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903B1 -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903B1
KR102605903B1 KR1020160174895A KR20160174895A KR102605903B1 KR 102605903 B1 KR102605903 B1 KR 102605903B1 KR 1020160174895 A KR1020160174895 A KR 1020160174895A KR 20160174895 A KR20160174895 A KR 20160174895A KR 102605903 B1 KR102605903 B1 KR 10260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opening
regulator
passag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839A (ko
Inventor
신현수
김철호
이종환
최영광
박찬정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90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3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Arrangements, e.g. comprising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레귤레이터 및 탄산수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는 제1유체가 유동하는 제1유로와 제2유체가 유동하는 제2유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제2유로에 형성된 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2유로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에 접촉하는 다이아프램부; 및 일측이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제1유로측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동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수동가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제1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나 상기 수동가압부재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다이아프램부가 이동하여 상기 개폐구멍이 열리도록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REGULATOR AND CARBONATED WATER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산수 제조장치는 냉수와 이산화탄소를 혼합하여 탄산수를 만드는 것이다.
탄산수 제조장치는 레귤레이터와 혼합기 및 탄산수 저장부재를 포함한다.
레귤레이터는 냉수탱크 등의 냉수공급원과 이산화탄소 실린더 등의 이산화탄소 공급원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냉수공급원의 냉수와 이산화탄소 공급원의 이산화탄소가 각각 레귤레이터에 공급된다.
종래, 레귤레이터는 냉수공급원의 냉수가 공급되어 유동하면서 소정 압력에 이르면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이산화탄소도 공급되어 유동하도록 구성되었다.
혼합기는 레귤레이터에 연결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를 각각 유동한 냉수와 이산화탄소가 혼합기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혼합기에 각각 공급된 냉수와 이산화탄소는 혼합기에서 혼합되어 탄산수가 된다.
탄산수 저장부재는 혼합기에 연결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혼합기에서 만들어진 탄산수가 유동하여 저장된다. 사용자는 탄산수 저장부재에 저장된 탄산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음용하게 된다.
종래, 이러한 구조의 탄산수 제조장치는 탄산수 저장부재에 저장된 탄산수에 추가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지 못하였다. 따라사, 사용자는 소정의 일정한 농도의 탄산수만을 음용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레귤레이터에 제1유체가 공급되어 유동하면서 소정 압력에 이르는 것에 의해서 제2유체도 공급되어 유동하는 것 이외에, 수동으로도 제2유체가 공급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냉수와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탄산수에 추가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사용자가 다양한 농도의 탄산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레귤레이터는 제1유체가 유동하는 제1유로와 제2유체가 유동하는 제2유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제2유로에 형성된 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2유로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에 접촉하는 다이아프램부; 및 일측이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제1유로측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동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수동가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제1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나 상기 수동가압부재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다이아프램부가 이동하여 상기 개폐구멍이 열리도록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체는 냉수이고 상기 제2유체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부는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가 서로 밀폐되도록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의 일부를 공통으로 구획하면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이아프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유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입구와 제1출구 및, 상기 제2유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입구와 제2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일부가 개방된 상기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입구와 제1출구가 구비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로의 개방된 일부에 대응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상기 제2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입구와 제2출구가 구비되는 제2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의 개방된 일부가 상기 다이아프램부재에 의해서 서로 밀폐되도록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에 상기 다이아프램부재의 외주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에는 상기 수동가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통과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일측은 상기 제2입구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제2유체공급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제2유체공급부재에 저장된 제2유체가 상기 제2유로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2유체공급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체공급연결부는 상기 제2입구에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제2유로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유체공급부재가 연결되는 연결유로가 관통형성되는 주공급연결부재와, 상기 제2유체공급부재의 기체출입구가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유로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유로와 기체출입구에 연결되는 공급유로가 관통형성되는 보조공급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폐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2입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제2유로측에 