홀(130)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푸시버튼(103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식 샤워기(1) 또는 이동식 샤워기(2)로 물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KR1020160168367A 2016-12-12 2016-12-12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KR10186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367A KR101862489B1 (ko) 2016-12-12 2016-12-12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367A KR101862489B1 (ko) 2016-12-12 2016-12-12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489B1 true KR101862489B1 (ko) 2018-07-05

Family

ID=6292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367A KR101862489B1 (ko) 2016-12-12 2016-12-12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6418A (zh) * 2018-09-18 2018-11-30 泉州万滤达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抽拉式冷热水龙头终端净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519A (ja) 2005-04-28 2006-11-09 Mym Corp 切替部材
JP2006329334A (ja) * 2005-05-26 2006-12-07 Mym Corp 湯水混合栓
KR200467330Y1 (ko) * 2011-09-05 2013-06-07 김종필 하나의 전환밸브로 토수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3방향 토수구를 갖는 욕실용 수전금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519A (ja) 2005-04-28 2006-11-09 Mym Corp 切替部材
JP2006329334A (ja) * 2005-05-26 2006-12-07 Mym Corp 湯水混合栓
KR200467330Y1 (ko) * 2011-09-05 2013-06-07 김종필 하나의 전환밸브로 토수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3방향 토수구를 갖는 욕실용 수전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6418A (zh) * 2018-09-18 2018-11-30 泉州万滤达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抽拉式冷热水龙头终端净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123B1 (en) Insertion to a single-grip, rotation-operated mixing faucet
KR900005535B1 (ko) 탕수(湯水)혼합 급수꼭지
JP4838847B2 (ja) 給水弁カートリッジ
CN109323014B (zh) 一种温控淋浴龙头
KR101862489B1 (ko)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JPH09178031A (ja) 自動混合水栓
JPH10122393A (ja) 衛生設備取付け具
EP2775179B1 (en) Thermostatic fluid supply inverter valve
JP2830689B2 (ja) 水 栓
TWI814879B (zh) 冷熱水混合閥
JPH10306481A (ja) 混合水栓装置
CN107355560B (zh) 一种开关调温阀
US7836913B1 (en) Universal cartridge for a mixer faucet
JP7358358B2 (ja) 冷水排出装置
JP2004232691A (ja) プッシュ式水栓
CN217440854U (zh) 改进的同轴双控恒温阀芯
KR102378621B1 (ko)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CN210950039U (zh) 一种妇洗器用龙头
JPS5821151B2 (ja) 切換弁を内蔵した湯水混合栓
JPH10160022A (ja) 水 栓
JP7119739B2 (ja) 水栓装置
CN216519750U (zh) 一种中心按压出水式冷热水调温阀芯
CN211082939U (zh) 一种单把手双进双出调温阀芯
CN110873208B (zh) 二底进水二底出水的陶瓷平衡阀
EP0751450A1 (en) Hot water thermoregulating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