구비되는 유로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형성부재에는 상기 개폐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2유로의 일부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폐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상기 다이아프램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부는 상기 제1유로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부재에 연결되는 제1이동지지부재와, 상기 제2유로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제2이동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부는 상기 제1이동지지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유로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이동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제1유로측에는 상기 수동가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제1통과구멍과 연통되어 상기 수동가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통과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동가압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폐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상기 수동가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제1유로측에는 상기 수동가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동가압부는 상기 본체의 제1유로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통과구멍과 연통되는 제3통과구멍이 형성되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가압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3통과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는 제1유체가 냉수이고 제2유체가 이산화탄소인 전술한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1유로와 제2유로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유로를 통해 공급된 냉수와 상기 제2유로를 통해 공급된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탄산수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혼합기; 및 상기 혼합기에 연결되어 탄산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탄산수 저장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귤레이터에 제1유체가 공급되어 유동하면서 소정 압력에 이르는 것에 의해서 제2유체도 공급되어 유동하는 것 이외에, 수동으로도 제2유체가 공급되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와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탄산수에 추가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양한 농도의 탄산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3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과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의 일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레귤레이터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3과 같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100)의 일실시예는 본체(200), 개폐부(300), 다이아프램부(400) 및, 수동가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에는 제1유로(R1)와 제2유로(R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R1)에는 제1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제1유로(R1)는, 예컨대 연결관(TC) 등에 의해서 제1유체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유체공급원에 저장된 제1유체가 제1유로(R1)에 공급되어 제1유로(R1)를 유동할 수 있다.
제2유로(R2)에는 제2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제2유로(R2)는, 예컨대 연결관(TC) 등에 의해서 제2유체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유체공급원에 저장된 제2유체가 제2유로(R2)에 공급되어 제2유로(R2)를 유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유체는 냉수이고 제2유체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체공급원은 냉수가 저장된 냉수탱크(TK)일 수 있고, 제2유체공급원은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후술할 제2유체공급부재(CY)일 수 있다. 제2유체공급부재(CY)는, 예컨대 이산화탄소 실린더일 수 있다.
그러나, 제1유체나 제2유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1유체공급원이나 제2유체공급원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유체나 제2유체가 저장되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제2유로(R2)에는 개폐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은 개폐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개폐부재(31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300)의 개폐부재(310)가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을 닫으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체공급부재(CY) 등의 제2유체공급원으로부터 제2유로(R2)에 공급된 이산화탄소 등의 제2유체가 제2유로(R2)를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300)의 개폐부재(310)가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을 열면,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R2)에 제2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본체(200)에는 제1유로(R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입구(211)와 제1출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입구(211)는 연결관(TC) 등에 의해서 전술한 제1유체공급원, 예컨대 냉수탱크(TK)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체공급원의 제1유체, 예컨대 냉수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구(211)를 통해 제1유로(R1)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체공급원의 제1유체, 예컨대 냉수가 제1유로(R1)를 유동할 수 있다.
제1출구(212)는 연결관(TC) 등에 의해서, 예컨대 후술할 탄산수 제조장치(10)에 포함되는 혼합기(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로(R1)를 유동한 제1유체, 예컨대 냉수는 제1출구(212)를 통해 배출되어 혼합기(20) 등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본체(200)에는 제2유로(R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입구(221)와 제2출구(2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입구(221)는 연결관(TC) 등에 의해서 전술한 제2유체공급원, 예컨대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제2유체공급부재(CY)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체공급원의 제2유체, 예컨대 이산화탄소가 제2입구(221)를 통해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R2)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체공급원의 제2유체, 예컨대 이산화탄소가 제2유로(R2)를 유동할 수 있다.
제2출구(222)는 연결관(TC) 등에 의해서, 예컨대 후술할 탄산수 제조장치(10)에 포함되는 혼합기(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R2)를 유동한 제2유체, 예컨대 이산화탄소는 제2출구(222)를 통해 배출되어 혼합기(20) 등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본체(2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본체(210)에는 일부가 개방된 전술한 제1유로(R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본체(210)에는 전술한 제1입구(211)와 제1출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본체(210)에는 수동가압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수동가압부재(510)가 통과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통과구멍(2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본체(220)는 제1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본체(220)는, 예컨대 볼트 등의 연결부재(MC)에 의해서 제1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본체(220)가 제1본체(2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맞춤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본체(220)에는 제1유로(R1)의 개방된 일부에 대응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제2유로(R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본체(220)에는 전술한 제2입구(221)와 제2출구(22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 사이에는, 후술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다이아프램부재(410)의 외주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다이아프램부재(410)에 의해서 제1유로(R1)와 제2유로(R2)의 개방된 일부가 서로 밀폐될 수 있다.
본체(200)는 제2유체공급연결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유체공급연결부(230)의 일측은 제2입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체공급연결부(230)의 타측에는 제2유체공급부재(CY)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유체공급부재(CY)에 저장된 제2유체, 예컨대 이산화탄소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체공급연결부(230)를 통해 제2유로(R2)에 공급될 수 있다.
제2유체공급연결부(230)는 주공급연결부재(231)와, 보조공급연결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주공급연결부재(231)는 제2입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주공급연결부재(231)는 제2입구(221)에 끼워맞춤에 의해서 밀봉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주공급연결부재(231)가 제2입구(221)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나사결합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주공급연결부재(231)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로(231a)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231a)의 일측은 제2유로(R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유로(231a)의 타측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체공급부재(CY)가 연결될 수 있다.
보조공급연결부재(232)는 주공급연결부재(231)의 연결유로(231a)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보조공급연결부재(23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공급연결부재(231)의 연결유로(231a)의 타측에 나사결합에 의해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조공급연결부재(232)가 주공급연결부재(231)의 연결유로(231a)의 타측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보조공급연결부재(232)에는 제2유체공급부재(CY)의 기체출입구(IO)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공급연결부재(232)의 일부가 제2유체공급부재(CY)의 기체출입구(IO)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보조공급연결부재(232)에 제2유체공급부재(CY)의 기체출입구(IO)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조공급연결부재(232)에 제2유체공급부재(CY)의 기체출입구(IO)가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보조공급연결부재(232)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유로(232a)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공급유로(232a)는 연결유로(231a)와 제2유체공급부재(CY)의 기체출입구(IO)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유체공급부재(CY)에 저장된 제2유체, 예컨대 이산화탄소는 제2유체공급부재(CY)의 기체출입구(IO)와 보조공급연결부재(232)의 공급유로(232a) 및 주공급연결부재(231)의 연결유로(231a)를 유동하여 제2유로(R2)에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2유체공급연결부(230)는 필터부재(233)와 밀봉부재(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233)는 보조공급연결부재(232)의 공급유로(232a)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공급연결부재(232)의 공급유로(232a)를 유동하는 제2유체, 예컨대 이산화탄소는 필터부재(233)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밀봉부재(234)는 주공급연결부재(231)의 연결유로(231a)의 타측에 구비되어 보조공급연결부재(232)와 제2유체공급부재(CY)의 기체출입구(IO) 사이가 밀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체(200)는 제1,2브라켓부재(240,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2브라켓부재(240,25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본체(210,220)를 감싸도록 제1,2본체(210,220)에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300)는 개폐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의 제2유로(R2), 예컨대 본체(200)의 제2본체(220)의 제2유로(R2)에는 개폐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310)는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을 개폐하도록 제2유로(R2)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개폐부재(310)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구멍(H)을 개폐할 수 있는 밀봉부재(311)가 구비되어 제2유로(R2)에서의 이동위치에 따라 개폐구멍(H)을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재(310)의 이동에 의해서 개폐구멍(H)이 열리면,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제2유로(R2)에 유입된 제2유체, 예컨대 이산화탄소가 제2유로(R2)를 유동하여, 예컨대 본체(200)의 제2출구(2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개폐부재(310)의 이동에 의해서 개폐구멍(H)이 닫히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제2유로(R2)에 유입된 제2유체, 예컨대 이산화탄소는 제2유로(R2)를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개폐부(300)는 제1탄성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20)는 개폐부재(310)가 개폐구멍(H)을 닫는 방향으로 개폐부재(3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폐부재(310)는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구멍(H)을 닫는 위치로 이동하여 있게 된다.
개폐부(300)는 유로형성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330)는 본체(200)의 제2입구(221)에 연결되도록 본체(200)의 제2유로측에 구비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330)는,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제2입구(221)에 연결된 전술한 본체(200)의 제2유체공급연결부(230)의 주공급연결부재(231)에 나사결합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으로, 본체(200)의 제2입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유로형성부재(330)가 본체(200)의 제2입구(221)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맞춤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유로형성부재(330)에는 제2유로(R2)의 일부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로형성부재(330)에 형성된 제2유로(R2)의 일부에는 전술한 개폐구멍(H)이 형성되고 개폐부재(3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부(400)는 본체(200)의 제1유로(R1)와 제2유로(R2)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아프램부(400)의 일측은 개폐부(300)의 개폐부재(310)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200)의 제1유로(R1)를 유동하는 제1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부(400)가 이동하여, 본체(200)의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이 열리도록 개폐부(300)의 개폐부재(310)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제1유로(R1)에 제1유체, 예컨대 냉수가 유동하는 것에 의해서 제2유로(R2)에 제2유체, 예컨대 이산화탄소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이아프램부(4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가압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수동가압부재(51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도 이동하여, 본체(200)의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이 열리도록 개폐부(300)의 개폐부재(310)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로(R1)를 제1유체, 예컨대 냉수가 유동하는 것과 관계없이, 본체(200)의 제2유로(R2)를 제2유체, 예컨대 이산화탄소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부(400)는 다이아프램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부재(410)는 본체(200)의 제1유로(R1)와 제2유로(R2)가 서로 밀폐되도록 제1유로(R1)와 제2유로(R2)의 일부를 공통으로 구획하면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부재(410)의 제1유로측에는 본체(200)의 제1유로(R1)를 유동하는 제1유체, 예컨대 냉수의 압력에 의한 힘이 작용될 수 있다.
예컨대, 다이아프램부재(4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 사이에 외주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다이아프램부재(410)에 의해서 제1본체(210)의 제1유로(R1)의 개방된 일부와 제2본체(220)의 제2유로(R2)의 개방된 일부가 서로 밀폐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부(400)는 제2탄성부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420)는 개폐부(300)의 개폐부재(310)가 본체(200)의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을 닫는 방향으로 다이아프램부재(4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이아프램부재(410)는 본체(200)의 제1유로(R1)를 유동하는 제1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 등의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제2탄성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0)가 본체(200)의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다이아프램부(400)는 제1이동지지부재(430)와 제2이동지지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지지부재(430)는 본체(200)의 제1유로(R1)에 위치하도록 다이아프램부재(4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이동지지부재(440)는 본체(200)의 제2유로(R2)에 위치하도록 다이아프램부재(4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아 같이 볼트인 연결부재(MC)가 제2이동지지부재(440)와 다이아프램부재(410)를 관통하여 제1이동지지부재(430)에 구비된 너트인 연결부재(MC)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서, 제1,2이동지지부재(430,440)가 다이아프램부재(4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2이동지지부재(430,440)가 다이아프램부재(4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볼트나 너트가 아닌 다른 연결부재(MC)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제2이동지지부재(440)는 전술한 제2탄성부재(420)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이동지지부재(440)가 연결되는 전술한 다이아프램부재(410)가 제2탄성부재(420)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부(400)는 이동가이드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재(450)는 제1이동지지부재(4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본체(200)의 제1유로(R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재(45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이동지지부재(4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본체(200)의 제1유로(R1)에 구비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동가이드부재(450)에는 제2통과구멍(4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통과구멍(451)은 본체(200), 예컨대 본체(200)의 제1본체(210)에 형성된 제1통과구멍(213)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수동가압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수동가압부재(510)가 제1,2통과구멍(213,45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4와 도6에 도시된 바아 같이 수동가압부(500)의 수동가압부재(510)가 다이아프램부(400)의 제1유로측, 예컨대 전술한 다이아프램부(400)의 제1이동지지부재(430)에 접촉할 수 있다.
수동가압부(500)는 수동가압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가압부재(510)는 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수동가압부재(510)는 본체(200)의 제1본체(210)의 제1통과구멍(213)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동가압부재(510)의 일측은 다이아프램부(400)의 제1유로측, 예컨대 다이아프램부(400)의 전술한 제1이동지지부재(430)에 접촉할 수 있다. 예컨대, 수동가압부재(510)는 본체(200)의 제1본체(210)의 제1통과구멍(213)에 연통되는, 다이아프램부(400)의 이동가이드부재(450)의 제2통과구멍(451)에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도4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부(400)의 제1이동지지부재(430)에 접촉할 수 있다.
수동가압부(500)는 제3탄성부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탄성부재(520)는 개폐부(300)의 개폐부재(310)가 본체(200)의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을 닫는 방향으로 수동가압부재(5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동가압부재(510)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제3탄성부재(520)의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부재(310)가 본체(200)의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제3탄성부재(520)는 본체(200)의 제1본체(210)의 전술한 제1통과구멍(213)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3탄성부재(520)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동가압부재(5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수동가압부(500)는 덮개부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재(530)는 본체(200)의 제1유로측, 예컨대 본체(200)의 제1본체(2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재(530)에는 본체(200)의 제1본체(210)의 제1통과구멍(213)과 연통되는 제3통과구멍(531)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530)의 제3통과구멍(531)을 통해 수동가압부재(510)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덮개부재(530)의 제3통과구멍(531)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수동가압부재(510)의 부분을 통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가압부재(51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탄산수 제조장치
이하, 도7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8과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의 일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10)의 일실시예는 전술한 레귤레이터(100)와, 혼합기(20), 및 탄산수 저장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10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레귤레이터(100)의 제1유로(R1)는 냉수탱크(TK) 등의 냉수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100)의 본체(200)의 제1입구(211)가 연결관(TC)에 의해서 냉수탱크(TK) 등의 냉수공급원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레귤레이터(100)의 제1유로(R1)가 냉수탱크(TK) 등의 냉수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수공급원에 저장된 냉수가 레귤레이터(100)의 제1유로(R1)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100)의 제2유로(R2)는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제2유체공급부재(CY) 등의 이산화탄소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100)의 본체(200)의 제2입구(221)에 연결된 제2유체공급연결부(230)에 제2유체공급부재(CY)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레귤레이터(100)의 제2유로(R2)가 제2유체공급부재(CY) 등의 이산화탄소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산화탄소공급원의 이산화탄소가 레귤레이터(100)의 제2유로(R2)에 공급될 수 있다.
혼합기(20)는 레귤레이터(100)의 제1유로(R1)와 제2유로(R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혼합기(2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TC)에 의해서 레귤레이터(100)의 본체(200)의 제1출구(212)와 제2출구(222)에 각각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레귤레이터(100)의 제1유로(R1)와 제2유로(R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100)의 제1유로(R1)에 냉수탱크(TK) 등의 냉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냉수가 유동하여 소정 압력에 이르면, 레귤레이터(100)의 다이아프램부(400)의 이동에 따른 개폐부재(310)의 이동에 의해서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이 열릴 수 있다.
그리고, 레귤레이터(100)의 제2유로(R2)에도 이산화탄소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레귤레이터(100)의 제1유로(R1)와 제2유로(R2)를 유동한 냉수와 이산화탄소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유로(R1)와 제2유로(R2)에 연결된 연결관(TC) 등을 통해 혼합기(20)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혼합기(20)로 각각 유동한 냉수와 이산화탄소는 혼합기(20)에서 혼합되어 탄산수가 될 수 있다.
혼합기(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레귤레이터(100)의 제1유로(R1)와 제2유로(R2)에 각각 연결되며 제1유로(R1)를 통해 공급된 냉수와 제2유로(R2)를 통해 공급된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탄산수가 만들어질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탄산수 저장부재(30)는 혼합기(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탄산수 저장부재(30)는 연결관(TC) 등에 의해서 혼합기(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혼합기(20)에서 만들어진 탄산수는 연결관(TC) 등을 통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수 저장부재(30)로 유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탄산수에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더 필요할 때, 사용자는 레귤레이터(100)의 수동가압부(500)의 수동가압부재(51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동가압부재(510)가 다아프램부(400)를 이동시켜서 제2유로(R2)의 개폐구멍(H)이 열리도록 개폐부재(3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레귤레이터(100)의 제2유로(R2)에 이산화탄소가 유동하게 되고 제2유로(R2)를 이동한 이산화탄소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기(20)를 거쳐서 탄산수 저장부재(30)에 저장된 탄산수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농도의 탄산수를 음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장치를 사용하면, 레귤레이터에 제1유체가 공급되어 유동하면서 소정 압력에 이르는 것에 의해서 제2유체도 공급되어 유동하는 것 이외에, 수동으로도 제2유체가 공급되어 유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냉수와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탄산수에 추가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다양한 농도의 탄산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탄산수 제조장치 20 : 혼합기
30 : 탄산수 저장부재 100 : 레귤레이터
200 : 본체 210 : 제1본체
211 : 제1입구 212 : 제1출구
213 : 제1통과구멍 220 : 제2본체
221 : 제2입구 222 : 제2출구
230 : 제2유체공급연결부 231 : 주공급연결부재
231a : 연결유로 232 : 보조공급연결부재
232a : 공급유로 233 : 필터부재
234, 311 : 밀봉부재 240 : 제1브라켓부재
250 : 제2브라켓부재 300 : 개폐부
310 : 개폐부재 320 : 제1탄성부재
330 : 유로형성부재 400 : 다이아프램부
410 : 다이아프램부재 420 : 제2탄성부재
430 : 제1이동지지부재 440 : 제2이동지지부재
450 : 이동가이드부재 451 : 제2통과구멍
500 : 수동가압부 510 : 수동가압부재
520 : 제3탄성부재 530 : 덮개부재
531 : 제3통과구멍 R1 : 제1유로
R2 : 제2유로 H : 개폐구멍
CY : 제2유체공급부재 IO : 기체출입구
MC : 연결부재 TC : 연결관
TK : 냉수탱크

Claims (18)

  1. 제1유체가 유동하는 제1유로와 제2유체가 유동하는 제2유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제2유로에 형성된 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2유로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에 접촉하는 다이아프램부; 및
    일측이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제1유로측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동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수동가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제1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나 상기 수동가압부재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다이아프램부가 이동하여 상기 개폐구멍이 열리도록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하고,
    상기 다이아프램부는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가 서로 밀폐되도록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의 일부를 공통으로 구획하면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이아프램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폐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상기 다이아프램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는 냉수이고 상기 제2유체는 이산화탄소인 레귤레이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유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입구와 제1출구 및, 상기 제2유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입구와 제2출구가 구비되는 레귤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부가 개방된 상기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입구와 제1출구가 구비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로의 개방된 일부에 대응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상기 제2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입구와 제2출구가 구비되는 제2본체
    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의 개방된 일부가 상기 다이아프램부재에 의해서 서로 밀폐되도록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에 상기 다이아프램부재의 외주가 끼워지는 레귤레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에는 상기 수동가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통과구멍이 형성되는 레귤레이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은 상기 제2입구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제2유체공급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제2유체공급부재에 저장된 제2유체가 상기 제2유로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2유체공급연결부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체공급연결부는
    상기 제2입구에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제2유로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유체공급부재가 연결되는 연결유로가 관통형성되는 주공급연결부재와,
    상기 제2유체공급부재의 기체출입구가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유로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유로와 기체출입구에 연결되는 공급유로가 관통형성되는 보조공급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폐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2입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제2유로측에 구비되는 유로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형성부재에는 상기 개폐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2유로의 일부가 관통형성되는 레귤레이터.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부는
    상기 제1유로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부재에 연결되는 제1이동지지부재와,
    상기 제2유로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제2이동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부는 상기 제1이동지지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유로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이동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유로측에는 상기 수동가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제1통과구멍과 연통되어 상기 수동가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통과구멍이 형성되는 레귤레이터.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가압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폐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상기 수동가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유로측에는 상기 수동가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동가압부는 상기 본체의 제1유로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통과구멍과 연통되는 제3통과구멍이 형성되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가압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3통과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레귤레이터.
  18. 제2항에 기재된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1유로와 제2유로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유로를 통해 공급된 냉수와 상기 제2유로를 통해 공급된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탄산수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혼합기; 및
    상기 혼합기에 연결되어 탄산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탄산수 저장부재;
    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KR1020160174895A 2016-12-20 2016-12-20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 KR102605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895A KR102605903B1 (ko) 2016-12-20 2016-12-20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895A KR102605903B1 (ko) 2016-12-20 2016-12-20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839A KR20180071839A (ko) 2018-06-28
KR102605903B1 true KR102605903B1 (ko) 2023-11-24

Family

ID=6278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895A KR102605903B1 (ko) 2016-12-20 2016-12-20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9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29Y1 (ko) * 2002-04-04 2002-07-13 이두우 인젝터
JP2015089389A (ja) * 2013-11-05 2015-05-11 株式会社リード 圧縮ガスのレギュレータと該レギュレータを備えた炭酸ミスト美顔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786A (ko) * 2015-03-24 2016-10-06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394049B1 (ko) * 2015-05-14 2022-05-09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29Y1 (ko) * 2002-04-04 2002-07-13 이두우 인젝터
JP2015089389A (ja) * 2013-11-05 2015-05-11 株式会社リード 圧縮ガスのレギュレータと該レギュレータを備えた炭酸ミスト美顔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839A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932B2 (en) Diverter valve
US6978795B2 (en) Diverter valve
CN102959486B (zh) 减压设备
US7318581B2 (en) Carbonating apparatus
IN2012DN03149A (ko)
US6969462B2 (en) Pipe mounting apparatus for water filter
US9328485B2 (en) Flow diverter device
KR102605903B1 (ko)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탄산수 제조장치
EP1780452A2 (de) Druckminderer
US9671038B2 (en) Pilot valve with mechanical valve actuator
US6408879B1 (en) Fluid control device
KR102398344B1 (ko) 탄산수 제조용 혼합기
JP3213790U (ja) 液体混合装置
CN204239808U (zh) 水龙头
KR20210000147A (ko)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JP3187887U (ja) 静音及び調圧の多機能蛇口
CN108561573A (zh) 减压降温调节阀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US9933086B2 (en) Gas supply control device
US20150020898A1 (en) Hydraulic valve and pressure differential type liquid dispenser having the same
WO2006086552A3 (en) Bioreactor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molecular diffusion between fluids
KR101862064B1 (ko) 유체 혼합 장치 및 방법
CN103946611B (zh) 一种带有过滤器和减压器的球阀
CN212838675U (zh) 用于油压装置的低压启动阀
JP3727328B1 (ja) 吐水用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